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빈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 전투는 1683년 오스만 제국의 빈 포위 공격과 신성 동맹군의 승리를 다룬다. 오스만 제국은 다뉴브 강 장악과 무역로 통제를 위해 빈을 오랫동안 목표로 삼았고, 헝가리 내 반란을 지원하며 빈을 공격했다. 이에 신성 로마 제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등 신성 동맹이 결성되어 얀 3세 소비에스키가 이끄는 연합군이 빈을 구원했다. 전투 결과 오스만 제국은 패배하고, 헝가리 등 영토를 상실하며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 전투는 유럽과 오스만 제국 간의 세력 균형을 변화시키고, 문화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빈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1683년 9월 12일 빈 전투
1683년 9월 12일 빈 전투
전투명빈 공방전 및 빈 전투
일부대튀르크 전쟁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폴란드-오스만 전쟁
날짜공방전: 1683년 7월 14일 – 1683년 9월 12일
전투: 1683년 9월 12일
장소오스트리아 대공국 (신성 로마 제국, 현재 오스트리아 빈)
결과기독교 연합군 승리
영향기독교 연합, 신성 동맹 결성 및 오스만 제국 영토 침공
오스만 제국 쇠퇴 시작
대튀르크 전쟁 시작
오스만 제국, 빈 점령 실패
교전 세력
교전국 1오스만 제국
종속국:
크림 칸국
상부 헝가리
}} 몰다비아

교전국 2신성 동맹:
합스부르크 군주국



프랑켄
슈바벤

폴란드 왕국
[[File:Flag of the Cossack Hetmanat.svg|25px|border=no]] 카자크 헤트만국
(비밀리에)
지휘관 및 지도자
오스만 제국대재상 카라 무스타파 파샤
카라 메흐메드 (디야르바키르)
이브라힘 (부다)
아바자 사리 휘세인
파샤 (카라히사르)
무라드 기라이
게오르게 두카스
미하이 1세 아파피
셰르반 칸타쿠지노
신성 동맹로렌 공작 카를
에른스트 뤼디거 폰 슈타렌베르크
게오르크 림플러
요한 게오르크 3세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폰 발데크
작센-라우엔부르크 공작 율리우스 프란츠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
외젠 드 사보이
리비오 오데스칼치
얀 3세 소비에스키
스타니스와프 얀 야브워노프스키
미코와이 히에로님 시에니아프스키
마르친 콘츠키
셰르반 칸타쿠지노 (비밀리에)
병력 규모
오스만 제국공성전: 120,000명 (60일간 65,000명으로 감소), 약 60문 포
1683년 9월 10일: 150,000명 (캠페인 시작 시 170,000명에서 감소)
약 150문 대포
기독교 연합군빈 수비대: 11,000명 + 5,000명 지원병, 312문 대포 (141문만 작동)
구원군: 65,000명, 165-200문 대포
18,500명 오스트리아군
28,500명 독일군
18,000명 폴란드군
총합: 90,000명
사상자
오스만 제국총 사상자: ~66,000–79,000명
공성전 중 사상자: 48,544명 사망, 25% 탈영,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 불명
전투 중 사상자: 8,000–20,000명
포로: ~10,000명
기독교 연합군총 사상자: 16,500–20,000명
공성전 중 사상자: 12,000명
전투 중 사상자: 4,500명 (폴란드군 1,300명 포함)

2. 전쟁의 배경

빈 전투는 오스만 제국이 다뉴브 강을 장악하고 독일 및 동부 지중해로 이어지는 육상 무역로를 통제하기 위해 을 점령하려는 오랜 전략적 목표에서 비롯되었다. 1566년 세게트바르 공방전에서 술탄 술레이만 1세의 진격이 저지된 이후, 빈은 1683년까지 다시 위협받지 않았다. 1679년에는 역병이 빈을 휩쓸었다.[22]

1681년과 1682년, 임레 토코리 군과 신성 로마 제국(당시 국경은 헝가리 북부) 간의 충돌이 격화되었다. 합스부르크 군의 헝가리 중부 침략은 대재상 카라 무스타파 파샤가 메흐메트 4세와 그의 디반을 설득하여 오스만 군의 이동을 허가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메흐메트 4세는 무스타파 파샤에게 헝가리 북서부의 죄르코마롬 요새까지 진군하여 포위하도록 허가했다. 오스만 군대는 1682년 1월 21일에 동원되었고, 같은 해 8월 6일에 전쟁이 선포되었다.

1683년 3월 31일, 대재상 메르지폰루 카라 무스타파 파샤가 메흐메트 4세를 대리하여 보낸 선언문이 빈의 황실에 도착했다. 다음 날 오스만 군대의 선두 부대가 룸멜리아의 에디르네에서 출발하여 5월 초 베오그라드에 도착했다. 이들은 트란실바니아의 미하일리 아파피 공작과 임레 토코리가 이끄는 헝가리 군대와 합류하여 죄르를 포위했고, 남은 15만 명의 군대는 빈으로 이동했다.[23] 약 4만 명의 크림 타타르 군대가 7월 7일 빈 동쪽 40km 지점에 도착했는데,[23] 이는 그 지역의 제국군보다 두 배나 많은 숫자였다. 레오폴트 황제는 측근 및 6만 명의 빈 시민과 함께 빈을 떠나 파사우로 피신했고, 로렌 공작 카를 5세는 2만 명의 병력을 린츠로 철수시켰다.[24][23]

폴란드 국왕 얀 3세 소비에스키는 1683년 여름, 조약 의무를 다하여 빈을 구원하기 위한 원정대를 준비했다.

2. 1. 오스만 제국의 팽창 정책

17세기 초부터 술탄의 국정에 대한 실권이 축소되면서 16세기부터 급속히 발전한 군사 기술과 제도의 발달 등 다양한 시대의 변화 속에서 군주의 전제와 중앙 집권에 의해 지탱되던 군사적 우위가 둔화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제국의 위기적 상황 속에서 1656년 제국의 최고 집정관인 대재상에 취임한 Köprülü Mehmed Pasha|쾨프롤뤼 메흐메트 파샤영어와 아들이자 후계 대재상이 된 쾨프롤뤼 아흐메트 파샤는 국세 회복에 힘썼으며, 베네치아, 오스트리아, 폴란드 등에 잇따라 승리하여 동유럽에서 오스만 제국 역사상 최대 판도를 실현해 나갔다.[58]

1676년 쾨프롤뤼 아흐메트 파샤가 병사하자 카라 무스타파 파샤가 대재상에 취임했다. 그는 쾨프롤뤼 메흐메트 파샤의 사위였으며, 쾨프롤뤼 가문의 개혁 정치를 이어받아 팽창 정책을 추진했다. 당시 군주인 메흐메트 4세에디르네 궁전에 틀어박혀 사냥을 취미로 할 뿐 정치에 대한 관심도 실권도 없어 오스만 제국의 전권은 쾨프롤뤼 개혁의 유산을 이어받은 강력한 대재상의 손에 쥐어져 있었다.[58]

한편, 16세기의 제1차 빈 포위 시대에 유럽에서 오스만 제국의 최대 적수였던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는 30년 전쟁을 거치면서 과거의 강성함을 잃었다. 당시 오스트리아에게 서쪽의 숙적은 프랑스루이 14세였으나, 프랑스는 오스트리아가 오스만 제국과 싸우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을 약화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의 전쟁에서 서쪽에서 오스트리아를 견제함으로써 오스만 제국에 간접적인 지원을 했다.[58]

전장이 된 곳은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였으며, 1664년 오스만 제국이 헝가리로 침공해 왔을 때 오스트리아의 장군 라이몬도 몬테쿠콜리가 Schlacht bei Mogersdorf|자흐트고트하르트 전투de, 즉 자흐트고트하르트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에게 승리했다. 그러나 프랑스의 위협 때문에 오스트리아는 반격에 나설 수 없었고, Frieden von Eisenburg|바슈바르 조약de에서 20년 휴전, 오스만 제국의 괴뢰 트란실바니아 공 아퍼피 미하엘 1세를 승인, 매년 오스만 제국에 헌납금을 지불하는 등 합스부르크 가문에 불리한 내용을 체결했다. 이로 인해 헝가리·트란실바니아의 친합스부르크파 귀족들의 반발을 샀고, 1670년 베셀레니 음모의 적발과 탄압, 1678년 테켈리 임레의 봉기로 이어졌다.[58]

신성 로마 제국 황제레오폴트 1세는 사태를 심각하게 보고 헝가리에 대한 탄압을 중지하고, 1681년 절대 왕정 정책을 철회하여 귀족과의 유화에 힘썼지만, 테켈리는 게릴라 활동을 계속했다.[58]

2. 2. 합스부르크 왕가의 위기

16세기 제1차 빈 포위 당시 오스만 제국의 가장 큰 적이었던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30년 전쟁을 거치면서 예전의 강성함을 잃었다. 당시 오스트리아의 서쪽에서 가장 큰 적은 프랑스루이 14세였으나, 프랑스는 오스트리아가 오스만 제국과 싸우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을 약화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의 전쟁에서 서쪽에서 오스트리아를 견제함으로써 오스만 제국을 간접적으로 지원했다.

전쟁터는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였으며, 1664년 오스만 제국이 헝가리로 침공했을 때 오스트리아의 장군 라이몬도 몬테쿠콜리가 자흐트고트하르트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을 이겼다. 그러나 프랑스의 위협 때문에 오스트리아는 반격하지 못했고, 바슈바르 조약에서 20년 휴전, 오스만 제국의 괴뢰 트란실바니아 공 아퍼피 미하엘 1세를 인정하고, 매년 오스만 제국에 돈을 바치는 등 합스부르크 가문에 불리한 내용을 체결했다. 이로 인해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의 친합스부르크파 귀족들이 반발했고, 1670년 베셀레니 음모가 적발되어 탄압을 받았으며, 1678년 테켈리 임레의 봉기로 이어졌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레오폴트 1세는 사태를 심각하게 보고 헝가리에 대한 탄압을 중지하고, 1681년 절대 왕정 정책을 철회하여 귀족과 화해하려 했지만, 테켈리는 게릴라 활동을 계속했다.[58]

2. 3. 헝가리의 반합스부르크 봉기

헝가리 반합스부르크 쿠루츠 반군과 합스부르크 충성파 간의 충돌


빈 전투 이전, 헝가리 왕국의 합스부르크 점령 지역에서는 헝가리인들과 비가톨릭 소수 민족들이 오스만 제국의 군사적 지원을 받고 있었다. 레오폴트 1세의 반종교개혁 정책과 개신교 탄압으로 인해, 헝가리 내에서는 불만이 점차 커져 1681년에는 공개적인 반란으로 이어졌다.[23]

임레 토코리가 이끄는 개신교도들과 반(反)합스부르크 쿠루츠 세력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상당한 군사 지원을 받았다.[23] 오스만 제국은 토코리를 상헝가리(오늘날 슬로바키아 동부와 헝가리 북동부 일부)의 왕으로 인정했으며, 빈을 점령하면 헝가리인들에게 "빈 왕국"을 주겠다고 약속했다.

3. 전투의 경과

1683년 7월 14일, 카라 무스타파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군은 을 포위했다. 레오폴트 1세는 빈을 탈출하여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들과 폴란드 왕 얀 3세 소비에스키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9월 6일, 소비에스키 휘하의 폴란드군은 비엔나 북서쪽 도나우강 30km 지점인 툴른에서 도강하여 제국군 및 작센, 바이에른, 바덴 및 다른 제국 영지에서 온 추가 병력과 합류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고용한 자포로지안 코사크도 병력에 합류했다.[33] 프랑스 왕국루이 14세는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경쟁 때문에 지원을 거부했다.[29]

소비에스키와 레오폴트 1세 간의 동맹으로 폴란드 후사르가 기존 연합군에 추가되었다. 유럽 연합군의 지휘는 호틴 전투 (1673년)에서 오스만군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경험이 있는 폴란드 왕에게 할당되었으며, 7만~8만 명의 군대를 지휘하여 15만 명으로 추정되는 오스만군에 대항했다.[23]

율리우시 코사크의 ''빈의 소비에스키''


신성 동맹 군대(북쪽), 포위된 빈(가운데), 오스만 군대(빈과 신성 동맹 군대 사이)의 전투 중 위치


9월 12일 오전 4시, 신성 동맹 군대의 배치를 방해하기 위해 오스만 군대가 공격을 시작했다.[23] 독일군이 먼저 반격을 시작했다. 로렌 공작 샤를은 좌측에 제국군을, 중앙에 다른 제국군을 이끌고 진격하여 누스도르프와 하일리겐슈타트를 비롯한 여러 요충지를 점령했다. 정오가 되자 제국군은 오스만 군에게 상당한 피해를 입혔고 돌파에 근접했다.[43]

오스만군에 대한 폴란드군의 빈 전투 공격을 축복하는 얀 3세 소비에스키; 줄리우스 코사크의 그림


이른 오후에 폴란드 보병이 오스만군 우익으로 진격하면서 전장의 다른 쪽에서 대규모 교전이 시작되었다. 오후 4시까지 폴란드군은 게르스토프 마을을 점령했는데, 이곳은 그들의 기병 돌격의 기지가 되었다.[17]

빈 전투, 곤잘레스 프란시스쿠스 카스텔스의 그림


오후 6시경, 폴란드 왕은 기병에게 네 개의 부대로 공격을 명령했다. 18,000명의 기병이 언덕 아래로 돌격했는데, 이는 역사상 가장 큰 기병 돌격이었다.[47][48] 소비에스키는 3,000명의 폴란드 중장창병, 즉 "날개 기병"을 선두로 돌격을 이끌었다.[23] 이 돌격은 이미 지치고 사기가 저하된 오스만군의 전투 대열을 빠르게 무너뜨리고 전장에서 퇴각하기 시작했다.

오스만 군은 도시 공격과 튀르켄샨체에 대한 신성 동맹 보병의 진격으로 인해 지치고 사기가 저하되어 있었다.[23] 기병 돌격 후 3시간도 채 안 되어 신성 동맹군은 전투에서 승리하고 빈을 구원했다.

빈 포위전과 오스만 군의 패배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각각 === 빈 포위전 ===, === 오스만 군의 패배 ===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빈 포위전

1683년 7월 14일, 오스만 제국 주력군은 을 포위했고, 같은 날 카라 무스타파는 오스만 제국에 항복하라는 전통적인 요구를 도시 측에 전달했다.[28] 에른스트 뤼디거 그라프 폰 슈타렘베르크는 370문의 대포와 15,000명의 병력, 8,700명의 지원병을 이끌고 항복을 거부했다. 그는 불과 며칠 전, 비엔나 남쪽 페르히톨스도르프에서 시민들이 항복했지만 살해당했다는 대량 학살 소식을 들었기 때문이다.[28]

페르히톨스도르프 약탈, 교구 교회 페르히톨스도르프


비엔나 성벽 앞의 오스만군, 아우구스트 케르푸르트 작품


비엔나를 포위한 오스만 군대, 프란스 게펠스 작품


비엔나 요새의 민간 방어, 로메인 드 호흐 작품


포위 작전은 7월 17일에 시작되었다.[23] 비엔나 사람들은 성벽 주변의 많은 집들을 철거하고 잔해를 치워 오스만군이 도시로 돌진할 경우 방어 사격에 노출되는 빈 평야를 만들었다.[23] 이에 카라 무스타파 파샤는 병력에게 도시로 직접 연결되는 긴 참호를 파도록 명령하여 진격 시 방어병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했다.

오스만군은 130문의 야전포와 19문의 중구경 대포를 보유한 반면, 방어군은 370문을 보유했다.[5] 성벽 아래에 광산 터널이 굴착되었으며, 흑색 화약이 채워졌다.[29][23] 앤드루 휘트크로프트에 따르면, 바깥쪽 울타리는 약 150년이나 되었고 대부분 썩어 있었다. 방어군은 성벽을 둘러싸기 위해 매우 큰 나무 줄기를 땅에 박는 작업을 시작했고, 이로 인해 오스만군의 빠른 포위 계획이 방해를 받아 낡은 울타리를 넘는 데 거의 3주가 더 걸렸다.[30] 이는 전쟁 선포 후 군대 진격을 늦춘 것과 결합되어 결국 9월에 구원 병력이 도착할 수 있게 했다.[23]

오스만군의 포위로 비엔나로 들어가는 거의 모든 식량 공급이 차단되었다.[32] 피로가 너무 심해져서 슈타렘베르크는 경계 근무 중 잠든 병사를 발견하면 사살하라고 명령했다. 점점 더 절망에 빠진 비엔나 방어군은 8월에 로렌 공작 카를 5세가 이끄는 제국군이 비엔나 북서쪽 5km 지점인 비삼베르크에서 토쾨리를 격파하면서 패배 직전에 놓였다.

9월 초, 약 5,000명의 숙련된 오스만군 공병이 부르크 요새, 뢰벨 요새 및 부르크 라발린 사이의 성벽 대부분을 반복적으로 파괴하여 약 너비의 틈을 만들었다. 비엔나 사람들은 자체 터널을 파서 오스만군의 대량 화약 설치를 차단하려 했다. 오스만군은 마침내 9월 8일 부르크 라발린과 인근의 낮은 벽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성벽 돌파를 예상하여 남은 비엔나 사람들은 내부 도시에서 싸울 준비를 했다.[29]

오스만군은 최신 축성법으로 요새화되어 1차 포위 시대보다 훨씬 견고해진 빈 시의 방비를 뚫지 못하고 공성전을 장기화했다. 멀리서 진군해 왔기 때문에 강력한 공성포를 반입하지 못한 오스만군은 지하 갱도를 파서 성벽을 폭파하는 작전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한편, 빈 수비군은 사기가 높아 여러 차례 요새에서 뛰쳐나가 오스만군을 공격했지만, 포위군에게 큰 피해를 주지 못했다.

3. 2. 오스만 군의 패배

얀 3세 소비에스키가 이끄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군의 기병 돌격은 오스만 군 진영을 분단시키고 혼란에 빠뜨렸다.[23]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기병 돌격으로 기록된 이 공격에는 18,000명의 기병이 참여했다.[47][48] 소비에스키는 3,000명의 폴란드 중장창병, 즉 "날개 기병"을 선두로 돌격을 이끌었다.[23] 립카 타타르는 오스만 측에서 싸우는 타타르족과 구별하기 위해 헬멧에 짚을 꽂았다.[49] 이 돌격으로 이미 지치고 사기가 떨어진 오스만군의 전투 대열은 빠르게 무너지고 전장에서 퇴각하기 시작했다.[23]

오스만 군은 사보타지 시도 실패, 도시 공격, 튀르켄샨체에 대한 신성 동맹 보병의 진격으로 인해 지치고 사기가 저하된 상태였다.[23] 게다가 오스만 군은 내부 분열까지 겹쳐 패배하고 퇴각했다. 결정적인 기병 돌격 후 3시간도 채 안 되어 신성 동맹군은 전투에서 승리하고 빈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26]

당대의 오스만 역사가인 실라흐다르 핀들리클리 메흐메드 아가는 이 전투를 오스만 제국에게 엄청난 패배이자 실패로 묘사했으며, 1299년 오스만 국가가 건국된 이후 가장 참혹한 사건이었다고 평가했다.[50]

얀 3세는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말을 따라 "왔노라, 보았노라, 신께서 승리하셨다."라고 말했다.[23][26]

4. 전투의 결과

카라 무스타파 파샤는 패전의 책임을 지고 12월 25일 처형되었다.[60] 교황 인노첸시오 11세의 주도로 오스트리아, 폴란드, 베네치아가 신성 동맹을 결성하여 오스만 제국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다.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 트란실바니아, 모레아 반도 등을 상실하며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1697년 젠타 전투에서 신성 동맹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협상이 진전되었고,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이 체결되어 전쟁이 종결되었다. 카를로비츠 조약에서 오스만 제국은 베오그라드 주변을 제외한 헝가리 왕국의 대부분(헝가리 중부, 트란실바니아, 크로아티아 등)을 오스트리아에, 아드리아 해 연안 일부를 베네치아에, 포돌리아를 폴란드에 할양하는 것을 인정했다. 이듬해에는 러시아와 개별 강화 조약을 맺어 아조프 할양을 인정했다.[60]

4. 1. 카라 무스타파 파샤의 처형

카라 무스타파 파샤는 베오그라드로 도주하여 패배한 군대를 재건하고 연합군에 대한 반격을 준비했다. 그러나 제국의 궁정에서는 카라 무스타파의 강압적인 통치에 불만을 품은 정적들의 책동이 성공하여, 메흐메트 4세의 이름으로 카라 무스타파의 처형을 명하는 칙령이 베오그라드에 전달되었다. 카라 무스타파 파샤는 12월 25일 처형되었다.[60]

4. 2. 신성 동맹의 결성과 반격

카라 무스타파 파샤는 베오그라드로 도주하여 패배한 군대를 재건하고 연합군에 대한 반격을 준비했다. 그러나 제국의 궁정에서는 카라 무스타파의 강압적인 통치에 불만을 품은 정적들의 모함이 성공하여, 베오그라드에는 메흐메트 4세의 이름으로 카라 무스타파의 처형을 명하는 칙령이 전달되어 12월 25일 처형되었다.

연합군 측에서는 교황 인노첸시오 11세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동맹 결성을 촉구했고, 오스트리아, 폴란드에 베네치아 공화국을 더하여 신성 동맹이 결성되었다. 신성 동맹은 계속해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동유럽 각지에 침공하여 대(對) 튀르크 전쟁이 발발했다.

한편, 오스만 제국에서는 카라 무스타파의 처형 후 정부 내에 지도자가 없어 혼란에 빠진 오스만 군은 연합군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연패를 거듭했다. 제국은 오스트리아에 헝가리, 트란실바니아를, 폴란드에 포돌리아를, 베네치아에 Morean War|모레아 전쟁영어으로 모레아 반도를 빼앗겨 식민지 모레아 왕국(1688년 - 1715년)이 성립, 아드리아 해 연안의 여러 도시를 빼앗겼으며, 또한 1686년에는 러시아가 신성 동맹에 가세하여 크림과 아조프에 침공을 시작했다. 오스만 제국의 세력은 동쪽으로 대폭 밀려났으며, 한때 발칸 반도 지배의 요충지인 베오그라드까지 잃게 되었다. 1689년에 다시 쾨프률뤼 가문에서 등용된 대재상 쾨프률뤼 무스타파 파샤가 이끄는 반격으로 오스만 제국은 전황을 어느 정도 만회했지만, 무스타파 파샤는 1691년에 전사하여 대세를 뒤집지는 못했다.[60]

4. 3. 오스만 제국의 쇠퇴

오스만 제국은 빈 전투에서 패배한 후, 대 튀르크 전쟁에서 연합군에게 계속해서 졌다. 헝가리, 트란실바니아, 포돌리아, 모레아 반도 등 주요 영토를 잃으면서 동유럽에서의 영향력이 크게 줄어들었다.[60]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을 통해 오스만 제국은 베오그라드 주변을 제외한 헝가리 왕국의 대부분(헝가리 중부, 트란실바니아, 크로아티아 등)을 오스트리아에 넘겨주어야 했다.[60]

5. 제2차 빈 포위의 의의

아르투르 그로트거의 ''소비에스키와 레오폴트 1세의 만남''


얀 마테이코의 ''교황에게 승리의 메시지를 보내는 소비에스키''


빈 전투의 승리로 바덴의 루이, 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 2세 엠마누엘, 사보이 공자 외젠은 수년간 헝가리와 발칸 지역(일시적)을 정복했다. 오스만 제국은 16년 동안 전투를 계속했지만, 결국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에 대한 지배권을 잃었다. 신성 로마 제국은 1699년 오스만 제국과 카를로비츠 조약을 체결하여 헝가리의 상당 부분을 합스부르크가에 할양했다. 이 전투는 오스만 제국의 유럽 진출이 역사적으로 종말을 맞이했음을 알렸다. 프랑스의 루이 14세의 행동은 프랑스-독일 적대감을 더욱 심화시켰고, 약화된 신성 로마 제국의 서부에서 재결합 전쟁이 발발했다.

교황 인노첸시오 11세는 소비에스키가 전투 전에 자신의 왕국을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모 숭배, 특히 체스토호바의 검은 성모에게 맡겼기 때문에, 그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성모 마리아의 이름 축일을 교회 전체로 확대했다. 이 축일은 이전에는 성모 탄생 축일의 팔일 축제 중 일요일(9월 9일부터 15일 사이)에 기념되었으나, 교황 비오 10세가 실제 일요일을 기념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승리의 날인 9월 12일로 옮겼다. 교황은 폴란드 왕관을 쓴 흰색 독수리를 추가하여 교황 문장을 변경했다. 빈 전투에서의 승리 후, 폴란드 국왕은 교황으로부터 "신앙의 수호자"("Defensor Fidei")라는 칭호도 받았다.[54] 오스트리아인들은 소비에스키를 기리기 위해 빈 북쪽의 칼렌베르크 언덕 꼭대기에 교회를 세웠다.

폴란드 부활회 교회의 현판


루이 14세는 친오스만파였기 때문에 구원을 보내지 않았지만, 기독교도 방어를 위해 자발적으로 참가하는 프랑스 귀족도 있었다. 그중에 프린츠 오이겐도 포함되어 있어, 사촌인 루트비히 빌헬름 아래에서 종군하여 용기병대장으로 임명되었고, 이윽고 오스트리아를 대표하는 명장으로 성장해 갔다.

5. 1.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유럽 세력 균형의 변화

1683년 오스만 제국


빈 전투 이전 오스만 제국에게 은 다뉴브 강 장악과 독일 및 동부 지중해로 이어지는 육상 무역로 통제를 위한 전략적 목표였다. 1566년 세게트바르 공방전에서 술탄 술레이만 1세가 빈 진격을 저지당한 후, 1683년까지 빈은 다시 위협받지 않았다.

16세기 후반부터 서서히 쇠퇴하던 오스만 제국의 군사적 우위는 제2차 빈 포위로 인해 결정적으로 무너졌다.[61] 오스만 제국은 이 전투를 통해 유럽에서의 군사적 우위가 종식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는 오스만 제국사 서술에서 통설로 자리 잡았다.

제2차 빈 포위부터 카를로비츠 조약까지 16년간의 전쟁으로 오스만 제국의 판도는 발칸 반도 및 동유럽에서 크게 후퇴했으며, 오스트리아러시아가 이 지역의 패권을 쥐는 계기가 되었다. 유럽 열강들은 오스만 제국의 약화를 틈타 발칸 반도와 동유럽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

정신적으로는 100년 전 레판토 해전 이후 유럽 국가들이 오스만 제국에 대해 품어온 위협을 무너뜨렸다. 발칸 제국사에서는 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배를 억압으로 간주하고, 이 포위가 해방과 이후의 민족 자립으로 가는 첫걸음이 된 사건으로 평가한다.

문화적으로는 크루아상이 이 전쟁의 승리를 기념하여 터키 국기의 초승달을 본뜬 것이라는 설이 있다.[61] 또한, 빈에서 커피 문화가 퍼진 것은 빈 시민들이 도주한 오스만 군의 진영에서 버려진 커피 원두를 발견하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군의 Jerzy Franciszek Kulczycki|예르지 프란치셰크 쿨치츠키영어가 불하받아 군을 퇴역, 1686년에 빈에서 카페 Hof zur Blauen Flasche|푸른 병 아래의 집de을 연 것이 시작이라는 설이 있다. 베이글은 빈의 유대인 빵집 주인이 얀 3세에게 감사의 표시로 말의 "등자" 모양을 한 빵을 헌상한 것이 시작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이들은 이 전쟁이 유럽 사람들의 오스만 제국에 대한 인상을 바꾸는 상징이었음을 보여준다.

5. 2. 정신적, 문화적 영향

빈 전투의 승리는 유럽인들에게 오스만 제국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고 자신감을 얻는 계기가 되었다.[61] 100년 전의 레판토 해전에 이어 유럽 국가들이 오스만 제국에 대해 품어온 위협을 무너뜨린 전투였다. 발칸 지역 역사에서는 이 전투를 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배를 억압으로 간주하고, 이 포위가 해방과 이후의 민족 자립으로 가는 첫걸음이 된 사건으로 평가한다.

크루아상은 이 전쟁의 승리를 기념하여 터키 국기의 초승달 모양을 본뜬 것이라는 설이 있다.[61] 빈에서 커피 문화가 퍼진 것은 빈 시민들이 도주한 오스만 군의 진영에서 버려진 커피 원두를 발견하고, 이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군의 Jerzy Franciszek Kulczycki|이예지 프란치셰크 쿨치츠키영어가 받아 1686년에 빈에서 카페 "The Blue Bottle Coffee House|푸른 병 아래의 집영어" (Hof zur Blauen Flaschede)을 연 것이 시작이라고 한다. 카푸치노는 이때 쿨치츠키가 발명했다고도 한다. 베이글은 빈의 유대인 빵집 주인이 얀 3세에게 감사의 표시로 말의 등자 모양을 한 이 빵을 헌상한 것이 시작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이러한 빵과 커피 문화의 확산은 이 전쟁이 유럽 사람들의 오스만 제국에 대한 인상을 바꾸는 상징이었음을 잘 보여준다.

5. 3. 한국의 관점에서의 의의

빈 포위전은 단순한 군사적 충돌을 넘어 종교, 민족, 국제정치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전쟁이었다. 이는 유럽과 오스만 제국 간의 문명적 충돌이자, 유럽 내 세력 균형의 변화를 가져온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될 수 있다. 특히, 당시 유럽 강대국들의 이해관계와 동맹이 전쟁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은 오늘날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를 이해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1683년의 빈 포위전은 오스만 제국이 다뉴브 강 장악과 독일 및 동부 지중해로 이어지는 육상 무역로 통제를 위해 을 점령하려 한 오랜 전략적 목표에서 비롯되었다. 1566년 세게트바르 공방전에서 술레이만 1세의 진격이 저지된 이후, 빈은 1683년까지 다시 위협받지 않았다.

정치적으로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 왕국 내 합스부르크 점령 지역의 헝가리인 및 비가톨릭 소수 민족에게 군사적 지원을 제공했다. 레오폴트 1세의 반종교개혁 정책과 개신교 탄압에 대한 반발로 임레 토코리가 이끄는 반합스부르크 세력이 봉기했고, 오스만은 이들을 지원하며 빈 점령 시 "빈 왕국"을 약속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은 종교적 갈등이 국제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신성 로마 제국과 폴란드의 방어 동맹, 그리고 바르샤바 조약 체결 등은 당시 유럽 국가 간의 복잡한 외교 관계를 보여준다.

일부에서는 알 카에다가 9.11 테러 날짜로 9월 11일을 선택한 것이 빈 전투의 전환점을 의식한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55] 로렌스 라이트는 알 카에다가 1683년 9월 11일을 서방 세계가 이슬람에 대한 지배력을 얻게 된 날로, 318년 후 9월 11일을 이슬람 세력의 부활을 알리는 날로 여겼다고 주장했다.[56]

참조

[1] 서적 Osman's Dream: The 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23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21-09-14
[2] 웹사이트 Participarea lui Șerban Cantacuzino la cel de-al Doilea Asediul Vienei https://www.historia[...] 2020-11-20
[3] 서적 Jan Sobieski, Mit Habsburg gegen die Türken Styria Vlg. Graz
[4] 서적 Wiedeń 1683 MON
[5]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Infobase Publishing
[6]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E.P. Sutton & Co
[7] 서적 The Centennial Universal History: A Clear and Concise History of All Nations, with a Full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to the Close of the First 100 Years of Our National Independence. J. C. McCurdy & Co.
[8] 서적 The Knights of st. John: with The battle of Lepanto and Siege of Vienna. Burns and Lambert
[9] 간행물 American Architect and Building News
[10] 서적 Wiedeń 1683 Bellona
[11] 서적 II. Viyana Kuşatması Yedi Ejderin Fendi Timaş Publishing
[12] 서적 Wiedeń 1683 Bellona
[13] 서적 Wiedeń 1683 Bellona
[14] 서적 Wiedeń 1683 Bellona
[15] 서적 Battles That Changed History: An Encyclopedia of World Conflict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10-19
[16] 서적 Austria's Wars of Emergence
[17] 서적 The Enemy at the Gate
[18] 서적 Wiedeń 1683 Bellona
[19] 학술지 1683: The Siege of Vienna http://www.historyto[...] 1983-07
[20]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The Origins to 1795 Columbia University Press
[21] 서적 Harbottle's Dictionary of Battles https://archive.org/[...] Van Nostrand Reinhold
[22] 서적 Nähere Untersuchung der Pestansteckung royal publisher, Vienna
[23]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https://books.google[...] Santa Barbara: ABC-CLIO, LLC 2010
[24] 서적 The Enemy at the Gate: Habsburgs, Ottomans and the Battle for Europe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5] 서적 The Fortress in the Age of Vauban and Frederick the Great 1660–1789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26] 서적 Venedig, Wien und die Osmanen: Umbruch in Südosteuropa 1645–1700 https://books.google[...] Klett-Cotta
[27] 문서 The Siege of Vienna: The Last Great Trial between Cross & Crescent
[28]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Ottoman Empire Barnes & Noble Publishing
[29] 서적 The Second Greatest Story Ever Told https://books.google[...] Marian Press – Association of Marian Helpers
[30] 에피소드 The Siege of Vienna http://www.bbc.co.uk[...]
[31] 웹사이트 The Beginning of the End: The Failure of the Siege of Vienna of 1683 http://writing.byu.e[...] Brigham Young University
[32] 웹사이트 The Siege of Vienna http://www.mainlesso[...] The Baldwin Project
[33] 웹사이트 Hol Kulchitsky, a Ukrainian, Saved Vienna From Destruction in 1683 https://www.ukrweekl[...] Svoboda 1933-10-06
[34] 서적 II. Viyana Kuşatması: Yedi Ejderin Fendi Timaş Yayınları
[35] 서적 II. Viyana Kuşatması Yedi Ejderin Fendi Timaş Publishing
[36] 서적 II. Viyana Kuşatması Yedi Ejderin Fendi Timaş Publishing
[37] 서적 II. Viyana Kuşatması Yedi Ejderin Fendi Timaş Publishing
[38] 서적 II. Vİyana Kuşatması Yedi Ejderin Fendi Timas Publishing
[39] 서적 II. Vİyana Kuşatması Yedi Ejderin Fendi Timaş Publishing
[40] 서적 II. Viyana Kuşatması Yedi Ejderin Fendi Timaş Publishing
[41] 서적 Salus Vienna Tua: The great siege of 1683 https://books.google[...] Soldiershop Publishing 2020-11-05
[42] 간행물 Defense of the Integrity of the Romanian States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Social Science Monographs
[43] 서적 The Enemy at the Gate https://books.google[...]
[44] 웹사이트 Participarea lui Șerban Cantacuzino la cel de-al Doilea Asediul Vienei https://www.historia[...] 2022-03-20
[45] 웹사이트 Duell im Dunkeln https://web.archive.[...] 2DF 2005-11-06
[46] 문서 idem
[47] 서적 Death of a Nation: A New History of Germany https://books.google[...] Book Guild Publishing 2016
[48] 서적 A History of War in 100 Battl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49] 웹사이트 The Battle of Vienna was not a fight between cross and crescent – Dag Herbjørnsrud {{!}} Aeon Essays https://aeon.co/essa[...] 2019-06-20
[50] 서적 Kara mustafa pod Wiedniem. Źródła muzułmańskie do dziejów wyprawy wiedeńskiej (Kara Mustafa at Vienna. Muslim primary sources to history of the Vienna campaign) Wydawnictwo Literackie
[51] 웹사이트 Letter from King Sobieski to his Wife http://literat.ug.ed[...] University of Gdansk, Department of Cultural Studies, Faculty of Philology 2011-08-04
[52] 서적 The Siege of Vienna: The Last Great Trial between Cross & Crescent Pegasus Books
[53] 웹사이트 Iraq IV. Relations in the Safavid Period http://www.iranicaon[...] 2019-01-24
[54] 웹사이트 Chcą nam odebrać Victorię wiedeńską? http://www.pch24.pl/[...] 2013-09-09
[55] 뉴스 Why the suicide killers chose September 11 https://www.theguard[...] 2001-10-03
[56] 웹사이트 How jihadists schedule terrorist attacks https://foreignpolic[...] 2013-05-03
[57] 서적 The Complete Poetical Works of William Wordsworth, in Ten Volumes - Vol. VII: 1816-1822 https://books.google[...] Cosimo, Incorporated
[58] 문서 長谷川、P286 - P289、パーマー、P21 - P26、マッケイ、P13 - P16
[59] 문서 長谷川、P289 - P292、パーマー、P26 - P29、友清、P80、マッケイ、P1 - P2
[60] 문서 長谷川、P293 - P295、パーマー、P29 - P48、友清、P81 - P84、マッケイ、P17 - P28、P41 - P53
[61] 서적 パリ フランス みすず書房
[62] 서적 Battles That Changed History: An Encyclopedia of World Conflict http://books.google.[...] ABC-CLIO
[63] 서적 Austria's Wars of Emergence
[64] 서적 The enemy at the gate
[65]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66]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E.P. Sutton & Co
[67] 서적 The Centennial Universal History: A Clear and Concise History of All Nations, with a Full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to the Close of the First 100 Years of Our National Independence. J. C. McCurdy & Co.
[68] 서적 The Knights of st. John: with The battle of Lepanto and Siege of Vienna. Burns and Lambert
[69] 간행물 American Architect and Building News
[70] 서적 Battles That Changed History: An Encyclopedia of World Conflict https://books.google[...] ABC-CLIO
[71] 저널 1683: The Siege of Vienna http://www.historyto[...] 2014-12-19
[72]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The origins to 1795 Columbia University Press
[73] 서적 Harbottle's Dictionary of Battles https://archive.org/[...] Van Nostrand Reinhol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