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우야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우야담》은 조선 후기 문인 유몽인이 지은 야담집으로, 다양한 이본이 존재하며, 약 30종에 달하는 필사본과 활판본으로 전해진다. 1832년 유몽인의 후손들이 간행한 만종재본이 대표적인 활판본이며, 모든 이본 중 가장 많은 이야기를 수록하고 있다. 《어우야담》은 인륜, 종교, 학예, 사회, 만물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현대 한국어와 일본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또한, 드라마 《푸른 바다의 전설》은 《어우야담》의 인어 이야기를 모티브로 제작되는 등 현대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우야담 | |
|---|---|
| 개요 | |
| 유형 | 설화집 |
| 창작 시기 | 16세기 ~ 17세기 |
| 언어 | 한국어 (한문) |
| 상세 정보 | |
| 제목 (한글) | 어우야담 |
| 로마자 표기 | Eou yadam |
| 분야 | 한국 설화 |
| 저자 | 유몽인 |
2. 이본
《어우야담》은 필사본과 활판본으로 존재하며, 약 30종에 달하는 다양한 이본이 있다.[4] 이는 《어우야담》이 오랜 시간 동안 여러 계층의 독자들에게 널리 읽히고 필사되면서 내용의 변화와 추가가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필사본은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명명되기도 하며, 활판본은 모두 5권 1책으로 만종재본이라 불린다. 《어우야담》의 완성 시기는 1621년 또는 1622년으로 추정된다. 당대 공통 문어인 한문으로 쓰여졌으며, 1종의 한글본(언문본)이 존재한다.[4]
2. 1. 필사본 이본
《어우야담》은 필사본과 활판본으로 존재하며, 전체 이본의 종류는 약 30종에 달한다.필사본 이본은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명명되기도 한다. 알려진 이본들은 다음과 같다.
| 종류 | 소장처 |
|---|---|
| 청구패설본 (5권 1책) | 태동고전연구소 |
| 일사본(一蓑本, 천지인 3책) | 서울대학교 |
| 동야패설본 (1책) | 대구시립도서관 |
| 야승본 (2책) | 장서각 |
| 도남본 (2책) | 영남대학교 |
| 동빈본 (1책) | 영남대학교 |
| 신암본 (1책) | 고려대학교 |
| 국립중앙도서관본 (1책) | 국립중앙도서관 |
| 만종재필사본 (1책) | 고흥 만종재 |
| 이수봉본 (2책) | 이수봉 선생 |
| 고려대본 (3책) | 고려대학교 |
| 연세대본 (4책) | 연세대학교 |
| 규장각본 (1책) | 서울대학교 규장각 |
| 천리대본 (3권 1책) | 일본 천리대(天理大텐리 다이가쿠) |
| 위창(葦滄)본 (1책) | 국립중앙도서관 |
| 동양문고본 (2책) | 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토요분코) |
| 강전섭본 (1책) | 강전섭 선생 |
| 서울대 고도서본(B) (1책) | 서울대학교 |
| 서울대고도서본(A) (1책) | 서울대학교 |
| 천리대본(補) (1책) | 일본 천리대 |
| 만송본 (1책) | 고려대학교 |
| 가람본 (1책) | 서울대 규장각 |
| 시화총림본 (홍만종 찬, 태학사 영인본) | |
| 해동시화본 (1책) | 국립중앙도서관 |
| 낙선재본 (2권 1책; 예인본, 통문관 간행본; 한글본) | |
| 이능우본 (1책) | 강경훈 선생 |
2. 2. 활판본 이본
활판본은 모두 5권 1책으로 만종재본이라 불린다. 만종재본은 1832년(순조 32)에 유몽인의 후손들이 간행한 것이다.[4] 유몽인의 종후손인 유금 등이 《어우집(於于集)》을 발간하면서 《어우야담》의 유고를 수집하여 간행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뒤에도 줄곧 필사본으로 전해져 왔는데, 필사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초사본(抄寫本: 간추려 필사된 것)이 나타났다. 1964년에 유몽인의 종후손인 유제한은 현전하는 여러 잔존본에다 여러 이본을 수집, 보충하고 부문별로 나누어 5권 1책으로 간행하였다.[4]만종재본은 가장 널리 알려진 《어우야담》의 이본이다. 그러나 유몽인 사후 약 200여 년이나 지난 후에 그의 후손에 의해 간행되었기 때문에, 만종재본만으로는 당대의 문학 의식이나 유몽인의 문학관을 온전히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여러 이본을 비교 연구해야 한다.[4]
2. 3. 완성 시기
《어우야담》의 완성 시기는 조선 중기 문인 성여학(成汝學, ? - ?)의 발문(跋文)에 따라 1621년으로 추정하거나, 유몽인의 문집인 《어우집》 안의 〈금강록〉에 의거하여 1622년으로 추정하기도 한다.[4]2. 4. 사용 언어
《어우야담》은 당대 공통 문어인 한문으로 쓰여졌으며, 1종의 한글본(언문본)이 존재한다.[4]3. 만종재본의 수록 내용
만종재본은 《어우야담》의 모든 이본 중 가장 많은 이야기를 수록하고 있지만, 여기에 수록되지 않은 이야기도 40편에 달한다. 이는 야담집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본 대비 연구가 중요함을 보여준다.[1] 만종재본에 정리된 《어우야담》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권1 인륜편: 인간관계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간략하게 다룬다.
- 권2 종교편: 종교 및 초자연적 현상과 관련된 이야기를 간략하게 담고 있다.
- 권3 학예편: 학문과 예술, 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간략하게 다룬다.
- 권4 사회편: 사회 제도와 현실, 인간의 다양한 면모를 간략하게 보여준다.
- 권5 만물편: 자연과 사물에 대한 이야기를 간략하게 담고 있다.
3. 1. 권1: 인륜편
효열, 충의, 덕의(德義), 은둔, 혼인, 처첩, 기상(氣相), 붕우, 노비, 배우(俳優), 창기(娼妓) 등 인간관계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1]3. 2. 권2: 종교편
선도, 승려, 서교(西敎), 무격(巫覡), 몽(夢), 영혼, 귀신, 속기(俗忌), 풍수, 천명(天命) 등 종교 및 초자연적 현상과 관련된 이야기를 담고 있다.[2]3. 3. 권3: 학예편
문예, 식감(識鑑), 의식, 교양, 음악, 사어(射御), 서화, 의약, 기예, 점후(占候), 복서(卜筮), 박혁(博奕) 등 학문과 예술, 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1]3. 4. 권4: 사회편
과거, 구관(求官), 부귀, 치부, 내구(耐久), 음덕(陰德), 붕당(朋黨), 무망(誣罔), 고풍(古風), 외임(外任), 용력(勇力), 처사(處事), 구변(口辯), 오기(傲忌), 교학(驕虐), 욕심, 재앙, 생활고, 도적, 해학 등 사회 제도와 현실, 인간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준다. 특히, 붕당과 관련된 내용은 당시 정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엿볼 수 있게 한다.[4]3. 5. 권5: 만물편
만물편은 천지, 초목, 인류, 금수, 인개(鱗介), 고물(古物) 등 자연과 사물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4. 번역
《어우야담》은 현대 한국어와 일본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한국어 번역본은 여러 종이 있으며, 이본들을 대조하여 번역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현대 한국어 번역본으로는 1996년 한국문화사에서 출판된 이월영, 시귀선 역의 《어우야담》이 있는데, 장서각본을 저본으로 하였다.[1] 2001년에는 이월영 역의 《어우야담 보유편》에 장서각본에 누락된 만종재본의 이야기들이 보충 번역되었다.[1] 같은 해 전통문화사에서 출판된 현혜경, 김충실, 박영희 외 역의 《어우야담 1, 2, 3》(동양고전국역총서 30, 31, 32)(전 3권)은 만종재본을 바탕으로 하되, 청구패설본, 일사본, 낙선재본, 서울대학교 고도서본과도 대조하며 번역하였다.[1] 2006년 돌베개에서 출판된 신익철, 이형대, 조융희, 노영미 역의 《어우야담 세트》(전 2권; 원문 포함)는 만종재본을 중심으로 하되 다른 30종에 달하는 이본을 모두 참고 대조하여 번역한 것으로, 이본대조표를 포함하고 있다.[1]
현대 일본어 주해 번역으로는 2006년 출판된 우메야마 히데유키(梅山秀幸) 번역의 《Ō yatan》, 사쿠힌샤(作品社; 도쿄)가 있다.[1]
5. 파생 작품
SBS에서 2016년 11월 16일부터 2017년 1월 25일까지 방영된 박지은 극본, 진혁 연출의 20부작 수목 드라마이다. 조선 설화집 《어우야담》에 나오는 인어 이야기를 모티프로 한 판타지 로맨스 드라마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어우야담(於于野談), Eou yadam
http://www.aks.ac.kr[...]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8-08-23
[2]
서적
Korea in the Middle
https://books.google[...]
CNWS Publications
2008-08-23
[3]
웹사이트
어우야담 (於于野譚)
http://100.empas.com[...]
Empas/EncyKorea
2008-08-23
[4]
웹인용
어우야담(於于野譚)
http://www.art.go.kr[...]
예술로
2009-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