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스 프랑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프랑크는 1900년 카를스루에에서 태어나 뮌헨 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독일의 법률가이자 나치당의 고위 간부였다. 그는 히틀러의 개인 법률 고문으로 활동하며 나치당의 변호를 맡았고, 1933년 바이에른 주 법무장관, 1934년 무임소 상을 역임했다.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점령지 폴란드의 총독으로 임명되어 유대인 게토 강제 수용, 재산 몰수, 시민권 박탈 등 공포 정책을 시행하며 유대인 학살에 깊이 관여했다. 1945년 미군에 체포되어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전쟁 범죄와 인도에 반하는 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1946년 교수형에 처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 총독부 - 총독부 (나치 독일)
    총독부는 나치 독일이 폴란드를 점령한 후 설치한 행정 구역으로, 폴란드 영토의 일부를 포함하며 인종 차별 정책을 시행하고 유대인 학살을 자행하다가 소련군의 진격으로 붕괴되었다.
  • 폴란드 총독부 - 갈리치아 관구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점령한 폴란드 지역에 설치된 갈리치아 관구는 독일 점령 폴란드의 일부로 유대인 탄압과 학살이 자행되었으며, 소련군 재점령 후 소련화 정책이 시행되었다.
  • 툴레 협회 회원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알프레트 로젠베르크는 발트 독일인 출신 나치 이론가이자 정치가로, 인종주의, 반유대주의, 레벤스라움, 베르사유 조약 폐기 등을 주창하며 나치 이데올로기에 영향을 미쳤고, 나치당 외교정책국장, 동부 점령 지역 장관 등을 역임하며 전쟁 범죄로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다.
  • 툴레 협회 회원 - 하인리히 힘러
    하인리히 힘러는 나치 친위대 사령관으로서 홀로코스트를 주도하여 수백만 명의 유대인 학살에 책임이 있으며, 1945년 연합군에 체포되기 전 자살했다.
  • 나치당 전국지휘자 - 발두어 폰 시라흐
    발두어 폰 시라흐는 나치 독일 시대 히틀러 유겐트의 국가 지도자였던 독일 정치인으로, 나치즘에 심취하여 히틀러 유겐트를 합법적인 청소년 단체로 성장시키고 빈의 가우라이터 겸 제국총독으로 활동했으며,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반인륜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나치당 전국지휘자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알프레트 로젠베르크는 발트 독일인 출신 나치 이론가이자 정치가로, 인종주의, 반유대주의, 레벤스라움, 베르사유 조약 폐기 등을 주창하며 나치 이데올로기에 영향을 미쳤고, 나치당 외교정책국장, 동부 점령 지역 장관 등을 역임하며 전쟁 범죄로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다.
한스 프랑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스 프랑크
1939년의 프랑크
본명한스 미하엘 프랑크
출생1900년 5월 23일
출생지독일 제국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카를스루에
사망1946년 10월 16일 (46세)
사망 장소연합군 점령하 독일 바이에른주 뉘른베르크
사망 원인교수형
국적독일 제국
학력뮌헨 대학교
킬 대학교
직업변호사
배우자브리기테 헤르프스트 (1925년 결혼)
자녀니클라스 프랑크를 포함한 5명
한스 프랑크 서명
한스 프랑크 서명
정치 경력
소속 정당나치당
이전 소속 정당독일 노동자당 (DAP)
독일 국회의원1930년 10월 14일 - 1945년 5월 8일 (제8구, 리그니츠)
주요 직책
폴란드 총독부 총독재임 시작: 1939년 10월 26일
재임 종료: 1945년 1월 19일
전임: (신설)
후임: (폐지)
무임소장관재임 시작: 1934년 12월 19일
재임 종료: 1945년 4월 30일
총리: 아돌프 히틀러
독일 법률 아카데미 총재재임 시작: 1933년 10월 2일
재임 종료: 1942년 8월 20일
전임: (신설)
후임: 오토 게오르크 티어라크
바이에른 법무부 장관재임 시작: 1933년 4월 18일
재임 종료: 1934년 12월 4일
전임: 하인리히 슈팡겐베르거
후임: (정보 없음)
법률 문제 담당 국가 변무관재임 시작: 1933년 4월 22일
재임 종료: 1934년 12월 19일
사법 전국 지도자재임 시작: 1929년
재임 종료: 1942년 7월
군사 복무
소속독일 제국 육군
참전제1차 세계 대전
최종 계급돌격대 대장, 육군 예비역 소위
유죄 판결
죄목전쟁 범죄, 인도에 반한 죄
재판뉘른베르크 재판
형벌사형
집행교수형
범죄 기간1939년 10월 8일 - 1945년 1월 19일
표적폴란드 총독부의 폴란드 민간인, 홀로코스트 (폴란드)의 폴란드계 유대인

2. 초기 생애 및 교육

한스 프랑크는 1900년 독일 제국영방바덴 대공국의 도시 카를스루헤에서 가톨릭 신자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바이에른·팔츠 지방 출신의 변호사 카를 프랑크(Karl Frank)였고, 어머니는 그의 아내 마그달레나(Magdalena, 옛 성씨 Buchmaier)였다.[76] 아버지는 변호사였지만, 수상한 일을 많이 맡아 나중에 부패로 인해 법조 자격을 박탈당했다.[27] 어머니는 상 바이에른의 농가 출신이었다.[27] 형과 여동생이 있었고, 형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전사했다.[28] 프랑크의 부모는 1910년에 이혼했다. 프랑크와 형은 아버지에게, 여동생은 어머니에게 맡겨졌다.[29]

바이에른 왕국 수도 뮌헨의 초등학교와 김나지움에서 공부했다.[76] 1916년부터 1년 정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수도 프라하의 학교에서 공부했다.[29] 제1차 세계 대전 마지막 해 1918년에 바이에른 왕국군에 입대했지만, 전선에는 나가지 않았고, 뮌헨에 주둔했다.[76] 대전 말기, 쿠르트 아이스너 등이 주도한 바이에른 혁명이 일어나 바이에른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19년에는 에른스트 토러 등 공산주의자들에 의한 혁명이 일어나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프랑크는 프란츠 폰 엡 대령이 이끄는 엡 의용군에 참가하여[76] 소비에트 공화국 타도에 참여했다. 소비에트 공화국에는 소련에서 많은 유대인 적화 공작원이 파견되었기 때문에 프랑크는 반유대주의 사상에 정당성을 느끼게 되었다고 한다.[30]

1919년 9월부터 10월경,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의 전신인 독일 노동자당 당수 안톤 드렉슬러의 총애를 받으며, 아돌프 히틀러의 연설회에 참석할 것을 권유받고 처음으로 히틀러의 연설을 들었다. 그러나 이때의 히틀러는 기진맥진한 상태였고, 프랑크는 그다지 좋은 인상을 받지 못했다고 한다.[31] 같은 해에 독일 노동자당에 입당했지만, 1920년 봄에 독일 노동자당이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으로 재편되었을 때는 참가를 보류했다.[76]

종전 후 뮌헨 대학교에 입학하여 법학을 공부했지만, 나중에 킬 대학교로 옮겼다. 1923년 여름에 잠시 킬에서 뮌헨으로 돌아왔을 무렵에는 나치당이 바이에른 주의 거대한 세력이 되어 있었다.[31] 프랑크는 1923년 9월 돌격대에 입대했고, 10월에는 나치당에 입당했다.[76]

1924년에 킬 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버지의 법률 사무소를 도왔지만, 1925년에 아버지가 횡령 혐의로 체포되어 변호사 자격을 잃었다(1928년에 복권).[27][32] 프랑크 자신은 1926년에 법조 자격을 취득하고, 뮌헨에서 변호사로 활동했다.[76]

3. 나치당 활동 및 경력

1919년 독일 노동자당(이후 나치에 합병되는 우익 정당)에 입당했다. 1926년 국가 고시에 합격했고, 아돌프 히틀러의 법률 자문으로 활동하면서 친분을 쌓았다.[76] 1920년대 후반에는 나치의 공식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나치 관련 사건이나 사고의 법적 처리 업무를 맡았고, 1930년에는 제국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76]

1933년에는 바이에른 주의 법무장관에 임명되었으며, 독일 법학 아카데미 회장과 국가사회주의 판사연맹 의장도 겸임했다.[76] 장검의 밤 사건 같이 비사법적 살해에 해당하는 사건에는 반대 의사를 밝히기도 했으나, 나치의 기본 교의인 반유대주의에는 공공연히 찬성하는 등 기본적으로 당의 방침에 순종하는 입장을 보였다.[76]

아돌프 히틀러의 개인 법률 고문이 된 프랑크는 당의 변호사로도 활동하며 2,400건이 넘는 사건을 대리했고, 이로 인해 때때로 다른 변호사들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5] 1930년 9월~10월에는 국방군(Reichswehr) 장교 3명에 대한 라이프치히 군사 재판에서 변호사로 활동했다.[6]

1928년 10월, 국가 사회주의 독일 법률가 협회를 설립하고 그 지도자가 되었다. 1930년 10월에는 선거구 8, 라이그니츠에서 국회(바이마르 공화국) 의원에 선출되었다.[6]

1933년 3월 10일, 나치가 바이에른 주 정부를 장악했을 때 사법 담당 국가위원(Staatskommissar)이 되었고, 1934년 2월 14일 국가평의회(Reichsrat) 대표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7] 1933년 4월, 바이에른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1934년 12월까지 재직했고, 이후 국가 정부에서 무임소 장관인 제국 장관이 되었다. 1933년 6월 2일, 당 법무부의 수장으로서 나치당의 두 번째로 높은 정치적 직위인 제국지도자(Reichsleiter)가 되었다. 1933년 6월 26일, 독일 법학 아카데미를 설립, 1933년 10월 2일 창립 회의에서 아카데미 지도자로 임명되었고, 1942년 8월 20일 제국지도자 및 법률가 협회장직을 사임할 때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

1933년 3월, 바이에른 라디오 연설에서 프랑크는 "오스트리아에서 고통받는 동지들에게" 인사를 전하며, 필요하다면 나치당이 "오스트리아 독일 동지들의 자유를 지키는 일을 맡을 것"이라고 위협했다. 1933년 5월, 프로이센 법무부 장관 한스 케를과 그의 장관 국장 롤란트 프라이슬러를 동반하여 나치 선전을 위해 비엔나로 갔으나, 엥겔베르트 돌푸스 총리는 이들의 오스트리아 방문을 바람직하지 않다고 선언하고 추방했다.[8]

프랑크는 다하우 강제 수용소장검의 밤 사건에서 나타난 초법적인 살해에 반대했다.

1938년 4월 7일, 파사우 니벨룽겐홀레에서 약 10,000명의 나치에게 연설했다.[10]

나치당 정권 장악 후인 1933년 3월 10일, 바이에른 주 법무성 주 위원(Staatskommissar)에 취임했다. 이어서 4월 18일에는 바이에른 주 법무 장관에 임명되었다. 법무 담당 국가 변무관, 독일 법률 아카데미 총장도 겸임했다. 1934년에는 히틀러 내각의 무임소 상에 임명되었다. 더 나아가 나치당의 법률 문제 전국 지도자에도 올랐다.

4. 폴란드 총독 재임

1939년 9월, 폴란드 침공이 완료된 후, 한스 프랑크는 독일에 직접 편입되지 않은 폴란드 지역인 총독부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76] 그는 크라쿠프의 바벨 성을 거점으로 폴란드 총독부 영토를 통치했다.

1939년, 점령하 폴란드 크라쿠프. 쿠르트 달루게 질서경찰청장(좌), 한스 프랑크 총독(중앙), 쿠르트 루트비히 폰 기난트 중장(우)


프랑크가 총독으로 체류했던 크라쿠프의 바벨 성


프랑크는 폴란드를 "반달(蠻地)"라고 부르며 경멸했고, 폴란드인을 단순한 노예 노동력 공급원으로 여겼다.[42] 폴란드인 지식인들은 친위대에 의해 학살되었고, 귀중한 미술품은 프랑크가 사유화했다.[42] 이 때문에 미술품 약탈을 두고 헤르만 괴링과 경쟁 관계에 있기도 했다.

프랑크는 폴란드 내 유대인들을 게토에 강제 수용하고 재산을 몰수하는 등 가혹한 정책을 시행했다.[11] 또한, 폴란드 민간인들을 강제 노동에 동원했다.

1942년, 프랑크는 베를린 등에서 연설을 통해 히틀러의 심기를 건드렸고, 친위대 고위 장성들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점차 실권을 잃었다.[45] 프리드리히 빌헬름 크뤼거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한 후, 빌헬름 코페에게 보안 차관 자리를 내주어야 했다.

1944년 1월 29/30일 밤, 폴란드 비밀 국가에 의한 암살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다.[12][13] 렘베르크/르보프/리비우로 이동하던 프랑크가 탄 특별 열차가 폭발물로 인해 탈선했지만, 사망자는 없었다. 이 사건에 대한 처벌로 약 100명의 폴란드인 인질이 초법적 처형되었다.

4. 1. 유대인 학살 (홀로코스트) 관련

프랑크는 폴란드유대인들을 게토로 몰아넣고 가혹하게 차별했으며, 강제 노동에 동원했다.[11] 1941년 12월 16일, 프랑크는 고위 관리들에게 "유대인은 사라져야 한다"고 연설하며 유대인 절멸 의지를 드러냈다.[11] 그는 "350만 명의 유대인을 총살이나 독살할 수는 없지만, 라이히에서 검토 중인 방법과 결합하면 말살할 수 있다"고 말했다.[11]

나치 절멸 수용소 (검은색과 흰색 해골로 표시)


총독부에는 벨제츠 절멸 수용소, 트레블링카 절멸 수용소,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 소비보르 절멸 수용소 등 4개의 절멸 수용소가 있었다.[4] 프랑크는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유대인 절멸이 하인리히 히믈러와 SS에 의해 통제되었고 자신은 1944년 초까지 절멸 수용소에 대해 알지 못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4]

5. 몰락과 뉘른베르크 재판

1945년 1월, 소련군이 진격해오자 한스 프랑크는 폴란드를 탈출해 독일 남부에 은거하다가 미군에 체포되었다.[76] 체포 과정에서 두 번이나 자살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54] 이후 뉘른베르크 재판에 회부되었다.[54]

증언대에 앉아 있는 프랑크(1946년 4월 19일)


프랑크는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알베르트 슈페어와 함께 자신의 죄를 일부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15] 그는 루돌프 회스의 증언을 듣고 자신의 양심이 책임을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떠넘기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고 말했다.[4] 그러나 폴란드에서 행해진 학살과 인권 유린에 대해서는 친위대에 책임을 전가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58]

프랑크는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침략 전쟁 공모", "전쟁 범죄", "인도에 반하는 죄"로 기소되었다.[62] "침략 전쟁 공모"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62] "전쟁 범죄"와 "인도에 반하는 죄" 혐의에 대해서는 유죄 판결을 받고 교수형에 처해졌다.[63]

6. 사후 평가 및 논란

한스 프랑크는 나치 정권의 잔혹한 통치를 상징하는 인물 중 하나로 평가된다. 그는 사형을 기다리는 동안 회고록 ''교수대의 면전에서''(Im Angesicht des Galgens)를 썼는데, 이 회고록은 나중에 그의 미망인에 의해 출판되었다.[14]

프랑크는 회고록에서 아돌프 히틀러의 조상에 대한 논란이 되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히틀러의 조카 윌리엄 패트릭 히틀러로부터 협박 편지를 받은 후 히틀러의 가족을 조사했다고 주장했다. 조사 결과, 히틀러의 아버지 알로이스 히틀러가 레오폴트 프랑켄베르거라는 유대인 남자의 집에서 일하던 마리아 쉬클그루버에게서 태어난 사생아라는 증거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언 커쇼와 브리짓 하만과 같은 학자들은 이 주장을 근거 없는 것으로 일축한다.[19] 론 로젠바움은 프랑크가 이러한 주장을 한 이유에 대해, 그의 아들 니클라스 프랑크가 쓴 책에서 묘사된 것처럼, 프랑크가 교활하고 비열한 방식으로 히틀러에게 복수하고 역사에 자신의 이름을 남기려는 의도였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1987년, 프랑크의 아들 니클라스는 아버지의 생애를 다룬 평전 ''Der Vater (아버지)''를 출판하여 큰 논쟁을 일으켰다. 이 책에서 니클라스는 아버지의 범죄 행위를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비판했다. 니클라스의 형제자매 중 다수는 아버지의 죄를 인정하지 않으려 했고, 일부는 니클라스를 비난하며 소송을 걸거나 홀로코스트를 부정하는 등 극단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66]

7. 가족 관계

1925년 4월 2일, 프랑크는 포르스트 (라우지츠) 출신의 비서 브리지테 헬프스트(1895년 12월 29일 – 1959년 3월 9일)와 결혼하여 뮌헨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베네치아로 신혼여행을 갔다. 이들 부부는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출생사망
지그리트 프랑크1927년 3월 17일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사망
노먼 프랑크1928년 6월 3일2009년 3월
브리지테 프랑크1935년 1월 13일1981년
미하엘 프랑크1937년 2월 15일1990년
니클라스 프랑크1939년 3월 9일생존



브리지테 헬프스트는 남편보다 더 지배적인 성격을 가졌다는 평판을 받았다. 1939년 이후 그녀는 "폴란드의 여왕"이라고 자칭하기도 했다. 결혼 생활은 불행했고, 브리지테는 여러 차례 불륜을 저질렀으며, 심지어 자녀들 사이에서는 다른 아버지가 있었다는 소문까지 돌았다. 1942년 프랑크가 이혼을 요구하자, 브리지테는 "총독부의 퍼스트 레이디"로 남기 위해 결혼 생활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그녀는 "나는 제국 장관과 이혼하는 것보다 미망인이 되는 것이 낫다!"라고 말했고, 프랑크는 "그럼 당신은 나의 치명적인 적이군!"이라고 대답했다.[65]

니클라스 프랑크를 제외한 다른 자녀들은 아버지의 처형 당시 그가 "무죄"라고 느끼며 슬퍼했다. 니클라스는 아버지에 대한 책, ''Der Vater: Eine Abrechnung'' ("아버지: 정산")을 썼고, 이 책은 잡지 ''슈테른''에 연재되어 논란을 일으켰다. 니클라스는 아버지를 "히틀러 광신자의 오물 구멍"이라고 칭하며 그의 뉘우침을 의심했다.

브리지테는 1981년에 46세의 나이로 자살했고, 지그리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사망했다. 니클라스는 한스와 브리지테 프랑크의 유일한 생존 자녀이다.

8. 기타

한스 프랑크는 가톨릭 신자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27] 아버지는 변호사였으나 부패로 법조 자격을 박탈당했다.[27]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고,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 타도에 참여하면서 반유대주의 사상을 갖게 되었다.[30] 나치당에 가입하여 아돌프 히틀러의 법률 고문으로 활동했으며, 뮌헨 폭동에 가담하기도 했다. 뉘른베르크 재판 당시 지능 지수 검사에서 130을 기록했다.[67]

프랑크는 나치즘에 경도되어 한때 무신론자가 되었으나, 뉘른베르크 재판 중 다시 가톨릭으로 돌아왔다. 그는 예술과 문학에 관심이 많았으며, 특히 브람스, 바흐, 막스 레거의 음악을 즐겨 들었다.[73] 바그너는 좋아하지 않았는데, 히틀러가 바그너를 좋아한 것은 음악적 감각 때문이 아니라 웅장한 게르만풍의 장엄함 때문이라고 평가했다.[73] 오스발트 슈펭글러와 친분이 있었으며, 슈펭글러는 히틀러가 유대인을 몰아내는 정책을 비판하며 10년 안에 독일이 소멸할 것이라고 예언했다.[74]

프랑크는 히틀러에 대해 "야만적이고 자기 중심적이었으며, 통상적인 인간적 기준을 경멸했다"라고 비판했다.[68] 또한 나치당 강령이 유대인의 물리적 섬멸이 아닌 영향력 제거를 요구했음에도, 히틀러가 전쟁 중 유대인 학살을 자행했다고 주장했다.[69] 그는 슈트라이허를 매우 싫어했다.[75]

참조

[1] 웹사이트 Holocaust Encyclopedia: Hans Frank http://www.ushmm.org[...] 2016-04-18
[2] 문서 Hans Frank: Lebenslauf, in: Auszug aus der Dissertation ''Die öffentlichrechtliche juristische Person'', der maschinenschriftlichen Dissertation zur Erlangung der Würde eines Doktors der Rechte der Hohen Rechts- und Staatswissenschaftlichen Fakultät der Christian Albrechts Universität zu Kiel, Referent: Dr. Walter Jellinek, beigegeben. Identifikation der Dissertationsschrift: http://d-nb.info/570188911
[3] 서적 Deutsche Politik in Polen 1939-1945. Aus dem Diensttagebuch von Hans Frank, Generalgouverneur in Polen Leske + Budrich
[4] 서적 Nuremberg Trial Proceedings Yale Law School/Lillian Goldman Law Library/The Avalon Project 2016-04-18
[5] 서적 The Coming of the Third Reich Penguin Press
[6] 서적 The Nemesis of Power Macmillan
[7] 웹사이트 Joachim Lilla: Ministers of State, senior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NS) officials in Bavaria from 1918 to 1945 https://verwaltungsh[...] 2023-04-07
[8] 간행물 AUSTRIA: Dollfuss v. Undesirables https://content.time[...] 2024-01-20
[9] 서적 The Third Reich in Power Penguin Press
[10] 문서 Hitlers Nibelungen Samples Grafenau
[11] 문서 Speech by Frank to his senior officials, 16 Dec 1941 Office of Chief Counsel for Prosecution of Axis Criminality, OCCPAC
[12] 서적 Kronika okupowanego Krakowa Wydawnictwo Literackie
[13] 서적 W okupowanym Krakowie Wydawnictwo Ministerstwa Obrony Narodowej
[14] 웹사이트 Oral history interview with Niklas Frank RG-50.030.0880 https://collections.[...] 2016-06-06
[15] 서적 Nuremberg Diary Da Capo Press
[16] 웹사이트 The Execution of Nazi War Criminals http://www.law.umkc.[...] 2016-04-18
[17] 간행물 Ein Glücksfall der Geschichte http://www.spiegel.d[...]
[18] 서적 Im Angesicht des Galgens. Deutung Hitlers und seiner Zeit aufgrund eigener Erlebnisse und Erkenntnisse Friedrich Alfred Beck
[19] 논문 Aus den Gemeinden von Burgenland: Revisiting the question of Adolf Hitler’s paternal grandfather.
[20] 문서 Hans Frank – Pre-war career, Wartime career, Quotation, Fiction and film 2008-01-20
[21] 웹사이트 'I knew my father would be hanged': Remembering Nuremberg https://www.aljazeer[...] 2024-10-21
[22] 서적 In the Shadow of the Reich Knopf
[23] 리뷰 Review https://archive.toda[...]
[24] 웹사이트 Hans Frank private motion pictures https://collections.[...] 2024-10-21
[25] 웹사이트 Syn "króla Polski" https://wyborcza.pl/[...] 2024-10-21
[26] 영상 Hitler's Children
[27] 문서 パーシコ 1996 上巻
[28] 문서 ゴールデンソーン 2005 下巻
[29] 문서 ゴールデンソーン 2005 下巻
[30] 문서 ゴールデンソーン 2005 下巻
[31] 문서 ゴールデンソーン 2005 下巻
[32] 문서 ゴールデンソーン 2005 下巻
[33] 문서 パーシコ 1996 上巻
[34] 문서 ゴールデンソーン 2005 下巻
[35] 문서 ゴールデンソーン 2005 下巻
[36] 서적 ゴールデンソーン 2005 下巻
[37] 서적 ゴールデンソーン 2005 下巻
[38] 서적 ゴールデンソーン 2005 下巻
[39] 서적 ゴールデンソーン 2005 下巻
[40]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41]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42]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43] 서적 ヒルバーグ 1997 上巻
[44] 서적 ヒルバーグ
[45] 서적 ヒルバーグ 1997 上巻
[46]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47]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48]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49]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50] 서적 ノーマン(2012年)
[51]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52]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53]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54]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55]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56]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57]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58] 서적 『ニュルンベルク裁判記録』
[59] 서적 『ニュルンベルク裁判記録』
[60] 서적 『ニュルンベルク裁判記録』
[61] 서적 『ニュルンベルク裁判記録』
[62] 서적 『ニュルンベルク裁判記録』
[63] 서적 パーシコ 1996 下巻
[64] 서적 パーシコ 1996 下巻
[65] 서적 パーシコ 1996 下巻
[66] 서적 パーシコ 1996 下巻
[67]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68]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69] 서적 ゴールデンソーン 2005 下巻
[70] 서적 パーシコ 1996 上巻
[71] 문서 パーシコ 1996 下巻
[72] 문서 パーシコ 1996 下巻
[73] 문서 ゴールデンソーン 2005 下巻
[74] 문서 ゴールデンソーン 2005 下巻
[75] 문서 パーシコ 1996 上巻
[76] 서적 Nuremberg Trial Proceedings Yale Law School/Lillian Goldman Law Library/The Avalon Project 2016-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