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락타쿠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락타쿠스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브리타니아에서 저항 운동을 이끈 지도자이다. 그의 이름은 여러 필사본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며, 현대 학자들은 고대 브리튼어 형태가 "*Karatākos"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는 카투벨라우니족의 왕 쿠노벨리누스의 아들이며, 로마의 브리타니아 침공에 맞서 게릴라전을 펼쳤다. 웨일스에서 저항을 이어갔지만 결국 체포되어 로마로 끌려갔으며, 로마 원로원에서 연설을 통해 사면받고 로마에서 생을 마감했다. 카락타쿠스는 중세 웨일스 전통에서 기억되었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과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그의 이야기가 재해석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년 출생 - 헤론
헤론은 로마 제국 시대 이집트에서 활동한 수학자이자 공학자로, 헤론의 공식, 에올리필, 자동 판매기 등을 발명하고 《자동기계》, 《측량술》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0년 출생 - 타인티엔
타인티엔은 1세기 후한 시대에 반란을 일으킨 베트남의 여성 영웅으로, 쯩 자매의 반란에 합류하여 공주로 책봉되어 합포군을 다스렸으나, 쯩 자매의 패배 후 낫득강에서 자결했다. - 브리튼계 군주 - 부디카
부디카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이케니족을 이끌고 로마에 반란을 일으킨 인물이며, 남편의 죽음 이후 로마의 부당한 처사에 분노하여 봉기했으나 와트링 가도 전투에서 패배하고 자결하거나 질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브리튼계 군주 - 코미우스
코미우스는 기원전 1세기에 활동한 아트레바테스족의 왕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동맹에서 로마의 적대자로 변모하여 갈리아 반란에 참여하고 브리타니아로 건너가 아르테바테스족 왕국을 건설했다.
| 카락타쿠스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 |
| 칭호 | 브리튼인의 왕 카투벨라우니족의 왕 |
| 출생 | 기원후 10년경 추정 아마도 카투벨라우니족 영토 |
| 사망 | 기원후 50년경 이후 |
| 사망 장소 | 로마 |
| 통치 | |
| 카투벨라우니족 왕위 계승 | 1세기 기원후 50년경까지 |
| 선임자 | 에파티쿠스 |
| 후임자 | 없음 (클라우디우스에게 정복당함) |
| 브리튼인의 왕위 계승 | 43년 – 50년 |
| 선임자 | 쿠노벨리누스 |
| 후임자 | 코기두브누스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쿠노벨리누스 |
| 어머니 | 미상 |
| 이름 | |
| 브리튼어 | *Caratācos |
| 중세 웨일스어 | Caratawc |
| 웨일스어 | Caradog (카라독) |
| 브르타뉴어 | Karadeg |
| 그리스어 | Καράτακος / Καρτάκης |
| 라틴어 | Caractacus |
| 그리스어 변형 | Καταράκατος |
2. 이름
카락타쿠스의 이름은 타키투스의 필사본에는 ''Caratacus''와 ''Caractacus''로, 디오의 필사본에는 ''Καράτακος''와 ''Καρτάκης''로 나타난다. 오래된 참고 문헌에서는 "Caractacus" 표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현대 학자들은 역사 언어학과 출처 비평을 바탕으로, 원래의 고대 브리튼어 형태는 ''*Karatākos''이며, 발음은 이고, 이는 웨일스어의 ''Caradog'', 브르타뉴어의 ''Karadeg'', 아일랜드어의 ''Carthach''와 어원이 같으며, "사랑하는, 소중한, 친애하는; 친구"를 의미한다는 데 동의한다.[1]
카라타쿠스는 디오 카시우스에 의해 카투벨라우니족 왕 쿠노벨리누스의 아들로 언급된다.[2] 동전 유통을 기반으로 보면, 카라타쿠스는 삼촌 에파티쿠스의 후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에파티쿠스는 베룰람을 중심으로 서쪽 아트레바테스 영토까지 카투벨라우니의 세력을 확장했다.[3]
3. 역사적 배경 및 초기 생애
3. 1. 로마의 브리타니아 침공과 초기 저항
카라타쿠스는 디오 카시우스에 의해 카투벨라우니족 왕 쿠노벨리누스의 아들로 언급된다.[2] 동전 유통을 기반으로 보면, 카라타쿠스는 삼촌 에파티쿠스의 후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에파티쿠스는 카투벨라우니의 중심지인 베룰람에서 서쪽으로, 아트레바테스 영토까지 카투벨라우니의 세력을 확장했다.[3] 서기 35년경 에파티쿠스가 사망한 후, 베리카가 이끄는 아트레바테스는 그들의 영토를 일부 되찾았지만, 카라타쿠스가 정복을 완료한 것으로 보인다. 디오는 베리카가 축출되어 로마로 도망쳐 황제 클라우디우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고 전하는데, 이는 클라우디우스가 서기 43년 여름에 브리타니아 침공을 감행하는 데 사용된 구실이었다. 침공은 카라타쿠스의 거점인 카물로두논(현대 콜체스터)을 목표로 삼았으며, 이곳은 이전에 그의 아버지 쿠노벨리누스의 거처였다.[4][5]
쿠노벨리누스는 침공 전에 사망했다. 카라타쿠스와 그의 형제 토고두무스는 아울루스 플라우티우스가 이끄는 약 4만 명 규모의 4개 로마 군단에 맞서 브리타니아의 초기 방어를 이끌었으며, 주로 게릴라전 전술을 사용했다.[6] 그들은 메드웨이강 전투와 템스강 전투에서 패배한 후 동남부 지역의 많은 부분을 잃었다. 토고두무스는 사망했다. (그러나 마일스 러셀과 존 힌드는 디오가 토고두무스의 죽음을 잘못 보고했으며, 그가 패배했지만 살아남아 나중에 로마인에 의해 여러 영토의 우호적인 왕으로 임명되어, 타키투스가 코기두브누스 또는 토기두브누스라고 언급한 충성스러운 왕이 되었다고 주장한다.)[7][8] 카투벨라우니의 영토는 정복되었다. 그들의 거점인 카물로두논은 브리타니아 최초의 로마 콜로니아인 콜로니아 빅트리시스로 전환되었다.[4][9][10]
4. 웨일스에서의 저항과 최후
타키투스의 ''연대기''에 따르면, 카라타쿠스는 브리타니아의 로마 총독 푸블리우스 오스토리우스 스카풀라에 맞서 웨일스의 실루레스와 오르도비스를 이끌었다.[11] 기원후 50년, 스카풀라는 오르도비스 영토 어딘가에서 카라타쿠스를 물리치고 그의 가족을 사로잡았다. 카라타쿠스는 브리가테스로 도망쳤으나, 여왕 카르티만두아에 의해 로마에 넘겨졌다.[12]
전설에 따르면 카라타쿠스의 마지막 저항은 처치 스트레튼 인근의 카르 카라독[13] 또는 말번 언덕의 브리티시 캠프[14]에서 일어났다고 한다. 그러나 타키투스는 카라타쿠스가 전투에 불리한 장소를 선택했으며, 가파른 산과 강이 있는 지형이었다고 기록했다.[15] 세번강은 브리티시 캠프에서 보이지만, 그 근처는 아니므로, 전투는 다른 곳에서 일어났을 것이다. Brampton Bryan 근처, 포위스의 란이마네흐에 있는 블로드웰 록스 등이 전투 장소로 제안되었다.
4. 1. 로마에서의 포로 생활과 연설
카락타쿠스는 포로로 잡혀 전리품으로 로마로 보내졌으며, 아마도 로마 개선식 이후 처형될 예정이었다. 포로 신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로마 원로원에서 연설할 기회를 얻었다. 타키투스는 그의 연설 내용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는데, 그는 자신의 완강한 저항이 로마가 그를 정복한 영광을 더욱 빛나게 했다고 말했다.
Si quantas nobilitatem et fortunam meam, tanta rerum prosperarum moderatio fuisset, amicus potius in hanc urbem quam captus venissem, neque dedignatus esses claris maioribus ortum, plurimis gentibus imperitantem foedere in pacem accipere. praesens sors mea ut mihi informis, sic tibi magnifica est. habui equos, viros, arma, opes: quid mirum si haec invitus amisi? nam si vos omnibus imperitare vultis, sequitur ut omnes servitutem accipiant? si statim deditus traderer, neque mea fortuna neque tua gloria inclaruisset; et supplicium mei oblivio sequeretur: at si incolumem servaveris, aeternum exemplar clementiae ero.|만약 나의 고귀함과 운이 성공에 대한 절제와 일치했다면, 나는 포로가 아닌 친구로서 이 도시에 왔을 것이며, 훌륭한 조상에게서 태어나 많은 국가를 지휘하는 자를 평화 조약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의 나의 운명은 나에게는 굴욕적이지만 당신에게는 웅장한 것입니다. 나는 말, 사람, 무기, 그리고 재산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내가 그것들을 잃고 싶어하지 않은 것이 무엇이 이상하겠습니까? 만약 당신이 모든 사람을 지배하고 싶다면, 모든 사람이 당신의 노예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정말로 타당합니까? 만약 내가 즉시 항복한 사람으로 넘겨졌다면, 나의 운명도 당신의 영광도 빛을 발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또한, 나의 경우 어떤 보복도 잊혀질 것입니다. 반면에, 만약 당신이 나를 안전하게 보존한다면, 나는 당신의 관대함에 대한 영원한 본보기가 될 것입니다.la
그는 너무나 깊은 인상을 주어 사면받았고, 로마에서 평화롭게 살 수 있도록 허락받았다. 디오 카시우스에 따르면, 카락타쿠스는 석방된 후 로마의 도시에 너무 감명받아 "이토록 많은 재산을 가진 당신들이 어찌하여 우리의 초라한 오두막을 탐내십니까?"라고 말했다고 한다.[17]
5. 전설과 유산
카락타쿠스의 흔적은 중세 웨일스 전통에 남아 있을 수 있다. 1100년경에 작성된 웨일스 할리 계보(Harleian Genealogies)에는 "Caratauc map Cinbelin map Teuhant"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언어 변화 과정을 거치면 "카락타쿠스, 쿤노벨리누스의 아들, 타스치오바누스의 아들"이라는 역사적 인물 셋의 이름을 정확한 관계 속에서 보존하고 있는 셈이다.[18]
몬머스의 제프리가 1136년에 쓴 ''브리튼 열왕사''에는 카락타쿠스가 직접 등장하지 않지만, 그의 형 구이데리우스가 죽은 후 로마 침략에 계속 저항하는 킴벨리누스의 어린 아들 아르비라구스가 카락타쿠스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19] 웨일스어 버전에서는 그의 이름이 킨펠린의 아들인 게이리드(Gweirydd)이며, 그의 형제는 기두르(Gwydyr)라고 불린다.[20] 아르비라구스라는 이름은 유베날리스의 시에서 따온 것이다.[21]
중세 웨일스 문학에 등장하는 브란의 아들 카라독 역시 카락타쿠스와 동일시되기도 하지만, 이름 외에는 중세 전설과 일치하는 부분이 없다. 그는 ''마비노기온''에서 아버지 복된 브란이 아일랜드에서 전쟁을 하는 동안 브리튼을 맡았지만, 카시벨라우누스(카락타쿠스보다 한 세기 전의 인물)에게 전복되는 인물로 등장한다.[22] 웨일스 삼인조에서는 그가 브란의 아들이라는 점에 동의하며, 카우르다프와 유다프라는 두 아들의 이름을 언급한다.[23]
셔롭셔(Shropshire)에는 카락타쿠스의 요새를 의미하는 Caer Caradoc (웨일스어 – Caer Caradog)라는 이름을 가진 두 언덕이 있어, 그와 대중적인 연관성을 보여준다. 하나는 클런(Clun) 마을 근처의 철기 시대 언덕 요새이자 지정 기념물로, 채플 론(Chapel Lawn) 마을을 내려다본다. 다른 Caer Caradoc은 교회 스트레튼(Church Stretton)에서 북동쪽으로 26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눈에 띄는 언덕이자 철기 시대 언덕 요새이다.
5. 1. 근대 이후의 재조명
이올로 모건워크가 대중화한 18세기 전통에 따르면, 로마 감옥에서 돌아온 카라독은 영국에 기독교를 전파했다고 한다.[24] 이올로는 또한 전설적인 왕 코엘 헨을 카라독의 아들 성 킬린의 아들로 만들었다.[24] 리차드 윌리엄스 모건은 이에스틴 압 구르간트의 가계 기록에서 카라타쿠스의 아들로서 킬린을 언급한 것을 발견하고, 이를 영국에 기독교가 일찍 전래되었다는 증거로 사용했다. 그는 "킬린 압 카라독은 현명하고 공정한 왕이었다. 그의 시대에 많은 킴리족이 코르-에우르가인의 성도들의 가르침을 통해 그리스도의 신앙을 받아들였으며, 그리스와 로마의 여러 경건한 사람들이 캄브리아에 있었다. 그는 킴리족 중 처음으로 유아에게 이름을 지어주었다. 그 전에는 성인에게만 이름을 지어주었으며, 그들의 몸, 마음 또는 행동의 특징적인 것에서 이름을 따왔다."라고 기록했다.[25]영국 이스라엘주의자 등은 카라타쿠스가 로마에 오기 전에 이미 기독교인이었고, 아리마대 요셉 또는 사도 바울에 의해 영국으로 기독교가 전파되었으며, 여러 초기 기독교인들을 그의 친척으로 보았다.[26]
그 중 하나는 영국 정복을 이끈 아울루스 플라우티우스의 아내 폼포니아 그라에키나이다. 타키투스는 그녀가 "외국의 미신"을 따랐다고 비난했는데, 이 전통은 이를 기독교로 간주한다.[27] 타키투스는 그녀를 "개선으로 영국에서 돌아온 플라우티우스의 아내"라고 묘사했는데, 존 링가드 (1771–1851)는 ''앵글로-색슨 교회의 역사와 고대 유물''에서 그녀가 영국인이라고 결론 내렸다.[28] 그러나 이는 타키투스의 글을 잘못 해석한 것이다. 개선은 승리한 장군을 기리는 군사 퍼레이드였으므로 "개선으로 영국에서 돌아온" 사람은 플라우티우스이지 폼포니아가 아니다.
또 다른 인물은 시인 마르티알리스에게 알려진 영국 여성 클라우디아 루피나이다.[29] 마르티알리스는 클라우디아가 푸덴스라는 남자와 결혼했다고 묘사했는데,[30] 그는 움브리아 출신의 백인대장이자 시인의 친구 아울루스 푸덴스로 추정된다. 17세기부터[31] 이 두 사람이 신약성서의 디모데후서에서 언급된 로마 기독교 공동체의 일원인 클라우디아와 푸덴스와 동일인물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2] 더 나아가 클라우디아가 카라타쿠스의 딸이고, 초기 교회 문서에서 "클라우디아의 형제"로 묘사된 교황 리노가 카라타쿠스의 아들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푸덴스는 성 푸덴스와 동일시되며, 로마의 산타 푸덴치아나 대성당은 한때 ''팔라티움 브리타니쿰''이라 불렸고 카라타쿠스 가족의 집이었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1961년 조지 조웨트의 책 ''잃어버린 제자의 드라마''에서 대중화되었지만, 조웨트가 처음 제기한 것은 아니다. 그는 르네상스 시대 역사가 제임스 어셔, 카이사르 바로니우스, 존 하딩과 카이사르, 타키투스, 유베날 등 고전 작가들을 인용했지만, 그의 고전 인용은 부정확하고, 많은 주장이 출처가 없으며, 동일시는 추측에 근거한다. 그는 리차드 윌리엄스 모건의 1860년 저서 ''성 바울, 브리튼에 가다''를 자주 인용하며, 영국인들이 이스라엘의 잃어버린 지파의 후손이라는 영국 이스라엘주의 교리를 옹호한다.[33]
5. 1. 1. 예술 작품에서의 카라타쿠스
- 존 플레처의 희곡 ''본두카''(1613)에서 카라타크는 시대착오적으로 부디카의 장군으로 묘사된다. 역사적 카라타크는 부디카의 전쟁보다 거의 10년 전에 영국에서 추방되었다.
- 카라타쿠스는 윌리엄 메이슨의 1759년 동명의 시와 이를 기반으로 한 1776년 희곡의 주제이다.
- 카라타쿠스는 1767년 런던에서 초연된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의 이탈리아 오페라 ''카라타코''의 제목이다.
- 길버트와 설리번의 1879년 코믹 오페라 ''펜잔스의 해적''의 "장군의 노래"에서 스탠리 소장은 카라타쿠스의 제복에 대한 자세한 지식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 "카라타쿠스"는 에드워드 엘가가 1897-98년에 고대 로마에게 왕이 패배하고 사로잡힌 것을 다룬 칸타타의 제목이다. 1898년 리즈 합창 축제에서 처음 공연되었다.
- 카라타쿠스는 1881년 출판된 "사랑과 기사의 노래"라는 제목의 컬렉션에 실린 윌리엄 스튜어트 로스의 빅토리아 시대 시 "카라타쿠스 더 브리튼"의 주제이며, "카라타쿠스 더 브리튼, 가장 용감한 자!"라는 후렴구로 구별된다.
- 로마인에 의한 카라도크(카라타쿠스)의 패배는 헨리 트리시의 1952년 성인 소설 ''어두운 섬'', 그의 ''켈트 4부작''의 두 번째 책의 주제이다. 마찬가지로, "카라타쿠스"라는 시는 같은 해에 출판된 트리시의 시집 ''망명자''에 등장한다.
- 카라타쿠스는 로버트 그레이브스의 소설 ''나는 황제 클라우디우스다''에서 단역으로 잠시 등장한다. 그레이브스의 소설을 텔레비전으로 각색한 작품에서 그는 피터 볼스에 의해 짧게 등장한다.
- 카라타쿠스의 포로 생활과 로마에서의 삶은 바바라 어스킨의 타임슬립 소설 ''전사의 공주''(2008)에서 그의 가상의 딸 에이곤의 관점에서 이야기된다.
- 카라타쿠스는 더글러스 잭슨의 2008년 소설 ''클라우디우스''에서 주요 인물이며, ''칼리굴라''(2008)의 속편이다.
- 카라도크는 작가 폴린 게지의 1978년 소설 ''독수리와 까마귀''의 주요 인물이다.
- 카라타쿠스는 사이먼 스카로우의 ''이글'' 시리즈의 여러 권에 등장하며, 여기에는 ''독수리 아래서'', ''독수리의 정복'', ''독수리가 사냥할 때'', ''독수리와 늑대'', ''독수리의 먹이'', ''피의 까마귀'', ''피로 맺어진 형제''가 포함된다.
- 카라도크는 만다 스콧의 "부디카" 시리즈("독수리를 꿈꾸며", "황소를 꿈꾸며", "사냥개를 꿈꾸며", "뱀 창을 꿈꾸며")의 주요 인물이다.
- 카라타크는 해리 터틀도브의 대체 역사 소설 ''룰드 브리타니아''에서 무대 인물로 등장한다. 이 소설에서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가상 버전은 존 플레처의 ''본두카''와 거의 동일한 ''부디카''라는 희곡을 쓴다. 책의 후기에서 터틀도브는 플레처의 영향력을 인정하지만, 소설 자체에서는 카라타크가 타키투스의 ''연대기''에서 부디카의 사람으로 묘사되었다고 잘못 암시한다.
- "카라타쿠스 왕의 궁정"은 롤프 해리스의 넌센스 노래이다. 이 싱글은 1964년 호주 싱글 차트에서 9위에 올랐다.[35]
- 카라타쿠스는 패러독스 인터랙티브의 비디오 게임 ''크루세이더 킹즈 II''에서 게임 내 일부 캐릭터가 상속받는 혈통인 "카라독의 혈통" 형태로 언급된다.
- ''로마의 카이사르 이전의 카라도크''는 1834년 런던으로 이주한 후 런던 미술관에서 여러 상을 받은 웨일스 초상화가 엘리스 오웬 엘리스 (엘리스 브린-코치)의 그림이다.[36]
참조
[1]
논문
"Queen Boudicca?"
1979
[2]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3]
서적
Coins and power in Late Iron Age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
서적
City of Victory; the story of Colchester – Britain's first Roman town
Colchester Archaeological Trust
1997
[5]
서적
Roman Britain; 55BC – 400AD
Fontana Paperbacks
1981
[6]
논문
'On the side of a righteous vengeance' – Counterinsurgency operations in Roman Britain
2020
[7]
서적
Roman Sussex
Tempus
2006
[8]
논문
A. Palutius' Campaign in Britain: An Alternative Reading of the Narrative in Cassius Dio (60.19.5–21.2)
2007
[9]
서적
Colchester Archaeological Report 6: Excavations at Culver Street, the Gilberd School, and other sites in Colchester 1971–85
Colchester Archaeological Trust
1992
[10]
서적
Colchester Archaeological Report 3: Excavations at Lion Walk, Balkerne Lane, and Middleborough, Colchester, Essex
Colchester Archaeological Trust
1984
[11]
서적
Annals
https://www.perseus.[...]
[12]
서적
A History of Britain
2007
[13]
웹사이트
Caer Caradoc Hill Fort
https://churchstrett[...]
2022-04-22
[14]
웹사이트
Malvern Hills - the story of British Camp
https://www.bbc.co.u[...]
2022-04-22
[15]
서적
The Annals
https://www.perseus.[...]
2004
[16]
서적
The Annals
https://www.perseus.[...]
2004
[17]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18]
문서
Harleian Genealogies 16
https://web.archive.[...]
[19]
서적
Historia Regum Britanniae
[20]
서적
The History of the Kings of Britain
1973
[21]
서적
Satires
http://www.thelatinl[...]
[22]
문서
The Mabinogion: Branwen, daughter of Llyr
http://www.sacred-te[...]
[23]
서적
Trioedd Ynys Prydein
University of Wales Press
1963
[24]
문서
Triads of Britain
[25]
서적
St. Paul in Britain; or, The origin of British as opposed to papal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The Marshall Press
2012-08-08
[26]
문서
This article formerly made reference to a passage of Dio Cassius that described Caratacus as a "barbarian Christian".
[27]
서적
Annals
https://www.perseus.[...]
[28]
서적
History and Antiquities of the Anglo-Saxon Church
1810
[29]
서적
Epigrams
[30]
서적
Epigrams
[31]
문서
Annales Ecclesiastici
1614
[32]
문서
2 Timothy 4:21 – "Eubulus saluteth thee, and Pudens, and Linus, and Claudia, and all the brethren."
[33]
서적
The Drama of the Lost Disciples
Covenant Books
1961
[34]
웹사이트
Who was King Caractacus?
http://www.stuff.co.[...]
2009-02-17
[35]
간행물
Hit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16-12-10
[36]
DWB
ELLIS, ELLIS OWEN ('Ellis Bryn-coch '; 1813 - 1861), arti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로마의 클라우디우스 황제 앞의 카라탁쿠스, 18세기 판화, 작가 미상 ([[영국 박물관]]).](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