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성 만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성 만화는 일본과 한국의 만화 장르 중 하나로, 성인 여성을 주요 독자층으로 한다. 레이디스 코믹, 영 레이디스, 조세이 만화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며, 레이디스 코믹은 성인 여성을 위한 이성애 성애 만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 장르는 드라마, 로맨스, 포르노그래피 등 다양한 주제와 하위 장르를 포함하며, 평범한 여성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거나 로맨스 소설과 유사한 과장된 드라마를 다루기도 한다. 여성 만화는 소녀만화와 비교하여 성인적인 주제를 탐구하며, 소년만화 및 청년만화와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 만화 - 피스 오브 케이크
    조지 아사쿠라의 만화 《피스 오브 케이크》는 여성 만화 잡지에 연재된 후 동명의 영화와 연극으로 제작되었으며, 각색을 통해 만화의 설정을 바탕으로 다른 스토리와 등장인물을 보여준다.
  • 여성 만화 - 밤은 고양이와 함께
    큐루Z 작가의 만화 "밤은 고양이와 함께"는 고양이 큐루가와 그의 보호자 후타, 후타의 여동생 피짱의 일상 이야기로, 단행본 출판 및 스튜디오 ぷYUKAI 제작의 애니메이션 시리즈로도 제작되어 방영 및 유튜브에 공개되었으며 이토 카시타로가 부른 주제가가 특징이다.
여성 만화
개요
유형만화
대상 독자성인 여성
다른 이름여성 만화
레이디 코믹 (레디코미)
영 레이디스
특징
내용성적 묘사 수위 높음
여성의 심리 묘사에 집중
사회 비판적 내용 포함
주제여성의 사랑과 성
사회 생활
결혼과 가족
여성의 자아 찾기
역사
시작1980년대
초기'레이디 코믹'이라는 이름으로 등장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로맨스 만화
발전다양한 주제와 스타일의 작품 등장
사회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작품 증가
현재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접할 수 있음
웹툰, 전자책 등 새로운 형태의 작품 등장
대표 작품

2. 용어의 정의 및 혼란

일본 또는 대한민국의 만화 팬들 사이에서는 '''여성향 만화'''(女性向け漫画)를 ‘여성용 성애 만화’ 또는 ‘보이즈 러브 만화’로 이해하는 경우가 잦다. 이는 '''여성향(女性向け)'''이라는 표현이 1990년대 후반 일본 만화계 내부에서 일종의 속어가 되면서 일어난 의미 전이의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여성향(女性向け)’(또는 '''남성향(男性向け''')이라는 표현은 현대 일본어에서 이미 일반인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하는 구어로써 굳어졌으므로, 일반적인 의미로서 ‘성인 여성 취향’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옳을 듯하다.[36]

'''레이디스 코믹'''(레디스 코믹쿠/レディースコミック일본어, 약칭 '''레디코미/レディコミ일본어''') 또는 '''레이디스 코믹스'''(レディースコミックス)라는 일본식 영어 표현은 한때 일본 만화계에서 여성향 만화와 동의어로 혼용되었고, 대한민국에서도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만화지인 《투유》가 레이디스 코믹지를 표방하면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레이디스 코믹은 ‘성인 여성을 독자로 삼는 이성 성애 만화’라는 의미로 자리 잡았고, ‘성인 여성을 위한 보편적인 순정 만화’를 뜻하는 '''영 레이디스'''(얀구 레디스/ヤング・レディース일본어), 그리고 양자를 통칭하는 여성향 만화에는 19금 장르가 세부적으로 더 있다.[36]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만화를 설명하는 몇 가지 용어가 있다.

;レディースコミック/레이디스 코믹스일본어

:이 만화 범주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최초의 용어이다. "레이디스"가 "여성"의 동의어로 이해되는 ''일본식 영어'' 구문으로, 성인 대상 독자를 나타낸다. 이 용어는 1990년대에 저품질 및 포르노 만화와 연관되면서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지만,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의미는 약해졌다. 레이디스 코믹스의 줄임말은 이며, 일본에서는 이 줄임말이 이 만화 범주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ヤングレディース/영 레이디스일본어

:성인 여성을 위한 만화와 ''소녀만화'' 사이의 중간 범주를 나타내는 ''일본식 영어'' 용어이다.

;女性漫画/''조세이'' 만화일본어

:1990년대 후반 비평가와 학자들이 ''소녀만화''와 구별하기 위해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만화를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이다. 일반 일본 대중 사이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서양 독자들이 이 범주의 만화를 설명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여성 만화 잡지는 장르의 여명기에는 만화가의 일러스트가 아닌 인물 사진(백인 여성이 모델인 경우가 많음)이 사용되었고, 표지에는 "Lady's comic", "for Ladies"와 같은 캐치프레이즈가 적혔다. 하지만 여성향 성인 만화 잡지도 같은 형식을 사용했기 때문에, 특별히 구분되지 않고 양쪽 모두 레디스 코믹이라고 불렸다. 그 후 여성 만화 잡지는 만화가 일러스트 표지, 여성향 성인 만화지는 인물 사진 표지로 경향이 나뉘었지만, 여성향 성인 만화가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종종 과격한) 포르노"로 언론 등의 주목을 받으면서, 언론 등에 의해 "레디스 코믹이라고 하면 성 묘사"라는 말도 나오게 되었다. 양자는 현재 완전히 다른 장르로 확립되었지만, 여성 만화와 여성향 성인 만화를 통칭하여 레디코미라고 부르는 사람, 여성향 성인 만화만을 가리켜 레디코미라고 부르는 사람, 처음부터 양자의 구분이 없는 사람 등 아직 혼란이 보인다.

2. 1. 레이디스 코믹

레이디스 코믹(일본어: 레디스 코믹쿠/レディースコミック일본어)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만화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최초의 용어이다. "레이디스"가 "여성"의 동의어로 이해되는 ''와세이 에이고'' 구문으로, 성인 대상 독자를 나타낸다. 이 용어는 1990년대에 저품질 및 포르노 만화와 연관되면서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지만,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의미는 약해졌다. 레이디스 코믹스의 줄임말은 이며, 일본에서는 이 줄임말이 이 만화 범주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여성 만화 잡지는 장르의 여명기에는 만화가의 일러스트가 아닌 인물 사진(백인 여성이 모델인 경우가 많음)이 사용되었고, 표지에는 "Lady's comic", "for Ladies"와 같은 캐치프레이즈가 적혔다. 하지만 여성향 성인 만화 잡지도 같은 형식을 사용했기 때문에, 특별히 구분되지 않고 양쪽 모두 레디스 코믹이라고 불렸다. 그 후 여성 만화 잡지는 만화가 일러스트 표지, 여성향 성인 만화지는 인물 사진 표지로 경향이 나뉘었지만, 여성향 성인 만화가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종종 과격한) 포르노"로 언론 등의 주목을 받으면서, 언론 등에 의해 "레디스 코믹이라고 하면 성 묘사"라는 말도 나오게 되었다. 양자는 현재 완전히 다른 장르로 확립되었지만, 여성 만화와 여성향 성인 만화를 통칭하여 레디코미라고 부르는 사람, 여성향 성인 만화만을 가리켜 레디코미라고 부르는 사람, 처음부터 양자의 구분이 없는 사람 등 아직 혼란이 보인다.

성인 여성을 위한 만화와 ''소녀만화'' 사이의 중간 범주를 나타내는 ''와세이 에이고'' 용어인 얀구 레디스/영 레이디스일본어가 있다. 1990년대 후반 비평가와 학자들이 ''소녀만화''와 구별하기 위해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만화를 지칭하기 위해 조세이 망가/''조세이'' 만화일본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조세이 망가는 일반 일본 대중 사이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서양 독자들이 이 범주의 만화를 설명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2. 2. 영 레이디스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만화를 설명하는 몇 가지 용어가 있다.
레이디스 코믹스이 만화 범주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최초의 용어이다. "레이디스"가 "여성"의 동의어로 이해되는 와세이 에이고 구문으로, 성인 대상 독자를 나타낸다. 이 용어는 1990년대에 저품질 및 포르노 만화와 연관되면서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지만,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의미는 약해졌다. 레이디스 코믹스의 줄임말은 레디코미/レディコミ일본어이며, 일본에서는 이 줄임말이 이 만화 범주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영 레이디스성인 여성을 위한 만화와 소녀만화 사이의 중간 범주를 나타내는 와세이 에이고 용어이다.
조세이 만화1990년대 후반 비평가와 학자들이 소녀만화와 구별하기 위해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만화를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이다. 일반 일본 대중 사이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서양 독자들이 이 범주의 만화를 설명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2. 3. 여성향 만화와 여성 만화

일본 또는 대한민국의 만화 팬들 사이에서는 '''여성향 만화'''(女性向け漫画)를 ‘여성용 성애 만화’ 또는 ‘보이즈 러브 만화’로 이해하는 경우가 잦다. 이는 '''여성향(女性向け)'''이라는 표현이 1990년대 후반 일본 만화계 내부에서 일종의 속어가 되면서 일어난 의미 전이의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여성향(女性向け)’(또는 '''남성향(男性向け''')이라는 표현은 현대 일본어에서 이미 일반인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하는 구어로써 굳어졌으므로, 일반적인 의미로서 ‘성인 여성 취향’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옳을 듯하다.[36]

'''레이디스 코믹'''(レディースコミック, 약칭 '''레디코미'''(レディコミ)) 또는 '''레이디스 코믹스'''(レディースコミックス)라는 일본식 영어 표현은 한때 일본 만화계에서 여성향 만화와 동의어로 혼용되었고, 대한민국에서도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만화지인 《투유》가 레이디스 코믹지를 표방하면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레이디스 코믹은 ‘성인 여성을 독자로 삼는 이성 성애 만화’라는 의미로 자리 잡았고, ‘성인 여성을 위한 보편적인 순정 만화’를 뜻하는 '''영 레이디스'''(ヤング・レディース), 그리고 양자를 통칭하는 여성향 만화에는 19금 장르가 세부적으로 더 있다.[36]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만화를 설명하는 몇 가지 용어가 있는데, '''레이디스 코믹스'''(レディースコミック)는 이 만화 범주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최초의 용어이다. "레이디스"가 "여성"의 동의어로 이해되는 일본식 영어 구문으로, 성인 대상 독자를 나타낸다. 이 용어는 1990년대에 저품질 및 포르노 만화와 연관되면서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지만,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의미는 약해졌다. 레이디스 코믹스의 줄임말은 이며, 일본에서는 이 줄임말이 이 만화 범주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영 레이디스'''(ヤングレディース)는 성인 여성을 위한 만화와 소녀만화 사이의 중간 범주를 나타내는 일본식 영어 용어이다.

'''조세이 만화'''(女性漫画일본어)는 1990년대 후반 비평가와 학자들이 소녀만화와 구별하기 위해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만화를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이다. 일반 일본 대중 사이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서양 독자들이 이 범주의 만화를 설명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여성 만화 잡지는 장르의 여명기에는 만화가의 일러스트가 아닌 인물 사진(백인 여성이 모델인 경우가 많음)이 사용되었고, 표지에는 "Lady's comic", "for Ladies"와 같은 캐치프레이즈가 적혔다. 하지만 여성향 성인 만화 잡지도 같은 형식을 사용했기 때문에, 특별히 구분되지 않고 양쪽 모두 레디스 코믹이라고 불렸다. 그 후 여성 만화 잡지는 만화가 일러스트 표지, 여성향 성인 만화지는 인물 사진 표지로 경향이 나뉘었지만, 여성향 성인 만화가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종종 과격한) 포르노"로 언론 등의 주목을 받으면서, 언론 등에 의해 "레디스 코믹이라고 하면 성 묘사"라는 말도 나오게 되었다. 양자는 현재 완전히 다른 장르로 확립되었지만, 여성 만화와 여성향 성인 만화를 통칭하여 레디코미라고 부르는 사람, 여성향 성인 만화만을 가리켜 레디코미라고 부르는 사람, 처음부터 양자의 구분이 없는 사람 등 아직 혼란이 보인다.

3. 역사

1972년 후타바샤에서 발행된 『파피용』은 최초의 여성 만화 잡지였으나,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하고 몇 호 후에 폐간되었다. 시기상조였는지 상업적으로는 실패했다.

1975년에는 고단샤에서 『mimi』가 창간되었다. 현대의 구분으로는 영 레이디스 잡지에 해당하지만, 소녀 만화 세대보다 연장자인 독자에게 만화가 받아들여지는 기반을 만들었다. 1980년에는 슈에이샤에서 『YOU』가, 고단샤에서 『BE・LOVE』(창간 당시 잡지명은 『BE in LOVE』)가 여성향 종합 정보지에서 파생되는 형태로 창간되었다. 이 두 잡지는 현재에도 장르를 대표하는 유서 깊은 잡지이다. 1981년에는 빅 코믹의 증간으로 쇼가쿠칸에서 『빅 코믹 포 레이디』가 발행되었다. 이 세 잡지는 모두 소녀 만화 잡지의 특별판으로 시작하여 정기 간행물로 분사되었고, 성행위를 강조하는 로맨스 이야기에 편집상 중점을 두었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했다.

1980년대 후반이 되면서 장르로 정착된다. 소녀 만화를 읽고 자란 소녀들의 성장에 따른 수요 변화라는 면도 있지만, 오히려 1970년대 이전에 데뷔한 소녀 만화가가 고령화되어 소녀 만화 잡지에서 밀려난 베테랑 작가를 수용하고 싶다는 공급 측의 사정도 있었다. 대형 출판사에서는 영층, OL을 대상으로 특화된 잡지 등 여러 잡지가 발행되었고, 또한 지금까지 소녀 만화는 물론 만화 잡지 자체를 발행하지 않았던 출판사까지도 참전했으며, 또한 이때 성적 묘사를 주안점으로 한 잡지도 많이 창간되었다. 전대미문의 레이디 코믹 붐은 버블 경제의 붕괴로 종언을 고했으며, 많은 잡지가 도태되었다.

1968년 여성 잡지인 《Josei Seven》은 여성 독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극화 만화인 마키 미야코의 마슈코 반카/摩周湖晩夏일본어를 출판했다. 마키는 1950년대 후반에 데뷔한 소녀 만화가였으며, 원래 독자들이 성인이 되면서 극화로 전환했다. 그 직후 여성 극화를 전문으로 하는 두 개의 잡지가 창간되었다. 1969년 무시 프로덕션의 Fanī/ファニー일본어1972년 후타바샤의 Papiyon/パピヨン일본어이었지만, 두 잡지 모두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고, 몇 호 후에 폐간되었다.

여성 극화가 상업적으로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에는 24년 그룹의 작가들의 노력으로 소녀 만화가 크게 발전했다. 24년 그룹은 더욱 심리적으로 복잡하고, 정치 및 성적 주제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만화 이야기를 만들어 소녀 만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소녀 코믹의 편집자로서 24년 그룹의 여러 작품을 출판한 야마모토 준야는 1980년, 24년 그룹 멤버인 하구오 모토와 타케미야 케이코의 성인 중심 작품을 게재하며, 십 대 후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잡지 쁘띠 플라워의 창간 편집자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소녀 만화의 독자층은 기존의 어린이 독자에서 십 대와 젊은 여성 독자층으로 확대되었다.

성행위의 노골적인 묘사는 레이디스 코믹스의 특징이 되었고, 소녀 만화에서는 여전히 성적 묘사에 대한 편집상의 제한이 있었다. "포르노 시크" 이야기를 쓴 것으로 유명한 만화가 모리조노 밀크는 1980년대 가장 인기 있는 레이디스 코믹스 작가 중 한 명으로 부상했다. 레이디스 코믹스 잡지는 1980년대 후반에 급증하여 1984년 8개에서 1985년 19개로, 1991년에는 48개로 늘어났다. 1990년대에는 잃어버린 10년과 그에 따른 경제 위기로 인해 대규모 상업 출판된 레이디스 코믹스 잡지가 감소하면서, 성적이고 포르노그래피적인 내용에 초점을 맞춘 소규모 잡지가 급증했다. 결과적으로 레이디스 코믹스는 "여성 포르노그래피"라는 평판을 얻었다.

동시에, 20대 초반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만화 잡지가 등장했다. 1987년 영 유, 1990년 《영 로즈》, 1991년 필 영. 이 잡지에 실린 만화는 "영 레이디" 만화로 불리게 되었는데, 이는 세 잡지 모두의 제목에 "영"이라는 단어가 등장했기 때문이며, 만화 시장에서 소녀 만화와 레이디스 코믹스의 중간 범주로 자리 잡았다. 영 레이디 만화는 레이디스 코믹스와 관련된 낙인을 피하면서 더 나이든 독자를 위한 만화를 만들고 싶어하는 소녀 만화 작가들이 이 범주로 이동하면서 인기를 얻었다. 십 대의 사랑 또한 여성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화의 하위 장르로 등장했는데, 레이디스 코믹스의 성적 중심의 이야기 구조를 사용했지만, 성인이 아닌 십 대 주인공을 등장시켰다. 레이디스 코믹스 잡지는 이러한 새로운 경쟁에 대응하여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만화에 집중했다. 이 전략은 성공적이었고, 1990년대 후반까지 문학 장르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더 일반적인 독자를 유치하여, 여러 레이디스 코믹스 작품이 영화 및 텔레비전 시리즈로 각색되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주로 학자들이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만화를 소녀 만화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인 ''여성 만화''가 등장했다.

현재는 연애, 일 등 다양한 소재를 다루는 대형 발행 잡지, 각 장르에 특화되어 틈새 수요를 담당하는 중소 출판사 발행 잡지 등으로 분화되어 있다. 코믹스는 과거에는 청년 만화와 같은 B6판으로 출판되었지만, 2000년대부터는 신서판으로 발행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중소 출판사에서는 코믹스를 거치지 않고 문고화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잡지에 게재되는 것뿐으로 "그려 버리기"라고 비하되기도 한다.

''여성 만화''는 일반적으로 ''소녀'', ''청년'', ''소년'' 만화보다 인기가 적다. 2010년에는 유가 162,917부의 판매 부수를 기록하며 가장 많이 팔린 ''여성 만화'' 잡지였다. 반면, 그해 가장 많이 팔린 ''소녀'' 잡지(Ciao)는 745,455부, 가장 많이 팔린 ''청년'' 및 ''소년'' 잡지(주간 영 점프주간 소년 점프)는 각각 768,980부와 280만 부를 기록했다. 2000년대 이후 애니메이션은 ''여성 만화''가 주류 독자를 유치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여성 만화'' 시리즈인 파라다이스 키스 (1999), 토끼 드롭스 (2005), 치하야후루 (2007), 해파리 공주 (2008), 동쪽의 에덴 (2009)은 모두 인기 있는 애니메이션으로 시작하거나, 애니메이션으로 각색된 후 획기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3. 1. 일본 여성 만화의 역사

1972년 후타바샤에서 발행된 『파피용』은 최초의 여성 만화 잡지였으나,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하고 몇 호 후에 폐간되었다. 시기상조였는지 상업적으로는 실패했다.

1975년에는 고단샤에서 『mimi』가 창간되었다. 현대의 구분으로는 영 레이디스 잡지에 해당하지만, 소녀 만화 세대보다 연장자인 독자에게 만화가 받아들여지는 기반을 만들었다. 1980년에는 슈에이샤에서 『YOU』가, 고단샤에서 『BE・LOVE』(창간 당시 잡지명은 『BE in LOVE』)가 여성향 종합 정보지에서 파생되는 형태로 창간되었다. 이 두 잡지는 현재에도 장르를 대표하는 유서 깊은 잡지이다. 1981년에는 빅 코믹의 증간으로 쇼가쿠칸에서 『빅 코믹 포 레이디』가 발행되었다. 이 세 잡지는 모두 소녀 만화 잡지의 특별판으로 시작하여 정기 간행물로 분사되었고, 성행위를 강조하는 로맨스 이야기에 편집상 중점을 두었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했다.

1980년대 후반이 되면서 장르로 정착된다. 소녀 만화를 읽고 자란 소녀들의 성장에 따른 수요 변화라는 면도 있지만, 오히려 1970년대 이전에 데뷔한 소녀 만화가가 고령화되어 소녀 만화 잡지에서 밀려난 베테랑 작가를 수용하고 싶다는 공급 측의 사정도 있었다. 대형 출판사에서는 영층, OL을 대상으로 특화된 잡지 등 여러 잡지가 발행되었고, 또한 지금까지 소녀 만화는 물론 만화 잡지 자체를 발행하지 않았던 출판사까지도 참전했으며, 또한 이때 성적 묘사를 주안점으로 한 잡지도 많이 창간되었다. 전대미문의 레이디 코믹 붐은 버블 경제의 붕괴로 종언을 고했으며, 많은 잡지가 도태되었다.

1968년 여성 잡지인 《Josei Seven》은 여성 독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극화 만화인 마키 미야코의 마슈코 반카/摩周湖晩夏일본어를 출판했다. 마키는 1950년대 후반에 데뷔한 소녀 만화가였으며, 원래 독자들이 성인이 되면서 극화로 전환했다. 그 직후 여성 극화를 전문으로 하는 두 개의 잡지가 창간되었다. 1969년 무시 프로덕션의 Fanī/ファニー일본어1972년 후타바샤의 Papiyon/パピヨン일본어이었지만, 두 잡지 모두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고, 몇 호 후에 폐간되었다.

여성 극화가 상업적으로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에는 24년 그룹의 작가들의 노력으로 소녀 만화가 크게 발전했다. 24년 그룹은 더욱 심리적으로 복잡하고, 정치 및 성적 주제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만화 이야기를 만들어 소녀 만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소녀 코믹의 편집자로서 24년 그룹의 여러 작품을 출판한 야마모토 준야는 1980년, 24년 그룹 멤버인 하구오 모토와 타케미야 케이코의 성인 중심 작품을 게재하며, 십 대 후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잡지 쁘띠 플라워의 창간 편집자가 되었다.[1][2] 결과적으로 소녀 만화의 독자층은 기존의 어린이 독자에서 십 대와 젊은 여성 독자층으로 확대되었다.

성행위의 노골적인 묘사는 레이디스 코믹스의 특징이 되었고, 소녀 만화에서는 여전히 성적 묘사에 대한 편집상의 제한이 있었다. "포르노 시크" 이야기를 쓴 것으로 유명한 만화가 모리조노 밀크는 1980년대 가장 인기 있는 레이디스 코믹스 작가 중 한 명으로 부상했다. 레이디스 코믹스 잡지는 1980년대 후반에 급증하여 1984년 8개에서 1985년 19개로, 1991년에는 48개로 늘어났다. 1990년대에는 잃어버린 10년과 그에 따른 경제 위기로 인해 대규모 상업 출판된 레이디스 코믹스 잡지가 감소하면서, 성적이고 포르노그래피적인 내용에 초점을 맞춘 소규모 잡지가 급증했다. 결과적으로 레이디스 코믹스는 "여성 포르노그래피"라는 평판을 얻었다.

동시에, 20대 초반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만화 잡지가 등장했다. 1987년 영 유, 1990년 《영 로즈》, 1991년 필 영. 이 잡지에 실린 만화는 "영 레이디" 만화로 불리게 되었는데, 이는 세 잡지 모두의 제목에 "영"이라는 단어가 등장했기 때문이며, 만화 시장에서 소녀 만화와 레이디스 코믹스의 중간 범주로 자리 잡았다. 영 레이디 만화는 레이디스 코믹스와 관련된 낙인을 피하면서 더 나이든 독자를 위한 만화를 만들고 싶어하는 소녀 만화 작가들이 이 범주로 이동하면서 인기를 얻었다. 십 대의 사랑 또한 여성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화의 하위 장르로 등장했는데, 레이디스 코믹스의 성적 중심의 이야기 구조를 사용했지만, 성인이 아닌 십 대 주인공을 등장시켰다. 레이디스 코믹스 잡지는 이러한 새로운 경쟁에 대응하여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만화에 집중했다. 이 전략은 성공적이었고, 1990년대 후반까지 문학 장르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더 일반적인 독자를 유치하여, 여러 레이디스 코믹스 작품이 영화 및 텔레비전 시리즈로 각색되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주로 학자들이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만화를 소녀 만화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인 ''여성 만화''가 등장했다.

현재는 연애, 일 등 다양한 소재를 다루는 대형 발행 잡지, 각 장르에 특화되어 틈새 수요를 담당하는 중소 출판사 발행 잡지 등으로 분화되어 있다. 코믹스는 과거에는 청년 만화와 같은 B6판으로 출판되었지만, 2000년대부터는 신서판으로 발행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중소 출판사에서는 코믹스를 거치지 않고 문고화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잡지에 게재되는 것뿐으로 "그려 버리기"라고 비하되기도 한다.

''여성 만화''는 일반적으로 ''소녀'', ''청년'', ''소년'' 만화보다 인기가 적다. 2010년에는 유가 162,917부의 판매 부수를 기록하며 가장 많이 팔린 ''여성 만화'' 잡지였다. 반면, 그해 가장 많이 팔린 ''소녀'' 잡지(Ciao)는 745,455부, 가장 많이 팔린 ''청년'' 및 ''소년'' 잡지(주간 영 점프주간 소년 점프)는 각각 768,980부와 280만 부를 기록했다.[3] 2000년대 이후 애니메이션은 ''여성 만화''가 주류 독자를 유치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여성 만화'' 시리즈인 파라다이스 키스 (1999), 토끼 드롭스 (2005), 치하야후루 (2007), 해파리 공주 (2008), 동쪽의 에덴 (2009)은 모두 인기 있는 애니메이션으로 시작하거나, 애니메이션으로 각색된 후 획기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3. 2. 한국 여성 만화의 역사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예원문화사의 투유(1993년 ~ 1994년), 육영재단마인(1995년 ~ 1996년), 대원씨아이화이트(1995년 ~ 2001년), 서울문화사나인(1997년 ~ 2001년), 시공사케이크(1999년 ~ 2001년)와 비쥬(2002년 ~ 2004년) 및 오후(2003년 ~ 2004년), 허브허브(2004년 ~ 2006년), 절대교감그루(2008년 ~ 2010년) 등 여러 여성 만화 잡지가 출판되었다.

4. 주제 및 하위 장르

''여성 만화''의 주요 하위 장르에는 드라마, 로맨스, 포르노그래피가 있다. 2002년에는 드라마와 로맨스 작품이 전체 ''여성 만화'' 단행본 시장 판매량의 약 80%를 차지했고, 포르노그래피가 나머지 20%를 차지했다. 드라마와 로맨스 작품은 일반적으로 일본의 대형 출판사에서 발행되는 반면, 포르노그래피는 소규모 출판사에서 주로 출판된다.
드라마많은 ''여성 만화'' 드라마는 평범한 여성의 삶에 대한 사실주의적인 이야기이다.[4] 이러한 이야기는 일반적으로 특정 직업, 가장 흔하게는 주부, OL, 또는 핑크칼라 직업에 종사하는 여성 노동자에 초점을 맞춘다.[4] 서사는 일반적으로 데이트, 육아, 노인 돌봄, 미적 기준, 직장 문제, 부부 갈등 또는 불륜과 같은 일반적인 개인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많은 작품들은 또한 노화와 치매, 매춘, 또는 여성 폭력과 같은 사회적 문제도 다룬다.[4] 여성 만화는 또한 남성 주인공을 특징으로 하는데, 일반적으로 미소년 (문자 그대로 "아름다운 소년", 서양의 "미남"과 유사함)이 호모에로티시즘의 함축적 의미가 있는 이야기에 자주 등장한다.[4]

이 이야기는 때때로 독자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며, 독자가 자신의 삶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를 제출하도록 적극적으로 초대하고, 제출물이 만화로 각색되도록 선택되면 대가를 받는다.[4] 여성 만화 잡지는 종종 이혼[4], 질병[4], 그리고 성형수술과 같은 특정 주제에 전념하는 특별호를 출판한다.[4] 이러한 주제별 호에는 가끔 만화가 아닌 칼럼이 포함되어 해당 호에서 다루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4] 사회학자 이토 킨코는 여성 만화 드라마가 독자보다 더 큰 고난을 겪고 있는 캐릭터를 묘사함으로써 독자에게 카타르시스의 한 형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만화 학자 오기 후사미는 여성 만화 드라마가 여성 독자를 위한 롤 모델과 잠재적인 삶의 방식을 제시한다고 생각한다.[4]
로맨스''여성 만화'' 로맨스는 일반적으로 ''여성 만화'' 드라마의 현실성을 피하고, 대신 멜로드라마나 할리퀸 로맨스 소설의 과장된 드라마와 더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출판사 오조라 출판은 ''여성 만화''로 각색된 할리퀸 소설을 출판한다. 이야기는 종종 한 여성이 다양한 모험을 시작하고 결국 결혼하는 백마 탄 왕자와 같은 남자를 만나는 등 일반적인 로맨스 소설의 이야기 공식을 따른다. 주인공과 파트너 사이의 성적인 만남은 흔하며, 로맨틱 판타지 테마는 종종 배경(외국이나 역사적 배경)이나 영웅적인 주인공(왕자와 공주, 유령,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사람들 등)을 통해 나타난다. 게이와 트랜스젠더 캐릭터와 같은 다양한 성적 정체성도 이러한 이야기에서 나타난다. ''여성 만화'' 로맨스는 어린 독자와 나이 많은 독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며, 많은 이야기가 후리가나를 읽기 보조로 광범위하게 사용한 것으로 보아 십 대 소녀들을 대상으로 한다.
포르노그래피포르노그래피적 ''여성 만화''는 이성애 남성 독자를 위한 포르노그래피 만화와 많은 공통점을 공유하지만, 이야기는 일반적으로 남성이 아닌 여성의 관점에서 쓰여진다. 여성의 지배와 대상화와 같은 이성애 포르노그래피의 일반적인 특징은 포르노그래피 ''여성 만화''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포르노그래피 ''여성 만화''의 일반적인 이야기 공식은 수줍고 지적인 여성이 색정광이나 성 노예로 변하는 것이다. 레즈비언 관계 또한 포르노그래피 ''여성 만화''에 등장하며, 이는 ''여성 만화''의 레즈비언 독자층을 시사한다. 만화 학자 데보라 섀문은 여성 독자를 위한 포르노그래피 ''여성 만화''의 매력은 그려진 포르노그래피가 여성의 오르가즘과 같이 영화로 찍은 포르노그래피에서는 쉽게 묘사할 수 없는 주제를 묘사할 수 있는 능력에 있다고 본다.

4. 1. 드라마

많은 ''여성 만화'' 드라마는 평범한 여성의 삶에 대한 사실주의적인 이야기이다.[4] 이러한 이야기는 일반적으로 특정 직업, 가장 흔하게는 주부, OL, 또는 핑크칼라 직업에 종사하는 여성 노동자에 초점을 맞춘다.[4] 서사는 일반적으로 데이트, 육아, 노인 돌봄, 미적 기준, 직장 문제, 부부 갈등 또는 불륜과 같은 일반적인 개인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많은 작품들은 또한 노화와 치매, 매춘, 또는 여성 폭력과 같은 사회적 문제도 다룬다.[4] 여성 만화는 또한 남성 주인공을 특징으로 하는데, 일반적으로 미소년 (문자 그대로 "아름다운 소년", 서양의 "미남"과 유사함)이 호모에로티시즘의 함축적 의미가 있는 이야기에 자주 등장한다.[4]

이 이야기는 때때로 독자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며, 독자가 자신의 삶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를 제출하도록 적극적으로 초대하고, 제출물이 만화로 각색되도록 선택되면 대가를 받는다.[4] 여성 만화 잡지는 종종 이혼[4], 질병[4], 그리고 성형수술과 같은 특정 주제에 전념하는 특별호를 출판한다.[4] 이러한 주제별 호에는 가끔 만화가 아닌 칼럼이 포함되어 해당 호에서 다루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4] 사회학자 이토 킨코는 여성 만화 드라마가 독자보다 더 큰 고난을 겪고 있는 캐릭터를 묘사함으로써 독자에게 카타르시스의 한 형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만화 학자 오기 후사미는 여성 만화 드라마가 여성 독자를 위한 롤 모델과 잠재적인 삶의 방식을 제시한다고 생각한다.[4]

4. 2. 로맨스

''여성 만화'' 로맨스는 일반적으로 ''여성 만화'' 드라마의 현실성을 피하고, 대신 멜로드라마나 할리퀸 로맨스 소설의 과장된 드라마와 더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출판사 오조라 출판은 ''여성 만화''로 각색된 할리퀸 소설을 출판한다. 이야기는 종종 한 여성이 다양한 모험을 시작하고 결국 결혼하는 백마 탄 왕자와 같은 남자를 만나는 등 일반적인 로맨스 소설의 이야기 공식을 따른다. 주인공과 파트너 사이의 성적인 만남은 흔하며, 로맨틱 판타지 테마는 종종 배경(외국이나 역사적 배경)이나 영웅적인 주인공(왕자와 공주, 유령,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사람들 등)을 통해 나타난다. 게이와 트랜스젠더 캐릭터와 같은 다양한 성적 정체성도 이러한 이야기에서 나타난다. ''여성 만화'' 로맨스는 어린 독자와 나이 많은 독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며, 많은 이야기가 후리가나를 읽기 보조로 광범위하게 사용한 것으로 보아 십 대 소녀들을 대상으로 한다.

4. 3. 포르노그래피

포르노그래피적 ''여성 만화''는 이성애 남성 독자를 위한 포르노그래피 만화와 많은 공통점을 공유하지만, 이야기는 일반적으로 남성이 아닌 여성의 관점에서 쓰여진다. 여성의 지배와 대상화와 같은 이성애 포르노그래피의 일반적인 특징은 포르노그래피 ''여성 만화''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포르노그래피 ''여성 만화''의 일반적인 이야기 공식은 수줍고 지적인 여성이 색정광이나 성 노예로 변하는 것이다. 레즈비언 관계 또한 포르노그래피 ''여성 만화''에 등장하며, 이는 ''여성 만화''의 레즈비언 독자층을 시사한다. 만화 학자 데보라 섀문은 여성 독자를 위한 포르노그래피 ''여성 만화''의 매력은 그려진 포르노그래피가 여성의 오르가즘과 같이 영화로 찍은 포르노그래피에서는 쉽게 묘사할 수 없는 주제를 묘사할 수 있는 능력에 있다고 본다.

5. 다른 만화 장르와의 비교

5. 1. 소녀만화

신조 마유는 ''josei''와 ''shōjo'' 만화를 모두 집필한 여러 작가 중 한 명이다.


1980년대에 ''josei'' 만화가 처음 등장했을 때, 일, 성, 결혼 후의 삶과 같은 성인적인 주제를 탐구함으로써 ''shōjo'' 만화와 차별화되었으며, "더 이상 ''shōjo''가 아닌" 여성 독자층을 대상으로 했다. 만화 학자 후지모토 유카리는 ''josei'' 만화가 ''shōjo'' 만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더 환상적인 이야기와 비교하여 현실성에 초점을 맞춘 것을 주요 특징으로 꼽는다. ''shōjo'' 만화의 주인공은 배우, 모델, 음악가인 반면, ''josei'' 만화에서는 평범한 직장 여성이다. 후지모토는 또한 결혼에 대한 묘사가 범주를 나누는 주요 경계선이라고 보며, ''shōjo''는 결혼 전의 삶을, ''josei''는 결혼 후의 삶을 묘사한다.

영 레이디스 만화가 등장한 이후, 범주 간의 구분이 점점 더 모호해졌다. 모든 연령대의 주인공들이 ''shōjo''와 ''josei'' 만화 모두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shōjo'' 이야기에는 성인 주인공이 등장하고 ''josei'' 이야기에는 십 대 및 어린 캐릭터가 등장한다. 성적인 묘사가 있는 이야기는 ''Sho-Comi''와 같은 ''shōjo'' 만화 잡지에서 출판되었으며, 반면 ''Monthly Flowers''와 같은 일부 ''josei'' 잡지에서는 성적인 내용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편집 수준에서, 여성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화를 분류하는 데 일관된 기준은 없으며, 용어와 범주는 수십 년, 출판사 및 잡지에 따라 다르다. 2000년대 이후, 슈에이샤고단샤와 같은 일부 대형 출판사들은 여성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만화 잡지를 단일 범주로 묶었다. 더 크고 비싼 책이 전통적으로 성인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제목에 할당되는 ''단행본''의 형식도 공식적인 규칙을 따르지 않으며, 성인 만화는 작고 저렴한 형식으로 판매되고 청소년 만화는 큰 형식으로 판매된다.

작가가 동시에 ''shōjo''와 ''josei'' 만화를 제작하는 것은 흔하며, 오자키 마리/おかざき真里일본어, 아사쿠라 조지, 신조 마유는 여러 범주에서 작품을 제작하는 수많은 작가 중 일부이다. 이러한 역동성은 작가가 일반적으로 한 범주에서만 작품을 제작하고 범주를 전환하는 작가가 거의 다시 돌아오지 않는 ''shōnen'' 및 ''seinen'' 만화와 대조된다.

5. 2. 소년만화 및 청년만화

미네쿠라 카즈야의 ''최유기''는 '쇼넨' 잡지인 ''월간 G 판타지''에서 연재되었지만, 속편인 ''최유기 리로드''는 '조세이' 잡지인 ''월간 코믹 제로섬''에서 출판되었다. 아카츠카 후지오의 1962년 만화 시리즈인 ''오소마츠 군''은 원래 ''주간 소년 선데이''에서 연재되었지만, 2015년에 애니메이션 시리즈 ''Mr. 오소마츠''로 리부트되면서 만화 스핀오프는 '조세이' 잡지인 ''You''와 ''Cookie''에서 출판되었다. ''코믹 북 리소스''의 앤서니 그라무글리아는 ''루팡 3세'' 미디어 프랜차이즈의 일부인 애니메이션 시리즈 ''루팡 3세: 후지코 마인의 여자''를 '세이넨' 만화의 주목할 만한 '조세이' 각색 작품으로 꼽았다.

참조

[1] 웹사이트 Hagio Moto, une artiste au cœur du manga moderne https://www.du9.org/[...] 2021-01-27
[2] 간행물 Keiko Nishi: Parcours de combatantes Custom Publishing France 2019-09-01
[3] 웹사이트 2010 Japanese Manga Magazine Circulation Numbers https://www.animenew[...] 2022-03-18
[4] 웹사이트 How to Identify the Basic Types of Anime and Manga https://kotaku.com/h[...] 2022-03-18
[5] 웹사이트 BE・LOVE - 講談社AD STATION (2020年時点のキャッシュ) https://web.archive.[...] 講談社
[6] 간행물 集英社 MEDIA GUIDE 2020 広告媒体資料 https://adnavi.shuei[...] 集英社 2020-01-01
[7] 문서 白泉社より創刊された『SERIE』など
[8] 웹사이트 May https://iss.ndl.go.j[...]
[9] 웹사이트 May familiar https://iss.ndl.go.j[...]
[10] 웹사이트 ねこぱんち https://iss.ndl.go.j[...]
[11] 웹사이트 Eleganceイブ https://iss.ndl.go.j[...]
[12] 웹사이트 Office you = オフィスユー https://iss.ndl.go.j[...]
[13] 웹사이트 Jour : すてきな主婦たち https://iss.ndl.go.j[...]
[14] 웹사이트 Eve special for Mrs. https://iss.ndl.go.j[...]
[15] 웹사이트 フォアミセス = For Mrs https://iss.ndl.go.j[...]
[16] 웹사이트 Lady's comic sakura https://iss.ndl.go.j[...]
[17] 웹사이트 Sakura https://iss.ndl.go.j[...]
[18] 웹사이트 サクラ : 愛の物語 https://iss.ndl.go.j[...]
[19] 웹사이트 Sakura mystery https://iss.ndl.go.j[...]
[20] 웹사이트 サクラミステリー https://iss.ndl.go.j[...]
[21] 웹사이트 ミステリーサラ = Mystery sara : 動物たちの事件簿+ https://iss.ndl.go.j[...]
[22] 웹사이트 まんがグリム童話 https://iss.ndl.go.j[...]
[23] 웹사이트 15の愛情物語 https://iss.ndl.go.j[...]
[24] 웹사이트 看護師ものがたり https://iss.ndl.go.j[...]
[25] 웹사이트 50代からの私たち https://iss.ndl.go.j[...]
[26] 웹사이트 ドラマチック愛と涙 = Dramatic love and tear https://iss.ndl.go.j[...]
[27] 웹사이트 You https://iss.ndl.go.j[...]
[28] 웹사이트 幸せな結婚 = Comic happy wedding https://iss.ndl.go.j[...]
[29] 웹사이트 Silky = シルキー https://iss.ndl.go.j[...]
[30] 웹사이트 デジール https://iss.ndl.go.j[...]
[31] 웹사이트 デジールSP : デジールスペシャル https://iss.ndl.go.j[...]
[32] 웹사이트 Judy https://iss.ndl.go.j[...]
[33] 웹사이트 フィール https://iss.ndl.go.j[...]
[34] 웹사이트 Me https://iss.ndl.go.j[...]
[35] 웹사이트 For lady https://iss.ndl.go.j[...]
[36] 웹사이트 レディースコミック https://ja.wiki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