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스페란토 동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페란토 동사는 주어와 목적어를 가질 수 있으며, 직설법, 가정법, 명령법의 세 가지 서법과 과거, 현재, 미래의 시제를 가진다. 동사는 부정사, 분사, 복합 시제 형태로도 사용되며, 동작류, 중간태, 사동태 등을 나타내는 접사를 통해 다양한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 분사는 형용사, 부사, 명사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복합 시제는 다양한 시제와 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페란토 문법 - 현대 에스페란토 언어변화
    현대 에스페란토 언어변화는 어휘의 간결성 추구, 음운의 단순화, 어형의 변화, 문법적 논의 등을 포함하며, 언어 사용자들의 필요와 언어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에스페란토 동사
에스페란토 동사
조동사"" (할 수 있다)
"" (해야 한다)
"" (원하다)

2. 주어와 목적어

동사는 주어(subjektoeo)를 가질 수 있다. 주어는 항상 주격을 취한다.

:남자는 웃었다./La viro ridis.eo (*라고 해서는 안 된다./La viron ridiseo*)

일부 동사는 목적어를 가질 수 있다. 목적어를 가지는 동사는 타동사(transitiva verboeo), 가지지 않는 동사는 자동사(netransitiva verboeo)다.

:나는 사과를 먹는다./Mi manĝas pomon.eo (manĝieo: 타동사)

:그 여자는 잤다./La virino dormis.eo (dormieo: 자동사)

2. 1. 간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를 쓰려면, 대체로 전치사 'al'로 시작하는 구로 놓는다. 다른 전치사구와 같이, 이 때는 주격을 쓴다.

:Mi lavis al li la brakon. (나는 그의 팔을 씻었다.) (직접 목적어: la brakon, 간접 목적어: li)

::= Mi lavis lia brakon.

:La virino donos plumojn al ŝia filo. (그 여자는 아들에게 펜들을 줄 것이다.) (직접 목적어: plumojn, 간접 목적어: ŝia filo)

단, 전치사구 대신 그냥 명사구만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이 때도 주격을 쓴다. 이 때, 어떤 경우에는 'kiel'구로도 쓸 수 있다. 이는 동격(同格, 아포지치오/apozicioeo)이므로 직접 목적어와 같이 목적격을 쓴다.

:Ni elektis ŝin kancelieron. (우리는 그녀를 총리로 뽑았다.)

::= Ni elektis ŝin kiel kancelieron.

2. 2. 계사와 서술 형용사

일부 동사는 목적격 목적어 대신 형용사나 주격 명사구를 받기도 한다. 이런 동사를 계사(繫辭, 코퓰러/copula영어)라고 한다.[4] 주된 예는 esti(-이다)지만, 그 밖에도 fariĝi 등이 있다.

:Li estas botisto. (그는 구두장이다.)

:Ŝi fariĝis blua. (그녀는 파랗게 변했다.)

이 밖에도, 동사가 형용사를 받는 경우가 있다. 이를 서술 형용사(predikativa adjektivoeo)라 한다.[5] 이 때, 형용사는 상황에 따라 주격일 수도, 목적격일 수도 있다.

:Li preferis ĝin nigra. (그는 그것을 검은 색으로 원했다.)

:Li pentras ĝin nigran. (그는 그것을 검게 칠했다.)

3. 부정사

부정사(인피니티보/infinitivoeo)는 동사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며, 사전에 실려 있는 꼴()이다. 에스페란토의 부정사는 서법이나 시제를 지니지 않는다.[6]

부정사는 명사구처럼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보어를 붙이려면 (형용사를 쓰는 명사의 경우와 달리) 부사를 쓴다.[7] 명사구로 사용되는 부정사에는 격이나 수를 표시하지 않는다.

:말하기는 쉽고, 행동하기는 어렵다.

:잘 먹는 것은 나의 목표 가운데 하나다.

이는 행위형 어미(-아도/-adoeo)의 접미로 만들어진 명사의 행위형과 비슷하나,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은 항상 누군가의 행위자를 상정하지만, 명사의 행위형은 (특별히 의미상으로 표지되지 않으면) 추상적 행위 자체를 의미한다.

:불량한 아이들은 (그들 자신이) 동물을 학대하는 것을 좋아한다.

:불량한 아이들은 동물 학대를 좋아한다.

위 두 문장의 경우 굳이 주를 달지 않는다면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동물 학대의 주체는 특별한 표지가 없을 때는 '불량한 아이들'인 경우뿐이지만, 후자의 경우는 그 주체가 아이들이거나 그 외의 다른 사람들인 경우 모두를 포괄하게 된다.

부정사는 보조 동사(헬프베르보/helpverboeo)를 쓰는 복합 동사(콤플렉사 베르보/kompleksa verboeo) 구조에도 사용된다.[8] 이는 〈보조 동사〉 + 〈부정사〉의 꼴이다. 보조 동사에는 데비/devieo, 라잍티/rajtieo, 포비/povieo, 데지리/dezirieo, 볼리/volieo, 코멘치/komencieo, 체시/ĉesieo 등이 있다. 복합 동사의 서법·시제 등은 보조 동사에 표시한다.

:나는 당신의 언어를 말할 수 있다.

:당신은 돌아 오길 원할 것이다.

:그는 그들을 해고했어야 했다.

마지막으로, 부정사는 다른 동사 없이 홀로 독립구로 쓰일 수도 있다. 이 때는 접속법적 또는 "-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지금] 문제로다. (햄릿, 자멘호프 역.)

4. 서법과 시제

에스페란토에는 3개의 서법(敍法, modoeo)이 존재하는데, 이는 직설법(indikativa (aŭ reala, deklara) modoeo), 가정법(kondiĉa (aŭ imaga) modoeo), 명령법(imperativa (aŭ ordona) modoeo})이다. 직설법 동사는 시제(時制, 배우다/tenso (aŭ tempo)}})를 지니는데, 이는 과거형, 현재형, 미래형 세 가지 가운데 하나다. 가정법과 명령법은 시제를 (문법적으로) 지니지 않는다.

동사의 서법과 시제는 다음 표에 따른 어미에 따른 활용(fleksioeo)으로 나타낸다.

형태어미예제
부정사-ieo-하다lernieo
직설법 과거-iseo-했다lerniseo
직설법 미래-oseo-할 것이다lernoseo
명령법-ueo-하라lernueo
가정법-useo-한다면, -했다면, -할 것이라면lernuseo


4. 1. 직설법

'''직설법'''은 현실의 동작과 상태를 표현한다. 단순 시제는 현재(-as), 과거(-is), 미래(-os)에 일어난 사건을 나타낸다. 현재형은 또한 일반적인, 항상 참인 사실을 나타내기도 한다. 현재형은 현재 진행 상태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때는 의미의 명확성을 위해 눈/nuneo과 같은 시간 부사를 삽입하는 것이 좋다. 필요하면 복합 시제를 쓸 수 있는데, 이는 에스페란토 동사#복합 시제를 참고하라.

:나는 학생이다./Mi estas studento.eo

:그녀는 지금 책을 읽는다./Ŝi nun legas [''aŭ'' estas leganta] la libron.eo

:그는 곧 일을 마칠 것이다./Li ĵus finos la laboron.eo

4. 2. 가정법

가정법은 현실에 어긋나는 가정을 나타내며, 주로 세/seeo(만약) 절에서만 쓰인다. 단, 오직 조건만을 나타내는 (즉, 실현될 가능성이 있는) 세/seeo 절에서는 대신 직설법을 쓴다.

:만약 내가 새라면, 나는 하늘을 날 수 있겠지./Se mi estus birdo, mi povus flugi en la ĉielon.eo

::그러나 만약 이것이 새라면, 이는 하늘을 날 수 있다./Se ĝi estas birdo, ĝi povas flugi en la ĉielon.eo 에서는 "이것"이 새일 수 있으므로, 직설법을 쓴다.

단순한 가정법은 시제가 없지만, 엄격히 현재, 과거, 미래를 나타내고 싶을 때는 복합 시제를 쓴다. 이 경우 분사 활용 후 그 어미를 -우스/-useo로 두는 방법과, 에스투스/estuseo + 분사 꼴 모두가 가능하다. 분사는 과거분사, 현재분사, 미래분사를 취할 수 있다. 의미는, 과거분사의 경우 과거 사실에 반대되는 가정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현재분사의 경우 현재 사실에 반대되는 진행상(相)을, 미래분사의 경우 (근)미래에 일어날 가능성이 극히 희박한 사건의 가정을 표현한다.

: (과거분사)

4. 3. 명령법

명령법은 명령, 의지, 요구, 금지 등의 의사를 나타낸다. 주어가 2인칭(ci, vieo)일 때는 (강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주어를 생략한다.

:Iru!eo 가라! (주어를 생략)

::Vi iru!eo 너 가버려! (강조)

명령법의 시제 역시 분사를 이용하여 확장될 수 있으나, 독립적인 명령이나 권유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용법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는 대부분 종속절에서 사용될 경우에 나타난다.

종속절에서는 요청·금지·요구·바람·충고·동의·거부·허락·의도·필요·질문 등의 맥락으로 명령법을 쓴다. 이 때는 명령법을 접속법(subjunktivoeo)으로 부르기도 한다.

:Mi petis, ke li savu min.eo 나는 그에게 구해 달라고 부탁했다.

::영어 "I begged that he save me.영어"와 비교. (영어에서는 문법적으로는 맞지만 고어·문어적인 표현이다.)

:Ĉu ni iru al la kinejo?eo 우리 영화관에 갈까?

:Mi petegas, ke vi estu trankvilaj.eo 부탁하건대, 당신들 제발 조용히 해요.

이 때는 비교적 문어적인 용법이기 때문에, 복합시제 표현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Ni intencas ke vi estu helpota.eo 우리는 당신을 도우려고 합니다.

5. 분사

에스페란토의 분사(participoeo)는 3개의 (相, aspektoeo)과 2개의 태(態, voĉoeo)로, 총 6가지의 형태가 있다. 상은 완료상(과거분사)·진행상(현재분사)·예정상(미래분사) 3가지, 태는 능동태(aktivoei피동태(pasivoeo) 2가지다. 분사의 상과 태는 어미를 붙여 활용된다.

|능동태피동태
과거-inta -ita
현재-anta -ata
미래-onta -ota



과거분사는 해당 시점에 이미 완료된 사건을, 현재분사는 해당 시점에 진행되고 있는 사건을, 미래분사는 해당 시점에 벌어지지 않고 있으나 곧 벌어질 사건을 표현한다. 이는 많은 인도유럽어들이 조동사와 분사로 시제, 상, 태를 나타내는 것과 유사하다.

분사는 기본적으로 형용사로 쓰인다. 분사로 명사를 수식할 경우, 분사는 그 문장의 본동사의 시제를 기준으로 의미가 지정된다.

:Mi malfermis la porton brulantan.

라고 할 때, 문이 타는 시점은 본동사의 시제에 따라 '과거'가 되고,

:Mi malfermos la porton brulontan.

라고 할 때, 문이 타는 시점은 본동사의 시제에 따라 '미래'의 약간 이후가 된다.

분사의 형용사 어미 -aeo를 명사 어미 (-oeo로 바꾸어 '''분사명사'''를 만들 수 있다.[9]

그 뜻은 분사의 원래 의미에 덧붙여 '-인 사람'이다.

:esperieo → esperantaeo → esperantoeo

분사의 -aeo어미를 -eeo로 바꾸어 부사로도 쓴다.[10] 이 때 주절의 주어와 분사의 동작주가 같으면 (이는 독립구로서는 영어에서 '분사구문'이라고 불리는 용법과 비슷하다.)

:Elironte nian domon, li proksimiĝis al min.eo

:Pluvonte, ni devas aĉeti pluvombrelojn.eo

5. 1. 비공식적 분사 형태

가끔씩 가정법적 분사(*-unta*, *-uta*)를 볼 수 있으나, 이는 비공식적이고, 푼다멘토의 공식 문법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11]

:*Ni serĉas personojn mortuntajn.eo 우리는 죽을 지도 모르는 사람들을 찾고 있다.

또한, 무시제 분사(*-enta*)도 볼 수 있으나, 이 역시 비공식적이다. (-eta가 지소형 접미사로 사용되므로 피동분사는 없다.)

이상의 여러 분사들의 시간적 의미를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예를 생각하자. 예컨대 냉전 시대에 미국소련은 각각

:nacio faranta atombomboneo (핵무기를 만드는 국가)

이었다. 반면, 몇십년 전 이스라엘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을 무렵, 당시의 이스라엘은

:nacio faronta atombomboneo (핵무기를 앞으로 만들 국가)

이었다. 이스라엘은 지금

:nacio farinta atombomboneo (핵무기를 만들었던 국가)

이 되었다. 한편, 지금 상황에서 이란과 같은 경우 핵무기를 개발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면 이 나라는

:핵무기를 만들 수 있을 지 모르는 국가/*nacio povunta fari atombombon*eo

이 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표현들에서 '시간'적 의미를 없애고자 할 때는 '*nacio farenta atombombon*(핵무기 만드는 나라)'와 같이 쓰면 된다.

6. 복합 시제

복합 시제는 상(aspektoeo)과 태(voĉoeo)를 포함하는 시제이다. 상은 완료상(perfektaeo, perfect영어), 진행상(progresaeo, progressive영어), 예정상(prospektaeo, prospective영어) 세 가지가 있고, 태는 능동태(aktivaeo)와 피동태(pasivaeo) 두 가지다. 문법적 시제 말고도, 동작류(Aktionsartde)와 사동태(使動態, causative]]/:en:Causative voice영어), 중간태(中間態, middle voice/

복합 시제를 표현하려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완곡법(periphrasis영어)을 쓴 estieo + 분사 형태이고,[12] 다른 하나는 분사를 다시 동사처럼 활용시키는 것이다.[13] 두 가지 방법은 동등하나, 첫 번째가 더 자주 쓰인다.

능동과거현재미래가정접속
완료estis -inta -intis
-했었다
estas -inta -intas
-했던 상태다
estos -inta -intos
-했던 상태일 것이다
estus -inta -intus
-했던 상태라면
estu -inta -intu
-했었으라
진행estis -anta -antis
-하고 있었다
estas -anta -antas
-하고 있다
estos -anta -antos
-하고 있을 것이다
estus -anta -antus
-하고 있다면
estu -anta -antu
-하고 있으라
기대estis -onta -ontis
-하려 했었다
estas -onta -ontas
-하려 한다
estos -onta -ontos
-하려 할 것이다
estus -onta -ontus
하려 한다면
estu -onta -ontu
-하려 하였으라
피동과거현재미래가정접속
완료estis -ita -itis
-해졌었다
estas -ita -itas
-해졌던 상태다
estos -ita -itos
-해졌던 상태일 것이다
estus -ita -itus
-해졌던 상태다면
estu -ita -itu
-해졌었으라
진행estis -ata -atis
-해지고 있었다
estas -ata -atas
-해지고 있다
estos -ata -atos
-해지고 있을 것이다
estus -ata -atus
-해지고 있다면
estu -ata -atu
-해지고 있으라
기대estis -ota -otis
-해지려 했었다
estas -ota -otas
-해지려 한다
estos -ota -otos
-해지려 할 것이다
estus -ota -otus
해지려 한라면
estu -ota -otu
-해지려 하였으라



예를 들어,

:Mi estis manĝanta [''aŭ'' manĝantis] pomon.eo 나는 사과를 먹고 있었다.

:La popolo esperas ke li estu kuracita, sed neniu scias.eo 사람들은 그가 치료되었기를 바라지만, 아무도 (그가 치료되었는지) 모른다.

표에서 피동태로 표시된 형태는 오직 타동사로만 쓰일 수 있는 형태다. 자동사로는 쓰일 수 없다.[14]

:La pomo estas manĝata de mi.eo 사과는 나에 의하여 먹혔다.

:*La virino estis dormata.eo* 는 비문.

이 말고도, 복합 시제 부정사 (-intieo, -antieo, -ontieo, -itieo, -atieo, -otieo) 등이 가능하다.

6. 1. 복복합 시제

동사 활용을 두 번 하여 복복합 시제를 만들 수 있으나, 이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이 가운데 비교적 흔한 경우는 과거 미래 완료 시제(-해져 있을 것이었다, 우드 해브/would have영어 + 과거분사)인데, 이는 복복합 시제로 에스티스 에스톤타 인타/estis estonta -intaeo 또는 인톤티스/-intontiseo 등으로 쓸 수 있으나, 보통은 과거 기대 시제 (에스티스 온타/estis -ontaeo, 온티스/-ontiseo)나 미래 완료 시제 (에스토스 인타/estos -intaeo, 인토스/-intoseo) 등으로 대체한다.

6. 2. 동작류

동작류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접사를 쓴다. 기동상(~하기 시작하다)을 표현하려면 ek-eo 접두사를 쓴다.[15][16] 자동사의 경우, -iĝieo도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17] 미완료상(~하는 도중이다)을 표현하려면 -adieo 접미사를 쓴다.[18][19] 반복상(거듭 ~한다)을 표현하려면 re-eo 접두사를 쓴다.[20][21] 결과상(~함을 끝낸다)을 표현하려면 el-eo 접두사를 쓴다.[22]

6. 3. 중간태와 사동태

에스페란토에서는 접미사 '-iĝi'를 통해 중간태를 나타낼 수 있다.[17][23] 중간태는 피동태와 의미가 비슷하지만, 주어를 암묵적으로 가정하지 않고 "스스로"와 같은 가능성을 내포한다. 예를 들어, 'fermi'(열다)에 '-iĝi'를 붙이면 'fermiĝi'(열리다)가 된다. 'vendi'(팔다)에 '-iĝi'를 붙이면 'vendiĝi'(팔리다)가 된다.

사동태는 주어가 목적어에게 무언가를 시키거나 명령하는 태이다. 접미사 -igieo를 통해 사동태를 나타낼 수 있다.[24][25] 자동사의 경우, "A가 X를 하다"를 "B가 A를 X하게 하다"로 바꾼다. 예를 들어, 'Li mortis.'(그가 죽었다.)를 사동태로 바꾸면 'Ŝi mortigis lin.'(그녀가 그를 죽였다.)가 된다. 이때 재귀대명사 sieo를 쓰면 재귀태가 된다. 예를 들어, 'Li mortigis sin.'는 "그가 자신을 죽게 했다", 즉 "그가 자살했다"라는 의미가 된다. 타동사의 경우, "A가 B를 X하게 하다"를 "C가 A를 B에게 X하게 하다"로 바꾼다.

태를 나타내는 접미사를 조합하여 더 복잡한 태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역 피동은 사동태와 중간태를 조합하여 -igiĝieo 형태로 쓸 수 있다.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PMEG 30.1. Sensubjektaj verboj http://bertilow.com/[...]
[3] 문서
[4] 웹사이트 PMEG 30.5. Priskribaj verboj http://bertilow.com/[...]
[5] 웹사이트 PMEG A-vorto aŭ A-vorteca vorteto http://bertilow.com/[...]
[6] 문서
[7] 문서
[8] 웹사이트 PMEG 30.11. Kompleksaj verboj http://bertilow.com/[...]
[9] 웹사이트 PMEG 28.3. Participoj kiel O-vortoj http://bertilow.com/[...]
[10] 웹사이트 PMEG 28.2. Participoj kiel E-vortoj http://bertilow.com/[...]
[11] 웹사이트 PMEG "Aliaj participoj" http://bertilow.com/[...]
[12] 웹사이트 PMEG 28.4. Kunmetitaj verboformoj http://bertilow.com/[...]
[13] 웹사이트 PMEG "Mallongigitaj kunmetitaj verboj" http://bertilow.com/[...]
[14] 문서
[15] 서적 Plena Analiza Gramatiko de Esperanto
[16] 웹사이트 PMEG 38.3.4. EK http://bertilow.com/[...]
[17] 웹사이트 PMEG 38.2.18. IĜ http://bertilow.com/[...]
[18] 서적 Plena Analiza Gramatiko de Esperanto
[19] 웹사이트 PMEG 38.2.2. AD http://bertilow.com/[...]
[20] 서적 Plena Analiza Gramatiko de Esperanto
[21] 웹사이트 PMEG 38.3.10. RE http://bertilow.com/[...]
[22] 웹사이트 PMEG El http://bertilow.com/[...]
[23] 문서
[24] 웹사이트 PMEG Agaj radikoj http://bertilow.com/[...]
[2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