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로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멜로드라마는 음악과 드라마를 결합한 공연 양식으로, 1784년 영어에 처음 등장했으며 프랑스어에서 유래했다. 멜로드라마는 사실주의와 복잡한 관계를 가지며, 평범한 사람이 비범한 사건에 휘말리는 모습을 그리거나 과장된 인물을 등장시키기도 한다. 19세기 자본주의의 부상과 함께 발전했으며, 18세기에는 모노드라마와 듀오드라마 형태로 시작하여 오페레타, 부수 음악 등으로 확장되었다. 영화에서는 인간 감정의 위기를 다루는 하위 장르로 발전하여, 더글러스 서크와 같은 거장 감독들의 작품을 통해 멜로드라마 영화의 정점을 이루었다. 멜로드라마는 현재 서구권에서는 덜 흔하지만, 아시아와 히스패닉 국가를 중심으로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여전히 널리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라마 장르 - 비극
비극은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 극 형식으로, 시대와 문화를 거쳐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셰익스피어 시대의 가정 비극을 거쳐 현대에는 사회적, 개인적 고통을 탐구하고, 아리스토텔레스, 헤겔 등의 이론으로 연구되며, 일상적인 실패나 재난을 묘사하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 드라마 장르 - 희비극
희비극은 비극과 희극의 요소를 결합한 연극 장르로,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하여 르네상스 시대에 발전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매체에서 사회 비판이나 인간 심리 탐구 등의 주제를 다루는 데 활용된다. - 드라마 - 희비극
희비극은 비극과 희극의 요소를 결합한 연극 장르로,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하여 르네상스 시대에 발전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매체에서 사회 비판이나 인간 심리 탐구 등의 주제를 다루는 데 활용된다. - 드라마 - 메이크도라마
메이크도라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극적인 역전 우승을 묘사하는 신조어로, 1995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 의지를 담아 처음 사용했으며, 1996년 요미우리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통해 사회적 유행어가 되었고, 2016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퍼시픽 리그에서 역전 우승을 달성하며 재조명되었다. - 연극 장르 - 도덕극
도덕극은 인간 영혼의 갈등을 추상적 개념의 의인화된 등장인물로 표현하여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는 중세 유럽의 종교극에서 발전한 연극으로, 르네상스 시대 연극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사회에 전통적 가치관과 현대 사회의 도덕적 문제에 대한 성찰 기회를 제공한다. - 연극 장르 - 희비극
희비극은 비극과 희극의 요소를 결합한 연극 장르로,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하여 르네상스 시대에 발전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매체에서 사회 비판이나 인간 심리 탐구 등의 주제를 다루는 데 활용된다.
멜로드라마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장르 | 연극,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라디오 드라마, 소설, 오페라 |
특징 | 과장된 줄거리와 등장인물, 감정에 호소 |
기원 | 프랑스의 18세기 후반 연극 |
관련 용어 | 멜로, 막장 드라마 |
역사 | |
18세기 후반 | 프랑스 연극에서 기원 |
19세기 | 대중적인 연극 장르로 발전 |
20세기 | 영화와 텔레비전으로 확장 |
현대 | 다양한 매체에서 사용 |
특징 | |
줄거리 | 감정적이고 과장된 이야기 전개 |
등장인물 | 선과 악의 대립이 뚜렷한 단순한 인물 구도 |
감정 | 슬픔, 기쁨, 분노 등 강렬한 감정 표현 강조 |
음악 | 감정 고조를 위한 음악 효과 사용 |
시각적 요소 | 과장된 표현과 극적인 연출 |
도덕적 교훈 | 권선징악적인 결말 |
관련 용어 및 장르 | |
멜로 | 멜로드라마의 감정적인 측면을 강조한 용어 |
막장 드라마 | 멜로드라마의 과장된 요소를 극대화한 드라마 |
오페라 | 이탈리아어로 '멜로드라마'를 의미 |
비판 | |
과장된 감정 | 현실성이 부족하고 비현실적이라는 비판 |
단순한 인물 구도 | 입체적이지 못하고 평면적이라는 비판 |
억지 설정 | 지나치게 자극적이고 비논리적이라는 비판 |
기타 | |
프랑스어 | mélodrame |
이탈리아어 | melodramma |
독일어 | Melodram |
스페인어 | Melodrama |
2. 어원
멜로드라마(Melodrama)라는 용어는 1784년 영어에 처음 등장했으며(1782년에는 "melo drame"로 표기)[3], 프랑스어 멜로드람/mélodrame프랑스어(1772년경)[3]에서 유래했다. 이는 그리스어 멜로스/μέλοςel(노래 또는 음악)와 프랑스어 드람/drame프랑스어(드라마)에서 파생된 것이다.[4][5][6]
멜로드라마는 사실주의와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다. 멜로드라마는 평범한 사람이 비범한 사건에 휘말리는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거나, 과장되고 비현실적인 인물을 등장시키기도 한다. 멜로드라마는 높은 감정과 극적인 표현을 통해 "억압에 대한 승리"를 나타낸다.[7] 빅토리아 시대 후기와 에드워드 시대의 멜로드라마는 무대 세트와 소품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면서도, 인물과 줄거리는 비사실적으로 묘사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 시대의 멜로드라마는 "믿을 수 없고 비범한 장면 묘사에 있어 신뢰할 수 있는 정확성"을 추구했다.[8] 소설가 윌키 콜린스는 선정적인 줄거리 속에서도 법적 문제와 같은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인 것으로 유명하다.
3. 특징
멜로드라마는 피해자 중심의 서사를 펼친다.[9] 예를 들어, "악한 유혹자"에 의해 가족을 떠나도록 부추겨지는 남자와 같이 선과 악 사이의 갈등을 제시한다.[9] "타락한 여성", 미혼모, 고아 등 전형적인 인물들은 현대 사회의 영향 속에서 가족과 사회 문제를 겪는다.[9] 멜로드라마는 가정이라는 맥락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검토하며, 여성 관객뿐만 아니라 남성 관객도 가정 내에서 해결되는 긴장감을 보여주는 것을 즐길 수 있다.[9] 멜로드라마는 일반적으로 이상적이고 향수적인 시대를 회상하며 "금지된 갈망"을 강조한다.[9]
멜로드라마는 19세기 자본주의의 부상과 관련이 깊다. 프랑스 낭만극과 감상적인 소설은 영국과 프랑스 모두에서 인기를 얻었다.[9] 이러한 극과 소설은 가정 생활, 사랑, 결혼과 관련된 도덕적 규범에 초점을 맞추었고, 프랑스 혁명, 산업 혁명, 그리고 현대화로의 전환에 의해 제기된 문제들을 반영했다.[9] 많은 멜로드라마는 귀족 악당으로부터 원치 않는 성적 접근을 경험하는 중산층 젊은 여성에 관한 것이었으며, 성폭행은 계급 갈등의 은유였다.[9] 멜로드라마는 귀족 권력자와 빈곤한 노동 계급 "폭도" 모두를 두려워했던 중산층의 산업혁명 이후 불안감을 반영했다.[9]
멜로드라마 영화는 현대 사회의 풍속을 생생하게 그리는 동시에, 등장인물은 제작자나 관객의 성(性)에 대한 인식과 사회관을 구현하는 존재이기에 영화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42] 미국 멜로드라마 영화의 정점을 찍은 더글러스 서크는 "피해자 의식・희생자의 입장 (victimhood)"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47] 등장인물들은 경제적 불평등이나 봉건적인 편견 등 사회 전체의 압력으로 표현되는 장애에 부딪히고, 그것을 극복하지 못하고 고투하는 모습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48] 이러한 상황 속에서 마음의 움직임을 영상으로 표현하려는 과정에서 할리우드 영화는 다양한 표현 기법을 습득하게 되었다.[47]
미국 영화에서는 현재에도 활발하게 멜로드라마 작품이 제작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화 감독 토드 헤인즈가 더글러스 서크의 멜로드라마 작품들을 자세히 분석하여, 카메라 워크와 구도를 의도적으로 모방한 『파 넘어』(2002)를 제작하는 등, 멜로드라마 영화는 새로운 창작의 발상지로 남아 있다.[49]
4. 유형
4. 1. 18세기 기원: 모노드라마와 듀오드라마
멜로드라마는 18세기 후반 연극과 오페라의 중간 장르로 등장했으며, 말로 하는 낭독과 짧은 반주 음악을 결합한 형태였다.[10] 음악과 대사는 일반적으로 번갈아 등장했지만, 음악은 때때로 판토마임의 반주로도 사용되었다.[10] 배우가 한 명이면 모노드라마, 두 명이면 듀오드라마라고 불렸다.[10][52]
멜로드라마의 초기 예로는 J. E. 에버린의 라틴어 학교 연극 ''시기스문두스''(1753)의 장면들이 있다.[10]최초의 완전한 멜로드라마는 장 자크 루소의 모노드라마 ''피그말리온''이었는데,[10] 텍스트는 1762년에 쓰여졌고, 1770년 리옹에서 처음 공연되었다.[10][11][12] 루소는 서곡과 안단테를 작곡했지만, 대부분의 음악은 오라스 코니에가 작곡했다.[11][12] 안톤 슈바이처는 1772년 바이마르에서 루소의 ''피그말리온''을 다른 음악으로 편곡하여 공연했고, 괴테는 ''시와 진실''에서 이에 대해 찬사를 보냈다.[13]
18세기 4/4분기에 독일에서는 약 30편의 다른 모노드라마가 제작되었다.[14] 게오르크 벤다는 그의 듀오드라마 ''낙소스의 아리아드네''(1775)와 ''메데이아''(1775)로 특히 성공을 거두었다.[10] 벤다의 멜로드라마의 엄청난 성공은 모차르트를 포함한 다른 작곡가들로 하여금 유사한 작품을 작곡하게 만들었다.[10][55] 모차르트는 벤다의 음악에 대해 찬사를 보냈고, 나중에 그의 오페라 ''자이데''(1780)에서 두 개의 긴 멜로드라마 독백을 사용했다.[10][55]
이후 더 잘 알려진 오페라에서의 멜로드라마 스타일의 예로는 베토벤의 ''피델리오''(1805)의 무덤 파는 장면과 베버의 ''마탄의 사수''(1821)의 주술 장면이 있다.[10][13][56] 엑토르 베를리오즈의 ''레리오''는 멜로드라마 기법을 오페라가 아닌 교향곡에 응용한 것이다.[52]
19세기에 들어서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시를 낭독하는 실내악 버전의 멜로드라마가 인기를 얻게 되었고,[54] 프란츠 슈베르트의 「이 세상과의 작별」, 로베르트 슈만의 「아름다운 헤트비히」, 프란츠 리스트의 「슬픈 수도사」 등 걸작이 많이 만들어졌다.[55]
4. 2. 19세기: 오페레타, 부수음악, 살롱 엔터테인먼트
19세기 초, 오페라의 영향으로 많은 연극에서 서곡과 삽입음악이 작곡되었다. 1820년, 프란츠 슈베르트는 G. 폰 호프만의 희곡에 음악을 붙인 멜로드라마 "마법의 하프"를 작곡했다. 1826년, 펠릭스 멘델스존은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 꿈"에 대한 서곡을 작곡했고, 나중에 삽입음악을 제공했다.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에서 비올레타는 알프레도의 아버지로부터 편지를 받고 말하는 목소리로 편지 내용을 낭송하고, 오케스트라는 1막에서 두 사람의 첫 사랑을 표현했던 음악을 다시 연주하는데, 이것이 멜로드라마의 기술적인 측면이다.
빅토리아 시대에는 기존의 희곡에 대사 아래 "삽입음악"을 추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 ("에그몬트")과 프란츠 슈베르트 ("로자문데") 시대에 이미 이러한 작곡 스타일이 행해졌다. 설리번의 테니슨의 "포레스터" 삽입음악은 여러 멜로드라마를 포함하고 있다.[17][18]
몇몇 오페레타는 말하는 대사 아래 연주되는 음악이라는 의미에서 멜로드라마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길버트 앤 설리번의 "루디고어"는 2막에 짧은 "멜로드라마"가 있고,[19] 자크 오펜바흐의 "지옥의 오르페우스"는 "여론"이라는 인물이 전달하는 멜로드라마로 시작한다. 러너와 로위의 "브리가둔"의 몇몇 긴 대사들은 감동적인 음악 반주와 함께 전달된다. 이 기법은 19세기와 20세기 모두 스페인 사르수엘라에서 자주 사용되었으며,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그림자 없는 여인"에서처럼 오페라에서 "특수 효과"로도 계속 사용되었다.
19세기에는 피아노 반주에 맞춰 시를 낭독하는 실내악 버전의 멜로드라마가 인기를 얻었다.[54] 슈베르트의 「이 세상과의 작별」, 슈만의 「아름다운 헤트비히」, 리스트의 「슬픈 수도사」 등 걸작이 많이 만들어졌다.[55] 같은 시기 이탈리아에서는 특히 오페라에서 음악보다 대사를 중시하는 작곡 기법을 “멜로드람마(Melodramma)”라고 불렀다.[52]
19세기 말, 멜로드라마라는 용어는 거의 전적으로 특정한 살롱 오락 장르, 즉 리듬감 있게 말하는 단어들을 음악 반주에 맞춰 동기화하는 것으로 좁혀졌다. 로베르트 슈만 ("선언을 위한 발라드")[22]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에녹 아덴)의 작품이 예외이지만, 덜 유명한 작가와 작곡가들을 위한 장르로 여겨졌다.
4. 3. 체코
체코 민족 부흥 운동의 맥락에서 멜로드라마는 1870년대부터 제1차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시기까지 체코 예술가들에게 특별한 민족주의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52] 이러한 멜로드라마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19세기 학자이자 비평가인 오타카르 호스틴스키(Otakar Hostinský)에 의해 형성되었는데, 그는 이 장르를 음악사에 독특하게 "체코"적인 기여로 간주했다.[52] 이러한 정서는 많은 체코 작곡가들이 카렐 야로미르 에르벤(Karel Jaromír Erben)의 『꽃다발(Kytice)』과 같은 체코 낭만시에 기반한 멜로드라마를 작곡하도록 자극했다.
낭만주의 작곡가인 즈데네크 피비히(Zdeněk Fibich)는 체코어 낭송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수단으로 이 장르를 옹호했다. 그의 멜로드라마 『성탄절(Štědrý den)』(1874)과 『물귀신(Vodník)』(1883)은 리듬의 지속 시간을 사용하여 말하는 단어와 반주를 정확히 일치시켰다. 피비히의 주요 업적은 야로슬라브 브르흘리츠키(Jaroslav Vrchlický)의 텍스트를 바탕으로 한 3부작 장편 무대 멜로드라마인 『히포다미아(Hippodamie)』(1888~1891)이다. 세기 전환기 요제프 수크(Josef Suk)의 주요 기여는 율리우스 자이어(Julius Zeyer)의 2막극을 위한 멜로드라마, 즉 『라두즈와 마훌레나(Radúz a Mahulena)』(1898)와 『사과나무 아래(Pod Jabloní)』(1901)이다.
피비히와 수크의 사례에 따라 카렐 코바르조비츠(Karel Kovařovic), 오타카르 오스트르칠(Otakar Ostrčil), 라디슬라프 비츠팔렉(Ladislav Vycpálek), 오타카르 예레미아슈(Otakar Jeremiáš), 에밀 악스만(Emil Axman), 얀 젤린카(Jan Zelinka) 등이 민족 부흥 운동의 시를 바탕으로 멜로드라마를 작곡했다. 비테즐라프 노바크(Vítězslav Novák)는 1923년 오페라 『랜턴(Lucerna)』에 멜로드라마의 일부를 포함시켰고, 야로슬라프 예젝(Jaroslav Ježek)은 해방극장(Osvobozené divadlo)의 희곡에 멜로드라마 형식의 주요 장면을 작곡했다. 체코 멜로드라마의 관행은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보호령(Protectorate of Bohemia and Moravia) 시대 이후 쇠퇴했다.
4. 4. 빅토리아 시대
빅토리아 시대의 멜로드라마는 영웅, 악당, 여주인공, 노년의 부모, 조력자, 그리고 노년의 부모의 하인 등 여섯 가지의 전형적인 등장인물을 특징으로 하며, 사랑과 살인이라는 주제를 담은 흥미진진한 줄거리를 선보였다.[23] 종종 착하지만 어리석은 영웅은 교활한 악당에게 속고, 악당은 곤경에 처한 여주인공에게 눈독을 들이다가 결국 운명의 개입으로 선이 악을 이기는 승리를 거두게 된다.[23] 두 가지 중심적인 특징은 극적인 반전(coup de théàtre)과 관객의 박수를 "강요"하는 영웅의 절박한 연설인 클랩트랩(claptrap)이었다.[24]
영국의 멜로드라마는 중세 시대의 신비극(mystery plays)과 도덕극(morality plays)에 의해 확립된 대중극의 전통에서 진화했으며, 이탈리아 코메디아 델라르테(commedia dell'arte)뿐만 아니라 독일 슈투름 운트 드랑(Sturm und Drang) 극과 프랑스 혁명 이후의 파리 멜로드라마의 영향을 받았다.[25] 주목할 만한 프랑스 멜로드라마 작가로는 픽세레쿠르가 있는데, 그의 작품 ''두 남편의 아내(La Femme à deux maris)''는 매우 인기가 있었다.[26]
멜로드라마 또는 '멜로드람'이라고 불린 최초의 영국 연극은 토마스 홀크로프트의 ''신비의 이야기(A Tale of Mystery)''(1802)였다. 이것은 고딕 장르의 한 예였으며, 그 이전의 극적인 예로는 매슈 그레고리 루이스의 ''성의 유령(The Castle Spectre)''(1797)이 있었다. 다른 고딕 멜로드라마에는 아이작 포콕의 ''밀러와 그의 부하들(The Miller and his Men)''(1813), 새뮤얼 아놀드의 ''숲꾼의 오두막(The Woodsman's Hut)''(1814), 그리고 윌리엄 다이몬드의 ''부러진 검(The Broken Sword)''(1816)이 포함된다.
고딕 장르를 대체하여 다음으로 인기를 얻은 하위 장르는 해양 멜로드라마였는데, 더글러스 제롤드가 그의 ''검은 눈의 수전(Black-Eyed Susan)''(1829)에서 개척했다. 다른 해양 멜로드라마에는 제롤드의 ''노어의 반란(The Mutiny at the Nore)''(1830)과 에드워드 핏츠볼의 ''붉은 해적(The Red Rover)''(1829)이 포함된다 (Rowell 1953).[23] 도시 상황을 바탕으로 한 멜로드라마는 19세기 중반에 인기를 얻었는데, 여기에는 디온 부시코의 ''런던의 거리(The Streets of London)''(1864)와 와츠 필립스의 ''런던에서 길을 잃다(Lost in London)''(1867)가 포함되며, 감옥 멜로드라마, 절주 멜로드라마, 제국주의 멜로드라마도 등장했다. 후자는 일반적으로 '착한' 원주민, 용감하지만 사악한 원주민, 그리고 배신하는 원주민이라는 세 가지 유형의 등장인물을 특징으로 한다.[27]
1860년대와 1870년대의 세인세이션 소설은 멜로드라마 각색을 위한 비옥한 소재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도 멜로드라마적이다. 이 장르의 주목할 만한 예로는 엘리자베스 브래든의 ''레이디 오들리의 비밀(Lady Audley's Secret)''이 있는데, 이 작품은 조지 로버츠와 C.H. 헤이즐우드에 의해 두 가지 다른 버전으로 각색되었다. 윌키 콜린스의 소설은 멜로드라마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인 ''흰옷의 여자''는 일부 현대 비평가들에 의해 "그 시대의 가장 훌륭한 멜로드라마"로 여겨진다.[28]
악당은 종종 멜로드라마의 중심 인물이며, 범죄는 가장 좋아하는 주제였다. 여기에는 버크와 헤어의 살인 행각, 스위니 토드(최초로 조지 디브딘 핏의 ''진주 목걸이(The String of Pearls)''(1847)에 등장), 붉은 헛간에서의 마리아 마르텐 살인 사건, 그리고 스프링힐드 잭의 기이한 악행이 포함되었다. 석방된 죄수의 불행은 톰 테일러의 센세이셔널한 ''가석방자''(1863)의 주제이다.
18세기를 통해 유럽 전역으로 이러한 상연 형태가 퍼지면서 음악의 역할은 축소되었고, 관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정적인 고전극과는 달리 파란만장한 줄거리와 대사가 강조되었다. 특히 프랑스에서는 당시 유행하던 괴기소설을 소재로, 유령이나 요괴, 산적 등이 공포심을 자극하는 줄거리가 선호되었다.[36] 영국에서는 토머스 홀크로프트(Thomas Holcroft)의 『기적의 이야기[39]』(1802)가 초기 멜로드라마 상연의 예로 여겨진다.[40]
대부분의 드라마는 극단적으로 과장되었고, 사랑하는 남녀 앞에 가혹한 장애물과 악역이 등장하는 패턴을 취했다. 이야기는 도덕적이고 감상적이며, 등장인물은 선악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유형화되었다.[36] 이러한 이야기극이 유행하면서 각 극장은 앞다투어 무대 장치와 의상의 화려함을 겨루었고, 유행은 미국에도 파급되었다. 유럽과 미국에서 이와 유사한 작품이 대량 생산되면서 "멜로드라마"는 상연 형식을 가리키는 말에서 틀에 박힌 통속적인 이야기를 의미하는 말로 변해갔다.[36]
5. 영화
멜로드라마 영화는 드라마 영화의 하위 장르로, 관객의 고조된 감정에 호소하는 줄거리가 특징이다. 멜로드라마 영화는 일반적으로 인간 감정의 위기, 실패한 연애 또는 우정, 긴장된 가족 관계, 비극, 질병, 신경증, 또는 정신적, 육체적 고난을 포함하는 줄거리를 사용한다. 멜로드라마 영화에 등장하는 전형적인 캐릭터는 피해자, 연인, 덕망 있고 영웅적인 캐릭터, 그리고 고통받는 주인공(대개 여주인공이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엄청난 사회적 압력, 위협, 억압, 두려움, 있을 법하지 않은 사건 또는 친구, 지역 사회, 직업, 연인 또는 가족과의 어려움에 직면한다. 전형적인 멜로드라마 형식에 따라, 등장인물들은 어려움을 헤쳐나가고 문제를 극복한다.
줄거리의 긴장감을 형성하는 일반적인 요소는 등장인물들이 가정이나 작은 마을과 같은 전형적인 멜로드라마의 가정적인 영역에 갇힌 느낌을 받는 것이다. 영화 제작자들은 멜로드라마 영화의 일관된 배경을 확장하기 위해 종종 회상 기법을 추가한다.
- 영화 속 멜로드라마의 인기
영화 보급 초기부터 멜로드라마는 특히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어 무성영화 시대부터 활발히 제작되었다.[41] D.W. 그리피스의 낙화(1919), 동방으로의 길(1920), 폭풍의 고아(1922)는 초기 멜로드라마 영화의 성공 사례로 꼽힌다.[42]
유성영화 시대에는 남녀 간 대화를 통해 심리 변화를 표현하는 작품들이 등장했는데, 조지 큐커의 춘희(1936)와 킹 비더의 스텔라 달라스(1937) 등이 대표적이다.[43]
영국의 게인즈버러 멜로드라마는 1940년대에 큰 성공을 거두었다. 게인즈보로 픽처스는 다수의 멜로드라마 영화를 제작하여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고, 유럽에서 멜로드라마 촬영 기법과 이야기 연출의 전형으로 자리 잡으며 "게인즈보로 멜로드라마"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44]
- 멜로드라마의 거장, 더글러스 서크
독일에서 할리우드로 이주한 영화 감독 더글러스 서크는 1950년대에 수많은 멜로드라마 걸작을 남겼다.[45] 특히 《천국은 모든 것을 용서하리라(1955)와 《별들도 잠 못 이루는 밤(1956)은 카메라 움직임과 미묘한 대사 전달을 통해 등장인물의 복잡한 심리 상태를 표현했다.[45] 이러한 특징은 후대 영화 연구에서 재평가되면서 서크는 미국 멜로드라마 영화를 대표하는 감독 중 한 명으로 여겨지게 되었다.[46]
미국 멜로드라마 영화의 정점을 찍은 더글러스 서크는 "피해자 의식・희생자의 입장 (victimhood)"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 큰 특징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47] 등장인물이 어떤 장애에 부딪히고, 그것을 극복하지 못하고 고투하는 모습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러한 장애는 경제적 불평등이나 봉건적인 편견 등 사회 전체의 압력으로 표현되고, 해결책 또한 여러 가지 이유로 막히기 때문에, 등장인물들은 벽 앞에서 고통만 계속 당한다.[48] 이러한 상황 속에서 마음의 움직임을 영상으로 표현하려는 과정에서 할리우드 영화는 다양한 표현 기법을 습득하게 되었다.[47]
많은 후대의 멜로드라마 감독들이 서크와 그의 작품을 중요한 영향으로 언급한다.
- 대표적인 멜로드라마 영화
폭풍의 언덕(1939),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39), 애수(1939) 등이 대표적인 멜로드라마 영화로 꼽힌다.[50] 1940년대에는 영국의 게인즈버러 멜로드라마가 성공을 거두었으며, 1950년대에는 더글러스 서크 감독의 《모든 것을 허락하는 하늘》(1955)과 《바람에 쓴 편지》(1956)가 이 장르를 대표한다.
1970년대에는 라인하르트 베르너 파스빈더가 멜로드라마 장르에 기여했는데, 《사계절의 상인》(1971)과 《어머니 퀴스터는 천국으로 간다》(1975)에서는 계급을, 《페트라 폰 칸트의 쓴 눈물》(1972)에서는 성적 지향과 공생 의존을, 《공포는 영혼을 먹는다》(1974)에서는 인종차별, 외국인 혐오, 노인 혐오를 다루었다. 1980년대에는 《번지점프를 하라》(1983) 등의 미국 "여성" 멜로드라마가 부활했다.
1990년대 멜로드라마는 알코올 중독, 가정 폭력, 강간 등의 영향을 묘사하여 미국 여성 시청자를 겨냥했다. 토드 헤인즈의 영화 《파 프롬 헤븐》(2002), 《캐롤》(2015), 《메이 12월》(2023)은 멜로드라마에 대한 최근의 시도이다.[34]
일반적으로 멜로드라마의 대표작으로 여겨지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50]
제목 | 원제 | 감독 | 개봉 연도 |
---|---|---|---|
폭풍의 언덕 | 'Withering Heights' | 윌리엄 와일러 | 1939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Gone With The Wind' | 빅터 플레밍 | 1939 |
애수 | 'Waterloo Bridge' | 머빈 르로이 | 1939 |
젊은 시절 | 'Meet Me in St. Louis' | 빈센트 미넬리 | 1944 |
만남 | 'Brief encounter' | 데이비드 린 | 1945 |
슬픔은 하늘색이다 | 'Imitation of Life' | 더글러스 서크 | 1959 |
마디슨 카운티의 다리 | 'The Bridges of Madison County' | 클린트 이스트우드 | 1995 |
나의 비밀의 꽃 | 'The Flower of My Secret' | 페드로 알모도바르 | 1995 |
브로크백 마운틴 | 'Brokeback Mountain' | 리 안 | 2005 |
5. 1. 영화 속 멜로드라마의 인기
영화 보급 초기부터 멜로드라마는 특히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어 무성영화 시대부터 활발히 제작되었다.[41] D.W. 그리피스의 낙화(1919), 동방으로의 길(1920), 폭풍의 고아(1922)는 초기 멜로드라마 영화의 성공 사례로 꼽힌다.[42]
유성영화 시대에는 남녀 간 대화를 통해 심리 변화를 표현하는 작품들이 등장했는데, 조지 큐커의 춘희(1936)와 킹 비더의 스텔라 달라스(1937) 등이 대표적이다.[43]
영국의 게인즈버러 멜로드라마는 1940년대에 큰 성공을 거두었다. 게인즈보로 픽처스는 다수의 멜로드라마 영화를 제작하여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고, 유럽에서 멜로드라마 촬영 기법과 이야기 연출의 전형으로 자리 잡으며 "게인즈보로 멜로드라마"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44]
5. 2. 멜로드라마의 거장, 더글러스 서크
독일에서 할리우드로 이주한 영화 감독 더글러스 서크는 1950년대에 수많은 멜로드라마 걸작을 남겼다.[45] 특히 《천국은 모든 것을 용서하리라(1955)와 《별들도 잠 못 이루는 밤(1956)은 카메라 움직임과 미묘한 대사 전달을 통해 등장인물의 복잡한 심리 상태를 표현했다.[45] 이러한 특징은 후대 영화 연구에서 재평가되면서 서크는 미국 멜로드라마 영화를 대표하는 감독 중 한 명으로 여겨지게 되었다.[46]미국 멜로드라마 영화의 정점을 찍은 더글러스 서크는 "피해자 의식・희생자의 입장 (victimhood)"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 큰 특징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47] 등장인물이 어떤 장애에 부딪히고, 그것을 극복하지 못하고 고투하는 모습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러한 장애는 경제적 불평등이나 봉건적인 편견 등 사회 전체의 압력으로 표현되고, 해결책 또한 여러 가지 이유로 막히기 때문에, 등장인물들은 벽 앞에서 고통만 계속 당한다.[48] 이러한 상황 속에서 마음의 움직임을 영상으로 표현하려는 과정에서 할리우드 영화는 다양한 표현 기법을 습득하게 되었다.[47]
많은 후대의 멜로드라마 감독들이 서크와 그의 작품을 중요한 영향으로 언급한다.
5. 3. 대표적인 멜로드라마 영화
폭풍의 언덕(1939),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39), 애수(1939) 등이 대표적인 멜로드라마 영화로 꼽힌다.[50] 1940년대에는 영국의 게인즈버러 멜로드라마가 성공을 거두었으며, 1950년대에는 더글러스 서크 감독의 《모든 것을 허락하는 하늘》(1955)과 《바람에 쓴 편지》(1956)가 이 장르를 대표한다.1970년대에는 라인하르트 베르너 파스빈더가 멜로드라마 장르에 기여했는데, 《사계절의 상인》(1971)과 《어머니 퀴스터는 천국으로 간다》(1975)에서는 계급을, 《페트라 폰 칸트의 쓴 눈물》(1972)에서는 성적 지향과 공생 의존을, 《공포는 영혼을 먹는다》(1974)에서는 인종차별, 외국인 혐오, 노인 혐오를 다루었다. 1980년대에는 《번지점프를 하라》(1983) 등의 미국 "여성" 멜로드라마가 부활했다.
1990년대 멜로드라마는 알코올 중독, 가정 폭력, 강간 등의 영향을 묘사하여 미국 여성 시청자를 겨냥했다. 토드 헤인즈의 영화 《파 프롬 헤븐》(2002), 《캐롤》(2015), 《메이 12월》(2023)은 멜로드라마에 대한 최근의 시도이다.[34]
일반적으로 멜로드라마의 대표작으로 여겨지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50]
제목 | 원제 | 감독 | 개봉 연도 |
---|---|---|---|
폭풍의 언덕 | 'Withering Heights' | 윌리엄 와일러 | 1939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Gone With The Wind' | 빅터 플레밍 | 1939 |
애수 | 'Waterloo Bridge' | 머빈 르로이 | 1939 |
젊은 시절 | 'Meet Me in St. Louis' | 빈센트 미넬리 | 1944 |
만남 | 'Brief encounter' | 데이비드 린 | 1945 |
슬픔은 하늘색이다 | 'Imitation of Life' | 더글러스 서크 | 1959 |
마디슨 카운티의 다리 | 'The Bridges of Madison County' | 클린트 이스트우드 | 1995 |
나의 비밀의 꽃 | 'The Flower of My Secret' | 페드로 알모도바르 | 1995 |
브로크백 마운틴 | 'Brokeback Mountain' | 리 안 | 2005 |
6. 대한민국에서의 멜로드라마
대한민국에서는 멜로드라마가 '눈물 짜는 영화'라는 의미로 통용된다.[57] 1955년에 상영된 자유부인은 그 당시의 시대 풍조를 그린 작품이었으며, 이후 멜로드라마가 한국 영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57] 1956년에 제작된 극영화 30편 중 16편이 멜로드라마였고, 1957년에는 37편 중 26편을 차지했다.[57]
7. 현대적 응용
현대에는 고전적인 멜로드라마가 서구권의 텔레비전과 영화에서 과거만큼 흔하지 않다.[29] 그러나 아시아와 히스패닉 국가들을 중심으로 다른 지역에서는 여전히 널리 인기를 얻고 있다.[30] 멜로드라마는 라틴 아메리카 텔레비전 드라마(텔레노벨라)와 아시아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사용되는 주요 장르 중 하나이다. 특히 베네수엘라, 멕시코,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브라질과 대한민국, 일본, 타이완, 중국, 파키스탄, 태국, 인도, 터키 그리고 (히스패닉 문화와 아시아 문화가 융합된) 필리핀에서 주요 장르로 사용된다. 이들 국가의 해외 거주자 공동체는 시청률에 세계 시장을 제공한다.[31]
참조
[1]
웹사이트
Melodrama
https://literaryterm[...]
2019-03-14
[2]
서적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Balzac, Henry James, Melodrama, and the Mode of Excess
Yal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melodrama (n.)
https://www.etymonli[...]
2024-09-15
[4]
서적
Random House Webster's College Dictionary
Random House
[5]
서적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 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oughton Mifflin
[7]
서적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Balzac, Henry James, Melodrama, and the Mode of Excess
Yale University Press
[8]
서적
Melodrama and Modernity: Early Sensational Cinema and Its Contexts
Columbia University Press
[9]
서적
Cinema Studies: The Key Concepts
Routledge
[10]
서적
Harvard Dictionary of Music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Macmillan
[12]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Macmillan
[13]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Grove's Dictionaries
[14]
웹사이트
Monodrama
[1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British Theat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11-23
[16]
서적
A Companion to Restoration Drama
Blackwell
[17]
웹사이트
The Foresters
http://diamond.boise[...]
[18]
웹사이트
The Foresters - Act I Scene II
http://www.gsarchive[...]
[19]
웹사이트
'Ruddigore': Dialogue following No. 24
http://www.gsarchive[...]
[20]
웹사이트
'The Sorcerer': No. 4: Recitative & Minuet
http://www.gsarchive[...]
[21]
웹사이트
The golden age of the Boulevard du Crime
http://www.theatreon[...]
[22]
웹사이트
3 Ballads for Declamation, Opp.106, 122 (Schumann, Robert)
https://imslp.org/wi[...]
[23]
서적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The Victorian Peri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Literary Churchill: Author, Reader, Actor
Yale University Press
2015
[25]
서적
Theatre in the Victorian 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26]
서적
Naploleon: The Myth of the Saviour
Methuen
[27]
서적
The Literary Churchill
Yale
[28]
서적
The Woman in White (Introduction)
Penguin
1974
[29]
서적
Anatomy of Criticism
Princeton
[30]
서적
The Literary Churchill
Yale
[31]
서적
I Heard My Country Calling
[32]
서적
The Age of Melodramatic Miniseries: When Glamour Ruled on Television, 1980-1995
McFarland and Co
[33]
뉴스
Agnes Browne (period drama)
https://www.variety.[...]
1999-05-31
[34]
웹사이트
Outgrowing Melodrama: On Todd Haynes's "May December"
https://lareviewofbo[...]
2024-02-15
[35]
학술지
All that Almodóvar Allows
http://www.tandfonli[...]
2013-12
[36]
서적
Melodrama
New York Literary Forum
[37]
서적
Melodrama and Empire
Cambridge UP
[38]
서적
Encountering Melodrama
Cambridge UP
[39]
서적
A Tale of Mystery: A Melo-drame
https://books.google[...]
[40]
서적
A History of English Drama, 1660–1900. Vol. 4, Early Nineteenth Century Drama, 1800–1850
Cambridge UP
[41]
서적
melodrama
Oxford UP
[42]
서적
Dickens, Griffith, and Film Theory Today
Duke UP
[43]
서적
Melodrama: Stage, Picture, Screen
British Film Institute
[44]
웹사이트
BFI Screenonline: Gainsborough Melodrama
http://www.screenonl[...]
2020-05-23
[45]
서적
Imitations of Life: A Reader on Film and Television Melodrama
Wayne State UP
[46]
서적
‘It Will Be a Magnificent Obsession’: The Melodrama’s Role in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Film Theory
British Film Institute
[47]
서적
Fire and Fury: Observations on the Family Melodrama
U. of Texas Pr.
[48]
논문
Theories of Melodrama: A Feminist Perspective
[49]
논문
Melodrama, Sickness, and Paranoia: Todd Haynes and the Woman's Film
[50]
웹사이트
Melodramas Films
https://www.filmsite[...]
2020-05-23
[51]
서적
図解音楽辞典
白水社
[52]
백과사전
Melodrama, Origin and Development
Wiley
[53]
백과사전
Melodrama
Harvard University Press
[54]
서적
Melodrama
Methuen
[55]
서적
The Melodramatic Moment : Music and Theatrical Culture, 1790-1820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6]
논문
The Joining of Words and Music in Late Romantic Melodrama
[57]
백과사전
멜로드라마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이재원, 드라마 '백번의 추억' 출연…카사노바 버스기사 변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