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데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데드는 죽었으나 다시 움직이는 존재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브람 스토커의 소설 《드라큘라》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뱀파이어를 지칭했으나 이후 다양한 초자연적 존재로 확장되었다. 언데드는 시체 기반, 영적인 존재, 기타로 분류되며, 좀비, 해골, 뱀파이어 등이 대표적이다. 판타지 및 호러 장르에서 인기 있는 적으로 묘사되며, 다양한 롤플레잉 게임 등에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언데드 | |
---|---|
개요 | |
유형 | 죽음에서 돌아온 존재, 생명과 죽음의 경계에 있는 존재 |
특징 | 부패 또는 보존된 시체 초자연적인 힘 또는 저주 생명력 흡수 또는 전파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나타나는 존재 |
기원 및 역사 | |
어원 | "언데드(Undead)"는 "죽지 않은(un-dead)"을 의미함 |
등장 시기 | 19세기 후반 |
초기 문학 작품 | https://etext.virginia.edu/etcbin/toccer-new2?id=BieCans.sgm&images=images/modeng&data=/texts/english/modeng/parsed&tag=public&part=1&division=div1에 등장 |
대중 문화 속 언데드 | |
판타지 | 드래곤 퀘스트, 파이널 판타지 등의 게임, 소설 등에 등장 |
역할 | 드래곤 퀘스트에서는 몬스터, 파이널 판타지에서는 소환수, 적으로 등장 |
언데드의 종류 | |
주요 종류 | 좀비 미라 흡혈귀 구울 해골 리치 망령 |
창작물 속 언데드 | |
예시 | 강시 드라우그 레버넌트 뱀파이어 밴시 폴터가이스트 프레타 헬하운드 |
기타 | |
주의 | 일부 매체에서는 언데드와 유사한 존재를 악마, 괴물, 악령 등으로 분류하기도 함 언데드는 생명과 죽음의 경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담고 있음 |
2. 역사
브램 스토커는 자신의 소설 ''드라큘라''(1897)의 제목으로 ''The Un-Dead''를 고려했으며, 이 소설에서의 용어 사용이 현대적 의미의 단어를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un-dead'라는 단어는 스토커 이전에 영어에 등장했지만, "살아있는" 또는 "죽지 않은"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이에 대한 인용문은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드라큘라''의 한 구절에서는 노스페라투가 동유럽에서 "언데드"의 동의어로 제시된다.[1]
브람 스토커의 소설 ''드라큘라''에서 반 헬싱은 언데드를 "고대인들과 언데드의 힘을 연구한 모든 이들의 지식과 경험"에 근거하여 묘사한다. 언데드는 불멸의 저주를 받아 시대를 거쳐 희생자를 늘리고 세상의 악을 늘려야 한다.[3]
언데드는 크게 시체를 기반으로 하는 것, 영적인 존재, 기타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스토커가 사용한 "언데드"라는 용어는 오직 뱀파이어만을 지칭했지만, 이후 다른 종류의 초자연적인 존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현재는 대개 한때 살아있었고 죽음 이후에도 삶의 일부 측면을 계속해서 보여주는 초자연적 존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지만, 그 사용법은 매우 다양하다.[2]
비초자연적인 수단을 통한 되살아남 또는 좀비 생성은 적어도 19세기부터 하나의 유행이 되었다. ''프랑켄슈타인''(1818)은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기술적 수단을 사용했고, ''나는 전설이다''(1954)는 세균을,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1968)은 추락한 우주 탐사선의 방사선을, ''리턴 오브 더 리빙 데드''(1985)는 유독 가스를, ''바이오해저드''(1996)는 생체 무기를 그 원인으로 제시했다.
3. 문학
19세기에는 앰브로스 비어스의 ''할핀 프레이저의 죽음''과 에드거 앨런 포의 고딕 로맨티시즘 이야기 등 복수하는 언데드에 대한 이야기가 주목받았다. 이들은 H. P. 러브크래프트와 같은 후대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4] 알렉산더 벨랴예프의 소설 ''도웰 교수의 머리''(1925)에서는 미친 과학자가 영안실에서 훔친 시신에 실험적인 머리 이식을 수행하고 시체를 되살리는 이야기가 등장한다.
4. 종류
브람 스토커는 자신의 소설 ''드라큘라''(1897)에서 '언데드(The Un-Dead)'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이 소설에서의 용어 사용이 현대적 의미의 단어를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1] 현대에는 대개 한때 살아있었고 죽음 이후에도 삶의 일부 측면을 계속해서 보여주는 초자연적 존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지만, 그 사용법은 매우 다양하다.[2]
비초자연적인 수단을 통한 되살아남 또는 좀비 생성은 적어도 19세기부터 하나의 유행이 되었다. 프랑켄슈타인(1818)은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기술적 수단을 사용했고, 나는 전설이다(1954)는 세균을 제시했다.
언데드는 판타지 및 호러물에서 인기 있는 적이 되었으며, 많은 롤플레잉 게임,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 MMORPG 및 전략 게임에서 두드러지게 등장한다.
4. 1. 시체 기반 언데드
생물의 시체를 어떤 저주나 마법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은 언데드 몬스터 중에서도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이들은 지성·감정이 없고 통각도 없어, 상처를 입어도 아랑곳하지 않고 덤벼드는 적으로 묘사된다.4. 2. 영적인 존재 (비물리적)
실체가 없는 영적인 존재인 언데드는 특별한 무기나 마법에 의해서만 상처를 입는다는 설정이 많다.[1] 이들은 유령, 망령, 원한령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지만, 게임에서는 몬스터의 강함이나 특수 능력에 따라 다른 이름이 붙기도 한다.[1] 고스트는 비교적 하급, 레이스는 비교적 상급 몬스터로 취급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을 통틀어 "헌트"라고 부르는 작품도 있다.[1]
판타지 작품에 등장하는 몬스터로서의 언데드는 다음과 같다.4. 3. 기타
다음은 주로 판타지 작품에 등장하는 몬스터로서의 언데드에 대해 해설한다.
현재 리치의 이미지·설정은 TRPG 『던전스&드래곤스』에서 형성되었다. 즉, "고위 마법사나 신관이 불사화를 추구하며, 강력한 마법이나 신의 힘으로 생전의 인격과 능력을 유지한 채 시체로 변했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생전의 인격과 능력을 유지하고 있는(경우가 있다) 미라나 뱀파이어와 비교해도, 리치의 우위성은 두드러진다. 일반적으로 잠들어 있는 미라나 낮에는 휴면하는 뱀파이어와 달리, 리치는 잠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활동하고 있다. 심신의 유지를 위해 혈액을 필요로 하는 뱀파이어와 달리, 리치는 물질적·마법적으로 아무것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5판에서는 정기적으로 타인의 영혼이 필요). 그리고 많은 경우, 마법 행사에 상한이 있는 미라나 뱀파이어와 달리, 리치의 마법 능력에는 제한이 없다(오히려 마법 추구에 영구적인 시간을 쏟기 위해 삶을 버린 듯하다). 이 외에도 언데드 몬스터를 불러들이거나 지배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도 하다. 『D&D』 이외에는 『워해머 노벨』의 드라켄펠즈[8] 등이 리치이다.
위 외에도 사신이나 지옥의 사자 같은 몬스터는 생명이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활동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사성이나 게임 밸런스 사정으로 인해 언데드로 취급되는 경우가 있다.
참조
[1]
서적
The Annotated Dracula
Crown
[2]
웹사이트
Can Such Things Be
http://etext.lib.vir[...]
Etext.virginia.edu
2012-07-31
[3]
웹사이트
Can Such Things Be
http://etext.virgini[...]
Etext.virginia.edu
2012-07-31
[4]
웹사이트
Supernatural Horror in Literature (1927, 1933–1935) by H.P. Lovecraft
http://gaslight.mtro[...]
Gaslight.mtroyal.ca
1988-01-01
[5]
서적
ファミコン通信 FF新聞 第46号 No.185
アスキー
1992-07-03
[6]
서적
『リーダーズ英和辞典-第2版』
研究社
[7]
간행물
「洞窟の怪異」『コナンと髑髏の都』
創元推理文庫
1971-04-23
[8]
서적
『ドラッケンフェルズ』
角川文庫
1992-08-01
[9]
웹인용
Can Such Things Be
http://etext.virgini[...]
Etext.virginia.edu
2012-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