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옥 (성경 인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은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르바임 족속의 마지막 사람으로 묘사된다. 그의 침상은 4.1m x 1.8m 크기로 묘사되며, 이는 그의 거대한 신체를 암시한다. 옥은 모세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죽임을 당하며, 유대교 탈무드와 이슬람 신화에서도 그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또한, 옥은 마니교의 "거인들의 서"와 프랑수아 라블레의 소설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등 다양한 문학 작품에 등장하며, 그의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란의 인물 - 시바의 여왕
    시바의 여왕은 성경, 에티오피아,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언급되는 전설적인 인물로, 솔로몬 왕을 방문하여 그의 지혜를 시험하고, 에티오피아 왕조의 기원과 관련되며,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하게 묘사된다.
  • 쿠란의 인물 - 안나 (마리아의 어머니)
    안나는 기독교와 이슬람교에서 존경받는 성모 마리아의 어머니로, 기독교에서는 아이를 갖지 못했음에도 고결한 생활로 존경받으며 동방 교회에서 '하느님의 성조'로 불리고, 이슬람교에서는 "임란의 아내"로 지칭되며 영적인 여성으로 여겨진다.
  • 성경 속 학살 - 삼손
    삼손은 구약성서의 판관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나실인으로서 초인적인 힘을 지녔지만, 데릴라의 배신으로 힘을 잃고 블레셋 신전을 무너뜨리는 활약을 펼쳤다.
  • 성경 속 학살 - 미디안
    미디안은 종교적, 정치적 연관성을 가진 다신교 숭배 집단으로 추정되며, 성경과 쿠란에서 아브라함의 아들, 모세 관련 인물, 예언자 슈아이브에게 멸망당한 백성 등으로 묘사되고, 고고학적으로는 구리 채굴 및 독특한 도자기 문화와 관련이 있고, 사우디 아라비아에는 미디안 산맥이 존재한다.
  • 실존 여부가 의심되는 인물 - 로물루스
    로물루스는 로마 건국 신화의 중심이자 전설적인 초대 왕으로, 쌍둥이 형제 레무스와 함께 로마 건설, 통치, 신화적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실존 여부가 의심되는 인물 - 호메로스
    호메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으로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실존 여부와 작품 저술 등에 대한 "호메로스 문제"는 논쟁 중이며, 생애와 출생지는 불확실하고, 그의 서사시는 구전 전승을 거쳐 기록되어 그리스 문학과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옥 (성경 인물)
기본 정보
이름오그
다른 이름Og
ʿŌg
Ūj
Ωγ
عوج بن عنق
시대기원전 15세기경
직업아모리 족 왕
신체적 특징
대략 21미터
침대 크기대략 21미터
성경 기록
거주 지역바산
주요 사건이스라엘 백성과의 전투에서 패배
모세에게 죽임을 당함
관련 구절민수기 21장 33-35절
신명기 3장 1-13절
여호수아기 12장 4절, 13장 12절
추가 정보
전승그의 침대는 철로 만들어졌다고 전해짐
참고 자료킹 오그의 철 침대: 사실인가, 허구인가?

2. 성경 속 옥

성경신명기 3장 11절 및 이후 민수기여호수아에서 옥은 르바임의 마지막 사람으로 불린다.[2] 르바임은 히브리어로 거인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2. 1. 르바임 족속과 옥

일부에서는 골란 고원에 있는 기원전 3천년기의 루즘 엘-히리를 옥에 대한 "거인의 잔재"에 관한 전설의 근원으로 본다.


르바임은 히브리어로 거인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성경신명기 3장 11절 및 이후 민수기여호수아에서 옥은 르바임의 마지막 사람으로 불린다.[2] 신명기 3장 11절은 그의 "침상"(일부 텍스트에서는 "석관")이 철로 만들어졌으며 "길이가 아홉 큐빗이고 너비가 네 큐빗"이라고 묘사하는데, 이는 보통 사람의 큐빗 기준으로 약 4.11m에 해당한다. 이어서 왕실 도시인 암몬의 랍바에서 그의 거대한 침상은 기록이 쓰여질 당시에도 여전히 진기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만약 거인 왕의 침상이 대부분의 침상처럼 그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작되었다면, 그의 키는 약 2.74m에서 약 3.96m 사이였을 것이다. 그러나 이후의 랍비 문헌에서는 그의 침상 길이는 옥 자신이 사용한 큐빗으로 측정되었다고 한다.

마이클 S. 하이저는 옥의 침상에 대한 언급이 마르두크의 신성한 결혼 침대와의 연관성을 보여주며, 따라서 그 치수는 옥의 크기를 신뢰할 만하게 나타내지 않는다고 주장한다.[2]

야복강 북쪽, 즉 바산 지역, "르바임의 땅"에는 기원전 5천년기에서 3천년기에 걸쳐 만들어진 수백 개의 거석 무덤 (돌멘)이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18년, 구스타프 달만은 요르단 암만 (암만은 고대 암몬의 랍바 위에 세워짐) 인근에서 성경에 묘사된 옥의 침상과 대략 일치하는 주목할 만한 돌멘을 발견했다. 이러한 고대 암석 매장은 요르단 강 서쪽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으며, 이러한 거석의 또 다른 집중 지역은 아낙의 거인 아들들이 살았다고 전해지는 헤브론 인근의 유다 언덕에서 발견된다 (민수기 13:33).[3]

3. 성경 외 전승

옥은 성경 외에도 다양한 문헌과 전승에서 등장한다. 프랑수아 라블레팡타그뤼엘 삽화에 옥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4]

프랑수아 라블레팡타그뤼엘 삽화, 구스타브 도레, 1873년

3. 1. 비블로스 페니키아 비문

1974년, 볼프강 뢸리히는 비블로스(Byblos 13)에서 페니키아 비문을 발표했는데, 그는 이 비문에 "오그"라는 신에 대한 언급이 있다고 주장했다.[4] 뢸리히에 따르면, 이 언급은 기원전 500년경으로 추정되는 손상된 7줄의 장례 비문에 나타나며, 누군가 묘에 있는 사람의 뼈를 훼손하면 "강력한 오그가 복수할 것이다"라고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프랭크 무어 크로스는 뢸리히의 해석에 이의를 제기하며 해당 비문의 줄이 대신 "나의 쇠약한/곰팡이 핀 뼈"를 의미한다고 제안했다.

3. 2. 우가릿 신화

기원전 13세기의 우가릿 텍스트 KTU 1.108에는 "라피우"라는 신이 아스타라트와 에드레이에서 통치했다는 내용이 나온다.[5] 이는 성경에서 옥이 다스린 지역과 일치하여(신명기 1:4; 여호수아 9:10; 12:4; 13:12, 31) 옥과의 관련성이 제기된다. 우가릿 KTU 1.108의 점토판은 "영원의 왕 라피우여, 술을 마시게 하소서, 참으로, 그는 마시게 하소서, 강력하고 고귀한 [신], 아스타라트에 왕좌에 앉은 신, 에드레이를 다스리는 신,..."과 같이 읽힌다.[5]

매튜 맥아피에 따르면, 우가릿 신화의 역사적 회상은 히브리 성경이 기원전 2천년기부터 시작된 아모리트 왕 옥에 대한 진정으로 고대 전통을 보존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그는 또한 옥을 르바임으로 묘사하는 것은 고대 아모리트 신학이 죽은 왕들에게 그러한 지위를 부여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한다.

3. 3. 유대교 탈무드

유대교 탈무드는 이 이야기를 장식하여, 옥이 너무 거대해서 이스라엘인 전체의 진영을 덮을 만큼 큰 산을 뽑아 이스라엘 백성을 파괴하려 했다고 말한다. 주님은 개미 떼가 옥의 머리에 얹혀 있는 산의 중심부를 파내게 하셨다. 그러자 산이 옥의 어깨 위로 떨어졌다. 옥이 스스로 산을 들어 올리려 하자, 주님은 옥의 이빨이 밖으로 길어져서 머리를 둘러싼 산에 박히게 하셨다. 야훼의 명령대로 그를 두려워하지 않은 모세는 10큐빗 길이의 막대기를 잡고 비슷한 수직 거리만큼 뛰어올라 옥의 발목을 성공적으로 쳤다. 옥은 쓰러져 땅에 부딪혀 죽었다.[6]

3. 4. 이슬람 신화

거인 '우즈 이븐 아낙'이 모세와 그의 사람들을 죽이기 위해 산을 들고 있다.


'''우즈 이븐 아낙'''('Ûj ibn 'Anâq)은 이슬람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이다. 꾸란이나 정통 하디스에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지만, 이 인물의 기원은 유대교 민간 전승과 구약성경의 왕 오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즈는 근친상간으로 태어난 어머니 ʿAnāq[7]의 모칭을 따른다.

우즈 이븐 아낙과 관련된 유명한 일화로는 예언자 모세와의 싸움( ''무사 바 우즈'' 참조), 그리고 바다에 무릎까지 잠긴 채 고래를 낚아 구워 먹는 이야기가 있다.

3. 5. 마니교의 "거인들의 서"

2세기 외경인 "오기아스 거인"(또는 "거인들의 서")는 거대한 용과 싸운 오기아스라는 거인의 모험을 묘사한다. 오기아스는 성경의 옥과 동일인물이거나 옥의 아버지였다고 한다.

이 책은 특히 마니교에서 채택되어 수세기 동안 상당한 인기를 누렸다.

4. 옥의 유산과 현대적 해석

옥은 여러 문화권에서 거인, 영웅, 악당 등 다양한 모습으로 전승되었다.

4. 1. 문학 작품에서의 옥

라블레의 소설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에서 옥의 일종인 후르탈리는 팡타그뤼엘의 조상 중 한 명으로 언급된다. 그는 방주 위에 걸터앉아 발로 배를 조종하여 난파로부터 구했다고 묘사되는데, 이에 감사한 노아와 그의 가족은 굴뚝을 통해 그에게 음식을 제공한다.

4. 2. 고고학적 증거



야복강 북쪽, 즉 바산 지역("르바임의 땅")에는 기원전 5천년기에서 3천년기에 걸쳐 만들어진 수백 개의 거석 무덤 (돌멘)이 있다.[3] 1918년, 구스타프 달만은 요르단 암만(고대 암몬의 랍바 위에 세워짐) 인근에서 성경에 묘사된 옥의 침상과 대략 일치하는 돌멘을 발견했다.[3] 이러한 고대 암석 매장은 요르단 강 서쪽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으며, 아낙의 거인 아들들이 살았다고 전해지는 헤브론 인근 유다 언덕에서 또 다른 거석 집중 지역이 발견된다.[3]

5. 한국의 관점

한국의 진보 진영에서는 과 같은 신화적 존재를 통해 고대 사회의 권력 구조, 민족 간의 갈등, 인간의 상상력 등을 탐구할 수 있다고 본다. 특히, 거인 설화는 민중의 억압된 욕망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King Og's Iron Bed: Fact or Fancy? https://library.bibl[...] 2024-03-01
[2] 서적 The Unseen Realm: Recovering the Supernatural Worldview of the Bible Lexham Press 2015
[3] 서적 Bible As a History 1995
[4] 간행물 Eine neue phoenizische Inschrift aus Byblos 1974
[5] 서적 Religious texts from Ugarit -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Sheffield Academic Press 2002
[6] 문서 Talmud Bavli: Berachot 54b
[7] 성경 Numbers 13:3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