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토 게오르크 티라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토 게오르크 티라크는 작센 왕국 부르첸 출신의 독일 법학자이자 나치당원이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철십자 훈장을 받았으며, 법학 공부를 마친 후 변호사로 활동했다. 나치당에 가입한 후 작센 주 법무 장관, 인민 법정 장관을 거쳐 1942년 독일 제국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그는 유대인, 집시 등을 반사회적 요소로 분류하여 홀로코스트에 연루되었으며, 플뢰첸제 교도소에 교수형 시설을 설치하고 대량 처형을 지시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연합군에 체포되기 전 자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6년 자살 - 카를 하우스호퍼
    카를 하우스호퍼는 독일의 지정학자이자 군인으로, 레벤스라움 확보를 주장하며 나치 독일의 팽창주의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으며, 뮌헨 대학교에서 지정학을 학문적으로 발전시키고 독·일 관계 강화에 기여했으나, 2차 세계 대전 이후 자살했다.
  • 1946년 자살 - 막스 쾨겔
    막스 쾨겔은 나치 독일 친위대 장교로서 다하우, 라벤스브뤼크, 마이다네크, 플로센뷔르크 강제 수용소의 소장을 지내며 전쟁범죄에 관여했고, 특히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에서 가스실 설치,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관련자 군사 재판에 관여했으며, 종전 후 체포되어 수감 중 자살했다.
  • 교도소에서 자살한 나치 관련자 - 하인리히 힘러
    하인리히 힘러는 나치 친위대 사령관으로서 홀로코스트를 주도하여 수백만 명의 유대인 학살에 책임이 있으며, 1945년 연합군에 체포되기 전 자살했다.
  • 교도소에서 자살한 나치 관련자 - 로베르트 라이
    로베르트 라이는 독일 노동 전선의 지도자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외국인 강제 노동에 관여했으며 뉘른베르크 재판을 앞두고 자살했다.
  • 독일의 법학자 - 게오르크 옐리네크
    게오르크 옐리네크는 독일의 법학자이자 법철학자로, 국가법인설과 국가의 자기구속설을 주장했으며, 그의 저서 《일반 국가론》과 《인권선언론》은 법학 및 정치학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의 사상은 일본의 천황기관설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독일의 법학자 - 루돌프 슈타믈러
    독일의 법철학자이자 신칸트 학파의 주요 인물인 루돌프 슈타믈러는 법이 경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며 마르크스주의적 법 결정론을 비판하고 '변화하는 내용을 가진 자연법' 개념을 제창하여 후대 법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오토 게오르크 티라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티라크 (1940년)
티라크 (1940년)
이름오토 게오르크 티라크
출생1889년 4월 19일
출생지독일 제국, 작센 왕국, 부르첸
사망1946년 10월 26일
사망지연합군 점령 하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젠네라거
국적독일
정치
소속 정당나치당
주요 경력
법무부 장관1942년 8월 24일 – 1945년 5월 2일
수상아돌프 히틀러
이전 법무부 장관프란츠 슐레겔베르거 (대행)
이후 법무부 장관헤르베르트 클렘 (대행)
인민 법정 재판장1936년 5월 1일 – 1942년 8월 20일
이전 인민 법정 재판장빌헬름 브루너
이후 인민 법정 재판장롤란트 프라이슬러
독일 법률 아카데미 회장1942년 8월 20일 – 1945년 5월 8일
이전 독일 법률 아카데미 회장한스 프랑크
이후 독일 법률 아카데미 회장사무실 폐지됨
군사 경력
복무독일 제국 육군
최종 계급육군 중위
참전제1차 세계 대전
훈장2급 철십자 훈장

2. 초기 생애와 법조 경력

오토 게오르크 티라크는 작센 왕국 부르첸에서 태어났다. 1914년부터 1918년까지 자원하여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중위 계급을 달았다. 그는 안면 부상을 입었고 철십자 훈장 2급을 받았다. 전쟁이 끝난 후 그는 중단했던 법학 공부를 재개하여 1920년에 ''아세서'' (주니어 변호사) 시험을 통과했다. 같은 해에 그는 작센에서 법원 ''아세서''로 고용되었다.

1932년 8월 1일에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에 입당했다. 나치당 정권 장악 후인 1933년 5월에는 작센 주 법무 장관이 되었다. 1936년에는 인민 법정의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2. 1. 초기 생애

오토 게오르크 티라크는 작센 왕국 부르첸에서 태어났다. 1914년부터 1918년까지 제1차 세계 대전에 자원하여 참전하였고 중위 계급을 달았다. 그는 안면 부상을 입었고 철십자 훈장 2급을 받았다. 전쟁이 끝난 후, 티라크는 중단했던 법학 공부를 재개하여 1920년에 ''아세서'' (주니어 변호사) 시험을 통과했다. 같은 해에 그는 작센에서 법원 ''아세서''로 고용되었다.

2. 2. 법조 경력

티라크는 작센 왕국 부르첸에서 태어났다. 1914년부터 1918년까지 제1차 세계 대전에 자원하여 참전, 중위 계급을 달았다. 그는 안면 부상을 입었고 철십자 훈장 2급을 받았다. 전쟁이 끝난 후 중단했던 법학 공부를 재개, 1920년에 ''아세서''(주니어 변호사) 시험을 통과했다. 같은 해에 작센에서 법원 ''아세서''로 고용되었다.

3. 나치당 활동과 권력 장악

1932년 8월 1일에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에 입당했다. 나치당 정권 장악 후인 1933년 5월에는 작센 주 법무 장관이 되었다. 더욱이 1936년에는 인민 법정(Volksgerichtshof)의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1942년 8월에 히틀러 내각의 법무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공석이 된 인민 법정 장관에는 롤란트 프라이슬러를 임명했다. 티라크의 급속한 승진에는 그가 나치당원이라는 것뿐만 아니라, "Nationalsozialistischer Rechtswahrerbund"(국가 사회주의 법률가 동맹/Nationalsozialistischer Rechtswahrerbundde)이라는 나치계 법률가 단체의 리더를 하고 있던 것도 이유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같은 해에는 베를린 교외의 플뢰첸제 형무소/Justizvollzugsanstalt Plötzenseede교수대를 설치하게 했다. 이 교수대에 의해,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의 관계자 등 많은 죄수가 처형되었다.

3. 1. 나치당 입당

1932년 8월 1일, 티라크는 나치당에 입당했다. 나치가 권력을 잡은 1933년 이후, 그는 검사에서 인민법원(Volksgerichtshof) 원장까지 아주 짧은 시간에 고위직으로 승진했다. 이러한 승진의 기반은 티라크가 나치당원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른바 '법률 옹호 연맹'인 국가사회주의 법률가 조직의 지도자였다는 점도 작용했다.

3. 2. 권력 장악 과정

티라크는 1932년 8월 1일 나치당에 입당했다. 나치가 권력을 잡은 1933년 이후, 검사에서 인민법원 원장까지 빠르게 승진했다. 이러한 승진에는 티라크가 나치당원이었을 뿐만 아니라, 국가사회주의 법률가 조직의 지도자였다는 점도 작용했다.

4. 작센 주 법무장관

오토 게오르크 티라크는 1933년 5월 12일 작센 주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사법부를 "나치화"하는 임무를 맡았다.[1] 그는 나치당 정권 장악 후인 1933년 5월에 작센 주 법무 장관이 되었다. 1932년 8월 1일에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에 입당했다.

5. 제국 법무장관

오토 티라크(오른쪽)와 판사 롤란트 프라이슬러 1942년 8월 말


1942년 8월 24일, 티라크는 독일 제국 법무부 장관 직을 맡았다.[2] 그는 1942년 10월에 월간지 ''Richterbriefe''를 도입했는데, 여기에는 나치 지도부의 관점에서 독일 법학의 기초가 될 모델 판결이 이름 없이 제시되었다. 그는 또한 소위 "Vorschauen" 및 "Nachschauen"( "미리보기" 및 "검사")을 도입했다. 이 후, 공공의 이익과 관련된 소송에서 상급 주 법원장은 적어도 2주에 한 번씩 검찰청 및 주 법원장과 논의해야 했다. 주 법원장은 이 내용을 관련 형사 법원에 전달해야 했다. 법원 판결 ''전에'' 사건을 어떻게 판결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었다.

1942년 8월에 제국 법무부 장관이 되었을 때, 티라크는 사형 선고를 받은 사람들에 대한 사면 절차에 관련된 장기간의 서류 작업을 크게 단축시켰다. 그 해 9월, 그는 "유대인, 집시, 러시아인, 3년 이상 징역형을 받은 폴란드인, 체코인 또는 8년 이상 징역형을 받고 있는 독일인"으로 분류된 모든 구금자들을 "반사회적 요소"로 분류하여 ''친위대 전국지도자'' 하인리히 히믈러에게 넘겨 노동을 통해 학살하도록 했다.[2][3]

티라크의 지시에 따라, 1942년 12월 베를린 플뢰첸제 교도소의 처형실에는 8개의 쇠고리가 설치되어 여러 사람이 동시에 교수형으로 처형될 수 있도록 했다(이미 오랫동안 단두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대량 처형은 1943년 9월 7일에 시작되었지만, 처형 속도가 빨라 일부 수감자는 "실수로" 교수형에 처해졌다. 티라크는 이를 오류로 치부하고 교수형을 계속할 것을 요구했다. 티라크는 히틀러의 정치적 유언에서 법무부 장관으로 계속 지명되었다. 그는 짧은 기간 동안 괴벨스 내각에서 활동했지만, 1945년 5월 5일 히틀러의 후임자인 ''국가 원수'' 카를 되니츠에 의해 해임되었다.[4]

5. 1. 임명과 역할



1942년 8월 24일, 티라크는 독일 제국 법무부 장관 직을 맡았다.[2] 그는 1942년 10월에 월간지 ''Richterbriefe''를 도입했는데, 여기에는 나치 지도부의 관점에서 독일 법학의 기초가 될 모델 판결이 이름 없이 제시되었다. 그는 또한 소위 "Vorschauen" 및 "Nachschauen"( "미리보기" 및 "검사")을 도입했다. 이 후, 공공의 이익과 관련된 소송에서 상급 주 법원장은 적어도 2주에 한 번씩 검찰청 및 주 법원장과 논의해야 했다. 주 법원장은 이 내용을 관련 형사 법원에 전달해야 했다. 법원 판결 ''전에'' 사건을 어떻게 판결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었다.[4]

1942년 8월에 제국 법무부 장관이 되었을 때, 티라크는 사형 선고를 받은 사람들에 대한 사면 절차에 관련된 장기간의 서류 작업을 크게 단축시켰다. 그 해 9월, 그는 "유대인, 집시, 러시아인, 3년 이상 징역형을 받은 폴란드인, 체코인 또는 8년 이상 징역형을 받고 있는 독일인"으로 분류된 모든 구금자들을 "반사회적 요소"로 분류하여 ''친위대 전국지도자'' 하인리히 히믈러에게 넘겨 노동을 통해 학살하도록 했다.[2][3]

티라크의 지시에 따라, 1942년 12월 베를린 플뢰첸제 교도소의 처형실에는 8개의 쇠고리가 설치되어 여러 사람이 동시에 교수형으로 처형될 수 있도록 했다(이미 오랫동안 단두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대량 처형은 1943년 9월 7일에 시작되었지만, 처형 속도가 빨라 일부 수감자는 "실수로" 교수형에 처해졌다. 티라크는 이를 오류로 치부하고 교수형을 계속할 것을 요구했다. 티라크는 히틀러의 정치적 유언에서 법무부 장관으로 계속 지명되었다. 그는 짧은 기간 동안 괴벨스 내각에서 활동했지만, 1945년 5월 5일 히틀러의 후임자인 ''국가 원수'' 카를 되니츠에 의해 해임되었다.[4]

5. 2. 반인도적 범죄

1942년 8월 24일, 티라크는 독일 제국 법무부 장관 직을 맡았다.[2] 그는 월간지 ''Richterbriefe''를 도입하여 나치 지도부의 관점에서 독일 법학의 기초가 될 모델 판결을 제시했다. 또한 "Vorschauen" 및 "Nachschauen"( "미리보기" 및 "검사")을 도입하여, 공공의 이익과 관련된 소송에서 상급 주 법원장이 검찰청 및 주 법원장과 논의하고, 주 법원장은 이를 관련 형사 법원에 전달하여 법원 판결 ''전에'' 사건을 어떻게 판결할 것인지 논의하도록 했다.

티라크는 제국 법무부 장관이 되면서 사형 선고를 받은 사람들에 대한 사면 절차에 관련된 서류 작업을 단축시켰다. 1942년 9월, 그는 "유대인, 집시, 러시아인, 3년 이상 징역형을 받은 폴란드인, 체코인 또는 8년 이상 징역형을 받고 있는 독일인"으로 분류된 모든 구금자들을 "반사회적 요소"로 분류하여 친위대 전국지도자 하인리히 히믈러에게 넘겨 노동을 통해 학살하도록 했다.[2][3]

티라크의 지시에 따라, 1942년 12월 베를린 플뢰첸제 교도소의 처형실에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교수형으로 처형될 수 있도록 8개의 쇠고리가 설치되었다. 1943년 9월 7일에 대량 처형이 시작되었지만, 처형 속도가 빨라 일부 수감자는 "실수로" 교수형에 처해졌다. 티라크는 이를 오류로 치부하고 교수형을 계속할 것을 요구했다.[4] 티라크는 히틀러의 정치적 유언에서 법무부 장관으로 계속 지명되었다. 그는 짧은 기간 동안 괴벨스 내각에서 활동했지만, 1945년 5월 5일 히틀러의 후임자인 ''국가 원수'' 카를 되니츠에 의해 해임되었다.[4]

5. 3. 플뢰첸제 교도소



1942년 12월 티라크의 지시에 따라, 베를린 플뢰첸제 교도소의 처형실에는 8개의 쇠고리가 설치되어 여러 사람이 동시에 교수형으로 처형될 수 있도록 했다(이미 오랫동안 단두대가 설치되어 있었다).[4] 대량 처형은 1943년 9월 7일에 시작되었지만, 처형 속도가 빨라 일부 수감자는 "실수로" 교수형에 처해졌다.[4] 티라크는 이를 오류로 치부하고 교수형을 계속할 것을 요구했다.[4]

5. 4.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관련

1942년 8월 24일, 티라크는 독일 제국 법무부 장관 직을 맡았다. 그는 1942년 10월에 월간지 ''Richterbriefe''를 도입했는데, 여기에는 나치 지도부의 관점에서 독일 법학의 기초가 될 모델 판결이 이름 없이 제시되었다. 그는 또한 소위 "Vorschauen" 및 "Nachschauen"( "미리보기" 및 "검사")을 도입했다. 이 후, 공공의 이익과 관련된 소송에서 상급 주 법원장은 적어도 2주에 한 번씩 검찰청 및 주 법원장과 논의해야 했다. 주 법원장은 이 내용을 관련 형사 법원에 전달해야 했다. 법원 판결 ''전에'' 사건을 어떻게 판결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었다.[2][3]

1942년 8월에 제국 법무부 장관이 되었을 때, 티라크는 사형 선고를 받은 사람들에 대한 사면 절차에 관련된 장기간의 서류 작업을 크게 단축시켰다. 그 해 9월, 그는 "유대인, 집시, 러시아인, 3년 이상 징역형을 받은 폴란드인, 체코인 또는 8년 이상 징역형을 받고 있는 독일인"으로 분류된 모든 구금자들을 "반사회적 요소"로 분류하여 ''친위대 전국지도자'' 하인리히 히믈러에게 넘겨 노동을 통해 학살하도록 했다.[4]

티라크의 지시에 따라, 1942년 12월 베를린 플뢰첸제 교도소의 처형실에는 8개의 쇠고리가 설치되어 여러 사람이 동시에 교수형으로 처형될 수 있도록 했다. 대량 처형은 1943년 9월 7일에 시작되었지만, 처형 속도가 빨라 일부 수감자는 "실수로" 교수형에 처해졌다. 티라크는 이를 오류로 치부하고 교수형을 계속할 것을 요구했다. 티라크는 히틀러의 정치적 유언에서 법무부 장관으로 계속 지명되었다. 그는 짧은 기간 동안 괴벨스 내각에서 활동했지만, 1945년 5월 5일 히틀러의 후임자인 ''국가 원수'' 카를 되니츠에 의해 해임되었다.

5. 5. 전후 폭주

1942년 8월 24일, 티라크는 독일 제국 법무부 장관 직을 맡았다. 그는 1942년 10월에 월간지 ''Richterbriefe''를 도입했는데, 여기에는 나치 지도부의 관점에서 독일 법학의 기초가 될 모델 판결이 이름 없이 제시되었다. 그는 또한 소위 "Vorschauen" 및 "Nachschauen"( "미리보기" 및 "검사")을 도입했다. 이 후, 공공의 이익과 관련된 소송에서 상급 주 법원장은 적어도 2주에 한 번씩 검찰청 및 주 법원장과 논의해야 했다. 주 법원장은 이 내용을 관련 형사 법원에 전달해야 했다. 법원 판결 ''전에'' 사건을 어떻게 판결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었다.

1942년 8월에 제국 법무부 장관이 되었을 때, 티라크는 사형 선고를 받은 사람들에 대한 사면 절차에 관련된 장기간의 서류 작업을 크게 단축시켰다. 그 해 9월, 그는 "유대인, 집시, 러시아인, 3년 이상 징역형을 받은 폴란드인, 체코인 또는 8년 이상 징역형을 받고 있는 독일인"으로 분류된 모든 구금자들을 "반사회적 요소"로 분류하여 ''친위대 전국지도자'' 하인리히 히믈러에게 넘겨 노동을 통해 학살하도록 했다.[2][3]

티라크의 지시에 따라, 1942년 12월 베를린 플뢰첸제 교도소의 처형실에는 8개의 쇠고리가 설치되어 여러 사람이 동시에 교수형으로 처형될 수 있도록 했다(이미 오랫동안 단두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대량 처형은 1943년 9월 7일에 시작되었지만, 처형 속도가 빨라 일부 수감자는 "실수로" 교수형에 처해졌다. 티라크는 이를 오류로 치부하고 교수형을 계속할 것을 요구했다. 티라크는 히틀러의 정치적 유언에서 법무부 장관으로 계속 지명되었다. 그는 짧은 기간 동안 괴벨스 내각에서 활동했지만, 1945년 5월 5일 히틀러의 후임자인 ''국가 원수'' 카를 되니츠에 의해 해임되었다.[4]

6. 몰락과 죽음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연합국은 티라크를 체포했다. 그는 뉘른베르크 판사 재판 법정에 서기 전, 파더보른의 제넬라거에서 스스로 독극물을 마시고 자살했다. 아돌프 히틀러의 사망 직전인 1945년 4월 20일에 베를린에서 탈출, 5월 2일에 오이틴에서 확인된 것을 마지막으로 소식이 끊겼다. 히틀러의 정치적 유언에서 법무 대신으로 지명되었으나, 종전 처리 정부 대통령 카를 되니츠에 의해 1945년 5월 6일 해임되었다. 패전이 확실해지자 티라크는 소련군 침공으로 탈출한 쾨니히스베르크 (프로이센) 고등 지방 법원 장관 막스 드라거 등 2명을 적전 도주 혐의로 체포, 엄중히 심문했다. 드라거는 처형, 다른 한 명은 옥중 자살했다.

6. 1. 히틀러 내각 잔류와 해임

6. 2. 체포와 자살

연합국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된 후 티라크를 체포했다. 그는 뉘른베르크 판사 재판 법정에 서기 전, 파더보른의 제넬라거에서 스스로 독극물을 마시고 자살했다.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Third Reich Da Capo Press
[2] 서적 Heinrich Himmler: A Life
[3] 서적 Backing Hitler: Consent And Coercion in Nazi Germany
[4] 웹사이트 After the Battle: The Flensburg Government https://www.39-45.or[...] Battle of Britain International Ltd. 2005-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