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663년~166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663년~1664년)은 트란실바니아의 폴란드 침공을 계기로 발발하여,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제국 간에 벌어진 전쟁이다. 1663년 오스만 군의 헝가리 침공으로 시작되어, 1664년 장크트고트하르트 전투에서 합스부르크 군이 승리했으나, 바스바르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이 트란실바니아와 노베잠키에 대한 지배권을 유지하면서 종결되었다. 이 조약은 헝가리 귀족들의 불만을 야기하여 즈린스키-프란코판 반란을 초래했으며, 1683년 빈 전투 이후 대투르크 전쟁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 17세기 철학
    17세기 철학은 새로운 자연과학의 등장으로 인간관과 가치관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기계론적 자연관이 발전하고 대륙합리론과 경험론으로 대표된다.
  • 17세기 - 장기전 (오스만 전쟁)
    1593년부터 1606년까지 합스부르크 군주국과 오스만 제국 간에 벌어진 장기전은 비하치 함락으로 시작되어 비엔나 점령을 노린 오스만과 헝가리 왕국 탈환을 시도한 합스부르크 간의 충돌로, 왈라키아의 미하이 용감공 활약, 바나트 봉기, 신성 동맹 결성 등을 거쳐 지트바토로크 조약으로 합스부르크-오스만 국경 안정 및 트란실바니아 독립 확인으로 마무리되었다.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663년~1664년) - [전쟁]에 관한 문서
전쟁 개요
분쟁 명칭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663년~1664년)
전체 전쟁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시기1663년 4월 12일 – 1664년 8월 10일
장소헝가리 왕국 (현재의 헝가리, 슬로바키아, 크로아티아)
결과오스만 제국의 승리
세부 결과바츠바르 조약 체결
오스만 제국, 트란실바니아의 오라데아 유지 및 헝가리 왕국으로부터 노베잠키 획득
바흐강을 따라 합스부르크 요새 건설 및 20년 휴전 합의
교전 세력
교전국 1합스부르크 군주국
연합군 1신성 로마 제국
작센 선제후국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바이에른 선제후국
슈타이어마르크 공국
카르니올라 공국
피에몬테-사보이아
라인 연맹
바덴-바덴
슈바벤
프랑스 왕국
헝가리 왕국
크로아티아 왕국
교전국 2오스만 제국
연합군 2크림 칸국
지휘관
지휘관 1라이몬도 몬테쿠콜리
미클로시 즈리니
장 드 콜리니-살리니
장-루이 라뒤트 드 수슈
지휘관 2파질 아흐메트 파샤
병력 규모
병력 1신성 로마 제국 82,700명 (연간 평균)
세부 병력 1신성 로마 제국 31,700명, 합스부르크 51,000명
프랑스6,000명
병력 2100,000명
피해 규모
피해 120,000명 이상
피해 28,000–10,000명
추가 피해 214,000–22,000명

2. 서막

전쟁의 주요 원인은 트란실바니아의 공작 죄르지 라코치 2세가 오스만 제국의 승인 없이 1657년 폴란드를 침공한 사건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트란실바니아는 모하치 전투 이후 오스만의 종주권을 인정하고 조공을 바치는 대가로 정치적, 종교적 자치를 누리고 있었다. 오스만 제국은 라코치 2세의 독단적인 행동에 대응하여 트란실바니아를 공격했고, 대 비지르 쾨프륄뤼 메흐메드 파샤는 라코치 군대를 격파하고 트란실바니아를 정복했다. 새로운 공작 야노슈 케메니는 으로 망명하여 오스트리아에 도움을 요청했다.

황제 레오폴트 1세는 트란실바니아가 오스만의 직접 지배하에 놓이는 것을 막기 위해 라이몬도 몬테쿠콜리가 이끄는 군대를 헝가리로 파견했다. 그러나 이 군대는 수적 열세와 현지에서의 어려움에 직면했다.

한편, 크로아티아의 반인 미클로스 즈리니는 1661년부터 노비즈린 요새를 거점으로 오스만 영토에 대한 습격을 감행하며 오스트리아와 오스만 제국 간의 새로운 충돌을 유도하고자 했다. 이러한 즈리니의 활동과 오스트리아 군대의 주둔은 결국 오스만 제국이 1606년 지트바토로크 조약 이후 유지되던 현상 유지를 깨고 전쟁을 결심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2. 1. 트란실바니아 문제

이 전쟁의 직접적인 원인은 1657년 트란실바니아의 공작 죄르지 라코치 2세가 오스만 제국의 허락 없이 폴란드를 침공한 데 있었다. 트란실바니아는 1526년 모하치 전투 이후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했으며, 오스만 제국에 조공을 바치는 대가로 정치적, 종교적 자치를 누리고 있었다. 라코치의 독단적인 전쟁 소식을 들은 오스만 제국은 봉신국인 트란실바니아에 전쟁을 선포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대 비지르 쾨프륄뤼 메흐메드 파샤(재위 1656–1661)는 라코치를 격파하고 트란실바니아를 정복했다. 새로운 트란실바니아 공작으로 추대된 야노슈 케메니는 오스트리아의 지원을 요청하며 으로 도망쳤다.

황제 레오폴트 1세는 트란실바니아가 오스만 제국의 직접적인 지배하에 놓이는 것을 원치 않아, 라이몬도 몬테쿠콜리에게 10,000명의 병력을 주어 헝가리로 보냈다. 그러나 몬테쿠콜리의 군대는 수적으로 열세였고, 트란실바니아 현지 주민들의 반감을 샀으며 질병과 궁핍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한편, 크로아티아의 반인 미클로스 즈리니는 크로아티아와 헝가리를 오스만 지배에서 해방시키고자 1661년부터 자신의 요새인 노비즈린(헝가리어: ''Zrínyiújvár'')을 거점으로 오스만 영토에 대한 습격을 감행하며 새로운 오스트리아-오스만 분쟁을 유도하려 했다. 이러한 습격과 오스트리아 군대의 주둔은 결국 오스만 제국이 1606년 지트바토로크 조약 이후 유지되던 오스트리아와의 현상 유지를 깨고 전쟁에 나서게 만들었다.

2. 2. 오스만 제국의 팽창 정책

라이몬도 몬테쿠콜리 백작


노비 즈린 포위전


1663년 여름,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 쾨프뤼뤼 파즐 아흐메트가 이끄는 10만 명이 넘는 군대가 합스부르크령 헝가리로 진격했다. 이들은 같은 해 9월 에르세크우이바르(현재의 슬로바키아 노베잠키)를 점령했다.

이에 맞서는 합스부르크 제국 측 사령관 라이몬도 몬테쿠콜리는 초기에는 약 12,000명의 병력과 니콜라 즈린스키가 이끄는 15,000명의 헝가리-크로아티아 연합 병력만으로 오스만 군대에 대항해야 했다.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1세는 1663년 1월 제국 의회를 소집하여 독일을 비롯한 유럽 각국에 지원을 요청했다. 그의 요청은 성공적이어서 바이에른, 브란덴부르크, 작센 등에서 총 30,000명의 병력이 파견되었다. 심지어 전통적인 합스부르크의 경쟁자였던 프랑스 왕국루이 14세마저 장 드 콜리니-살리니가 지휘하는 6,000명의 지원군을 보냈다.

에르세크우이바르(노베잠키) 점령 이후, 오스만 군대와 동맹인 크림 칸국 군대는 모라비아 지역까지 침입했다. 이들의 침략으로 동부와 남부 모라비아는 큰 피해를 입었으며, 브세틴, 우헤르스키 브로트, 우헤르스케 흐라디슈테, 호도닌, 브르제츨라프, 후스토페체 등 여러 도시가 약탈당했다. 이 과정에서 수천 명의 모라비아 주민들이 학살당했으며, 약 4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포로로 잡혀 노예로 팔려나갔다.

2. 3. 합스부르크 제국의 대응



1663년 여름, 대 비지르 쾨프륄뤼 파즐 아흐메드가 이끄는 10만 명의 오스만 군대가 합스부르크령 헝가리로 진격하여 9월에는 에르세크우이바르(Nové Zámky)를 점령했다.[1] 이에 맞서는 합스부르크 사령관 라이몬도 몬테쿠콜리 백작은 자신의 병력 12,000명과 니콜라 즈린스키가 이끄는 헝가리-크로아티아 군대 15,000명만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위협에 직면하여 레오폴트 1세 황제는 이미 1663년 1월 레겐스부르크에서 제국 의회(Imperial Diet)를 소집하여 독일 제후들과 다른 유럽 국가들에게 군사적 지원을 요청했다. 황제의 요청은 성공적이어서, 바이에른, 브란덴부르크, 작센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들이 총 30,000명의 병력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심지어 합스부르크 가문의 오랜 경쟁자였던 프랑스루이 14세마저 장 드 콜리니-살리니가 지휘하는 6,000명의 군단을 파견하여 오스만 제국에 맞서는 연합 전선에 힘을 보탰다.

2. 4. 미클로스 즈리니의 역할

크로아티아의 반이었던 니콜라 7세 즈린스키는 크로아티아헝가리오스만 제국의 지배로부터 해방시키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이를 위해 그는 1661년부터 자신의 요새인 노비 즈린(헝가리어: ''Zrínyiújvár'')을 거점으로 삼아 오스만 제국 영토에 대한 지속적인 습격 작전을 조직하고 실행했다. 이러한 군사 활동은 오스트리아와 오스만 제국 사이에 새로운 전쟁을 일으키려는 의도적인 행동이었다.

즈린스키의 이러한 공세적인 활동과 더불어, 몬테쿠콜리가 이끄는 오스트리아 군대가 헝가리에 주둔하게 되면서 오스만 제국을 자극하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오스만 제국은 1606년 지트바토로크 조약 체결 이후 오스트리아와 유지해오던 현상 유지 정책을 파기하고 전쟁을 선택하게 되었다. 즈린스키의 적극적인 군사 행동은 결과적으로 오랜 평화 상태를 깨고 새로운 전쟁 국면을 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셈이다.

3. 1663년 전역



1663년 여름,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 쾨프뤼뤼 파즐 아흐메트는 10만 명이 넘는 대규모 병력을 이끌고 합스부르크령 헝가리로 진격했다. 오스만 군대는 파죽지세로 나아가 9월에는 전략적 요충지인 노베잠키(에르세크우이바르)를 점령하였다.

당시 합스부르크 군대의 사령관이었던 라이몬도 몬테쿠콜리 백작이 직접 지휘하는 병력은 12,000명에 불과했다. 여기에 미콜로스 즈리니가 이끄는 헝가리-크로아티아 병력 15,000명을 합쳐도 오스만 대군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1세는 1663년 1월 제국 의회를 소집하여 독일의 제후들과 다른 유럽 군주들에게 긴급히 도움을 요청했다. 다행히 그의 호소는 결실을 맺어, 바이에른, 브란덴부르크, 작센 등에서 총 30,000명의 지원군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오랜 기간 합스부르크 가문과 경쟁 관계에 있던 프랑스루이 14세마저 장 드 콜리니-살리니가 지휘하는 6,000명의 정예 프랑스 군단을 지원군으로 파견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당시 오스만 제국의 위협이 유럽 전체에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여졌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3. 1. 모라비아 침공

1663년 노베 잠키(에르세크우이바르)를 점령한 후, 오스만 투르크크림 칸국 연합군은 모라비아를 침략했다. 이 침략으로 동부 및 남부 모라비아 지역은 크게 황폐화되었다. 특히 Vsetín, Uherský Brod, Uherské Hradiště, Hodonín, Břeclav, Hustopeče 등의 마을이 오스만 군대에 의해 약탈당했다. 이 과정에서 수천 명의 모라비아 주민들이 살해되었으며, 오스만 군대는 약 40,000명에 달하는 주민들을 포로로 잡아 노예로 삼았다.

4. 1664년 전역

1664년 초, 제국군은 총 66,500명의 병력을 세 개의 주요 군단과 예비군으로 나누어 배치했다. 남부군은 미클로시 즈리니(Miklós Zrínyi) 휘하의 17,000명, 중앙군은 라이몬도 몬테쿠콜리(Raimondo Montecuccoli) 휘하의 28,500명, 북부군은 장 루이 라두 드 수쉐(Jean-Louis Raduit de Souches) 휘하의 8,500명으로 구성되었고, 12,500명은 요새 수비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이 대규모 연합군은 지휘관들, 특히 즈리니와 몬테쿠콜리 사이의 심각한 의견 대립으로 인해 효과적인 통합 작전을 펼치기 어려웠다. 즈리니는 독자적으로 오스만 영토 깊숙이 공세를 감행하여 일부 성과를 거두기도 했으나, 주요 목표였던 너지커니저(Nagykanizsa) 점령에는 실패했다.

이후 쾨프륄뤼 파즐 아흐메드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군대가 반격에 나서 즈리니의 요새인 노비 즈린(Novi Zrin)을 포위했다. 몬테쿠콜리는 병력 열세 등을 이유로 적극적인 구원에 나서지 않았고, 결국 노비 즈린은 오스만군에 함락되었다. 이러한 합스부르크 지휘부의 소극적인 대응과 노비 즈린의 상실은 헝가리와 크로아티아 귀족들의 큰 불만을 야기했으며, 이는 훗날 즈린스키-프란코판 음모(Zrinski–Frankopan conspiracy)가 발생하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4. 1. 즈리니의 공세

1664년 초, 제국군은 세 갈래로 나뉘어 오스만 제국에 대한 공세를 준비했다. 남부군은 미클로시 즈리니(Miklós Zrínyi)가 이끄는 17,000명의 헝가리-크로아티아군, 중앙군은 라이몬도 몬테쿠콜리가 이끄는 28,500명의 주력군, 북부군은 장 루이 라두 드 수쉐(Jean-Louis Raduit de Souches)가 이끄는 8,5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12,500명은 요새 수비 병력으로 남겨졌다. 그러나 총 66,500명에 달하는 이 연합군은 지휘관들, 특히 즈리니와 다른 지휘관들 사이의 의견 차이로 인해 효과적인 협력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작전 개시에 앞서, 즈리니는 오스만 제국의 중요한 보급로를 차단하기 위한 과감한 작전을 실행했다. 그는 1566년부터 다르다(Dárda)와 오시예크드라바강과 바라냐 늪지대를 가로질러 연결하던 전략적 요충지인 오시예크 다리 파괴를 목표로 삼았다. 이 다리를 파괴하면 오스만 군대의 이동과 증원을 몇 달 동안 막을 수 있었다. 즈리니는 베르젠체, 바보차, 페치 등 주변 요새들을 탈환하며 오스만 영토 깊숙이 240km를 진격했고, 마침내 1664년 2월 1일 오시예크 다리를 성공적으로 파괴했다.

그러나 즈리니의 주요 목표였던 너지커니저 요새 점령은 실패로 돌아갔다. 1664년 6월, 쾨프륄뤼 파즐 아흐메드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주력군이 접근하자 즈리니는 포위를 풀고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오스만 대재상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반격에 나서 즈리니가 건설한 요새인 노비 즈린(Novi Zrin)으로 진군했다. 오스만 군대는 노비 즈린을 포위했고, 제국군 주력을 이끌던 몬테쿠콜리는 병력 열세를 이유로 구원 공격을 거부하고 라바강으로 후퇴했다. 결국 노비 즈린은 오스만 제국에 의해 함락되었다. 이 사건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소극적인 대응에 대한 불만을 키워, 훗날 즈린스키-프란코판 음모(Zrinski–Frankopan conspiracy)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4. 2. 노비 즈린 포위전

1664년 초, 합스부르크 제국군은 세 부대로 나뉘었다. 남부에는 미클로시 즈리니가 이끄는 17,000명의 헝가리-크로아티아 군대가, 중앙에는 라이몬도 몬테쿠콜리가 지휘하는 28,500명의 주력군이, 북부에는 장 루이 라두 드 수쉐 휘하의 8,500명 병력이 배치되었다. 약 12,500명은 요새 수비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총 66,500명에 달하는 이 군대는 지휘관들, 특히 즈리니와 다른 지휘관들 사이의 의견 차이로 인해 통합된 지휘 체계를 갖추지 못했다.

즈리니는 오스만 제국의 보급선을 차단하고자 1566년부터 다르다와 오시예크를 연결하던 드라바강 위의 중요한 오스만 다리(오시예크 다리)를 파괴하기 위해 오스만 영토 깊숙이 진격했다. 그는 베르젠체, 바보차, 페치 등의 요새를 탈환하며 240km를 나아가 1664년 2월 1일, 마침내 다리를 파괴하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오스만 군대의 후퇴와 증원을 몇 달간 어렵게 만들었다.

그러나 즈리니의 주 목표였던 너지커니저 요새 공략은 실패했다. 6월, 쾨프륄뤼 대재상이 이끄는 오스만 주력군이 접근하자 즈리니는 포위를 풀고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쾨프륄뤼는 합스부르크 군대를 끌어내기 위해 즈리니가 건설한 요새인 노비 즈린으로 진격하여 포위했다. 몬테쿠콜리는 병력 열세를 이유로 노비 즈린 구원을 거부하고 라바강으로 후퇴했다. 결국 노비 즈린은 오스만 군대에 의해 포위 공격되어 함락되었다.

몬테쿠콜리의 이러한 소극적인 대응과 노비 즈린의 함락은 헝가리와 크로아티아 귀족들의 불만을 증폭시켰고, 훗날 즈린스키-프란코판 음모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5. 장크트고트하르트 전투 (1664년)

모게르스도르프/장크트고트하르트 전투 (1664년)


노비 즈린 요새를 점령한 오스만 제국 군대는 을 향해 진군을 시도했다. 그러나 라이몬도 몬테쿠콜리가 이끄는 신성 로마 제국 군대는 모게르스도르프와 센트고트하르트 수도원 사이의 라바 강에서 오스만 군대를 저지했다.

이곳에서 벌어진 장크트고트하르트 전투 (1664년)에서 오스만 군대는 제국군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으며, 이 과정에서 약 16,000명에서 22,000명에 달하는 막대한 병력 손실을 입었다.

5. 1. 북부 전선

헝가리 북부에서는 장 루이 라두 드 수쉐가 이끄는 군대가 오스만 제국의 퀴취크 메흐메트 파샤(Küçük Mehmet Pasha) 군대를 상대로 여러 차례 작은 승리를 거두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성과는 니트라(현재 슬로바키아)와 레비체(Léva, 현재 슬로바키아 레비체)를 탈환한 것이다.

6. 바스바르 조약

장크트고트하르트 전투가 끝난 지 9일 후인 1664년 8월 10일, 20년간 유효한 바스바르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에서 합스부르크 왕가는 전투에서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오스만 제국에 여러 가지를 양보해야 했다.

합스부르크는 오스만 제국의 트란실바니아, 나지바라드(그로스바르다인), 에르세쿠이바르(노이하우젤)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했으며, 트란실바니아에서 군대를 철수하고 국경의 여러 요새를 넘겨주기로 했다. 또한, 매년 20만 플로린을 오스만 제국에 지불하기로 합의했으며, 크로아티아의 지린스키 가문이 건설한 노비 지린 요새도 포기해야 했다.

반대로 오스만 제국은 합스부르크 황제에게 매년 같은 가치의 "선물"을 보내고, 바그 강을 따라 합스부르크가 요새를 건설하는 것을 허용했으며, 20년의 휴전에 동의했다.

합스부르크 왕가가 이러한 불리한 조건의 평화 조약을 서둘러 체결한 주된 이유는 프랑스네덜란드, 독일, 이탈리아에 있는 훨씬 더 가치 있는 합스부르크 영토를 위협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제국 군대의 전쟁 수행 노력은 장크트고트하르트 전투 승리 이후 다소 약해졌는데, 이는 프랑스가 동맹에서 이탈하고 다른 독일 제후들이 더 동쪽으로 진격하는 것을 꺼렸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스트리아는 헝가리 전체를 해방할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했고, 프랑스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헝가리 문제에 계속 묶여 있기를 원하지 않았다.

7. 결과

(내용 없음)

7. 1. 즈린스키-프란코판 반란

장크트고트하르트 전투에서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바스바르 조약은 크로아티아헝가리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이들 지역의 귀족들은 전투에서의 주도권을 살리지 못하고 오히려 영토를 상실하게 된 것에 크게 분개했다. 이러한 불만은 결국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한 반발로 이어져, 즈린스키-프란코판 반란(귀족 음모)이 일어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7. 2. 대튀르크 전쟁

바스바르 조약은 장크트고트하르트 전투에서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크로아티아헝가리에게는 정복된 영토의 회복이라는 실질적인 이익을 가져다주지 못했다. 크로아티아인과 헝가리인들은 전투 승리 이후 유지되었어야 할 주도권을 잃었다고 생각하며 이에 분개했다. 이러한 불만은 결국 즈린스키-프란코판 음모로 이어지는 배경이 되었다.

이 조약으로 맺어진 평화는 약 20년간 유지되었다. 하지만 1683년, 오스만 제국은 다시 한번 대규모 공세를 감행하여 빈을 공격했다. 이 사건은 대튀르크 전쟁 (1683년–1699년)으로 이어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이 전쟁의 결과로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를 비롯한 중부 유럽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Joseph von Hammer-Purgstall, Geschichte des osmanischen Reiches volume: 11, p. 135
[2] 서적 Mehmed Raşid, İsmail Asım Küçükçelebizade, "Tarih-i Raşid" (History of Raşid), Istanbul, 1865
[3] 서적 Гажевић, Никола (1974). Војна енциклопедија (књига 8). Београд: Војноиздавачки завод. стр. 514
[4] 간행물 Géza Perjés: The Battle of Szentgotthárd (1664), Vasi Szemle (Vas Review), 196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