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어는 살윈강과 메콩강 사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여러 변종이 존재한다. 주요 사용 지역은 미얀마, 중국, 태국이며, 각 지역별로 사용되는 표기법이 다르다. 와어는 과거 문자가 없어 한자, 샨어 문자를 사용하다가 20세기 초 기독교 선교를 통해 로마자 기반의 표기법이 개발되었다. 현재는 '성경 정서법'과 중국에서 개발된 표기법, 그리고 '와 주 와어 정서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언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미얀마의 언어 - 리수어
    리수어는 중국 남서부 등지에서 사용되는 티베트-버마어족 언어로, 프레이저 문자로 문자화되었으나, 사용자 감소 문제와 다양한 방언 및 문자 체계가 존재한다.
  • 중국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와어
언어 정보
이름와어
원어 이름Va, Vo, Awa
사용 지역중국, 라오스, 미얀마, 태국
사용자약 944,400명 (2000–2008년)
민족와족
언어학적 분류
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어파카시-팔라웅어파
어군팔라웅어군
어계와어군
언어 코드
Glottologwaaa1245 (Nuclear Waic)
ELP5938 (Phalok)
ISO 639-3prk (Parauk)
wbm (Vo)
vwa (Awa)
문자 체계
문자라틴 문자 (현재), 이전에는 한자, 샨 문자
기타
와어는 [[유네스코]] [[세계의 소멸 위기 언어 지도]]에 의해 심각한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됨
와어는 유네스코 세계의 소멸 위기 언어 지도에 의해 심각한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됨

2. 분포 및 변종

제라드 디플로스는 와 지리적 지역을 살윈강과 메콩강 사이의 "와 회랑"이라고 지칭했다. 디플로스에 따르면, 와어의 변종에는 남부 와, "성경 와", 카와(중국 와)가 있다.[1]

기독교 와족은 표준 와어 사용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그들의 성경이 표준 와어 버전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 표준 와어는 껠통에서 북쪽으로 약 241.40km 떨어진 방 와이에서 사용되는 변종을 기반으로 한다.[1] 방 와이는 중국 국경과 가까운 미얀마 북부 샨 주에 있으며, 창위안 현이 있는 곳이다.[1]

와의 특정 방언은 종성 -/s/를 보존하는데, 밍 양과 시멍 현에서 사용되는 변종(예: 저우 & 얀(1984)이 문서화한 시멍 현 중커 中课, 마산 马散에서 사용되는 변종)이 이에 해당한다.[1]

2. 1. 미얀마

제라드 디플로스는 와 지리적 지역을 살윈강과 메콩강 사이에 위치한 "와 회랑"이라고 지칭한다. 디플로스에 따르면, 변종에는 남부 와, "성경 와" 및 카와(중국 와)가 포함된다.[1]

기독교 와는 표준 와의 사용을 지지할 가능성이 더 높은데, 이는 그들의 성경이 표준 와 버전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며, 이 표준 와 버전은 다시 껠통에서 북쪽으로 약 241.40km 떨어진 방 와이에서 사용되는 변종을 기반으로 한다.[1] 방 와이는 중국 국경과 가까운 미얀마 북부 샨 주에 위치해 있으며, 창위안 현이 위치해 있다.[1]

와의 특정 방언은 종성 -/s/를 보존한다. 여기에는 밍 양과 시멍 현에서 사용되는 변종(예: 저우 & 얀(1984)에 의해 문서화된 시멍 현 중커 中课, 마산 马散에서 사용되는 변종)이 포함된다.[1]

데이비드 브래들리(David Bradley, 1994)는 미얀마에 약 50만 명의 와어 사용자가 있다고 추산한다.[2]

소수의 와어 사용자는 타웅지, 만달레이, 양곤에도 거주한다.[3]

2. 2. 중국

중국에서 와어는 윈난성 남서부의 시멍 현, 창위안 현, 멍롄 현, 겅마 현, 솽장 현, 란창 현 등지에 분포한다. 쿤밍과 윈난성의 여러 지역에도 소수의 와어 화자가 거주한다.[1]

제라드 디플로스는 와 지리적 지역을 "와 회랑"이라고 지칭하며, 이는 살윈강과 메콩강 사이에 위치한다고 하였다. 중국에서 와어(Wa)를 표기하는 방식은 윈난성 창위안 현 아이수아이에 있는 와어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1]

저우 등(2004)에 따르면, 와어에는 세 개의 방언(각 방언에는 하위 방언이 존재)이 있다.[1]

방언하위 방언화자 수자칭분포 지역
바라오크 巴饶克아이시 艾师218,000명창위안 현, 솽장 현, 겅마 현, 란창 현
반훙 班洪35,000명창위안 현
다자이 大寨3,000명겅마 현
아와 (Ava) 阿佤마산 马散60,000명시멍 현
아와라이 阿佤来3,000명시멍 현
다망누오 大芒糯30,000명멍롄 현, 시멍 현
시윈 细允5,000명란창 현,[2] 멍롄 현
와 佤40,000명융더 현, 전캉 현, 창위안 현



잭슨 썬(Jackson Sun, 2018a)은 아와 방언과 대체 이름을 다음과 같이 나열한다.[3]


  • 마산 馬散 (Lavïa; Ravia; Avë; Avo; 등). 썬(Sun, 2018b)은 윈난성 시멍 현 멍카 勐卡 (məŋkʰa) 진의 반저 班哲 (pa-cʰək) 마을의 Lavïa [la-vɨɒʔ] 방언을 기록한다.[4]
  • 아와라이 阿佤來 (Avëloy)
  • 다망누오 大芒糯 (Vo)
  • 시윈 細允 (Va [vàʔ]). 썬(Sun, 2018a)은 윈난성 푸얼 普洱 시 시멍 현 웡자커 翁嘎科 향의 잉라 英臘 (zoŋráʔ) 마을의 Va 방언을 기록한다.[3]


다이족은 와족을 여러 이름으로 부른다. 융더, 전캉 및 난라 南腊의 와족은 라고 부른다. 시솽반나에서는 , ("생 와" 生佤), ("머리 든 와" 拿头佤), ("종교 와" 信教佤)라고 부른다.[1]

얀과 저우(Yan and Zhou, 2012:138)는 여러 현에서 와족을 부르는 다음 이름을 나열한다.[5]

  • 巴饶克중국어, (巴饶克): 란창, 겅마, 솽장, 란창 현; 이칭: 소 카와 小卡瓦, 카와 卡瓦, 익은 카 熟卡, 라자 腊家
  • 중국어 (佤): 전캉 및 융더 현; 자칭: 본인 本人
  • 중국어 (斡), 阿佤중국어 (아웨), 日佤중국어 (일와 日佤): 시멍 및 멍롄 현; 이칭: 대 카와 大卡瓦, 생 카 生卡, 야생 카 野卡
  • 卡佤来중국어 (카와라이): 창위안 및 겅마 현; 佤중국어 (와)라고도 불림


멍라 현에는 ''부자오'' 补角 (자칭: ''푸가'' 仆嘎)라는 언어가 언급되었는데, 1960년에는 212명의 인구가 있었다.[6]

''켈라'' 克拉 (다이족 이칭: 칼라 卡拉; 인구: 393명)는 윈난성 텅충 현 3구 三区에 거주하며, 한때 와어의 한 종류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중국어만 사용한다. 켈라는 자신들을 ''와마'' 佤妈라고도 부른다.[7][6]

2. 3. 태국

제라드 디플로스는 와 지리적 지역을 "와 회랑"이라고 지칭하는데, 이는 살윈강과 메콩강 사이에 위치해 있다.[1] 와족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주로 버마에서 태국으로 이주했다.[4] 태국에는 약 10,000명의 와어 사용자가 있다.[4] 와족 마을은 다음 지역에서 찾을 수 있다.[4]

지역
매사이군, 치앙라이주, 버마 국경 근처
매야오 부속 지구, 치앙라이시 근처
위앙파파오군, 치앙라이주 남부
치앙다오군, 치앙마이주


3. 음운

표준 와어는 성조가 없는 언어이다. 하지만 일부 방언에서는 성조가 발달했다. 성조가 있는 방언의 성조와 비성조 방언의 긴장도 사이에는 대응 관계가 있다.[10]

와어에는 44개의 음소가 있으며, 35개의 자음[9]과 9개의 모음이 있다. 이 모든 모음은 긴장되거나 이완될 수 있다. 긴장도는 무기음 초성을 가진 음절의 음소적 특징이다.[10]

3. 1. 모음

모음 음소
전설후설
평순원순
고모음
중고모음
저중모음
개모음colspan=3 |



와어에는 15개의 이중 모음 과 2개의 삼중 모음 이 있다. 와어의 일반적인 음절 구조는 C(C)(V)V(V)(C)이다. 무성 자음을 가진 단어는 거의 없다.[10]

3. 2. 자음

와어의 자음 음소
colspan="3" |순음치경음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평음
유기음
파열음무성음평음
유기음
비음화된 자음유성음
유기음
마찰음평음
유기음
접근음평음
유기음
전동음평음
유기음


4. 문자

와어 문자 및 문화 상징이 새겨진 티셔츠


와어는 과거에 문자가 없었으며, 문자를 읽고 쓸 수 있는 와족은 한자샨어 문자를 사용했다. 20세기 초, 네브래스카 출신의 윌리엄 마커스 영이 미얀마중국 지역에서 와족에게 기독교 선교를 했다. 1931년, 영과 사라 야우 슈 친(조슈아)은 성경 번역을 위해 로마자 기반의 첫 와어 표기법('''성경 정서법''')을 고안했다. 1933년에 와 찬송가가, 1938년에 와 신약성경이 이 문자로 출판되었다.[11]

1956년, 중국은 와족을 위해 병음 로마자 표기법인 '''새 와어 정서법'''("중화인민공화국 정서법" 또는 "중국 정서법")을 개발했다. 그러나 이 표기법은 윈난성 행정부를 통해 주로 전파되어, 학계를 넘어 대중에게 널리 퍼지지는 못했다.

최근, 와 주는 중국 정서법의 일부 특징을 채택한 수정된 성경 정서법을 '''와 주 와어 정서법'''("공식 와어 철자법")으로 채택했다.

4. 1. 성경 정서법

와어는 과거에 문자가 없었으며, 문자를 해독할 수 있는 와족 일부는 한자를 사용했고, 다른 이들은 샨어와 문자를 사용했다. 와족에 대한 기독교 선교 사업은 20세기 초 미얀마와 중국 지역의 와족 영토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네브래스카 출신인 윌리엄 마커스 영이 이끌었다. 와어의 첫 번째 표기법은 1931년 영과 사라 야우 슈 친(조슈아)에 의해 성경 번역을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이 첫 번째 와어 알파벳은 로마자를 기반으로 했으며, 1933년에 와 찬송가를 엮은 첫 출판물이 나왔으며,[11] 1938년에 와 신약성경이 완성되었다. 이 표기법은 '''성경 정서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에서는 lǎowǎwén 老佤文(→옛 와어 정서법)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는 주로 미얀마 와족 지역과 태국의 와족 사이에서 와 복지 협회 ''(Cub Yuh Bwan Ka son Vax, Cub Pa Yuh Phuk Lai Vax, Phuk Lai Hak Tiex Vax)''가 치앙마이에서 발행한 자료를 통해 사용된다.[12]

와 성경 정서법[8]
WBOIPAWBOIPAWBOIPAWBOIPAWBOIPAWBOIPA
p[p]bh[ᵐbʱ]nh[nʰ]rh[rʰ]o[o]e[ei]
ph[pʰ]d[ⁿd]ny[ɲ]y[j]ie[ɛ]o[ou]
t[t]dh[ⁿdʱ]nyh[ɲʰ]yh[jʰ]aw[ɔ]oi, oe, we[oi~ɔi]
th[tʰ]j[ᶮɟ]ng[ŋ]l[l]a[a]ai[ai]
c[c]jh[ᶮɟʱ]ngh[ŋʰ]lh[lʰ]iu[iu]au[aɯ]
ch[cʰ]g[ᵑg]s[s]i[i]eei, ui[ɯi]au, ao[au]
k[k]gh[ᵑgʱ]h[h]ee[ɯ]ui, wi[ui]iao[iau]
kh[kʰ]m[m]v[v]u[u]ia[ia]oe[uai]
x[ʔ]mh[mʰ]vh, f[vʱ]e[e]eue[ɤi]
b[ᵐb]n[n]r[r]eu[ɤ]ua, wa[ua]


4. 2. 중국 정서법

와족은 과거에 문자가 없었으며, 문자를 해독할 수 있는 와족 일부는 한자를 사용했고, 다른 이들은 샨어와 문자를 사용했다. 1956년 중국의 와족을 위해 '''새 와어 정서법'''("중화인민공화국 정서법" 또는 "중국 정서법")으로 알려진 새로운 병음 로마자 표기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표기법은 주로 윈난성 행정부를 통해 전파되어 학술계를 넘어 더 많은 대중에게는 아직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처음에는 몇 개의 키릴 문자를 포함했던 이 표기법은 이후 수정되었다. 이러한 수정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서법과 성경 정서법은 여전히 일관성이 부족하다.[13]

4. 3. 와 주 와어 정서법

와어는 과거에 문자가 없었으며, 문자를 해독할 수 있는 와족 일부는 한자를 사용했고, 다른 이들은 샨어 문자를 사용했다. 20세기 초, 네브래스카 출신인 윌리엄 마커스 영은 미얀마와 중국 지역의 와족 영토에서 기독교 선교 사업을 이끌었다. 1931년, 영과 사라 야우 슈 친(조슈아)은 성경 번역을 목적으로 와어의 첫 번째 표기법을 고안했다. 이 첫 번째 와어 알파벳은 로마자를 기반으로 했으며, 1933년에 와 찬송가를 엮은 첫 출판물이 나왔고,[11] 1938년에는 와 신약성경이 완성되었다. 이 표기법은 '''성경 정서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에서는 lǎowǎwén 老佤文, 즉 '''옛 와어 정서법'''으로 불린다. 현재는 주로 미얀마 와족 지역과 태국의 와족 사이에서 와 복지 협회 ''(Cub Yuh Bwan Ka son Vax, Cub Pa Yuh Phuk Lai Vax, Phuk Lai Hak Tiex Vax)''가 치앙마이에서 발행한 자료를 통해 사용된다.[12]

최근, 와 주의 중앙 당국은 중국 정서법의 일부 특징을 채택한 수정된 성경 정서법을 '''와 주 와어 정서법''' 또는 "공식 와어 철자법"으로 채택하고, 팡캄에서 연합 와 주군 병사의 문해력 향상을 위해 일련의 기초 교재를 출판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에서 와족과 와어 노래 가라오케 가사에서 와어 작곡가들이 이 미얀마(수정된 성경) 정서법을 주요 변형으로 사용하고 있다.[14] 와 여성 협회는 이 문자 사용을 장려한다.[15]

와 성경 정서법[8]
WBOIPAWBOIPAWBOIPAWBOIPAWBOIPAWBOIPA
p[p]bh[ᵐbʱ]nh[nʰ]rh[rʰ]o[o]e[ei]
ph[pʰ]d[ⁿd]ny[ɲ]y[j]ie[ɛ]o[ou]
t[t]dh[ⁿdʱ]nyh[ɲʰ]yh[jʰ]aw[ɔ]oi, oe, we[oi~ɔi]
th[tʰ]j[ᶮɟ]ng[ŋ]l[l]a[a]ai[ai]
c[c]jh[ᶮɟʱ]ngh[ŋʰ]lh[lʰ]iu[iu]au[aɯ]
ch[cʰ]g[ᵑg]s[s]i[i]eei, ui[ɯi]au, ao[au]
k[k]gh[ᵑgʱ]h[h]ee[ɯ]ui, wi[ui]iao[iau]
kh[kʰ]m[m]v[v]u[u]ia[ia]oe[uai]
x[ʔ]mh[mʰ]vh, f[vʱ]e[e]eue[ɤi]
b[ᵐb]n[n]r[r]eu[ɤ]ua, wa[ua]


참조

[1] 서적 Wǎyǔ fāngyán yánjiū Minzu chubanshe 2004
[2] 웹사이트 Láncāng Lāhùzú Zìzhìxiàn Dōnghuí Zhèn Dōnggǎng Cūn Xìyǔn http://www.ynszxc.go[...]
[3] 웹사이트 New Contributions to Waic Phonological Studies: Va https://www.academia[...]
[4] 웹사이트 New Contributions to Palaungic Phonological Studies: Lavïa https://www.academia[...]
[5] 서적 Zhōngguó Mèng-Gāomián yǔzú yǔyán yǔ Nányǎ yǔxì Shehui kexue wenxian chuban she 2012
[6] 간행물 Yúnnán mínzú shìbié zònghé diàochá bàogào http://www.readbooks[...] Yunnan minzu shibie zonghe diaochazu 1960
[7] 서적 Yúnnán mínzú shìbié yánjiū Minzu chubanshe 2013
[8] 문서 Ma Seng Mai 2012
[9] 서적 The Sonority Controversy https://books.google[...] De Gruyter Mouton 2012
[10] 서적 Wǎyǔ yánjiū Yunnan minzu chubanshe 1994
[11] 웹사이트 The Young Family's Work with the Wa People http://www.humancomp[...]
[12] 웹사이트 A Bibliography of Materials in or About Wa Language and Culture http://www.humancomp[...]
[13] 웹사이트 Writing of the Wa Language http://www.humancomp[...]
[14] 문서 Wa Dictionary Watkins, Justin 2013
[15] 논문 Para-nationalism: Sovereignty and authenticity in the Wa State of Myanmar https://onlinelibrar[...] 2021
[16] 문서 East and Southeast Asia Bradley, David 1994
[17] 문서 Parauk, Vo, Awa at Ethnologue 2015
[18] 서적 The Phonetics of Wa: Experimental Phonetics, Phonology, Orthography and Sociolinguistics Pacific Linguistics 2002
[19] 서적 Wǎyǔ yánjiū 佤语研究 Yunnan minzu chubanshe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