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서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서항은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에 위치한 항구이다.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여서도는 고려 시대에 여서도로 불렸으며, 일제강점기에는 태랑도로 불리다가 광복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1992년 기본 시설 계획 수립과 함께 착공이 시작되었으며, 1993년 수리모형실험을 거쳐 2000년 정비계획을 수립했다. 어항 구역은 여서교회를 중심으로 반경 500m의 공유수면과 육역으로 구성되며, 전어, 멸치, 민어, 도미 등 다양한 어종이 잡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도군의 어항 - 사동항 (완도군)
사동항은 완도 동부 평일도에 위치한 국가어항으로, 1999년 기본 시설을 완공했으며, 멸치, 삼치, 전복, 다시마 등을 어획 및 양식하는 어민들의 주요 어항이다. - 완도군의 어항 - 도장항
도장항은 전라남도 완도군 금일읍에 위치한 국가어항으로, 금일도 부속 섬들을 연결하는 어업 중심지이며, 어업 기반 시설이 구축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남당항 (홍성군)
남당항은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에 위치한 어항으로, 가을에는 대하 축제, 봄에는 새조개 축제가 열려 미식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대변항
대변항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한 어항으로, 기장 멸치의 본고장이며 멸치젓갈 생산과 미역 양식이 유명하고, 영화 친구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 여서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여서항 |
| 유형 | 국가어항 |
| 주소 |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 여서리, 여서도 |
| 지정일 | 1991년 1월 1일 |
| 관리청 | 해양수산부 서해어업관리단 |
| 시설 관리자 | 완도군수 |
| 위도 | 33.9873601 |
| 경도 | 126.9220032 |
2. 연혁
여서도는 신석기 시대 패총이 발견될 정도로 오래 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섬이다. 고려 시대에는 상서로운 섬으로 여겨졌다.[1] 일제강점기에는 태랑도로 불렸으며, 1945년 광복 이후 '천혜의 아름다운 섬'이라는 뜻의 여서도로 이름이 바뀌었다.[1] 1690년 진주 강씨가 처음 정착하였고, 완도의 다른 섬에 비해 왜적의 침입으로 인한 피해가 컸다고 전해진다.
여서항은 1992년 기본 시설 계획 수립과 함께 착공에 들어갔으며, 1993년 수리모형실험을 거쳐 2000년 정비계획을 수립, 제10차 공사를 추진했다.[2]
2. 1. 고대 및 고려 시대
여서도는 신석기 시대의 패총이 발견되는 등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섬이다. 고려 목종 때 이안사가 이곳을 지나다가 갑자기 안개에 휩싸이며, 뇌성벽력과 함께 섬 하나가 솟아 올랐는데, 고려 왕조의 상서로운 조짐으로 여겨 여서도라 불렸다.[1] (그러나 신석기 시대 패총이 발굴된 것으로 보아 그 시대에 이미 존재했을 것으로 보이는 섬이 고려 시대에 새로 생길 리가 있을지 의문스럽다.)2. 2. 일제 강점기 및 광복 이후
여서도는 일제 강점기에 태랑도로 불렸고 광복 이후 '천혜의 아름다운 섬' 이란 뜻에서 여서도로 개칭되었다.[1] 1690년 진주 강씨가 처음 들어와 정착하였다고 전해지며 완도의 다른 섬에 비해 왜적의 침입에 시달렸던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3. 여서항
여서항은 1992년 기본 시설 계획 수립과 함께 착공되었고, 1993년 수리모형실험을 거쳐 2000년 정비계획에 따라 제10차 공사가 추진되었다.
3. 1. 어항 구역
여서항의 어항 구역은 다음과 같다.[3][4]
4. 주요 어종
참조
[1]
서적
2011년 한국의 어항
농림수산식품부
2011-11-28
[2]
웹사이트
서해어업지도사무소 여서항 자료
http://westship.mifa[...]
[3]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지형도면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4]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육역)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