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얀 데 브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얀 데 브리스는 1890년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난 네덜란드의 언어학자이자 민속학자이다.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라이덴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고대 게르만어 언어학 및 문헌학을 연구했다. 그는 게르만 종교, 신화, 문학 분야의 권위자로 인정받았으며, 《고대 게르만 종교사》, 《고대 북유럽 문학사》 등의 저서를 통해 해당 분야 연구에 기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점령 하에서 네덜란드 문화 위원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며 친나치적인 행보를 보였고, 전후에는 정치적 신념으로 인해 라이덴 대학교에서 해고되었다. 그는 20세기 가장 위대한 게르만학 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저작들은 오늘날까지 관련 분야의 표준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언어학자 - 조지 반 드림
    조지 반 드림은 네덜란드계 미국인 언어학자이며, 히말라야 지역 언어 연구와 언어의 다윈 이론인 공생론 제창, 멸종 위기 언어 보존 연구 등을 수행하고 히말라야 언어 프로젝트를 설립하여 롤렉스 어워드 엔터프라이즈를 수상했다.
  • 네덜란드의 언어학자 - 파울 부르스마
    파울 부르스마는 음운론과 음성학 관계 연구 학자로서, 다비트 베닝크와 함께 음성 과학 분석 소프트웨어 프라트를 개발했으며 암스테르담 대학교의 교수이다.
  • 신화학자 - 야코프 그림
    야코프 그림은 그림 동화 편찬, 독일어 사전 편찬 참여, 그림의 법칙 정립 등 언어학과 문헌학에 큰 업적을 남긴 독일의 학자이자, 법학자, 민속학자, 자유주의 운동가였다.
  • 신화학자 - 롤랑 바르트
    프랑스의 문학 비평가이자 기호학자, 사상가인 롤랑 바르트는 `글쓰기의 영도`와 `신화론`으로 이름을 알리고 구조주의와 기호학 연구를 거쳐 포스트구조주의적 시도를 보였으며, '작가의 죽음' 개념을 통해 텍스트 해석의 다의성과 독자의 역할을 강조하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1964년 사망 - 자와할랄 네루
    인도의 독립운동가이자 초대 총리인 자와할랄 네루는 영국에서 교육받고 간디와 함께 독립운동을 이끌었으며, 독립 후 17년간 총리로 재임하며 인도의 건국과 현대화에 기여하고 비동맹 운동을 주창했다.
  • 1964년 사망 - 노버트 위너
    노버트 위너는 미국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서 사이버네틱스를 창시했으며, 브라운 운동, 푸리에 변환, 위너 필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자동화 기술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다 1964년에 사망했다.
얀 데 브리스
기본 정보
얀 데 브리스
얀 데 브리스
출생 이름얀 피에터 마리 라우렌스 데 브리스
출생일1890년 2월 11일
출생지암스테르담, 네덜란드
사망일1964년 7월 23일
사망지위트레흐트, 네덜란드
국적네덜란드
학문적 배경
학문 분야언어학
세부 분야켈트 연구
게르만 연구
인도유럽어 연구
모교암스테르담 대학교
레이던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제목페로 제도 발라드 연구
박사 학위 취득 년도1915년
지도 교수리하르트 콘스탄트 보어
영향을 받은 학자조르주 뒤메질
경력
직장레이던 대학교
주요 관심사게르만 언어학
게르만 종교
고대 노르드 문학
주요 저서고대 게르만 종교사 (1935-1937)
고대 노르드 문학사 (1941-1942)
고대 노르드어 어원 사전 (1961)
네덜란드어 어원 사전 (1961-1971)
영향을 준 학자조르주 뒤메질
요스트 트리어
한스 쿤
가브리엘 튀르빌-페트르
에드가르 C. 폴로메
오토 회플러
베르너 베츠
르네 데롤레즈
루돌프 시멕
개인 정보
자녀3명
서명
참고 문헌

2. 초기 생애 및 교육

얀 피터 마리 로렌스 데 브리스는 1890년 2월 11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교사인 로렌스 데 브리스였고, 어머니는 안토네타 크리스티나 베르마스트였다.

Hogere Burgerschool을 졸업한 후, 데 브리스는 1909년부터 1913년까지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얀 테 윙클의 지도 아래 네덜란드어, 독일어, 산스크리트어팔리어를 공부했다. 그는 우수한 성적으로 문학사(BA)와 문학 석사(MA) 학위를 받았다. 이 과정을 통해 데 브리스는 다언어 구사자가 되었다. 이후 리하르트 콘스탄트 부어의 지도 아래 1915년 라이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인 ''Studiën over Faerörsche balladen'' (1915)는 페로 문학을 다룬 연구로, 비평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1914년 데 브리스는 네덜란드군에 징집되어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노르트브라반트에서 복무했다. 그는 1919년 장교로 군에서 퇴역했다. 전쟁 중의 경험은 얀 판 로케렌이라는 가명으로 출판한 소설 ''Een singeling in de mass'' (1918)에 담겨 있다. 군 복무를 마친 후, 데 브리스는 1919년 아른헴의 한 고등학교 교사로 임명되었다. 1920년에는 4개월간 노르웨이로 유학을 떠나 스칸디나비아 언어와 핀란드어를 접했다. 아른헴에서 교사로 재직하는 동안에도 그는 ''De Wikingen in de lage landen bij de zee'' (1923), ''Henrik Ibsen'' (1924), ''Geschiedenis der Nederlandsche Letterkunde'' (1925) 등 여러 중요한 저작을 발표했다.

3. 라이덴 대학교 경력

얀 데 브리스의 엑스 리브리스


1926년, 데 브리스는 라이덴 대학교에서 고대 게르만어 언어학 및 문헌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이 직위는 인도유럽어족 연구 분야까지 포괄하는 것이었다. 라이덴에서 그는 인도유럽어와 게르만어 언어학을 가르쳤으며, 특히 초기 게르만 민족의 문학에 중점을 두었다. 초기 게르만 문화를 재구성하여 대중에게 알리는 것은 데 브리스의 평생에 걸친 열정이었다.

라이덴 재직 시절 데 브리스는 뛰어난 능력과 생산성을 지닌 교사이자 조직가, 학자로서 명성을 쌓았다. 그의 제자들은 훗날 그를 훌륭한 스승으로 기억했으며, 그의 지도 아래 다수의 영향력 있는 박사 학위 논문이 완성되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그는 재능 있고 다작하는 작가였으며, 복잡한 문제를 명확하게 분석하고 제시하는 탁월한 능력을 지녔다. 이러한 능력 덕분에 그는 대중을 위한 저술에서도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데 브리스가 1930년에 출간한 ''De Germaansche Oudheid''는 고대 게르만 민족을 네덜란드 대중에게 소개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책은 이후 ''De Germanen''(1941)이라는 제목으로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또한 그는 1932년부터 1938년까지 총 16권으로 출판된 빈클러 프린스의 ''Algemene Encyclopedie''(일반 백과사전) 제5판의 편집자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34년부터 1939년까지는 명망 있는 네덜란드 문학 협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1930년대 초, 데 브리스는 게르만 종교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았다. 이에 헤르만 파울의 ''Grundriss der Germanischen Philologie'' 개정 작업에서 게르만 종교 부분을 집필해 달라는 요청을 받게 되었다. 그 결과물인 ''고대 게르만 종교사''는 1935년부터 1937년까지 독일어로 총 2권으로 출판되었다. 이 책에서 데 브리스는 노르드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으며, 게르만 문화가 현대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져 왔다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는데, 이는 당시 독일에서 지배적이었던 나치즘 이데올로기와는 상반되는 견해였다. 그의 에다 번역본은 1938년에 출판되어 1971년에 재판되었으며, "작은 문학적 걸작"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1938년에는 네덜란드 문학 협회와 네덜란드어 및 문학 왕립 아카데미의 후원을 받아 네덜란드 문학 작품 시리즈인 ''Bibliotheek der Nederlandsche letteren''을 창간했다.

1930년대 동안 데 브리스는 민속학 연구를 독립된 학문 분야로 확립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는 동화신화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보았다. 1934년에는 민속 아틀라스 제작을 지원하기 위한 대학 간 위원회(Interuniversitaire Commissie)를 설립했으며, 1937년에는 국제 민족학 및 민속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또한 민속학 저널 ''Folk''의 편집자로도 활동했다. 1930년대 네덜란드에서 민속학이 하나의 학문 분야로 자리 잡는 데에는 데 브리스의 노력이 크게 기여했다. 1938년, 그는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아카데미 내 민속 위원회의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에 의한 네덜란드 점령 기간 동안, 데 브리스는 네덜란드 문화 위원회(Nederlandsche Kultuurkamer)의 부회장으로 활동했다. 이 시기 네덜란드에서 예술 또는 문학 작품을 발표하려면 위원회의 승인이 필수적이었다. 1940년, 네덜란드 전투 직후 데 브리스는 "더 나은 미래를 향하여"(Naar een betere toekomst)라는 팸플릿을 저술하여 민주주의에 반대하고 독일의 전쟁 승리를 옹호했다. 1940년부터 1941년까지는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간의 긴밀한 협력을 추구하는 단체인 알게멘-네덜란드스 번드(Algemeen-Nederlands Verbond)의 의장을 역임했다.

전쟁 기간 동안 그는 나치 관련 출판사들과 함께 룬 문자와 게르만 종교에 관한 기사를 발표하고, 나치 성향의 잡지 ''하머(Hamer)''에 글을 기고했으며, 아넨에르베 프로젝트에도 참여했다. 1943년에는 게르만 친위대(Germanic SS)의 "동조 회원"이 되었다. 데 브리스는 네덜란드 문화 위원회 활동 중 라디오 방송과 출판물을 통해 나치즘에 대한 공감과 지지를 표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나치 협력에도 불구하고 그의 학문적 저술 자체는 나치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는 네덜란드 국가 사회주의 운동(NSB) 가입을 거부했으며, 나치 지도부 역시 데 브리스가 진정한 나치즘 추종자라고 보지 않았고 그의 충성심을 의심했다.

전쟁 중 데 브리스가 남긴 가장 중요한 학문적 업적은 2권으로 이루어진 "고대 북유럽 문학사"(Altnordische Literaturgeschichte, 1941-1942)이다. 이 책은 고대 노르드 문학 전반을 다루는 개설서이다.

전쟁 막바지에 이르러 독일의 패색이 짙어지고 연합군에 의한 네덜란드 해방 가능성이 커지자, 1944년 9월 데 브리스는 가족과 함께 독일 라이프치히로 도피했다.

5. 전후 경력

1946년 2월 27일, 데 브리스는 그의 정치적 신념으로 인해 라이덴 대학교에서 해고되었다. 그는 또한 왕립 네덜란드 예술 과학 아카데미와 마앗샤피 데르 네덜란드세 레터르쿤데에서도 제명되었다.[1] 데 브리스는 결국 체포되어 1946년 10월 10일부터 Vught에 수감되었다. 1948년 5월에서 6월 사이 Bijzonder Gerechtshof는 데 브리스에게 "지적 협력"의 유죄를 선고하고, 그에게 투표권과 정치적 공직을 맡을 권리를 박탈했다.

출소 후, 데 브리스는 수입이 없었기 때문에 Oostburg에서 네덜란드 문학 중등학교 교사로 다시 일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데 브리스가 다시 일하도록 허용한 결정은 그의 과거 정치적 행적으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 1955년 교직에서 은퇴한 후, 데 브리스는 학문 연구를 재개했다. 그는 거의 완전히 고립된 상태에서 살았고 전쟁 중에 그의 모든 서재를 잃었지만, 이 시기는 그에게 놀라운 생산성을 보인 때였다. 1956년에서 1957년 사이에 그는 그의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저서로 평가받는 ''Altgermanische Religionsgeschichte''의 두 번째 개정판을 출판했다. 이 두 번째 개정판에서 데 브리스는 조르주 뒤메질삼기능 가설에 대한 비판적인 지지를 보냈다. ''Altgermanische Religionsgeschichte''는 현재까지 게르만 종교(고대 노르드 종교 포함)에 대한 표준 저서로 인정받고 있다.[3] 스톡홀름 대학교 종교사 교수인 스테판 아르비드손은 얀 데 브리스를 "보통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게르만학 학자로 여겨진다"고 평가하며, "그의 방대한 지식, 고대 북유럽의 원자재에 대한 친숙함, 그리고 종합 능력 덕분에 데 브리스는 그의 시대의 가장 위대한 사회 과학자 중 한 명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2]

1957년 위트레흐트로 이주한 후, ''Kelten und Germanen''(1960), ''Keltische Religionsgeschichte''(1961), ''Forschungsgeschichte der Mythologie''(1961)를 포함한 많은 중요한 저작들이 출판되었다. 그의 ''Altnord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1961)는 수년간의 작업 끝에 마침내 출판되었다. 말년에 데 브리스는 주로 그의 ''Nederlands Etymologisch Woordenboek''(1961-1971) 작업에 매달렸다. 그는 1964년 7월 23일 위트레흐트에서 사망했다.

6. 유산

데 브리스의 저서인 ''Altnordische Literaturgeschichte|고대 북유럽 문학사de''는 1964년부터 1967년까지 두 번째 개정판으로 출판되었다. 이 책은 오늘날까지 고대 노르드 문학에 관한 표준 저서로 남아있다.

''Nederlands Etymologisch Woordenboek|네덜란드 어원 사전nl''의 나머지 권은 F. 데 톨레네어에 의해 완성되었다. 데 브리스의 고대 노르드 문학, 네덜란드 어원학, 게르만 종교에 관한 출판물들은 해당 분야에 대한 현대 연구의 기초를 형성했으며, 오늘날까지 표준 참고 자료로 남아있다. 스테판 아르비드손은 데 브리스를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게르만 연구 학자이자 그의 시대의 가장 뛰어난 사회 과학자 중 한 명으로 묘사한다.[2] 그의 저작들은 앞으로도 오랫동안 현대 연구의 기초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데 브리스는 현재도 게르만 문화의 문헌학 분야에서 가장 존경받는 학자 중 한 명이다. 그의 2권에 달하는 ''Altgermanische Religionsgeschichte|고대 게르만 종교사de''[4]는 반세기가 지난 현재에도 중요한 신화 연구 문헌으로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7. 개인사

데 브리스는 1915년 10월 10일 마리아 마흐텔드 포겔과 결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딸 둘과 아들 하나, 총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

8. 주요 저서 목록


  • ''Studiën over Færösche Balladen'', 암스테르담, 1915; 하이델베르크: 로터, 1922.
  • ''De Wikingen in de lage landen bij de zee'', 하를렘, 1923.
  • 번역: 헨리크 입센, ''Zes Voordrachten'', 마스트리흐트, 1924.
  • ''De Germaansche Oudheid'', 하를렘, 1930.
  • ''Othin 연구에 대한 기여: 특히 현대 대중 설화에서 농업 관행과의 관계에서'', FFC 94, 헬싱키, 1931.
  • ''로키의 문제'', FFC 110, 헬싱키, 1932.
  • ''고대 게르만 종교사'', 2권. 1권, (게르만어학 개요 12.1), 베를린-라이프치히: 드 그루이터, 1935, 2차 개정판 1956, 2권 (게르만어학 개요 12.2), 베를린-라이프치히: 드 그루이터, 1937, 2차 개정판 1957 (3차판 1970, 재판 2000).
  • ''Wulfilae Codices Ambrosiani Rescripti, Epistularum Evangelicarum Textum Goticum Exhibentes'', 사진 복사본으로 발행, Jano de Vries의 서문, Bibliothecae Ambrosianae Codices quam simillime expressed, 3권, 토리노, 1936.
  • ''에다, 번역 및 서문 포함'', 암스테르담, 1938, 2차 개정판 암스테르담, 1942, (3차판 1943, 4차판 1944, 5차판 1952, 6차판 1978, 7차판 1980, 8차판 1988).
  • ''De Germaansche Oudheid'', 1930; 개정판으로 ''De Germanen'', 하를렘, 1941.
  • ''De Wetenschap der Volkskunde'' (Hoekstenen onzer Volkskultuur 1), 암스테르담, 1941.
  • ''고대 북유럽 문학사'', 2권. 1권 (게르만어학 개요 15), 베를린-라이프치히: 드 그루이터, 1941, 2차 개정판 1964 재판 1970, 2권 (게르만어학 개요 16), 베를린: 드 그루이터, 1942, 개정판 1967 재판 1970 (3차판 1권 1999).
  • ''게르만인의 정신 세계'', 할레 a.d. 잘레: 니메이어, 1943 (2차판 1945, 3차판 다름슈타트, 1964).
  • ''게르만 신들'', 암스테르담, 1944.
  • ''니벨룽의 노래'', 2권. 1권 ''지크프리트, 네덜란드의 영웅'', 2권 ''크림힐트의 복수'', 앤트워프, 1954.
  • ''어원 사전: 우리의 단어와 지명이 어디에서 왔는가?'', 위트레흐트-앤트워프, 1958, 2차 개정판 1959.
  • ''영웅의 노래와 영웅의 전설'', 위트레흐트-앤트워프, 1959; 번역본: ''영웅의 노래와 영웅의 전설'', 옥스퍼드, 1963.
  • ''켈트족과 게르만족'' (Bibliotheca Germanica 9), 베른, 1960.
  • ''고대 북유럽 어원 사전'', 라이덴, 1961 (2차판 1963).
  • ''켈트 종교'', (인류의 종교 18), 슈투트가르트, 1961.
  • ''조감도로 본 종교사'', 위트레흐트-앤트워프, 1961.
  • ''신화 연구사'', (Orbis Academicus 1.7), 프라이부르크, 1961.
  • ''네덜란드 북부 및 남부 지명 사전'', 위트레흐트-앤트워프, 1962.

참조

[1] 웹사이트 Jan P.M.L. de Vries (1890 - 1964) https://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20-08-25
[2] 서적
[3] 서적
[4] 서적 北欧神話 宇宙論の基礎構造 白鳳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