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올리에 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올리에 제도는 티레니아 해에 위치한 7개의 화산섬으로 이루어진 이탈리아의 군도로,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리파리 섬, 살리나 섬, 불카노 섬, 스트롬볼리 섬, 파나레아 섬, 필리쿠디 섬, 알리쿠디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활화산인 스트롬볼리와 불카노를 포함한 화산 활동의 증거를 보여준다. 지질학적으로는 아프리카 판과 유라시아 판의 섭입으로 인한 화산호에 속하며, 섬들의 지질학적 특징은 화산 관련 용어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 에올리에 제도는 메시나 광역 시에 속하며, 리파리 코뮌과 살리나 섬의 세 코뮌으로 행정 구역이 나뉜다. 기원전부터 흑요석 무역과 해상 무역으로 번성했으며, 로마, 비잔틴 제국, 노르만족, 아라곤 왕국 등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2000년에는 화산 활동에 대한 뛰어난 기록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시나 - 메시나 해협
메시나 해협은 이탈리아 본토와 시칠리아 섬 사이의 좁은 해협으로, 중요한 해상 교통로이자 전략적 요충지이며, 다양한 문명의 교류와 갈등의 중심지였고, 현재는 생물 다양성이 높은 해역으로 페리와 수중익선이 운항되지만, 메시나 해협 대교 건설 계획은 논쟁 중에 있다. - 메시나 - 아란치니
아란치니는 시칠리아의 전통 음식으로, 밥을 둥글게 튀겨 오렌지색을 띠는 모양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지고 이탈리아 전역과 한국에서도 대중화되었다. - 에올리에 제도 - 불카노섬
불카노섬은 시칠리아 섬 북쪽에 위치한 활화산 섬으로, 고대 신화에서는 대장장이 신의 작업장으로 여겨졌으며, 현재는 진흙 온천으로 유명한 관광지이다. - 에올리에 제도 - 살리나섬
살리나섬은 이탈리아 시칠리아주의 화산섬으로, 두 개의 봉우리와 다양한 지형을 지니고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고, 다양한 농산물과 영화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 이탈리아의 군도 - 펠라지에 제도
펠라지에 제도는 이탈리아 최남단 영토로, 란페두사 섬을 포함한 세 개의 섬으로 구성되며, 붉은바다거북의 번식지이자 해양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고, 주요 조류 지역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 이탈리아의 군도 - 에가디 제도
에가디 제도는 시칠리아 서쪽의 파비냐나섬, 마레티모섬, 레반초섬을 포함한 군도로, 고대 아에가테스 제도라 불렸으며 신석기 시대와 구석기 시대 그림의 흔적이 있고, 로마 공화국이 카르타고 함대를 격파한 아에가테스 해전의 역사적 장소이자 아름다운 해변과 자연 경관을 자랑한다.
에올리에 제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Isole Eolie |
다른 이름 | 에올리아 제도 리파리 제도 |
위치 | 티레니아해 |
좌표 | 좌표: 38° 32′ N 14° 54′ E |
면적 | 114.7 km² |
인구 | 15,419명 (2019년 1월 1일 기준) |
인구 밀도 | 134.4 명/km² |
행정 구역 | |
국가 | 이탈리아 |
레지오네 | 시칠리아 |
프로빈차 | 메시나 현 |
지리 | |
주요 섬 | 리파리 섬 살리나 섬 불카노 섬 스트롬볼리 섬 필리쿠디 섬 알리쿠디 섬 파나레아 섬 |
최고봉 | 정보 없음 |
해안선 길이 | 정보 없음 |
기타 | |
명칭 | 이솔레 에올리에 (에올리에 제도) |
ID | 908 |
등재 연도 | 2000년 |
분류 | 자연 (viii) |
면적 | 1,216 ha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2. 명칭
이 제도의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에서 유래되었다. 주 섬인 리파리섬에 의해 '''리파리 제도'''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탈리아어 외에는 Ìsuli Eoli|이술리 에올리scn, Aeolian Islands|에올리안 제도영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다.
에올리에 제도는 티레니아 해에 있으며 시칠리아 북부 해안에서 30km에서 8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불카노 섬은 시칠리아 해안과 가장 가깝다. 리파리 섬과 살리나 섬이 북쪽에, 필리쿠디 섬과 알리쿠디 섬이 서쪽에, 파나레아 섬과 스트롬볼리 섬이 북동쪽에 있다. 이 7개의 유인도 외에도, 바실루초 섬, 스트롬볼리키오 섬, Dattilo (isola)|다틸로it와 Lisca Bianca|리스카 비앙카it와 같은 작고 사람이 살지 않는 섬과 바위 절벽들이 있다.
3. 지리
가장 큰 섬은 리파리 섬(37.5km2)이고, 그 다음은 살리나 섬(26.8km2), 불카노 섬(21.2km2), 스트롬볼리 섬(12.6km2), 필리쿠디 섬(9.5km2) 및 알리쿠디 섬(5.2km2) 순이다. 가장 작은 섬은 파나레아 섬으로 3.4km2이다. 리파리 제도에서 가장 높은 곳은 살리나 섬의 Monte Fossa delle Felci|몬테 포사 델레 펠치it로, 해발 962m에 달한다.[2]
에올리에 제도를 구성하는 주요 7개 섬은 다음과 같다.
이 섬들은 행정상 시칠리아주 메시나 현에 속하며, 4개의 기초 자치체(코무네)가 있다. 살리나 섬 이외의 섬은 리파리의 코무네에 속하며, 살리나 섬은 산타 마리나 살리나, 레니, 말파의 3개 코무네로 나뉘어 있다.
3. 1. 지질학적 특징
1600km2 면적의 에올리에 제도는 티레니아해 바닥의 거대한 평원인 티레니아 분지에서 기원했다. 최대 3600m 깊이에서 용암이 분출하여 에올리에 제도와 우스티카, 마그나니, 바빌로프, 마르실리, 팔리누로 해산 등 일련의 해저 화산과 이름 없는 두 개의 해산이 형성되었다.
현재 에올리에 제도의 모습은 26만 년에 걸친 화산 활동의 결과이다. 스트롬볼리와 불카노 두 곳은 활화산이다.[3] 대부분의 섬에는 김이 솟아나는 푸마롤과 온천이 있다. 화산 활동으로 섬에는 비옥한 토양이 형성되어 식물상 성장에 도움이 된다.[4]
지질학적으로 이 군도는 화산호로 정의된다.[5] 에올리에 제도는 판 이동으로 인한 지각 움직임 때문에 생겨났다. 아프리카 판의 대륙붕은 유럽을 향해 끊임없이 이동하고 있으며, 이 판이 유라시아 판 아래로 섭입되면서 마그마가 생성되어 표면으로 상승, 화산을 형성한다. "에올리에 호"는 140km 이상 뻗어 있으며, 아프리카와 유럽의 충돌로 인해 지질학적으로 불안정한 지중해 지역( 시칠리아, 칼라브리아, 캄파니아, 그리스, 에게해 제도 포함)의 일부이다.
이 섬들은 이 해역의 활발한 해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다. 지질학 및 화산학 분야에서는 이 열도 섬들의 이름에서 유래된 용어가 있다. 예를 들어, 불카노 섬은 "화산"을 뜻하는 단어(volcano영어) 자체의 어원이 되었다. 스트롬볼리 섬은 간헐적인 격렬한 분화를 나타내는 "스트롬볼리식 분화"의 모델이 되었다. 리파리 섬에서 발견된 석영 조면암은 섬의 이름을 따서 리파라이트(liparite)라고 불렸으나, 현재는 석영 조면암이라는 용어 대신 유문암으로 통일되었다.
4. 행정
에올리에 제도는 시칠리아 메시나 광역 시에 속해 있다. 살리나를 제외한 모든 섬은 메시나 광역 시에 속한 리파리 코뮌을 구성한다. 살리나는 말파, 레니, 산타 마리나 살리나의 세 개의 별도 코뮌을 이룬다.
코뮌 | 인구 |
---|---|
레니 | 708 |
리파리 | 11,549 |
말파 | 1,001 |
산타 마리나 살리나 | 894 |
5. 역사
리파리(Castellaro Vecchio culture|카스텔라로 베키오 문화it)에서 시칠리아 이주의 첫 번째 증거가 발견되었다.[9] 흑요석 물건의 제조와 상업은 금속이 도입될 때까지 고도로 발달했다.[10]
청동기 시대 동안, 에올리아인은 미케네에서 영국 제도에 이르는 지역에서 해상 무역을 통해 번성했으며, 이곳에서 주석이 수입되었다. 에올리아 제도의 마을들은 카포 그라치아노(필리쿠디), 카스텔로(리파리), 세로 데이 치안피(살리나), 카포 밀라체제(파나레아), 포르텔라(살리나)에서 번성했다. 이 모든 정착지는 기원전 1250년에 새로운 이탈리아의 침략으로 파괴되었다.[11]
디오도로스 시쿨루스에 따르면, 에올리에 제도는 아우소네스가 리파로스의 지휘하에 점령했다.[12] 리파로스의 뒤를 이어 아이올로스가 등장했으며,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 따르면 아이올로스의 집은 오디세우스를 환대했다.
기원전 580년, 로도스와 크니도스에서 추방된 그리스인들이 리파리에 상륙하여 그리스 지배 시대를 시작했다. 이 시기에는 에트루리아 문명과 페니키아의 선박을 상대로 해적 행위가 성행했다. 도자기와 기타 세라믹 제품이 생산되었다.[13]
아이올리에 제도의 섬 주민들은 포에니 전쟁 기간 동안 로마 공화국에 대항하여 고대 카르타고의 동맹이었다. 기원전 260년 리파리 제도 해전에서 카르타고가 승리했지만, 로마는 이후 리파리를 약탈했고, 로마의 지배는 빈곤 시대를 초래했다.[14]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에올리에 제도는 서고트족, 반달족, 동고트족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후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기독교 전설에 따르면, 264년에 사도 바르톨로메오의 시신을 담은 관이 리파리 해변으로 밀려왔고, 그 결과 바르톨로메오는 즉시 에올리에 제도의 수호성인으로 선출되었다. 836년, 이프리키야의 지야다트 알라 1세의 아글라브 왕조가 리파리를 약탈하고, 대부분의 주민을 학살하고, 생존자를 노예로 만들었으며, 리파리 제도를 시칠리아 토후국에 병합했다.
1061년 시칠리아 토후국으로부터의 노르만 시칠리아 정복으로 인해 이 섬들은 합병되었다. 시칠리아의 로저 2세는 베네딕토 수도사들을 리파리로 보냈고, 이는 섬에서 상당한 발전을 가져왔다. 성 바르톨로메오에게 헌정된 대성당과 성 내의 베네딕토 수도원이 건설되었다. 1208년, 프리드리히 2세가 시칠리아 왕국의 왕위에 올랐다. 그 뒤에 이어진 번영기는 앙주 제국의 지배와 시칠리아 만종 사건으로 절정에 달한 시칠리아인들의 반란으로 끝을 맺었다. 그러나 에올리에 제도는 앙주의 샤를에게 충성을 유지했으며, 앙주 왕국의 수도인 나폴리와 상업적 관계를 맺었다. 1337년 리파리는 저항 없이 프랑스 함대에 문을 열었고, 그 대가로 다양한 상업적 및 재정적 혜택을 얻었다.[15] 15세기 중반, 나폴리와 팔레르모는 아라곤의 알폰소 5세의 통치 하에 두 시칠리아 왕국으로 통합되었다.
1544년 6월 30일, 바르바리 해적의 수장인 하이레딘 바르바롯사가 지휘하는 180척의 오스만 제국 함대가 리파리를 점령하고 성을 포위했다. 수비군은 항복했다. 역사적으로, 리파리 시민 1만 명 중 약 9천 명이 포로로 잡혀 노예가 되었다고 전해지지만, 최근 일부 학자들은 당시 바르바롯사의 인구가 더 적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 숫자에 의문을 제기했다.[16] 많은 시민들이 메시나에서 몸값을 지불하고 섬으로 돌아왔지만, 포로로 잡힌 사람들의 대부분은 결코 돌아오지 못했다. 이 비극 이후에야 스페인 당국은 리파리에 관심을 기울이고 시칠리아, 칼라브리아, 스페인 가족들을 이 도시로 다시 정착시켰다. 도시의 성벽과 집들이 재건되었고, 에올리에 함대가 건설되어 티레니아 해를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성공적으로 방어할 수 있었다.
1693년, 지진으로 시칠리아 동부의 모든 마을이 파괴되어 약 6만 명이 사망했다.[17] 주민들이 성 바르톨로메오의 보호를 대성당에서 기원한 후, 에올리에 제도에서는 단 한 명의 희생자도 발생하지 않았다. 17세기에는 농업 발전(말바시아 포도), 케이퍼, 다양한 과일, 채소, 어업으로 섬의 경제 상황이 크게 개선되었다. 부르봉 왕가가 들어서면서 범죄자와 정치범들이 섬으로 유입되었다. 1916년에는 형무소가 폐쇄되었지만, 파시스트 정권은 1926년에 이를 재개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섬 주민들은 성에서 이전 형무소의 잔해를 철거하는 것으로 반응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성은 파시즘 반대파 정치범들을 강제 유배하는 공간으로 바뀌었다. 리파리인들은 연합군의 해방까지 이들과 교류했다. 전쟁 후, 파시즘 반대파가 수용되었던 동일한 공간은 에올리에 지역 고고학 박물관이 되었다.
19세기 말, 에올리에 제도는 섬의 친구이자 군도의 깊은 지식을 가진 오스트리아의 대공 루드비히 살바토르에 의해 방문되었다. 1893년부터 1896년까지 그는 에올리에 제도에 관한 8권의 저서를 출판했다.[18]
1888년 8월, 불카노의 포사 분화구에서 폭발이 일어나 유황 광산에서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 폭발은 19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1909년 새해 첫날, 에올리에 제도가 화산 활동 중에 "바다에 삼켜졌다"는 소문이 국제 신문에 게재되었다.[19] 섬과의 통신이 한동안 중단되었지만,[20] 그 외의 불편함은 없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올리에 제도는 1943년 8월 시칠리아 침공 동안 연합군에 의해 점령되었다.[21] 그 후, 고고학자 마들렌 카발리에와 루이지 베르나보 브레아에 의해 광범위한 조사가 이루어졌다.[22][23][24]
6. 신화
호메로스의 서사시 《오디세이아》에서 아이올로스는 히포테스의 아들이자 바람을 다스리는 신이며, 신화 속 떠다니는 섬 아이올리아의 왕이었다. 그는 섬 내부에 거친 바람을 안전하게 가두어두었다가, 가장 위대한 신들의 명령에 따라 세상에 파괴를 가하기 위해 풀어주었다.[7]
서사시의 영웅 오디세우스는 트로이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여정에서 아이올로스의 섬을 방문하여 안전한 항해를 위해 모든 바람이 담긴 자루를 받았다. 그러나 여행 중에 영웅의 동료들이 자루를 열어 바람이 새어 나오면서 그들의 배는 아이올로스 해안으로 되돌아갔다.[8]
디오도로스 시쿨루스에 따르면, 에올리에 제도는 아우소네스가 리파로스의 지휘하에 점령했다.[12] 리파로스 뒤를 이어 아이올로스가 등장했으며,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 따르면 아이올로스의 집은 오디세우스를 환대했다.
이 제도의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에서 유래되었다.
7. 건축
도시 개발 규제는 에올리에 제도를 자연 상태로 보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새로운 건물 건설은 엄격히 제한된다. 기존 주택은 매입 및 복원이 가능하지만, 흰색으로 칠해진 주택과 유사하게 건축되어야 한다. 전통 가옥은 돌, 용암, 경석, 투포 등 토착 건축 자재로 지어진 모듈식 큐브로 구성된다.[6] 거의 모든 주택에는 넓은 야외 테라스가 있으며, 보통 포도와 꽃 덩굴로 그늘을 만들었다.
8. 유네스코 세계유산
에올리에 제도는 "화산섬의 생성과 소멸, 그리고 진행 중인 화산 현상에 대한 뛰어난 기록"을 제공한다는 이유로 2000년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25] 세계 유산으로서의 지위는 이탈리아가 부석 채석장을 폐쇄하지 못한 것과 4개의 새로운 항구 건설을 막지 못한 것으로 인해 위협받았다.[26] 하지만 2020년 12월 기준으로, 여전히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27]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Greco-Roman mythology
https://archive.org/[...]
Bloomsbury Academic
[2]
간행물
Eolian Islands, in: Earth's Landscape: An Encyclopedia of the World's Geographic Features
[3]
웹사이트
The Aeolians: The Volcanic Islands
http://www.italia.it[...]
2013-08-03
[4]
뉴스
Falling in Love With Italy's Blissful, Rustic Aeolian Islands
https://www.nytimes.[...]
2017-01-04
[5]
웹사이트
The Aeolian archipelago
http://www.alexstrek[...]
[6]
서적
Italy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7]
웹사이트
Sources about Aiolos
https://www.theoi.co[...]
2022-03-25
[8]
문서
Homer, ''Odyssey'' 10.1–12 #REDIRECT
[9]
문서
Luigi Bernabò Brea, Madeleine Cavalier (Eds.). (1980). Meligunìs Lipára IV. L’acropoli di Lipari nella preistoria. Palermo: Flaccovio.
[10]
논문
Lipari (Aeolian Islands) Obsidian in the Late Neolithic. Artifacts, Supply and Function
[11]
웹사이트
Sicily Before the Greeks. The Interaction with Aegean and the Levant in the Pre-colonial Era
https://www.degruyte[...]
2022-03-25
[12]
문서
[[Bibliotheca historica]], book V.
[13]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the Aeolian Islands
https://www.eoliando[...]
2022-03-25
[14]
서적
The Fall of Carthage: The Punic Wars 265–146 BC
https://books.google[...]
Phoenix
[15]
서적
The Norman Conquest of Southern Italy and Sicily
McFarland & Company Inc.
[16]
웹사이트
Estimating the population of Lipari in 1544
http://www.liparifam[...]
2015-10-01
[17]
논문
Spanish sources concerning the 1693 earthquake in Sicily
http://www.earth-pri[...]
[18]
학술지
Filicudi in the Late 19th Century a Scientific Description
https://ro.uow.edu.a[...]
[19]
뉴스
Aeolian Islands Not Sunk
https://www.newspape[...]
Atchison Daily Champion
1909-01-01
[20]
뉴스
Aeolian Islands Isolated
https://www.newspape[...]
Dakota Huronite
1909-01-14
[21]
뉴스
Foggia Blasted; Aeolian Isles Seized
https://www.newspape[...]
Kingsport News
1943-08-21
[22]
웹사이트
Médaille d'argent du CNRS à Madeleine Cavalier - Centre Jean Bérard
https://centrejeanbe[...]
2024-03-03
[23]
웹사이트
Il museo Bernabò Brea di Lipari, uno dei più ricchi e meno conosciuti musei del Mediterraneo. Foto
https://dazebaonews.[...]
2020-06-22
[24]
학술지
Le isole Eolie dalla fondazione del Museo Archeologico Luigi Bernabò Brea alla istituzione del Parco Archeologico delle Isole Eolie: problemi di tutela e valorizzazione
https://www.torrossa[...]
2014
[25]
웹사이트
World Heritage Committee Inscribes 61 New Sites on World Heritage List
https://whc.unesco.o[...]
2017-01-07
[26]
웹사이트
Eddyburg.it – Le Eolie fuori dai siti Unesco
http://www.eddyburg.[...]
[27]
웹사이트
"Isole Eolie (Aeolian Islands): Indicators"
https://whc.unesco.o[...]
[28]
서적
Encyclopedia of Greco-Roman mythology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