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 왕국 (1526년~186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헝가리 왕국 (1526년~1867년)은 모하치 전투 이후 오스만 제국에 의해 분할된 중세 헝가리 왕국의 일부로, 합스부르크 왕가가 통치했다. 1538년 분할 조약에 따라 북서부 지역을 차지하고 브라티슬라바를 수도로 삼았으며, 동부 지역은 동 헝가리 왕국으로 분리되었다. 왕령 헝가리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지만, 16세기 말까지 합스부르크 군주국에서 중요한 경제적 기반을 유지했다. 17세기 초 종교 개혁으로 가톨릭 세력이 약화되었고, 18세기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아 개혁을 시도했으나, 1848년 혁명 이후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았다.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수립되면서 헝가리 왕국은 새로운 정치적 지위를 얻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 왕국 - 헝가리 왕국 (1920년~1946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체 후 1920년부터 1946년까지 존속한 헝가리 왕국은 국왕 없이 섭정 호르티 미클로시가 통치하며 민족주의를 표방,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나 종전 후 공화국으로 해체, 경제적 어려움과 홀로코스트의 비극을 겪었다. - 헝가리 왕국 - 성 이슈트반 왕관
성 이슈트반 왕관은 헝가리 왕국의 왕권 상징이자 국가 정통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코로나 그라에카, 코로나 라티나, 십자가로 구성되어 굴곡진 역사를 거쳐 헝가리로 반환되어 현재 국회의사당에 보관되어 있다. - 헝가리의 역사 - 헝가리 왕국
헝가리 왕국은 1000년 이슈트반 1세 대관식과 함께 성립되어 1946년까지 존속한 중앙유럽의 왕국으로, 아르파드 왕조를 시작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합스부르크 가문이 왕위를 세습했으며, 중세 시대 중앙유럽 강국이었으나 오스만 제국 침략으로 영토가 분할,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원으로 존속하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영토를 상실, 1946년 공화국 수립으로 왕정이 폐지되었음에도 '헝가리 왕국'이라는 명칭과 국체가 유지되었다. - 헝가리의 역사 - 범유럽 피크닉
범유럽 피크닉은 1989년 헝가리에서 열린 행사로, 헝가리와 오스트리아 국경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면서 동독 시민들의 서독 탈출을 묵인하여 냉전 종식과 독일 통일에 기여했다. - 합스부르크가 - 테르시오
테르시오는 16세기에서 18세기 초까지 스페인 군대의 핵심 보병 부대로, 파이크병, 총병 등으로 구성되어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군사 개혁으로 인해 1704년 연대와 대대 체제로 개편되면서 소멸되었다. - 합스부르크가 - 마리아 아말리아 폰 외스터라이히 (1701년)
마리아 아말리아 폰 외스터라이히는 신성 로마 황제 요제프 1세의 딸로 태어나 바이에른의 카를 알브레히트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사후에는 자선 활동을 펼치다 사망했다.
헝가리 왕국 (1526년~1867년)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일반 명칭 | 헝가리 왕국 |
공통 명칭 | 헝가리 |
시대 | 근세 |
지위 | 왕령, 레그눔 인데펜덴스 |
지위 설명 |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왕령 및 1804년부터 오스트리아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과의 인적 동군연합(역사적 맥락 섹션 참조) |
제국 | 오스트리아 |
정부 형태 | 절대 군주제 |
시작 사건 | 모하치 전투 |
시작 날짜 | 1526년 8월 29일 |
사건 1 | 나지바라드 조약 |
사건 1 날짜 | 1538년 2월 24일 |
사건 2 | 에게르 공방전 |
사건 2 날짜 | 1552년 9월 9일 – 1552년 10월 17일 |
사건 3 | 성 고트하르트 전투 |
사건 3 날짜 | 1664년 8월 1일 |
사건 4 | 베셀레니 음모 |
사건 4 날짜 | 1664년–1671년 |
사건 5 | 카를로비츠 조약 |
사건 5 날짜 | 1699년 1월 26일 |
사건 6 | 독립 전쟁 |
사건 6 날짜 | 1703년–1711년 |
사건 7 | 헝가리 개혁 시대 |
사건 7 날짜 | 1825년-1848년 |
사건 8 | 헝가리 혁명 |
사건 8 날짜 | 1848년 3월 15일 |
종료 사건 | 1867년 타협 |
종료 날짜 | 1867년 3월 30일 |
선행 국가 1 | 헝가리 왕국 |
선행 국가 2 | 헝가리 국가 |
후행 국가 1 | 오스트리아-헝가리 |
후행 국가 2 | 성 이슈트반 왕관령 |
![]() | |
![]() | |
수도 | 부다 (1526년–1536년, 1784년–1873년) 프레스부르크 (1536년–1783년) |
국가 표어 | Regnum Mariae Patrona Hungariae ("헝가리의 수호자인 마리아의 왕국") |
국가 | 라코치 행진곡 |
공용어 | 라틴어(1784년 이전; 1790년–1844년) 독일어(1784년–1790년; 1849년–1867년) 헝가리어(1836년–1849년) |
기타 사용 언어 | 루마니아어, 슬로바키아어, 크로아티아어, 슬로베니아어, 세르비아어, 이탈리아어, 루테니아어 |
종교 | 가톨릭, 개혁, 루터교, 정교회, 유니테리언주의, 유대교 |
민족 | 헝가리인 |
통화 | 포린트 |
지도자 1 | 페르디난트 1세 |
지도자 2 | 프란츠 요제프 1세 |
지도자 1 재임 기간 | 1526년–1564년 (첫 번째) |
지도자 2 재임 기간 | 1848년–1867년 (마지막) |
지도자 직함 | 사도왕 |
부관 1 | 스테판 바토리 |
부관 2 | 오스트리아 대공 이슈트반 |
부관 1 재임 기간 | 1526년–1530년 (첫 번째) |
부관 2 재임 기간 | 1847년–1848년 (마지막) |
부관 직함 | 팔라틴 |
입법부 | 왕립 의회 |
오늘날 | 헝가리 |
2. 명칭
왕령 헝가리(Királyi Magyarországhu, Königliches Ungarnde)는 1526년 모하치 전투 이후 오스만 제국이 승리하고 헝가리가 분할되면서 합스부르크 왕가가 헝가리 국왕으로 인정받은 중세 헝가리 왕국의 일부를 지칭하는 이름이었다.[10][11]
1538년 너지바러드 조약(오라데아)에 따라 야노시 1세와 페르디난트 1세 사이에 일시적인 영토 분할이 이루어졌다.[12] 합스부르크 왕가는 헝가리 북부와 서부 지역을 차지했고, 새로운 수도는 프레스부르크(포조니, 현재의 브라티슬라바)가 되었다. 야노시 1세는 헝가리 동부 지역(동 헝가리 왕국)을 확보했다. 1570년, 서폴러이 지그문트 야노시는 슈파이어 조약에 따라 황제 막시밀리안 2세에게 헝가리 왕위에서 물러났다.[14]
"왕령 헝가리"라는 용어는 1699년 이후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합스부르크 국왕들은 새롭게 확장된 국가를 더 공식적인 용어인 "헝가리 왕국"으로 지칭했다.
3. 역사
왕령 헝가리는 합스부르크 가문이 헝가리 왕으로 인정받은 지역의 이름이었다.[42] 1526년 모하치 전투 이후 헝가리 왕국은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가문으로 분할되었다. 1538년 너지바러드 조약을 통해 서포여이 야노시와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제국) 사이에 일시적인 영토 분할이 이루어졌으며,[43] 합스부르크 가문은 헝가리 북서부를 차지하고 오늘날의 브라티슬라바를 수도로 삼았다. 야노시 1세는 동헝가리 왕국으로 알려진 헝가리 동부를 차지했다. 1570년 슈파이어 조약에 따라 서포여이 야노시 지그몬드는 막시밀리안 2세 (신성 로마 제국)에게 헝가리 왕위를 양보했다.[45]
16세기부터 17세기까지 헝가리 왕국은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터가 되었다. 1593년 장기 투르크 전쟁이 발발했으며, 1606년 지트바토로크 조약으로 끝났다. 1663년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이 발발하여 우이바르 요새가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다. 생고트하르트 전투에서 오스만 군은 패배했지만, 바슈바르 조약에 따라 우이바르는 오스만 제국이 차지하게 되었다. 1683년 대투르크 전쟁이 시작된 후, 합스부르크 가문은 오스만 제국을 격퇴하고 1687년 모하치 전투에서 승리하여 바나트를 제외한 옛 헝가리 영토 대부분을 되찾았다.
1848년 헝가리 혁명 이후 황제는 헝가리의 헌법을 폐지하고 절대적인 통제권을 행사했다. 프란츠 요제프 황제는 헝가리를 헝가리, 트란실바니아,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보이보디나의 네 개의 별개의 영토로 분할했다. 독일과 보헤미아 행정가들이 정부를 관리했고 독일어가 행정 및 고등 교육의 언어가 되었다.[1]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가 패배하면서 합스부르크 제국의 약점이 드러났고, 황제와 헝가리 지도자 간의 협상이 강화되어 1867년 타협으로 이어져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 군주국이 수립되었다.[1]
3. 1. 중세 헝가리 왕국의 분할 (1526-1570)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승리하면서 헝가리 왕국은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가문, 동헝가리 왕국(이후 트란실바니아 공국)으로 분할되었다.[41][42] 1538년 너지바러드 조약을 통해 서포여이 야노시와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제국) 간에 일시적인 영토 분할이 이루어졌다.[43] 합스부르크 가문은 헝가리 북서부를 차지하고 브라티슬라바를 수도로 삼았다. 야노시 1세는 동헝가리 왕국으로 알려진 헝가리 동부를 차지했다.
1570년 슈파이어 조약에 따라 서포여이 야노시 지그몬드는 막시밀리안 2세 (신성 로마 제국)에게 헝가리 왕위를 양보했다.[45]
3. 2.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16세기-17세기)
1593년부터 장기 투르크 전쟁이 발발하여 헝가리 왕국은 전쟁터가 되었으며, 이 전쟁은 1606년 지트바토로크 조약으로 끝났다.[41]
1663년에는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이 발발하여 헝가리 왕국은 다시 전쟁터가 되었고, 오스만 제국은 우이바르 요새를 점령했다. 생고트하르트 전투에서 오스만 군은 패배했지만, 이듬해 체결된 바슈바르 조약에 따라 우이바르는 오스만 제국이 차지하게 되었다.[41]
1683년 대투르크 전쟁이 시작된 후에도 헝가리 왕국은 전쟁터가 되었지만, 합스부르크 가문은 오스만 제국을 격퇴하고 1687년 모하치 전투에서 승리하여 바나트를 제외한 옛 헝가리 영토 대부분을 되찾았다.[41]
3. 3. 합스부르크 통치와 헝가리의 저항 (17세기-18세기)
합스부르크 왕가는 헝가리 국왕으로 선출된 후, 왕령 헝가리의 재정, 군사, 외교 문제를 직접 통제했으며, 제국군이 국경을 방어했다.[17] 헝가리 귀족들은 합스부르크 왕가의 중앙 집권 정책과 종교 탄압에 저항했다. 이들은 외국 통치, 외국 수비대의 행동, 그리고 합스부르크 왕가가 트란실바니아 공국에 대한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한 것에 대해 불만을 품었다.[17] 트란실바니아 공국은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하에 있었지만, 16세기와 17세기에는 오스만 투르크 술탄과 합스부르크 헝가리 국왕에게 이중으로 복종하는 경우가 많았다.[18] 왕령 헝가리에서 박해받던 개신교도들은 반종교개혁을 오스만 제국보다 더 큰 위협으로 간주했다.[17]
3. 4. 계몽주의와 헝가리 민족주의의 발흥 (18세기-19세기)
카를 6세는 헝가리와 실질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그는 헝가리 의회에 국사 조칙 승인을 요청했는데, 이 조칙에 따라 합스부르크 군주는 헝가리의 황제가 아니라 헝가리 헌법과 법률의 제약을 받는 왕으로 통치해야 했다. 의회는 1723년 국사 조칙을 승인했고, 헝가리는 합스부르크 가문 아래에서 세습 군주국이 되는 것에 동의했다. 그러나 실제로 카를과 그의 후계자들은 거의 독재적으로 통치하며 헝가리의 외교, 국방, 재정을 통제했지만, 귀족의 승인 없이는 세금을 부과할 권한이 없었다.[22]
카를은 중앙 집권적 행정부 아래에서 국가를 조직했고, 1715년에는 그의 지휘 아래 정규군을 창설했는데, 이 군대는 전적으로 비귀족 인구에 의해 자금 지원을 받고 운영되었다. 이 정책은 귀족의 세금 면제는 폐지하지 않으면서 군사적 의무를 줄였다. 카를은 또한 개신교로의 개종을 금지하고, 공무원들에게 가톨릭을 고백하도록 요구했으며, 개신교 학생들의 해외 유학을 금지했다.[22]
마리아 테레지아 (1741–80)는 헝가리 귀족들의 지지를 받아 통치를 확고히 했다. 그녀는 헝가리 대귀족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으며, 헝가리 귀족들을 빈으로 유치하기 위해 특별 학교를 설립했다.[22]
카를과 마리아 테레지아 아래에서 헝가리는 경제적 쇠퇴를 겪었다. 수 세기 동안의 오스만 제국 점령과 전쟁으로 헝가리의 인구는 급격히 감소했고, 국가 남부의 넓은 지역은 거의 버려졌다. 합스부르크 가문은 유럽 전역에서 많은 수의 농민들을 헝가리에 식민화하기 시작했다. 18세기 말에는 많은 유대인들도 빈과 제국의 폴란드 지역에서 이주해 왔다. 헝가리의 인구는 1720년에서 1787년 사이에 800만 명으로 3배 이상 증가했지만, 헝가리 인구의 39%만이 주로 국가 중앙에 거주하는 마자르인이었다.[22]
18세기 전반기에 헝가리는 인구의 90%가 종사하는 농업 경제를 가지고 있었다. 1760년 이후 노동력 과잉이 발생했다. 농노 인구가 증가하고, 토지에 대한 압력이 증가했으며, 농노의 생활 수준이 하락했다. 이에 대응하여 마리아 테레지아는 1767년 우르바리움을 발행하여 농노의 이동의 자유를 회복하고 노역을 제한함으로써 그들을 보호했다. 1767년에서 1848년 사이에 많은 농노들이 토지를 떠났는데, 대부분은 산업 발달의 부족으로 인해 도시에서 일할 기회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토지 없는 농부 노동자가 되었다.[22]
요제프 2세 (1780–90)는 계몽주의의 강력한 영향을 받은 역동적인 지도자였으며, 계몽된 전제군주로서 법령으로 통치하려고 했다. 그는 헝가리 대관식 서약을 거부했다. 1781–82년에 요제프는 관용 칙서를 발표했고, 뒤이어 관용령을 발표하여 프로테스탄트와 정교회 기독교인에게 완전한 시민권과 유대인에게 예배의 자유를 부여했다. 그는 독일어를 왕국의 공식 언어로 지정하고 라틴어를 대체하도록 칙령을 내리고, 농민에게 토지를 떠나고, 결혼하고, 자녀를 직업에 배치할 자유를 부여했다. 헝가리, 슬라보니아 왕국, 크로아티아, 군사 국경 및 트란실바니아는 하나의 행정부 아래에서 단일 제국 영토가 되었으며, 이를 헝가리 왕국 또는 "성 스테판 왕관의 영토"라고 불렀다. 헝가리 귀족들이 다시 세금 면제를 포기하는 것을 거부하자, 요제프는 헝가리산 제품의 오스트리아 수입을 금지하고 일반 토지세 부과를 준비하기 위한 조사를 시작했다.[22]
요제프의 개혁은 헝가리의 귀족과 성직자들을 격분시켰고, 국가의 농민들은 세금, 징병, 물자 징발에 불만을 품었다. 헝가리인들은 요제프의 언어 개혁을 독일의 문화적 헤게모니로 인식했고, 그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사용할 권리를 주장하며 반응했다. 그 결과, 헝가리 하급 귀족들은 헝가리어와 문화의 르네상스를 촉발시켰고, 국가 춤과 의상의 숭배가 번성했다. 헝가리 민족의 재각성은 이후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소수 민족 사이에서 민족 부흥을 촉발했다.[22]
통치 후반에 요제프는 비용이 많이 드는 터키와의 불운한 전쟁을 이끌어 그의 제국을 약화시켰다. 1790년 1월 28일, 그가 죽기 3주 전에 황제는 관용 칙서, 농민 개혁, 종교 질서 폐지를 제외한 모든 개혁을 취소하는 칙령을 발표했다.[22]
요제프의 후계자인 레오폴트 2세 (1790–92)는 헝가리를 합스부르크 왕 밑의 별도 국가로 보는 관료적인 기술을 다시 도입했다. 1791년 의회는 헝가리의 지위를 헝가리 법률에 따라 합법적으로 즉위한 왕이 통치하는 독립 왕국으로 강조하는 법 X를 통과시켰다. 이 법은 나중에 1825년부터 1849년까지 헝가리 개혁가들이 국가 지위를 요구하는 근거가 되었다. 새로운 법은 다시 합스부르크 왕과 의회의 승인을 요구했고, 라틴어는 공식 언어로 복원되었다. 그러나 농민 개혁은 효력을 유지했고, 프로테스탄트는 법 앞에서 평등하게 유지되었다. 레오폴트는 프랑스 혁명이 공포 정치로 악화되어 유럽 왕가에 충격을 주기 직전인 1792년 3월에 사망했다.[22]
19세기 초부터 헝가리 농업 생산자들의 목표는 자급자족적 농업과 지역 무역을 위한 소규모 생산에서 보다 넓은 시장을 위한 현금 창출, 대규모 생산으로 바뀌었다. 도로와 수로 개선은 운송 비용을 절감했고, 오스트리아, 보헤미아 왕국, 모라바 변경백령의 도시화와 나폴레옹 전쟁에 필요한 물품에 대한 수요는 식량과 의류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다. 헝가리는 주요 곡물 및 양모 수출국이 되었다.[22]
나폴레옹의 최종 패배는 불황을 가져왔다. 수요가 감소하면서 곡물 가격이 폭락했고, 빚이 헝가리 소귀족의 많은 부분을 옭아맸다. 가난은 많은 소귀족들이 생계를 위해 일하도록 강요했고, 그들의 아들들은 공무원 또는 전문 직업을 위한 훈련을 받기 위해 교육 기관에 입학했다. 1820년까지 헝가리의 수출이 전쟁 전 수준을 넘어섰음에도 불구하고 소귀족의 감소는 계속되었다. 졸업장을 받은 소귀족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관료 및 전문직은 포화 상태가 되었고, 많은 불만을 품은 졸업생들이 일자리를 얻지 못했다. 이 새로운 지식인 계층의 구성원들은 서유럽에서 발생한 급진적 정치 이념에 빠르게 매료되어 헝가리의 정치 체제를 변화시키기 위해 스스로를 조직했다.[22]
개혁 시대의 첫 번째 위대한 인물은 1825년 국회 소집 기간에 부상했다. 헝가리에서 가장 강력한 가문 중 하나였던 세체니 이슈트반 백작은 상원에서 처음으로 헝가리어 연설을 했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1년 수입을 약속하여 헝가리 예술 과학 아카데미 창설 제안을 지지하면서 국회를 충격에 빠뜨렸다. 1831년 분노한 귀족들은 세체니의 저서 『히텔』(신용)을 불태웠는데, 이 책에서 그는 귀족의 특권이 도덕적으로 방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귀족 자신에게 경제적으로 해롭다고 주장했다. 세체니는 경제 혁명을 요구했고, 개혁을 실행할 수 있는 사람은 대상자뿐이라고 주장했다. 세체니는 합스부르크 제국과의 강력한 유대 관계를 선호하고, 상속 재산과 농노제를 폐지하고, 토지 소유자에게 과세하고, 외국 자본으로 개발 자금을 조달하고, 국립 은행을 설립하고, 임금 노동을 도입할 것을 요구했다. 그는 부다와 페슈트를 연결하는 세체니 사슬 다리 건설과 같은 사업에 영감을 주었다.[22]
헝가리 개혁의 가장 인기 있는 지도자인 코슈트 러요시는 소귀족들에게 변화를 위한 열정적인 호소를 했다. 코슈트는 프로테스탄트 출신의 토지 없는 소귀족의 아들이었다. 그는 페슈트로 이주하기 전에 아버지와 함께 변호사로 일했다. 그곳에서 그는 국회의 활동에 대한 논평을 출판하여 젊고 개혁적인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 코슈트는 1836년 반역죄로 투옥되었으나, 1840년 석방된 후 자유주의 정당 신문의 편집자로 급속히 명성을 얻었다. 코슈트는 오스트리아로부터의 정치적, 경제적 분리만이 헝가리의 곤경을 개선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더 광범위한 의회 민주주의, 급속한 산업화, 일반 과세, 수출을 통한 경제 확장, 특권 폐지 (법 앞의 평등) 및 농노제를 요구했다. 그러나 코슈트는 또한 헝가리 소수 민족 집단의 강한 반감을 불러일으킨 헝가리 애국자였다. 코슈트는 국회에서 야당 소수를 구성하는 자유주의 소귀족들 사이에서 지지를 얻었다.[22]
3. 5. 1848년 혁명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성립
1848년 헝가리 혁명 이후 황제는 헝가리의 헌법을 폐지하고 절대적인 통제권을 행사했다. 황제 프란츠 요제프는 헝가리를 헝가리, 트란실바니아,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보이보디나(바나트라고도 알려짐)의 네 개의 별개의 영토로 분할했다. 독일과 보헤미아 행정가들이 정부를 관리했고 독일어가 행정 및 고등 교육의 언어가 되었다. 헝가리의 비(非) 마자르 소수 민족은 혼란 속에서 오스트리아를 지원한 것에 대해 거의 아무것도 받지 못했다. 한 크로아티아인은 헝가리인에게 "우리는 마자르족이 처벌로 받은 것을 보상으로 받았습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1]
헝가리의 여론은 오스트리아와의 관계에 대해 분열되었다. 일부 헝가리인들은 오스트리아로부터의 완전한 분리를 희망했고, 다른 이들은 합스부르크 왕가가 헝가리의 헌법과 법률을 존중하는 것을 전제로 합의를 원했다. 페렌츠 데아크는 화해의 주된 옹호자가 되었다. 데아크는 4월 법의 합법성을 유지했고 그 수정에는 헝가리 의회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합스부르크 왕가의 폐위가 무효라고 주장했다. 오스트리아가 절대적으로 통치하는 한, 데아크는 헝가리인들은 불법적인 요구에 수동적으로 저항하는 것 이상을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1]
프란츠 요제프의 신 절대주의 통치에 대한 첫 번째 균열은 1859년 사르데냐-피에몬테와 프랑스 제2 제국의 군대가 솔페리노 전투에서 오스트리아를 격파하면서 발생했다. 이 패배로 프란츠 요제프는 그의 정부에 대한 국가적, 사회적 반대가 비엔나의 칙령으로 관리하기에는 너무 강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점차적으로 헝가리에 대한 양보의 필요성을 인식했고,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타협을 향해 움직였다.[1]
1866년 프로이센은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를 격파하여 합스부르크 제국의 약점을 더욱 강조했다. 황제와 헝가리 지도자 간의 협상이 강화되었고 마침내 1867년 타협으로 이어져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 군주국이 수립되었으며, 이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라고도 알려져 있다.[1]
4. 정치와 행정
합스부르크 왕가는 신성 로마 제국의 영향력 있는 왕조로서, 1526년 모하치 전투 이후 헝가리 왕국의 왕으로 선출되었다.[15][16] 왕국 헝가리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일부가 되었지만, 빈으로부터의 직접적인 통제는 제한적이었다.[17] 합스부르크 국왕은 헝가리의 재정, 군사, 외교 문제를 직접 통제하고, 제국군이 국경을 지켰다.[17]
합스부르크 왕가는 팔라틴 직책을 의도적으로 공석으로 두어, 이 직책을 가진 사람이 과도한 권력을 갖는 것을 견제했다.[17] 또한, 오스만 제국과의 관계 설정 문제는 합스부르크 왕가와 헝가리인들 사이의 갈등을 야기했다. 빈은 오스만 제국과의 평화를 추구했지만, 헝가리인들은 오스만 제국을 몰아내고자 했다.[17] 이러한 입장 차이로 인해 많은 헝가리인들이 반(反)합스부르크 성향을 가지게 되었다.[17]
헝가리인들은 외국 통치와 외국 군대의 주둔, 그리고 합스부르크 왕가가 트란실바니아 공국에 대한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한 것에 불만을 품었다. 트란실바니아 공국은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하에 있었지만, 16세기와 17세기에는 오스만 투르크 술탄과 합스부르크 헝가리 국왕에게 이중으로 복종하는 경우가 많았다.[18] 한편, 왕국 헝가리에서 박해받던 개신교도들은 반종교개혁을 오스만 제국보다 더 큰 위협으로 간주했다.[17]
1804년, 신성 로마 황제 프란츠 2세는 오스트리아 제국을 창설하여 헝가리를 포함한 합스부르크 군주국 전체를 포괄하는 공식적인 구조를 만들었다. 그는 스스로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가 되었고, 이후 역사상 유일한 ''도펠카이저''(이중 황제)로 불렸다.[25] 그러나 헝가리 왕국의 지위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자체 기관(국왕 및 국회)에 의해 관리되는 독립적인 왕국으로 유지되었다. 1790년 헝가리 헌법 제10조는 "Regnum Independens"라는 라틴어 문구를 사용하여 이를 명확히 했다.[26][27][28]
5. 사회와 경제
16세기 후반, 왕령 헝가리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중요한 경제적 기반이었다.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으로 헝가리 경제는 쇠퇴하고 인구는 감소했다.[44] 18세기 헝가리는 인구의 90%가 농업에 종사하는 농업 경제였으며, 노동력 부족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토지 소유자들은 슬로바키아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독일인 등 유럽 각지의 농민들을 헝가리로 이주시켰다.[13] 18세기 말에는 빈과 제국의 폴란드 지역에서 많은 유대인들도 이주해 왔다.
6. 종교
종교 개혁은 헝가리 왕국에 빠르게 확산되었고, 17세기 초에는 가톨릭 신앙을 유지하는 귀족 가문이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21] 16세기 말 왕립 헝가리 인구의 다수는 루터교 신자가 되었다.[7]
페테르 파즈마니 대주교는 왕립 헝가리에서 반종교 개혁을 이끌며 로마 가톨릭 교회를 재건하고, 협박보다는 설득을 통해 프로테스탄트의 세력을 약화시켰다.[21] 종교 개혁은 종종 합스부르크 왕가에 동조하는 가톨릭 신자와[21] 강력한 국가 정체성을 발전시키고 오스트리아의 눈에 반역자로 비춰진 프로테스탄트 사이의 분열을 야기했다. 주로 가톨릭 신자였던 마그나트와 주로 프로테스탄트였던 하위 귀족 사이에도 갈등이 생겼다.[21]
7. 민족 구성
헝가리 왕국 민족 집단 (에레크 페예스에 따름)[29] | 인구수 (1840년경) | 비율 |
---|---|---|
마자르족 (집시 포함, 헝가리어를 사용하기 때문)[30] | 4,812,759 | 37.36% |
슬라브족 (슬로바크족, 루신족, 불가리아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등) | 4,330,165 | 33.62% |
블라흐족 | 2,202,542 | 17.1% |
독일인 (트란실바니아 작센인, 도나우 슈바벤인 등) | 1,273,677 | 9.89% |
유대인 | 244,035 | 1.89% |
프랑스인 (대부분 로렌과 알자스 출신)[31] | 6,150 | 0.05% |
그리스인 | 5,680 | 0.04% |
아르메니아인 | 3,798 | 0.03% |
알바니아인 | 1,600 | 0.01% |
합계 | 12,880,406 | 100% |
참조
[1]
서적
World Dictionary of Foreign Expressions
Bolchazy-Carducci Publishers, Inc.
[2]
서적
Beloved Children: History of Aristocratic Childhood in Hungary in the Early Modern Age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3]
서적
European political thought 1450–1700: religion, law and philosophy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4]
서적
Slovak History: Chronology & Lexicon
https://books.google[...]
Bolchazy-Carducci Publishers
[5]
서적
De bulla aurea Andreae II regis Hungariae, 1222
https://books.google[...]
Valdonega
[6]
간행물
Carpathian Basin and the Development of the Hungarian Landscape Theory Until 1948
http://webdoc.sub.gw[...]
CENTRE FOR REGIONAL STUDIES OF HUNGARIAN ACADEMY OF SCIENCES
[7]
서적
The Jews of Hungary: History, Culture, Psychology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8]
서적
A History of Hungar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9]
서적
Early Modern Religious Communities in East-Central Europe: Ethnic Diversity, Denominational Plurality, and Corporative Politics in the Principality of Transylvania (1526-1691)
https://books.google[...]
Brill
[10]
서적
Statecraft: The Deeds of Antonio Carafa
https://books.google[...]
Peter Lang
[11]
문서
the Estates of the realm have submitted themselves not only to His Majesty's, but also his heirs' power and rule for ever
[12]
서적
Early Modern Religious Communities in East-Central Europe: Ethnic Diversity, Denominational Plurality, and Corporative Politics in the Principality of Transylvania (1526–1691)
https://books.google[...]
BRILL
[13]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1495-1806: A European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BRILL
[14]
서적
Early Modern Religious Communities in East-Central Europe: Ethnic Diversity, Denominational Plurality, and Corporative Politics in the Principality of Transylvania (1526–1691)
https://books.google[...]
[15]
서적
Fractured Europe, 1600–1721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09-04-12
[16]
서적
The long European Reformation: religion, political conflict, and the search for conformity, 1350–1750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9-04-12
[17]
웹사이트
A Country Study: Hungary – Royal Hungary
http://lcweb2.loc.go[...]
Federal Research Division
1989-09
[18]
서적
Conflict and chaos in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19]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1495–1806: A European Perspective Volume 1 van Brill's Companions to European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0]
문서
The Financial Administrative Reforms and Revenues of Ferdinand I in Hungary
http://www.tti.hu/im[...]
[21]
웹사이트
A Country Study: Hungary – Partition of Hungary
http://lcweb2.loc.go[...]
Federal Research Division
1989-09
[22]
서적
The History of Hungary and the Late Hungarian War: Kossuth and His Generals
Phinney
2022-03-14
[23]
웹사이트
Transylvania - Location & History
https://www.britanni[...]
2018-03-19
[24]
서적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25]
문서
Bey der Niederlegung der kaiserlichen Reichs-Regierung. Dekret vom 6. August 1806
[26]
Citation
Hungary's Long Nineteenth Century: Constitutional and Democratic Traditions
Koninklijke Brill NV, Leiden, the Netherlands
[27]
Citation
Verfassung, Verfassungsrecht und Lehre des Öffentlichen Rechts in Österreich bis 1848: Eine Darstellung der materiellen und formellen Verfassungssituation und der Lehre des öffentlichen Rechts
Lang, Frankfurt am Main
[28]
문서
Austerlitz, 1805. december 2. A három császár csatája – magyar szemmel
http://tortenelemsza[...]
[29]
서적
Magyarország' statistikája
https://books.google[...]
Trattner-Kérolyi Tulajdona, Pest
[30]
서적
Magyarország' statistikája
https://books.google[...]
Trattner-Kérolyi Tulajdona, Pest
[31]
서적
Les colonies lorraines et alsaciennes en Hongrie
https://books.google[...]
Berger-Levrault et Cie, Nancy
[32]
서적
World Dictionary of Foreign Expressions
Bolchazy-Carducci Publishers, Inc.
[33]
서적
Beloved Children: History of Aristocratic Childhood in Hungary in the Early Modern Age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34]
서적
European political thought 1450–1700: religion, law and philosophy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5]
서적
Slovak History: Chronology & Lexicon
https://books.google[...]
Bolchazy-Carducci Publishers
[36]
서적
De bulla aurea Andreae II regis Hungariae, 1222
https://books.google[...]
Valdonega
1999
[37]
간행물
Carpathian Basin and the Development of the Hungarian Landscape Theory Until 1948
http://webdoc.sub.gw[...]
CENTRE FOR REGIONAL STUDIES OF HUNGARIAN ACADEMY OF SCIENCES
[38]
서적
The Jews of Hungary: History, Culture, Psychology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996
[39]
서적
A History of Hungar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40]
서적
Early Modern Religious Communities in East-Central Europe: Ethnic Diversity, Denominational Plurality, and Corporative Politics in the Principality of Transylvania (1526-1691)
https://books.google[...]
Brill
2009
[41]
서적
Statecraft: The Deeds of Antonio Carafa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04
[42]
기타
[43]
서적
Early modern religious communities in East-Central Europe: ethnic diversity, denominational plurality, and corporative politics in the principality of Transylvania (1526–1691)
https://books.google[...]
BRILL
2009
[44]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1495-1806: A European Perspective Volume 1 van Brill's Companions to European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012
[45]
서적
Early modern religious communities in East-Central Europe: ethnic diversity, denominational plurality, and corporative politics in the principality of Transylvania (1526–1691)
https://books.google[...]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