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지디우스 로마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지디우스 로마누스는 중세 시대의 철학자이자 신학자로, 아우구스티노회 수사였다. 로마 출신으로 파리 대학교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제자로 활동하며 아리스토텔레스 저작에 대한 주석과 롬바르두스의 명제집에 대한 주석을 저술했다. 1277년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적용에 대한 비판으로 학문적 활동에서 잠시 물러났으나, 프랑스 왕 필리프 3세와 필리프 4세의 교육을 담당하고 부르주 대주교를 역임했다. 그의 주요 저작으로는 제자인 필리프 4세를 위해 쓰여진 《군주론》이 있으며, 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와 필리프 4세 간의 갈등에서 교황의 권리를 옹호하는 《교회의 권력에 관하여》를 저술했다. 그의 사상은 에지디우스 학파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우구스티노회 탁발수도사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1243년 출생 - 안향
    안향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한국 최초의 주자학자로, 원나라에서 주자학을 들여와 고려에 전파하고 국자감을 정비하는 등 유생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개혁적인 정치 활동으로 사후 문묘에 배향되었다.
  • 1243년 출생 - 고후카쿠사 천황
    고후카쿠사 천황은 고사가 상황의 섭정 아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가메야마 천황에게 양위 후 상황으로서 지묘인 왕통 강화를 위해 정치 활동을 펼쳤고, 왕통 계승 분쟁 중 가마쿠라 막부의 개입을 받았으며, 후시미 천황 즉위와 구메이 친왕의 쇼군 임명 등을 통해 지묘인 왕통 세력 확대에 기여한 87대 천황이다.
에지디우스 로마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5세기 군주통치론 필사본에 묘사된 에지디우스
에지디우스, 15세기 《군주통치론》 필사본에서
이름에지디우스 로마누스
이탈리아어Egidio Romano (에지디오 로마노)
별칭Doctor Fundatissimus (독토르 푼다티시무스)
생애
출생일1243년경
출생지교황령 로마
사망일1316년 12월 22일
사망지신성 로마 제국 부르군트 왕국 아비뇽
국적이탈리아
종교천주교 아우구스티노회
교육
교육 기관파리 대학교
철학적 배경
지역서양 철학
시대14세기 중세 철학
학파/전통아리스토텔레스주의
토마스주의
아우구스티누스주의
관심사
주요 관심사형이상학
논리학
인식론
자연 철학
의학
윤리학
정치 철학
영향 받은 인물아리스토텔레스
토마스 아퀴나스
아우구스티누스
안셀무스
이븐 시나
이븐 루시드
프로클로스
가짜 디오니시오스
영향을 준 인물자코모 카포치 다 비테르보
토마스 폰 스트라스부르크
주요 저서
대표작『교회권력론』
『군주통치론』
기타
로마자 표기Aegidius Romanus (에지디우스 로마누스)

2. 생애

에지디우스 로마누스의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아우구스티노회 수사 케들린부르크의 요르단은 저서 《수도사들의 생애》(Liber Vitasfratrum)에서 에지디우스가 로마의 명문 콜론나 가문 출신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요르단은 에지디우스의 동시대인이 아니며, 많은 학자들은 에지디우스의 초기 생애에 대한 그의 이야기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그는 로마에서 성 아우구스티노 은수자회에 입회한 후, 철학 및 신학 연구를 위해 수도회에서 파리 대학교로 보내졌다. 그곳에서 도미니코회 소속의 토마스 아퀴나스의 제자가 되었고, 이후 파리 대학교에서 가르치도록 임명되었는데, 이는 그의 수도회에서 최초의 사례였다. 에지디우스는 1269년에서 1272년 사이에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가르침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며, 그 후 수년 동안 13세기 동안 지적 부흥을 겪고 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에 대한 많은 주석을 저술했으며, 페트루스 롬바르두스의 《명제집(Sentences)》에 대한 주석도 저술했다.

에지디우스는 파리에 머물면서 신학을 공부하고 가르쳤으나, 에티엔 탕피에 주교가 1277년의 정죄를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에 대한 주석을 포함한, 기독교 담론 내에서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적용을 비난하자, 파리의 학문적 장면에서 사라졌다. 1277년과 1281년 사이에 에지디우스에 대한 정보는 남아 있지 않으며, 그는 1281년에 이탈리아로 돌아왔다.

1281년 파리에서 열린 제36차 공의회에서 여러 주교들과 탁발 수도회 간의 차이점이 다루어졌는데, 그는 탁발 수도회에 맞서 주교들의 편을 들었다. 이에 대해 동시대 철학자 퐁텐의 고드프루아는 에지디우스를 도시 전체에서 가장 유명한 신학자(''qui modo melior de totâ villâ in omnibus reputatur'')라고 언급하며, 그가 로마로 돌아가기 전에 이 기간 동안 파리에 있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프랑스 국왕 필리프 3세는 에지디우스에게 그의 아들이자 상속자인 필리프의 교육을 맡겼으며, 이 아들은 1285년 필리프 4세로 왕위에 올랐다. 새 국왕이 랭스에서 즉위식을 치른 후 파리에 입성했을 때, 에지디우스는 대학교를 대표하여 환영사를 했고, 국왕이 실천해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정의를 강조했다. 1285년에 에지디우스의 저작은 다시 문제 제기되었지만, 1287년에는 강의를 계속할 수 있도록 허락받았다. 8년 후인 1295년, 에지디우스는 부르주 대주교로 임명되었으며, 이에 대해 그의 저서 《포기에 관하여》(De renunciatione)에서 언급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에지디우스 로마누스의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아우구스티노회 수사 케들린부르크의 요르단은 저서 《수도사들의 생애》(Liber Vitasfratrum)에서 에지디우스가 로마의 명문 콜론나 가문 출신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요르단은 에지디우스의 동시대인이 아니며, 많은 학자들은 에지디우스의 초기 생애에 대한 그의 이야기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그는 로마에서 성 아우구스티노 은수자회에 입회한 후, 철학 및 신학 연구를 위해 수도회에서 파리 대학교로 보내졌다. 그곳에서 도미니코회 소속의 토마스 아퀴나스의 제자가 되었고, 이후 파리 대학교에서 가르치도록 임명되었는데, 이는 그의 수도회에서 최초의 사례였다. 에지디우스는 1269년에서 1272년 사이에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가르침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며, 그 후 수년 동안 13세기 동안 지적 부흥을 겪고 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에 대한 많은 주석을 저술했으며, 페트루스 롬바르두스의 《명제집(Sentences)》에 대한 주석도 저술했다.

에지디우스는 파리에 머물면서 신학을 공부하고 가르쳤으나, 에티엔 탕피에 주교가 1277년의 정죄를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에 대한 주석을 포함한, 기독교 담론 내에서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적용을 비난하자, 파리의 학문적 장면에서 사라졌다. 1277년과 1281년 사이에 에지디우스에 대한 정보는 남아 있지 않으며, 그는 1281년에 이탈리아로 돌아왔다.

1281년 파리에서 열린 제36차 공의회에서 여러 주교들과 탁발 수도회 간의 차이점이 다루어졌는데, 그는 탁발 수도회에 맞서 주교들의 편을 들었다. 이에 대해 동시대 철학자 퐁텐의 고드프루아는 에지디우스를 도시 전체에서 가장 유명한 신학자(''qui modo melior de totâ villâ in omnibus reputatur'')라고 언급하며, 그가 로마로 돌아가기 전에 이 기간 동안 파리에 있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프랑스 국왕 필리프 3세는 에지디우스에게 그의 아들이자 상속자인 필리프의 교육을 맡겼으며, 이 아들은 1285년 필리프 4세로 왕위에 올랐다. 새 국왕이 랭스에서 즉위식을 치른 후 파리에 입성했을 때, 에지디우스는 대학교를 대표하여 환영사를 했고, 국왕이 실천해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정의를 강조했다. 1285년에 에지디우스의 저작은 다시 문제 제기되었지만, 1287년에는 강의를 계속할 수 있도록 허락받았다.

2. 2. 학문 활동과 1277년의 정죄

에지디우스는 1277년 에티엔느 템피에르에 의해 발표된 정죄에 연루되었다.[1] 그의 견해 중 일부는 대주교 템피에르에 의해 비난받았고, 1285년 교황 호노리우스 4세는 그에게 공개적인 철회를 요청했다.[1] 그러나 1287년 피렌체에서 열린 아우구스티누스회 총회령은 에지디우스의 교리가 "온 세상에 빛을 비춘다"(''venerabilis magistri nostri Ægidii doctrina mundum universum illustrat'')고 언급한 후, 모든 수도회 구성원에게 그의 모든 의견을, 저술된 것이든 앞으로 저술될 것이든, 받아들이고 옹호하도록 명령했다.[1]

2. 3. 아우구스티노회 활동과 부르주 대주교 임명

에지디우스는 1277년 에티엔느 템피에르에 의해 발표된 정죄에 연루되었다.[1] 그의 견해 중 일부는 대주교 템피에르에 의해 비난받았고, 1285년 교황 호노리우스 4세는 그에게 공개적인 철회를 요청했다.[1] 그러나 1287년 피렌체에서 열린 아우구스티누스회 총회령은 에지디우스의 교리가 "온 세상에 빛을 비춘다"고 언급한 후, 모든 수도회 구성원에게 그의 모든 의견을 받아들이고 옹호하도록 명령했다.[1]

수도회 내에서 여러 중요한 직책을 역임한 후, 1292년에 그는 총장/수도원 총장으로 선출되었다.[1] 3년 후,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그를 프랑스 부르주 대주교로 임명했는데, 이는 이미 교황 첼레스티노 5세에 의해 장 드 사비니가 주교좌로 지명된 후였다.[1] 프랑스 귀족들은 에지디우스가 이탈리아인이라는 이유로 항의했지만, 그의 임명은 유지되었고 국왕의 승인을 받았다.[1]

그는 비엔 회의 (1311–1312)에 참석하여 템플 기사단이 해산되는 것을 지켜보았다.[1] 그는 아비뇽에서 사망했다.[1]

2. 4. 비엔 공의회와 사망

3. 사상과 저술

에지디우스 로마누스의 저작들은 철학과 신학 분야를 아우른다.[2] 성경과 신학 분야에서 그는 ''육일창조''(Hexaemeron), ''아가'', ''로마서''에 대한 주석을 썼으며, 여러 ''소론''(Opuscula)과 ''퀘스쳔스''(Quodlibeta), 다양한 논문, 특히 피터 롬바르두스의 ''명제집 4권''에 대한 주석을 썼다.[2]

에지디우스 로마누스가 동시대 필사본에서 자신의 저서 ''군주론''(De Regimine Principum)을 필리프 4세에게 헌정하는 모습


''명제집 제2권에 대한 퀘스쳔스''(In secundum librum sententiarum quaestiones), 1581


철학 분야에서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거의 모든 작품에 대한 주석 외에도 여러 특별 논문을 썼다.[2] 그의 주요 저작은 그의 제자인 필리프 4세를 위해 쓰여진 ''군주론''(De regimine principum)이다.[2] 이 책은 세 권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첫 번째 책은 왕의 개인적 행실, 두 번째 책은 가족 생활, 세 번째 책은 국가 통치 방식을 다룬다.[2] ''군주론''(De regimine)은 앙리 드 고시에 의해 고대 프랑스어로 번역되었고, 이탈리아어중세 영어(존 트레비사에 의해), 히브리어를 포함한 7개의 다른 유럽 토착어로 번역되었다.[2] ''비밀의 책''(Secreta secretorum)과 함께 가장 많이 복사된 "군주를 위한 거울"이었다.[2]

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와 필리프 4세 간의 갈등에서 그는 교황의 권리를 옹호하는 논문인 ''교회의 권력에 관하여''(De potestate ecclesiasticâ)를 저술했다.[2] 이 논문과 교서 ''우남 상탐''(Unam Sanctam) 사이의 유사성은 일부 학자들이 그가 교황 칙서의 저자였다는 견해를 가지게 했다.[2] 그는 ''교황의 사임에 관하여, 또는 보니파키우스 8세를 위한 변호''(De renunciatione Papæ sive Apologia pro Bonifacio VIII)에서 첼레스티노 5세의 사임과 보니파키우스 8세의 선출의 정당성을 옹호했다.[2]

철학과 신학에서 그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스승인 성 토마스의 견해를 따르지만,[2]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와 프란체스코회 학파의 견해를 따르기도 했다.[2] 그는 인간의 타락 전에 은총이 아담과 이브에게 주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했다.[2] 에지디우스는 귀도 카발칸티의 철학적 사랑 칸초네 "도나 메 프레가"(Donna me prega)에 대한 주석을 썼다.[2]

3. 1. 군주론 (De Regimine Principum)

에지디우스 로마누스의 주요 저작은 그의 제자인 필리프 4세를 위해 쓰여진 ''군주론''(De regimine principum)이다.[2] 이 책은 왕의 개인적 행실, 가족 생활, 국가 통치 방식을 세 권으로 나누어 다룬다.[2] 1권은 왕의 개인적 행실과 행복, 덕, 열정에 대한 내용이다. 2권은 가족 생활과 아내, 자녀, 하인과의 관계를 다룬다. 3권은 국가의 기원과 평화 및 전쟁 시기의 통치 방식을 고찰한다.

''군주론''은 앙리 드 고시에 의해 고대 프랑스어로 번역되었고, 이탈리아어, 중세 영어(존 트레비사 번역), 히브리어 등 7개의 유럽 토착어로 번역되었다.[2] ''비밀의 책''(Secreta secretorum)과 함께 가장 많이 복사된 "군주를 위한 거울"이었다.[2]

3. 2. 교회 권력에 관하여 (De Potestate Ecclesiastica)

에지디우스는 교황의 권리를 옹호하는 논문인 ''교회 권력에 관하여''(De potestate ecclesiasticâ)를 저술하였다. 이 논문과 교서 ''우남 상탐''(Unam Sanctam) 사이의 유사성은 그가 교황 칙서의 저자였다는 일부 학자들의 견해를 뒷받침한다.

그는 이미 보니파키우스 8세의 교황 선출의 타당성에 관한 논쟁을 종식시키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의 논문 ''교황의 사임에 관하여, 또는 보니파키우스 8세를 위한 변호''(De renunciatione Papæ sive Apologia pro Bonifacio VIII)에서 그는 첼레스티노 5세의 사임과 그에 따른 보니파키우스의 선출의 정당성을 보여준다.

3. 3. 철학과 신학

에지디우스 로마누스의 저작들은 철학과 신학 분야를 아우른다.[2] 성경과 신학 분야에서 그는 ''육일창조''(Hexaemeron), ''아가'', ''로마서''에 대한 주석을 썼으며, 여러 ''소론''(Opuscula)과 ''퀘스쳔스''(Quodlibeta), 다양한 논문, 특히 피터 롬바르두스의 ''명제집 4권''에 대한 주석을 썼다.[2]

철학 분야에서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거의 모든 작품에 대한 주석 외에도 여러 특별 논문을 썼다.[2] 그의 주요 저작은 그의 제자인 필리프 4세를 위해 쓰여진 ''군주론''(De regimine principum)이다.[2] 이 책은 세 권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첫 번째 책은 왕의 개인적 행실, 두 번째 책은 가족 생활, 세 번째 책은 국가 통치 방식을 다룬다.[2] ''군주론''(De regimine)은 앙리 드 고시에 의해 고대 프랑스어로 번역되었고, 이탈리아어중세 영어(존 트레비사에 의해), 히브리어를 포함한 7개의 다른 유럽 토착어로 번역되었다.[2] ''비밀의 책''(Secreta secretorum)과 함께 가장 많이 복사된 "군주를 위한 거울"이었다.[2]

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와 필리프 4세 간의 갈등에서 그는 교황의 권리를 옹호하는 논문인 ''교회의 권력에 관하여''(De potestate ecclesiasticâ)를 저술했다.[2] 이 논문과 교서 ''우남 상탐''(Unam Sanctam) 사이의 유사성은 일부 학자들이 그가 교황 칙서의 저자였다는 견해를 가지게 했다.[2] 그는 ''교황의 사임에 관하여, 또는 보니파키우스 8세를 위한 변호''(De renunciatione Papæ sive Apologia pro Bonifacio VIII)에서 첼레스티노 5세의 사임과 보니파키우스 8세의 선출의 정당성을 옹호했다.[2]

철학과 신학에서 그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스승인 성 토마스의 견해를 따르지만,[2]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와 프란체스코회 학파의 견해를 따르기도 했다.[2] 그는 인간의 타락 전에 은총이 아담과 이브에게 주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했다.[2] 에지디우스는 귀도 카발칸티의 철학적 사랑 칸초네 "도나 메 프레가"(Donna me prega)에 대한 주석을 썼다.[2]

4. 에지디우스 학파

1287년 총회 결의 이후, 에지디우스 로마누스의 견해는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리하여 그는 에지디우스 학파의 창시자가 되었다. 이 학파의 가장 두드러진 대표자로는 그의 동시대인이자 파리 대학교의 학생이자 교수였던 비테르보의 자코모 카포초(1307년 사망)와 아우구스티누스 트리움푸스(1328년 사망)를 언급해야 하며, 14세기 전반에 걸쳐 레조 에밀리아의 프로스페르, 파도바의 알베르토, 시에나의 제라르도, 프리마르의 헨리, 스트라스부르의 토마스 등이 있다.

이후 한동안 다른 견해가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에서 우세했다. 그러나 17세기에 이르러서도, "D. 토마스와 스코투스 사이의 모든 철학적 논쟁을 특히 우리 에지디우스 콜룸나의 교리와 함께 설명하는 철학 전체 논쟁"(팔레르모, 1645, 1671)을 저술한 라파엘로 본헤르바(1681년 사망)와 "에지디우스 콜룸나의 신학 전집"(볼로냐, 1701, 제노아, 1704)을 저술한 아우구스티노 아르페(1704년 사망)를 언급해야 한다.

페데리코 니콜로 가바르디(1715년 사망)는 콜룸나의 가장 중요한 해석가로서, "정통 S.P. 아우구스티누스의 교리에 따라 에지디우스 콜룸나 박사가 가장 튼튼하게 설명한 철학의 소진"(6권, 나폴리와 로마, 1683–1696)를 저술했다. 이 작품은 안젤름 뫼르만스에데르에 의해 그의 "신학적 백만 희생자"(프레스부르크, 1737)에서 요약되었다. 베니그누스 시크로우스키(1737년 사망)는 또한 "S. 아우구스티누스와 B. 에지디우스 콜룸나의 교리에 따른 이교도 철학자의 오류로부터 변호된 철학"(뉘른베르크, 1701)을 저술했다.

5. 한국에서의 연구

참조

[1] 철학사전 Giles of Rome https://plato.stanfo[...]
[2] 논문 Manuscripts of Giles of Rome's ''De regimine principum'' in England, 1300–1500: A Handlist https://www.persee.f[...]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