압두르 라흐만 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압두르 라흐만 칸은 1880년부터 1901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한 아미르였다. 그는 어린 시절 권력 투쟁과 망명 생활을 거쳐 아프가니스탄의 통치자로 인정받았다. 통치 기간 동안 중앙 집권화를 추진하고 반대 세력을 탄압했으며, 하자라족 학살을 자행했다. 1893년 듀랜드 라인을 설정하여 아프가니스탄의 국경을 확정했다. 그는 근대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독재적인 통치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라크자이 왕조 - 모하마드 자히르 샤
모하마드 자히르 샤는 1933년부터 1973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의 마지막 국왕으로, 국제 관계 증진, 현대화 추진, 입헌군주제 도입 등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했으며, 쿠데타로 망명 후 귀국하여 국부로 존경받다 2007년에 사망했다. - 바라크자이 왕조 - 도스트 모하마드 칸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19세기 아프가니스탄의 바라크자이 부족 출신 아미르로, 두라니 왕조 쇠퇴 후 카불을 장악하여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으며, 영국과의 전쟁과 관계 개선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 아프가니스탄 아미르 - 아흐마드 샤 두라니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1747년부터 1772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며 두라니 제국을 건국한 초대 샤이자, 나디르 샤 암살 후 권력을 장악하여 아프가니스탄을 통일하고 인도를 여러 차례 침공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남겼으며, 그의 통치는 아프가니스탄 독립과 인도 대륙 정치 지형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아프가니스탄 아미르 - 도스트 모하마드 칸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19세기 아프가니스탄의 바라크자이 부족 출신 아미르로, 두라니 왕조 쇠퇴 후 카불을 장악하여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으며, 영국과의 전쟁과 관계 개선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 파슈툰인 - 파하드 다리아
파하드 다리아는 아프가니스탄의 국민 가수로, 평화, 화합, 국가 통합의 메시지를 담은 음악과 사회 운동으로 아프가니스탄과 페르시아어권 국가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유엔개발계획 친선대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 파슈툰인 - 임란 칸
임란 칸은 파키스탄의 전 크리켓 선수이자 정치가로, 1992년 크리켓 월드컵 우승을 이끌고 파키스탄 총리로 재임했으나 불신임 투표로 실각한 인물이다.
압두르 라흐만 칸 | |
---|---|
개요 | |
![]() | |
칭호 | 아미르, 지야알밀라트 와 알딘 |
통치 기간 | 1880년 5월 31일 – 1901년 10월 1일 |
즉위 | 해당 없음 |
전체 이름 | 압두르 라흐만 칸 |
선임자 | 아유브 칸 |
후임자 | 하비불라 칸 |
배우자 | 바보 잔 |
왕가 | 해당 없음 |
왕조 | 바라크자이 왕조 |
아버지 | 무함마드 아프잘 칸 |
출생일 | 1840년–1844년 경 |
출생지 | 카불, 아프가니스탄 에미리트 |
사망일 | 1901년 10월 1일 (약 56–61세) |
사망지 | 카불, 아프가니스탄 에미리트 |
매장일 | 1901년 |
매장지 | 자르네가르 공원 궁전, 카불, 아프가니스탄 |
서훈 | |
훈장 | 대영 제국 인도 훈장 기사단 |
이름 |
2. 어린 시절
압두르 라흐만 칸은 1844년 카불에서 파슈툰족 출신으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 대부분을 아버지 모하마드 아프잘 칸과 함께 발흐에서 보냈다. 압두르 라흐만은 영국계 인도인 군인 윌리엄 캠벨로부터 재래식 전술을 배웠다.[36]
도스트 무하마드 칸은 1863년 6월 9일 헤라트에서 사망하기 전, 셋째 아들 셰르 알리 칸을 후계자로 지명했다. 이는 그의 두 형인 아프잘 칸과 아잠 칸을 제쳐둔 것이었다. 처음에는 셰르 알리 칸이 새로운 아미르로 조용히 인정받았으나, 몇 달 후 아프잘 칸이 북부에서 반란을 일으키면서 도스트 무하마드의 아들들 사이에서 거의 5년간 지속된 권력 다툼이 시작되었다.[8]
셰르 알리 칸이 사망하자 투르케스탄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압두르 라흐만 칸은 러시아 측에 아프가니스탄 왕위 계승자 자격으로 입국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그러나 야쿠브 칸의 퇴위와 영국군의 카불 점령 이후, 러시아는 압두르 라흐만 칸의 아프가니스탄 재입국을 허용했다. 압두르 라흐만은 결혼 관계를 맺고 있던 바다흐샨으로 향했다. 가는 길에 그는 호자 아흐라르의 영묘를 순례하며 승리를 보장하는 환영을 보았다고 주장하며 그의 깃발을 가져갔다. 바다흐샨의 통치자는 압두르 라흐만이 아무다리야를 건너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고, 압두르 라흐만은 하류에서 건넜다. 그는 눈이 내리는 동안 산길을 건너 로스타크에 도착했고, 그곳의 수비대가 배반하면서 로스타크가 함락되었다. 이후 압두르 라흐만은 바다흐샨의 미르와 전투를 벌여 그를 치트랄로 도주하게 만들고 바다흐샨을 합병했다.[1]
압두르 라흐만 칸의 통치 기간 동안 아프가니스탄의 주요 정치적 문제는 민족주의, 이슬람, 그리고 전통적인 부족 구조에 의한 정치적 정당성 주장의 관계를 확립하는 데 있었다.[11] 1880년 7월 22일 두르바르(궁정)에서 압두르 라흐만은 공식적으로 아미르로 인정받았으며, 무기와 자금 지원을 받았고, 영국과 외교 정책을 맞춰야 한다는 조건하에 추가 지원을 약속받았다. 영국군은 1881년 칸다하르를 새로운 ''아미르''에게 넘겨주었다.[12]
3. 권력 투쟁과 망명
압두르 라흐만은 아버지 아프잘 칸이 아미르 셰르 알리와 화해했음에도 불구하고 북부 지역에서 독자적인 행동을 보였다. 이는 아미르의 의심을 샀고, 카불로 소환되었을 때 그는 옥수스 강을 건너 부하라로 도망쳤다. 셰르 알리는 아프잘 칸을 감옥에 가두었고, 아프가니스탄 남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아미르가 간신히 반란을 진압했을 때, 압두르 라흐만이 북부에서 다시 나타나 군대의 반란과 무장 세력 규합을 이끌었다. 1866년 3월, 그와 그의 삼촌 아잠 칸은 카불을 점령했다. 셰르 알리는 칸다하르에서 그들을 향해 진격했으나, 1866년 5월 10일 셰이카바드 전투에서 패배했다. 압두르 라흐만은 가즈니 감옥에서 아버지 아프잘 칸을 석방하고 아프가니스탄의 아미르 자리에 앉혔다.
새로운 아미르의 무능함과 압두르 라흐만, 그리고 그의 삼촌 사이에 약간의 질투심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1867년 셰르 알리의 군대를 격파하고 칸다하르를 점령했다. 아프잘 칸이 그 해 말에 사망하자, 아잠 칸이 새로운 통치자가 되었고, 압두르 라흐만은 북부 지역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1868년 말 셰르 알리가 귀환하고 그를 지지하는 봉기가 일어나면서, 1869년 1월 3일 ''티나 칸'' 전투에서 압두르 라흐만과 아잠 칸은 패배했다. 둘 다 동쪽 중앙 아시아로 피신했고, 압두르 라흐만은 사마르칸트에서 러시아의 보호를 받았다.[10] 아잠은 1869년 10월 카불에서 사망했다.
셰르 알리 칸이 사망하고 야쿠브 칸이 퇴위하면서, 러시아는 압두르 라흐만이 아프가니스탄으로 재입국하는 것을 허용했다. 그는 바다흐샨으로 향했고, 가는 길에 호자 아흐라르의 영묘를 순례하며 승리를 보장하는 환영을 보았다고 주장하며 그의 깃발을 가져갔다. 바다흐샨의 통치자는 압두르 라흐만이 아무다리야를 건너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지만, 그는 하류에서 강을 건너 로스타크에 도착했고, 그곳의 수비대가 배반하면서 로스타크를 함락시켰다. 이후 압두르 라흐만은 바다흐샨의 미르와 전투를 벌여 그를 치트랄로 도주하게 만들고 바다흐샨을 합병했다.
압두르 라흐만은 쿤두즈의 술탄 무라드에게 군사적 접근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그러나 야쿠브의 발흐 총독인 굴람 하이다르 칸이 쿤두즈를 공격하여 점령하면서 술탄 무라드는 파이자바드로 도주했다. 술탄 무라드는 이후 압두르 라흐만과 동맹을 맺고 굴람 하이다르에 대한 반란을 부추겼고, 탁테풀의 사령관이 압두르 라흐만을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굴람 하이다르는 아무다리야를 건너 도주했고, 아프간 투르케스탄 전체가 압두르 라흐만의 통제하에 들어갔다.
영국은 아프가니스탄의 통치자로 적합한 인물을 찾기 위해 압두르 라흐만 칸과 협상을 시작했다. 압두르 라흐만은 스스로를 영국의 반대자로 여겼지만, 협상이 계속되는 동안 영국은 아프가니스탄을 여러 왕국으로 나누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정치적 해결책을 고려했다.
영국은 리턴의 사임으로 전쟁을 신속하게 종결하고자 했고, 리폰 후작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모든 영국군을 철수시키기를 원했다. 영국은 더 이상 아프가니스탄에 영국 특사를 유지하려 하지 않았다. 그러나 영국은 칸다하르를 셰르 알리를 총독으로 두고 통제하려는 반면, 압두르 라흐만은 칸다하르를 아프가니스탄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겼기 때문에 양측은 계속 의견 차이를 보였다.
1880년 7월, 압두르 라흐만 칸은 차리카르에 도착했고, 판지시르, 코히스탄, 타가브 등 지역의 종교 지도자들이 그를 환영했다. 7월 19일, 영국은 압두르 라흐만에게 그를 아프가니스탄의 통치자로 인정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렸다. 압두르 라흐만은 지르가를 소집했고, 많은 부족 지도자들이 그를 지지한다고 선언했으며, 압두르 라흐만은 카불의 아미르로 선포되었다.
4. 아미르 즉위
압두르 라흐만은 쿤두즈의 술탄 무라드에게 군사적 접근을 요청하여 카불을 진격할 수 있도록 했으나 거절당했다. 그러나 야쿠브의 발흐 총독인 굴람 하이다르 칸이 쿤두즈를 공격하여 점령하고 술탄 무라드를 파이자바드로 도주하게 했다. 술탄 무라드는 이후 압두르 라흐만과 동맹을 맺고 굴람 하이다르에 대한 반란을 부추겼고, 탁테풀의 사령관이 압두르 라흐만을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굴람 하이다르는 아무다리야를 건너 도주했고, 아프간 투르케스탄 전체가 압두르 라흐만의 통제하에 들어갔다.[2]
영국은 아프가니스탄의 통치자로 적합한 인물을 찾기 위해 압두르 라흐만 칸을 탐색하고 그와 협상을 시작했다. 압두르 라흐만은 스스로를 영국의 반대자로 여겼고, 그의 부하들은 영국에 대한 지하드를 원했기 때문에 이러한 제안을 받아들이기를 꺼렸다. 협상이 계속되는 동안 영국은 아프가니스탄을 여러 왕국으로 나누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정치적 해결책을 고려했다.[3][4] 영국은 리턴의 사임으로 인해 전쟁을 신속하게 종결하고자 했고, 그의 후임자인 리폰 후작은 가능한 한 빨리 아프가니스탄에서 모든 영국군을 철수시키기를 원했다. 이로 인해 영국은 더 이상 아프가니스탄에 영국 특사를 유지하려 하지 않았다. 그러나 영국은 칸다하르를 사르다르 셰르 알리를 총독으로 두고 통제하려는 반면, 압두르 라흐만은 칸다하르를 아프가니스탄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겼기 때문에 양측은 계속 의견 차이를 보였다.[5]
영국이 철수할 수 있다고 믿은 압두르 라흐만 칸은 1880년 7월 어느 시점에 차리카르에 도착했고, 판지시르, 코히스탄, 타가브 등 지역의 종교 지도자들이 그의 도착을 환영했다. 7월 19일, 영국은 압두르 라흐만에게 그를 아프가니스탄의 통치자로 인정할 준비가 되었으며, 의식을 위해 카불로 초청한다고 알렸다. 압두르 라흐만은 지르가를 소집했고, 많은 부족 지도자들이 그를 지지한다고 선언했으며, 압두르 라흐만은 카불의 아미르로 선포되었다.[5]
그리핀은 압두르 라흐만을 중간 키에 매우 지적인 얼굴, 솔직하고 정중한 태도를 가진 사람으로 묘사했으며, 당면한 문제에 대한 대화에서 영리하고 유능했다고 평가했다.[6]
압두르 라흐만 칸은 숙부 시르 알리 칸 및 일족 간의 세력 다툼에서 아버지 아프잘을 도왔으나 패배하여 1870년부터 1879년까지 망명 생활을 했다. 투르키스탄 총독부의 보호 아래 타슈켄트에 거주하고 있었으나, 제2차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혼란 속에서 시르 알리가 사망하고, 그 후계자 무함마드 야쿠브 칸도 왕위를 버리고 인도에 망명했기 때문에 1880년에 귀국했다.
처음에는 헤라트 태수 아이유브 칸과 함께 반영 세력의 선두 주자로 여겨졌으나, 영국은 예상보다 팽창하는 전비 부담과 전쟁을 주도한 보수당의 선거 참패로 인해 정권 조기 이양 및 아프가니스탄 철수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에 압두르 라흐만 칸은 1879년에 야쿠브 칸과의 사이에서 체결된 간다마크 조약 수용 등을 조건으로 영국으로부터 아프가니스탄 국왕(아미르)이 되는 것을 승인받았다.
그러나 아이유브 칸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괴뢰 정권 타도를 내걸고 거병했기 때문에, 압두르 라흐만 칸은 주둔 영국군을 이용하여 이에 대항했다. 아이유브 칸은 마이완드 전투에서 영국군에게 승리했지만, 결국 칸다하르 전투에서 패배하여 페르시아로 도망쳤다.
5. 통치
그러나 셰르 알리 칸의 아들 아유브 칸은 헤라트에서 군대를 이끌고 와 1880년 7월에 압두르 라흐만의 군대를 격파하고 그곳을 점령했다. 이로 인해 ''아미르''는 적극적으로 나서게 되었고, 아유브 칸은 1880년 9월 1일 칸다하르에서 영국의 프레데릭 로버츠 장군에게 패배하여 페르시아로 도망가야 했다. 이후 압두르 라흐만은 영국의 지원 덕분에 카불의 왕좌에 비교적 굳건히 자리 잡았다.
1885년, ''아미르''가 인도의 총독인 더퍼린 경과 회담을 하고 있을 때, 판제에서 러시아군과 아프가니스탄 군대 사이에 교전이 벌어졌다. 이 때 압두르 라흐만은 자신의 영토 보전을 위해 영국에 의존하면서도, 러시아의 침략을 초래할 수 있는 직접적인 군사 행동은 자제하는 정치적 통찰력을 보여주었다. 그는 1885년에 자신의 자서전을 출판했는데, 이는 왕자를 위한 조언서 역할을 했다.[13]
그의 관심사는 강대국들을 자신의 왕국 밖에 두는 것이었고, 이는 아프가니스탄 국민이 지지할 유일한 정책이었다. 러시아와의 단절이 임박한 것처럼 보였지만, 아미르의 신중한 태도는 평화적인 해결을 이끌어냈다. 압두르 라흐만은 뛰어난 자립심과 강인함을 가진 인물로 평가받았으며, 인도 별 훈장의 최고 등급을 수여받았다.
그의 모험적인 삶, 강압적인 성격, 그리고 인도와 러시아 제국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솜씨는 그를 동시대 아시아 정치의 두드러진 인물로 만들었다. 아미르는 영국 정부로부터 연간 1,850,000 루피의 보조금을 받았고, 전쟁 물자를 수입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그는 유럽의 발명을 이용하면서도, 철도와 전신과 같이 유럽인들이 그의 국가 내에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혁신에는 반대했다.
그는 또한 카불에 있는 바그-에 발라 궁전과 치힐 수툰 궁전, 그리고 쿨름에 있는 자한 나마 궁전을 포함하여 여러 별장과 게스트 하우스를 지었다.[14] 아미르는 건강 악화로 인해 빅토리아 여왕의 영국 방문 초청을 받아들일 수 없었지만, 대신 그의 둘째 아들인 나스룰라 칸이 갔다.
아프가니스탄 사회는 그의 통치에 대해 엇갈린 감정을 가지고 있다. 다수의 파슈툰족은 그를 근대화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그레이트 게임 동안 영국 제국의 지원[27]을 활용하여 러시아의 점령을 막은 통치자로 기억한다.[26] 에미르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영국 무기와 자금에 의존했다.[28]
압두르 라흐만 칸은 숙부 시르 알리 칸 및 일족 간의 세력 다툼에서 패배하여 1870년부터 1879년까지 망명했다. 제2차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혼란 속에서 시르 알리가 사망하고, 후계자 무함마드 야쿠브 칸도 왕위를 버리고 인도에 망명했기 때문에 1880년에 귀국했다.
처음에는 헤라트 태수 아유브 칸과 함께 반영 세력의 선두 주자로 여겨졌으나, 영국은 전비 부담 증가와 보수당의 선거 참패로 인해 조기에 정권을 이양하고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 압두르 라흐만 칸은 1879년 야쿠브 칸과의 사이에서 체결된 간다마크 조약 수용 등을 조건으로 영국으로부터 아프가니스탄 국왕(아미르)이 되는 것을 승인받았다. 그러나 아이유브 칸이 이를 인정하지 않고 거병하여 영국군에게 승리했지만, 결국 칸다하르 전투에서 패배하여 페르시아로 도망쳤다.
치트랄, 야르칸드, 페르가나는 1887년과 1883년에 압두르 라흐만의 군사 작전에서 도망친 바다흐샨 난민들의 피난처가 되었다.[22]
5. 1. 중앙집권화와 근대화
압두르 라흐만 칸의 정부는 정규군에 기반한 군사 독재였으며, 융통성 없는 의지에 절대적으로 복종하는 관료들을 통해 운영되었고, 광범위한 간첩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었다.[20] 그는 청원서를 접수하고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공개 법정을 열었고, 업무 처리에 있어서는 지칠 줄 몰랐다.
1880년대에 "철의 아미르"는 더 나은 안보를 가져오기 위해 서로 다른 민족 집단의 일부 구성원을 전략적으로 이동시키기로 결정했다. 예를 들어, 그는 "말썽을 일으키는 파슈툰족 파슈툰 부족인 두라니와 길자이를 뿌리 뽑아 우즈베크족과 타지크족이 거주하는 북부 지역으로 이주시켰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현지 다리어 사용 비 파슈툰족 민족 집단을 감시하고 아프가니스탄 영토에 대한 러시아의 추가적인 침략에 대한 방어막 역할을 할 수 있었다."[1]
1881년 영국군이 철수하고 정권을 이양받자, 외교권을 영국에 제한받은 상황에서도 내정을 중시하여 종전보다 더욱 중앙 집권화에 힘썼으며, 아프가니스탄의 봉건적 할거 상태 제거와 경제 발전을 촉진했다. 그러나 압두르 라흐만의 급격한 근대화 정책에 대한 저항도 컸고, 오래전부터 관습에 따라 세금을 납부함으로써 일정 자치를 인정받았던 지역에 대해서도 일체의 타협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신정권의 지지자들 중에서도 반대가 있었다.
이에 대해 압두르 라흐만은 선수를 쳐서 헤라트를 공략하고 아이유브 칸을 다시 페르시아로 몰아냈으며, 또한 국내 반대파에게도 용서 없는 탄압을 가했다. 당시 아프가니스탄 내에 있던 하자라족의 약 6할이 노예로 팔리거나, 인도나 페르시아로의 망명을 강요당할 정도였으며, 그 철저함은 "철의 아미르"라고 불리는 이유가 되었다. 그 독재적인 경향이 있는 한편, 압두르 라흐만은 당시 아프가니스탄의 왕족 중에서는 개명한 편이었으며, 도스트 무함마드 칸과 함께 그의 치세에서 단행된 여러 정책들이, 이후 아프가니스탄의 초석이 된 것도 사실이다.
5. 2. 반대 세력 탄압과 하자라족 학살
압두르 라흐만 칸의 정부는 정규군에 기반한 군사 독재였으며, 광범위한 간첩 시스템을 통해 통제되었다. 그의 개인적인 권력 행사는 불필요한 잔혹 행위로 얼룩지는 경우가 많았다.[20] 1880년대에 "철의 아미르"는 두라니와 길자이 같은 파슈툰족 부족들을 북부 지역으로 강제 이주시켜, 현지 다리어 사용 비 파슈툰족 민족 집단을 감시하게 했다.[1]
1888년 말부터 18개월 동안 압두르 라흐만은 북부 지방에서 반란을 평정하고, 반란 가담자들을 가혹하게 처벌했다.[21] 1895–1896년에는 카피리스탄을 침공하여 토착민들을 이슬람으로 개종시켰고, 이 지역은 누리스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896년, 그는 ''Zia-ul-Millat-Wa-ud Din''("국가와 종교의 빛")이라는 칭호를 채택하고, 지하드에 관한 논문을 출판하기도 했다.[21]
1890년대 초, 하자라족은 압두르 라흐만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압두르 라흐만은 매우 잔혹한 인물로, 일부 작가들은 그를 '드라큘라 아미르'라고 불렀다.[10] 그의 약탈 행위로 인해 전체 하자라 인구의 50~60% 이상이 학살당했고, 패배한 반란군의 머리로 수많은 탑이 만들어졌다. 압두르 라흐만은 승리할 때마다 공포 정치를 펼쳤고, 하자라 여성들은 강제로 파슈툰족과 결혼해야 했다. 우르즈간, 가즈니 등 하자라족 다수 거주 지역에서 인구가 줄어들었고, 이 지역의 저명한 하자라 족장들의 영토는 모하마자이 사르다르 등에게 주어졌다. 지즈야 세금이 시아파에게도 부과되었다.[23] 이로 인해 일부 하자라족은 발루치스탄의 퀘타와 이란 북동부의 마슈하드로 이주했다.[24] 바미안 지역에서 압두르 라흐만은 바미안 석불의 얼굴을 파괴하라고 명령했다.[25]
5. 3. 듀랜드 라인 설정
1893년, 모티머 듀랜드는 영국령 인도 정부에 의해 카불로 파견되어 아미르 압두르 라흐만 칸과 영토 문제 등 여러 현안을 논의했다. 압두르 라흐만 칸은 외교적 협상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었다.
영국령 인도 정부와 아프가니스탄 정부 간의 관계에 대한 협정이 확정되었고, 아프가니스탄과 영국령 인도 사이의 경계를 결정하기 위해 왕립위원회가 설립되었다. 위원회는 현재 파키스탄 파파라치나르에 주둔하며 듀랜드 라인에 합의하는 조건을 협상하는 임무를 맡았다. 영국 측에서는 모티머 듀랜드와 사히브자다 압둘 카윰이, 아프가니스탄 측에서는 사히브자다 압둘 라티프와 사르다르 시렌딜 칸이 대표로 참여했다.
1893년 모티머 듀랜드는 압두르 라흐만 칸과 듀랜드 라인 조약을 협상하여 아프가니스탄, FATA, 북서변경주(카이베르 파크툰크와), 발루치스탄 사이의 국경을 확정했다. 1905년 아미르 하비불라 칸은 영국과 듀랜드 라인의 합법성을 확인하는 새로운 협정을 체결했다.[37] 1919년 라왈핀디 조약을 통해서도 아마눌라 칸 국왕에 의해 듀랜드 라인의 합법성이 재확인되었다.[37][38]
듀랜드 라인은 1976년 8월 파키스탄을 방문한 모하마드 다우드 칸에 의해 다시 한번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사이의 국경으로 승인되었다.[39][40][41]
6. 사망과 유산
압두르 라흐만은 1901년 10월 1일 자신의 별궁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하비불라 칸이 뒤를 이었고, 그는 아마눌라 칸의 아버지이다.[42]
오늘날 그의 후손들은 미국, 프랑스, 독일, 심지어 덴마크와 같은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을 포함하여 아프가니스탄 외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의 두 아들 하비불라 칸과 나스룰라 칸은 사마르칸트에서 태어났다. 그의 막내 아들 마호메드 오마르 잔은 1889년에 아프가니스탄 어머니에게서 태어났으며, 바라크자이 가문과 혈통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아미르의 손자 중 한 명인 아지줄라 칸 지아이는 1930년부터 1932년까지 이란 대사였으며, 그는 나스룰라 칸의 아들이었다.[38]
아프가니스탄 사회는 그의 통치에 대해 엇갈린 감정을 가지고 있다. 다수의 파슈툰족(그의 출신 민족)은 그를 근대화를 위한 많은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그레이트 게임 동안 영국 제국의 "재정적 및 자문적" 지원[27]을 활용하여 러시아의 점령을 효과적으로 막은 통치자로 기억한다.[26] 에미르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영국 무기와 자금에 사실상 의존했다.[28]
어떤 역사가들에게는 그는 폭군으로 불리고, 다른 사람들에게는 영웅으로 불립니다. 그러나 압두르 라흐만은 우리에게 무엇을 주었는가? 그는 아프가니스탄을 하나의 왕과 하나의 깃발 아래 통일시켰습니다.|압두르 라흐만의 증손자인 압둘 알리 세라지 왕자 (1945–2018)[29]영어
7. 대중문화
영화 케사리에서 압두르 라흐만 칸이 짧게 언급된다.
참조
[1]
서적
The Wars of Afghanistan: Messianic Terrorism, Tribal Conflicts, and the Failures of Great Powers
https://books.google[...]
PublicAffairs
2013-07-15
[2]
서적
Chambers Biographical Dictionary
[3]
학술지
Afghanistan and the Search for Unity
https://www.tandfonl[...]
2022-09-18
[4]
웹사이트
ʿAbd al-Raḥmān Khān
http://www.britannic[...]
2013-07-15
[5]
서적
A Political and Diplomatic History of Afghanistan, 1863–1901
https://books.google[...]
Brill
2006
[6]
서적
The "Ancient Supremacy": Bukhara, Afghanistan and the Battle for Balkh, 1731–1901
https://books.google[...]
BRILL
1996-01-01
[7]
서적
Afghanist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0
[8]
서적
The Far East and Australasia 2003
https://books.google[...]
Eur
2002
[9]
서적
Turkistan: notes of a journey in Russian Turkistan, Kokand, Bukhara, and Kuldja
F.A. Praeger
[10]
백과사전
'Abdor Rahman Khan
https://archive.org/[...]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11]
서적
Ideology and Power in the Middle East
https://doi.org/10.1[...]
Duke University Press
[12]
서적
Concise history of afghanistan in 25 volumes : volume 1.
https://www.worldcat[...]
Trafford Publishing
2013
[13]
웹사이트
Worthy Advice in the Affairs of the World and Religion: The Autobiography of Emir Abdur Rahman Khan
http://www.wdl.org/e[...]
2013-09-30
[14]
서적
The "ancient supremacy" : Bukhara, Afghanistan, and the battle for Balkh, 1731–1901
https://www.worldcat[...]
E.J. Brill
1996
[15]
웹사이트
Why the Durand Line matters
https://thediplomat.[...]
2014-02-21
[16]
웹사이트
Why Afghanistan's independence day remains problematic
https://www.trtworld[...]
2019-08-29
[17]
서적
Afghanista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I.B. Tauris
[18]
서적
Revolution Unending: Afghanistan, 1979 to present
https://books.google[...]
Hurst & Co. Publisher
[19]
서적
Humanitarian Invasion: Global Development in Cold War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Abdur Rahman Khan (Afganistan)
https://www.lkouniv.[...]
2022-09-11
[21]
서적
Government and Society in Afghanistan: the Reign of 'Abd al-Rahman Khan
University of Texas Press
[22]
서적
The Birth of Tajikistan: National Identity and the Origins of the Republic
https://books.google[...]
I.B. Tauris
[23]
백과사전
Hazāra ii. History
http://www.iranicaon[...]
2012-12-30
[24]
서적
تاریخ باستانی هزارهها
انتشارات امیری
[25]
웹사이트
Ancient Buddhas Will Not Be Rebuilt – UNESCO
https://web.archive.[...]
Ipsnews.net
2013-10-09
[26]
웹사이트
Abdur Rahman Khan, Emir of Afghanistan – National Portrait Gallery
https://www.npg.org.[...]
[27]
웹사이트
Abdur Rahman Khan "The Iron Amir" – 1880–1901
https://www.globalse[...]
[28]
서적
The "Ancient Supremacy": Bukhara, Afghanistan and the Battle for Balkh, 1731–1901
https://books.google[...]
BRILL
1996-01-01
[29]
뉴스
Afghan "prince" who would be tribal president
https://www.reuters.[...]
2009-03-06
[30]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London
[31]
서적
https://archive.org/[...]
[32]
서적
Chambers Biographical Dictionary
[33]
웹사이트
ʿAbd al-Raḥmān Khān
http://www.britannic[...]
2013-07-15
[34]
서적
A Political and Diplomatic History of Afghanistan, 1863–1901
https://books.google[...]
Brill
2006
[35]
서적
The "Ancient Supremacy": Bukhara, Afghanistan and the Battle for Balkh, 1731–1901
https://books.google[...]
BRILL
1996-01-01
[36]
서적
Afghanist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0
[37]
웹인용
Why the Durand Line matters
https://thediplomat.[...]
2014-02-21
[38]
웹인용
Why Afghanistan's independence day remains problematic
https://www.trtworld[...]
2019-08-29
[39]
서적
Afghanista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I.B. Tauris
[40]
서적
Revolution Unending: Afghanistan, 1979 to present
https://books.google[...]
Hurst & Co. Publisher
[41]
서적
Humanitarian Invasion: Global Development in Cold War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뉴스
Afghan "prince" who would be tribal president
https://www.reuters.[...]
2021-1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