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라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라토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문예의 여신, 무사(Musa) 중 한 명이다. 제우스와 므네모시네의 딸로, 서정시, 특히 에로틱 시와 모방을 관장하며, 사랑을 표현하는 여신으로 묘사된다. 르네상스 이후에는 도금양과 장미 화관을 쓰고 리라 또는 키타라를 든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며, 종종 에로스를 상징하는 황금 화살을 들고 있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정의 신 - 에로스
에로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욕망을 의미하는 신으로, 초기에는 우주 생성에 관여하고 후기에는 아프로디테의 아들로 묘사되며, 활과 화살로 사랑을 불러일으키며 다양한 신화와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감정의 신 - 베누스
베누스는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사랑, 미, 풍요를 관장하는 여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아프로디테와 동일시되며, 다양한 칭호와 숭배 양상을 가지며 로마의 여러 축제에서 숭배되었고, 르네상스 시대 이후 예술에서 여성의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예술의 신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 예술의 신 - 테르프시코레
테르프시코레는 그리스 신화에서 춤과 합창을 관장하는 무사이자 제우스와 므네모쉬네의 딸이며, 리라를 들고 춤추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세이렌을 낳았다는 설도 있다. - 고대 그리스의 시 - 신통기
《신통기》는 헤시오도스가 지은 서사시로, 우주의 기원과 신들의 탄생, 크로노스에서 제우스로 이어지는 3대 교체 신화와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다루며 후대 문학과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고대 그리스의 시 - 서사시환
서사시환은 트로이 전쟁을 다룬 8편의 고대 그리스 서사시 모음으로, 일리아스, 오디세이아 등을 포함하며 고대 그리스의 신화와 문학 이해에 중요한 자료이다.
| 에라토 | |
|---|---|
| 개요 | |
![]() | |
| 역할 | 사랑 시와 서정시의 여신 |
| 상징물 | 리라, 키타라 |
| 소속 | 무사이 |
| 거주지 | 올림포스 산 |
| 부모 | 제우스와 므네모시네 |
| 형제자매 | 에우테르페, 폴리힘니아, 우라니아, 클리오, 칼리오페, 탈리아, 테르프시코레, 멜포메네, 그리고 여러 이복 형제자매 |
| 배우자 | 말루스 (Μάλος) |
| 자녀 | 클레오페마 |
2. 가족 관계 및 역할
에라토는 헤시오도스의 그리스 신들의 가계도에 따르면 제우스와 티탄 여신 므네모시네의 딸이며, 칼리오페, 클리오, 에우테르페, 멜포메네, 폴리힘니아, 테르프시코레, 탈리아, 우라니아와 자매이다.[3] 서정시, 노래, 춤으로 사랑을 표현하는 여신이다.
제우스는 에라토를 말루스(말레아의 어원)에게 시집보냈고, 둘 사이에서 딸 클레오페마가 태어났다. 클레오페마는 플레기아스와 결혼하여 아이글레(코로니스)를 낳았다.[4]
에라토는 아르카디아 지방의 나무 님페(드리아스)이기도 하다.[13] 아르카스와 결혼하여[13][14][15] 아잔, 아페이다스, 에라토스를 낳았다.[13][15]
원래 에라토는 뤼코스라 근처 데스포이나 여신 신역의 판 신역에서 무녀 역할을 하며 참배자들에게 신탁을 전했다. 그러나 파우사니아스 시대에는 판의 신역이 쇠퇴하면서 신탁을 행하는 일은 더 이상 없었다.[14]
그 외에도 에라토라는 이름을 가진 다른 존재들이 있다.
- 바다의 여신 네레이스 중 한 명[16]
- 다나오스의 50명의 딸 중 한 명[17]
- 테스피오스의 50명의 딸 중 한 명[18]
2. 1. 무사(Musa)로서의 에라토
에라토는 서정시, 특히 에로틱 시와 모방의 여신이다. 오르페우스교의 무세 찬가에서 시각을 매혹하는 것은 에라토이다. 르네상스 이후, 그녀는 주로 도금양과 장미 화관을 쓰고 리라, 또는 아폴론과 자주 연관되는 악기인 작은 키타라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2] 시몽 부에의 묘사에서는 두 마리의 비둘기가 그녀의 발치에서 씨앗을 먹고 있다. 그녀는 때때로 모든 사람에게 영감을 주는 감정인 "에로스"를 상징하는 황금 화살을 들고 묘사되기도 하며, 때로는 횃불을 든 에로스가 동반하기도 한다.
"독창가"(독음 서사시)를 관장한다. 묘사될 때의 소지품은 수금이지만, 이처럼 무사들이 세분화된 것은 로마 시대의 상당히 후기에 와서이다. 다른 무사들과 마찬가지로 단독적인 신화는 거의 없다. 음악가 타뮈리스는 에라토의 아들로 여겨지기도 한다.[12]
2. 2. 다른 신화 속 에라토
헤시오도스의 그리스 신들의 가계도에 따르면, 에라토는 제우스와 티탄 여신 므네모시네의 딸이며, 칼리오페, 클리오, 에우테르페, 멜포메네, 폴리힘니아, 테르프시코레, 탈리아, 우라니아의 자매이다.[3]제우스는 에라토를 말루스(말레아의 어원)에게 신부로 주었고, 그녀는 말루스 사이에서 클레오페마를 낳았다. 클레오페마는 플레기아스와의 사이에서 아이글레(코로니스)를 낳았다.[4]
이 에라토는 아르카디아 지방의 나무 님페(드리아스)이다.[13] 아르카스와 결혼하여[13][14][15] 아잔, 아페이다스, 에라토스를 낳았다.[13][15]
에라토는 원래 뤼코스라 근처 데스포이나 여신 신역의 판 신역에 모시는 무녀였으며, 참배자에게 신탁을 전했다. 그러나 판의 신역이 신탁을 행하던 것은 오래된 시대의 일로, 파우사니아스 시대에는 쇠퇴했다.[14]
- 바다의 여신 네레이스 중 한 명[16]
- 다나오스의 50명의 딸 중 한 명[17]
- 테스피오스의 50명의 딸 중 한 명[18]
3. 상징과 묘사
에라토는 서정시, 특히 에로틱 시와 모방의 여신이다. 오르페우스교의 무세 찬가에서 시각을 매혹하는 것은 에라토이다. 르네상스 이후, 그녀는 주로 도금양과 장미 화관을 쓰고 리라, 또는 아폴론과 자주 연관되는 악기인 작은 키타라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2] 시몽 부에의 묘사에서는 두 마리의 비둘기가 그녀의 발치에서 씨앗을 먹고 있다. 그녀는 때때로 모든 사람에게 영감을 주는 감정인 "에로스"를 상징하는 황금 화살을 들고 묘사되기도 하며, 때로는 횃불을 든 에로스가 동반하기도 한다.
에라토는 수금을 소지품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4. 에라토와 관련된 신화
헤시오도스의 그리스 신들의 가계도에 따르면, 에라토는 제우스와 티탄 여신 므네모시네의 딸이며, 칼리오페, 클리오, 에우테르페, 멜포메네, 폴리힘니아, 테르프시코레, 탈리아, 우라니아의 자매이다.[3]
그녀의 아버지 제우스는 에라토를 말루스(말레아의 어원)에게 신부로 주었고, 그녀는 말루스 사이에서 클레오페마를 낳았으며, 클레오페마는 플레기아스와의 사이에서 아이글레(코로니스)를 낳았다.[4]
에라토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다른 여신들과 함께 언급되었다. 그녀는 또한 스트라본이 언급하고 잠시 인용한, 손실된 시 ''라디네''(Ῥαδινή|라디네grc)의 시작 부분에서도 언급되었다.[5] 라디네의 사랑 이야기는 파우사니아스 시대에 사모스 섬에 있는 그녀의 추정 묘소를 엇갈린 연인들의 순례지로 만들었고,[6] 에라토는 플라톤의 ''파이드로스''에서도 다시 사랑과 연결되었다.[7]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폴로니우스가 글을 쓴 기원전 3세기에조차, 뮤즈는 그들이 묘사된 것처럼 특정 유형의 시와 뗄 수 없이 연결되지 않았다.[8]
에라토는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7권의 시작 부분에서도 언급되는데, 이 부분은 시의 두 번째 부분 또는 "일리아드" 부분의 시작을 알린다. 에라토는 문예의 여신 무사(무사이) 중 한 명으로, 제우스와 므네모시네의 딸이며, 칼리오페, 클리오, 멜포메네, 에우테르페, 테르프시코레, 탈레이아, 폴리힘니아, 우라니아와 자매이다.[9][10][11] 서정시, 노래, 춤으로 사랑을 표현하는 여신이다.
"독창가"(독음 서사시)를 관장하며, 묘사될 때의 소지품은 수금이다. 하지만, 무사들이 세분화된 것은 로마 시대의 후기이다. 다른 무사들과 마찬가지로 단독적인 신화는 거의 없다. 음악가 타뮈리스는 에라토의 아들로 여겨지기도 한다.[12]
5. 에라토 숭배와 영향
에라토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다른 여신들과 함께 언급되었다. 그녀는 스트라본이 언급하고 잠시 인용한, 손실된 시 ''라디네''(Ῥαδινή|라디네grc)[5]의 시작 부분에서도 언급되었다. 라디네의 사랑 이야기는 파우사니아스 시대에 사모스 섬에 있는 그녀의 추정 묘소를 엇갈린 연인들의 순례지로 만들었고,[6] 에라토는 플라톤의 ''파이드로스''에서도 다시 사랑과 연결되었다.[7]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폴로니우스가 글을 쓴 기원전 3세기에조차, 뮤즈는 그들이 묘사된 것처럼 특정 유형의 시와 뗄 수 없이 연결되지 않았다.[8]
에라토는 또한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7권의 시작 부분에서도 언급되는데, 이 부분은 시의 두 번째 부분 또는 "일리아드" 부분의 시작을 알린다.
5. 1. 고대 그리스
에라토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다른 여신들과 함께 언급되었다. 그녀는 또한 스트라본이 언급하고 잠시 인용한, 손실된 시 ''라디네''(Ῥαδινή|라디네grc)[5]의 시작 부분에서도 언급되었다. 라디네의 사랑 이야기는 파우사니아스 시대에 사모스 섬에 있는 그녀의 추정 묘소를 엇갈린 연인들의 순례지로 만들었고,[6] 에라토는 플라톤의 ''파이드로스''에서도 다시 사랑과 연결되었다.[7]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폴로니우스가 글을 쓴 기원전 3세기에조차, 뮤즈는 그들이 묘사된 것처럼 특정 유형의 시와 뗄 수 없이 연결되지 않았다.[8]
에라토는 또한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7권의 시작 부분에서도 언급되는데, 이 부분은 시의 두 번째 부분 또는 "일리아드" 부분의 시작을 알린다.
5. 2. 르네상스 이후
르네상스 이후, 에라토는 주로 도금양과 장미 화관을 쓰고 리라, 또는 아폴론과 자주 연관되는 악기인 작은 키타라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2] 시몽 부에의 묘사에서는 두 마리의 비둘기가 그녀의 발치에서 씨앗을 먹고 있다. 그녀는 때때로 모든 사람에게 영감을 주는 감정인 "에로스"를 상징하는 황금 화살을 들고 묘사되기도 하며, 때로는 횃불을 든 에로스가 동반하기도 한다.6. 갤러리

참조
[1]
서적
Argonautica
http://www.gutenberg[...]
[2]
백과사전
Kithara
https://www.worldhis[...]
2016-04-15
[3]
서적
Theogony
[4]
시
Hymn to Asclepius
http://www.attalus.o[...]
[5]
간행물
Stesichoros and the Rhadine-Fragment
Geography
1932-04-01
[6]
서적
Graeciae Descriptio
[7]
서적
Phaedrus
[8]
서적
Jason and the Golden Fleece
Oxford: Clarendon Press
1993
[9]
서적
76행-79행
[10]
서적
915행-917행
[11]
서적
1巻3・1
[12]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13]
서적
8巻4・2
[14]
서적
8巻37・11
[15]
서적
10巻9・5
[16]
서적
1巻2・7
[17]
서적
2巻1・5
[18]
서적
2巻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