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립지리학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립지리학회(Royal Geographical Society, RGS)는 1830년 런던지리학회로 설립되어 지리학 발전을 목표로 활동을 시작한 세계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지리학회이다. 윌리엄 4세의 후원을 받아 왕립지리학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공인장을 받았으며, 1995년 영국지리학회와 합병하여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다. 현재 유럽 최대, 세계에서 가장 큰 지리학회 중 하나로, 지리학 연구, 교육, 탐험 지원, 지리 정보 수집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17개의 메달과 상을 수여하며, 200만 점이 넘는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립지리학회 - 제1대 고드리치 자작 F. J. 로빈슨
    제1대 고드리치 자작 F. J. 로빈슨은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졸업하고 재무 장관과 총리를 역임했으며, 휘그당으로 전향하여 육군·식민지 장관을 지내고 리폰 백작이 되었다.
  • 영국의 지리 - 영국의 구성국
    영국의 구성국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4개 지역을 지칭하며, 각 지역은 고유한 역사, 문화, 법률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입법권 이양 및 스포츠 분야에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등 민족적, 시민적 정체성을 나타낸다.
  • 영국의 지리 - 브리튼 제도의 용어
    브리튼 제도의 용어는 지리적, 정치적, 언어적, 스포츠적 맥락에서 다양한 의미와 사용 방식을 가지며, 그레이트브리튼 섬, 아일랜드 섬, 그리고 여러 작은 섬들을 포함하는 'British Isles'를 지칭하고, 정치적으로는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을 의미하며, 스포츠에서는 여러 국가대표팀을 구성하는 등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관련된 모호성과 논쟁의 여지가 있는 용어이다.
왕립지리학회
개요
왕립지리학회, 전시 도로
전시 도로 확장 구역에서 바라본 정문, 오른쪽에는 원래의 로우더 롯지가 위치함
명칭왕립지리학회
영어 명칭Royal Geographical Society
약칭RGS-IBG
유형학회
모토(정보 없음)
설립일1830년
본부영국 런던 켄싱턴, 1 Kensington Gore
회원수일반 회원: 4,500명, 특별 회원: 10,100명, 칙허 지리학자: 400명, 총 16,500명
후원프린세스 로열 앤
웹사이트왕립지리학회 공식 웹사이트
구글 지도 검색어1 Kensington Gore
조직
회장제인 프랜시스 교수
이사조 스미스
이전 회장린다 초커

2. 역사

왕립지리학회는 1830년 '런던지리학회'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지리학의 발전'을 추구하는 연구기관으로 시작되었다.[80] 조지프 뱅크스가 1788년에 설립한 옛 아프리카 협회(African Association)를 흡수했다. 창립 멤버로는 존 바로우, 존 프랭클린, 프랜시스 보퍼트 등이 있었다. 윌리엄 4세의 후원을 받으면서 점차 왕립지리학회(RGS)로 알려지게 되었고, 1859년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칙허장을 받았다.

초기에는 런던의 리젠트 스트리트에 있는 왕립원예협회와 방을 공유했고, 이후 화이트홀 플레이스를 거쳐 1870년 새빌 로 1번지로 이전하여 모험과 여행의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1911년 전 인도 총독을 역임한 조지 커존 후작이 회장으로 선출되면서 학회는 새로운 추진력을 얻었고, 로더 롯지를 100000GBP에 구입하여 1913년 4월부터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같은 해 여성의 입회도 허용되었다.

1929년에는 건물 동쪽을 증축하여 새로운 지도실과 750석 규모의 강의용 극장을 설치했다. 1930년 10월 21일, 학회 창립 100주년 기념식에서 요크 공작(이후 조지 6세)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관되었다.

왕립지리학회는 찰스 다윈, 데이비드 리빙스턴, 헨리 모턴 스탠리 등 많은 탐험가들을 지원하였고, 초기 역사는 '식민지' 탐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19세기 말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왕립지리학회가 지원한 탐사는 수시로 톱뉴스로 다루어졌으며, 학회의 회장과 협의회는 기자나 편집자들로부터 열렬한 취재를 받았다.

학회는 1831년부터 1855년까지 〈학회논문집〉을 발행했고, 1893년부터는 현재까지 발간되고 있는 〈더 지오그래피컬 저널〉로 대체되었다. 또한 영국 대학에서 교육, 연구 대상으로서의 지리학을 확립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옥스퍼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두 대학 지리학부 설립에 자금을 제공했다.

1933년에는 영국 지리학회(IBG)가 설립되었고, 1988년 1월, 왕립지리학회는 다른 영국 지리학계 학회와의 협의회(COBRIG)를 발족시켜 영국 내 지리학의 발전과 지리 교육의 향상을 목표로 했다. 1995년 1월에 새로운 왕립지리학회(RGS-IBG)가 발족하였다.

2004년에는 역사적 컬렉션을 처음으로 공개하고, 새로운 회원 제도를 도입하여 일반인도 학회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새로운 필름 열람실과 유리 파빌리온을 공개하였다.

2. 1. 설립 초기 (1830-1912)

왕립지리학회는 1830년 '런던지리학회(Geographical Society of London)'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지리학의 발전'을 추구하는 연구기관으로 시작되었다.[80] 세계에서 세 번째로 설립된 지리학회이다.[81] 조지프 뱅크스가 1788년에 설립한 옛 아프리카 협회(African Association)를 흡수했는데, 이는 로터리 클럽과 팔레스타인 협회와 비슷한 조직이었다. 많은 학회와 마찬가지로, 선발된 회원들이 최신 과학적 문제나 아이디어에 대해 논의하는 비공식 만찬 모임인 '식당 클럽'으로 시작되었다.

창립 멤버로는 존 바로우 경, 존 프랭클린, 프랜시스 보퍼트 등이 있었다. 윌리엄 4세의 후원을 받으면서 점차 왕립지리학회(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RGS)로 알려지게 되었고, 1859년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칙허장을 받았다.

1830년부터 1840년까지 왕립지리학회는 런던의 리젠트 스트리트에 있는 왕립원예협회와 방을 공유했고, 1854년부터 1870년까지는 화이트홀 플레이스 15번지에 본부를 두었다. 1870년 학회는 새빌 로 1번지로 이전했고, 이 주소는 곧 모험과 여행의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또한 학회는 국가공무원 임용위원회가 있는 벌링턴 가든에 강의용 극장을 빌려 사용했는데, 이러한 배치는 따분하고, 추잡하다고 생각되었다.

전 인도 총독을 역임한 조지 커존 후작을 회장으로 선출한 1911년에 학회는 새로운 추진력을 얻었다. 새빌 로의 건물이 매물로 나와 현재 학회의 본부 소재지인 로더 롯지를 100000GBP에 구입했다. 로더 롯지의 사용은 1913년 4월에 시작되었다. 같은 해 학회에서는 여성의 입회를 인정하게 되었다.

2. 2. 변화와 발전 (1911-1995)

1911년, 전 인도 총독을 역임한 커즌 후작이 회장으로 선출되면서 왕립지리학회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 사빌 로우의 건물이 매물로 나오자, 현재 학회 본부 소재지인 로우더 롯지를 100000GBP에 구입하여 1913년 4월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여성의 입회도 허용되었다.[7]

로우더 롯지는 1874년에 리차드 노만 쇼가 윌리엄 로우더를 위해 지은 것으로, 당대 영국 최고의 건축물 중 하나였다. 1929년에는 건물 동쪽을 증축하여 새로운 지도실과 750석 규모의 강의용 극장을 설치했다. 1930년 10월 21일, 학회 창립 100주년 기념식에서 요크 공작(이후 조지 6세)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관되었다.

왕립지리학회의 초기 역사는 '식민지' 탐험, 특히 아프리카, 인도 대륙, 북극, 중앙아시아 탐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8] 찰스 다윈, 데이비드 리빙스턴, 헨리 모턴 스탠리 등 많은 탐험가와 여행가들을 지원했다. 19세기 말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왕립지리학회가 지원한 탐사는 수시로 톱뉴스로 다루어졌으며, 학회의 회장과 협의회는 기자나 편집자들로부터 열렬한 취재를 받았다.

학회의 초기 역사는 영국의 지리학계 역사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탐험을 통해 수집된 정보, 지도, 해도, 지식은 왕립지리학회로 보내져 현재의 독특한 지리학 컬렉션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1831년부터 1855년까지 학회는 대회와 기타 주제를 게재하는 〈학회논문집〉(''Society Proceedings'')을 발행했다. 1893년부터는 현재까지 발간되고 있는 〈더 지오그래피컬 저널〉(''The Geographical Journal'')로 대체되었다. 학회는 영국 대학에서 교육, 연구 대상으로서의 지리학을 확립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옥스퍼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두 대학 지리학부 설립에 자금을 제공했다.

1879년 4월에는 일본 최초의 지리학회인 도쿄지리학협회가 발족되었으며, 왕립지리학회가 그 모범이 되었다. 초대 회장으로는 기타시라가와 요시히사 친왕이 취임하여 황실이 후원자가 되었다는 사실도 왕립지리학회의 모범을 따른 것이다.[71]

1933년, 지리학의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등장하면서 왕립지리학회 소속의 학술 회원들은 왕립지리학회의 자매학회로 영국 지리학회(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IBG)를 설립했다. 당시 왕립지리학회는 귀족이나 군인이 회원의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더 지오그래피컬 저널〉도 연구의 장은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72] 영국지리학회는 학술 대회, 현장 조사, 세미나, 전문 연구 그룹을 운영했고, 학회지 〈트랜잭션 오브 더 인스티튜트 오브 브리티쉬 지오그래퍼〉(''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약칭 ''Transactions'')는 현재 주요 국제 저널로 다루어져 지리학 분야의 '랜드 마크' 연구를 게재하고 있다.

1988년 1월, 왕립지리학회는 다른 영국 지리학계 학회와의 협의회(Council of British Geography, COBRIG)를 발족시켜 영국 내 지리학의 발전과 지리 교육의 향상을 목표로 했다.[73] 왕립지리학회와 영국지리학회는 60년 동안 병존해 왔지만, 1992년에 합병이 논의되었다. 1994년 회원 투표가 진행되어 합병이 승인되었고, 1995년 1월에 새로운 왕립지리학회(정식 명칭 : Royal Geographical Society (with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약칭 : RGS-IBG)가 발족했다.

2. 3. 통합과 현재 (1995-)

1992년 왕립지리학회(RGS)와 영국지리학회(IBG)의 합병이 논의되었고, 1994년 회원 투표를 거쳐 합병이 승인되었다.[1] 1995년 1월, 새로운 왕립지리학회(정식 명칭: Royal Geographical Society (with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약칭: RGS-IBG)가 발족했다.[1]

오늘날 왕립지리학회는 영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지리학 분야의 주요 학회이다. 유럽 최대의 지리학회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지리학회 중 하나로, 영국 내 8개, 홍콩에 1개의 지부를 운영하고 있다.

왕립지리학회는 지리학 연구, 교육, 현장 조사, 탐사, 지리 정보 수집뿐만 아니라 지리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와 인기 향상을 위해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홍보한다. 지리학협회(Geographical Association)와 왕립 스코틀랜드 지리학회(Royal Scottish Geographical Society) 등 다른 지리학회와 협력하기도 한다.

2004년에는 왕립지리학회가 학술 탐구와 연구를 통해 얻은, 영국 국내외에서 중요한 역사적 컬렉션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같은 해 새로운 회원 제도를 도입하여 지리학에 관심 있는 일반인도 학회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새로운 필름 열람실(Foyle Reading Room)과 유리 파빌리온(glass Pavilion)을 공개하여 21세기 학회가 보유한 지적, 시각적, 물리적 자료들을 공개했다. 예를 들어 2012년에는 유리 파빌리온에서 1912년 로버트 스콧 탐험대의 허버트 폰팅(Herbert Ponting)이 촬영한 사진을 전시했다.[18]

3. 조직

왕립지리학회는 1830년 '지리학의 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연구기관으로 〈런던지리학회〉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세계에서 세 번째로 발족한 지리학회이다.[80][81] 이후 조지프 뱅크스가 1788년에 설립한 옛 아프리카 협회(African Association)를 흡수했다.

1859년에는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공인장을 받았다. 1870년 학회는 새빌 로우 1번지로 이전하였고, 이 주소는 곧바로 모험과 여행의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1911년 전 인도 총독을 역임한 커즌 후작이 회장으로 선출되면서 학회는 새로운 추진력을 얻었다. 1913년에는 여성의 입회를 인정하게 되었다.

1933년에는 왕립지리학회 소속의 학술 회원으로 왕립 지리학회의 자매학회인 영국 지리학회(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IBG)가 설립되었다. 1995년 1월, 왕립지리학회와 영국지리학회는 합병하여 새로운 왕립지리학회(정식 명칭: Royal Geographical Society (with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약칭: RGS-IBG)가 발족했다.

오늘날 왕립지리학회는 영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지리학 분야의 주요 학회로서, 유럽 최대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지리학회 중 하나이다. 영국 내 8개, 홍콩에 1개의 지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 학회도 운영하고 있다. 지리학 연구, 교육, 현장 조사, 탐사, 지리에 대한 일반 이해와 인기 향상, 지리 정보 수집 등 다방면으로 지원과 홍보를 하고 있다.

2004년에는 학술 탐구와 연구를 통해 얻은 영국 국내외의 중요한 역사적 컬렉션이 처음으로 공개되었고, 새로운 회원 제도를 도입하여 일반인도 널리 학회에 가입할 수 있게 되었다.

3. 1. 평의회 (Council)

본 학회는 이사회(board of trustees)라 불리는 평의회(council)에 의해 운영되며, 회장이 의장을 맡는다. 평의회 위원과 회장은 회원(fellow)들 중에서 선출된다. 평의회는 36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그중 22명은 회원들이 선출하고 3년 임기를 수행한다. 선출된 이사 외에도 명예회장인 켄트 공을 포함한 명예위원들이 평의회에 참석한다.[19]

학회에는 교육위원회, 연구위원회, 탐험 및 현장조사위원회, 정보자원위원회, 재무위원회 등 5개의 전문위원회가 있으며, 학회는 이들 위원회로부터 자문을 구한다.[20]

학회 본부 벽면에 있는 찰스 서전트 재거(Charles Sargeant Jagger)의 어니스트 섀클턴상

3. 2. 전문 위원회

왕립지리학회는 다음 5개의 전문위원회를 두어 자문을 제공한다.

  • 교육위원회 (Education Committee)
  • 연구위원회 (Research Committee)
  • 탐험 및 현장조사위원회 (Expedition and Fieldwork Committee)
  • 정보자원위원회 (Information Resources Committee)
  • 재무위원회 (Finance Committee)

3. 3. 역대 회장

재임 기간이름
1830년–1833년프레더릭 존 로빈슨 (고드리치 남작)
1833년–1835년George Murray|조지 머리 경영어
1835년–1837년존 배로 경
1837년–1839년윌리엄 리처드 해밀턴
1839년–1841년조지 그리너우
1841년–1843년윌리엄 리처드 해밀턴
1843년–1845년로더릭 머치슨
1845년–1847년찰스 콜체스터 남작
1847년–1849년윌리엄 해밀턴
1849년–1851년윌리엄 스미스 제독
1851년–1853년로더릭 머치슨
1853년–1855년프랜시스 엘즈미어 백작
1855년–1856년프레더릭 윌리엄 비치 경
1856년–1859년로더릭 머치슨
1859년–1860년조지 리폰 후작
1860년–1862년빙엄 애슈버턴 남작
1862년–1871년로더릭 머치슨
1871년–1873년헨리 크레스위크 로린슨 경
1873년–1874년헨리 프레어 경
1874년–1876년헨리 크레스위크 로린슨 경
1876년–1878년러더퍼드 알콕 경
1878년–1879년프레더릭 더퍼린 앤드 아바 후작
1879년–1880년토마스 노스브룩 백작
1880년–1885년헨리 아베어데어 남작
1885년–1886년존 아가일 공작
1886년–1887년헨리 아베어데어 남작
1887년–1889년리처드 스트레이치
1889년–1893년M. E. Grant Duff|마운트스튜어트 그랜트 더프 경영어
1893년–1905년클레멘츠 로버트 마컴 경
1905년–1908년조지 토브먼 골디
1908년–1911년Leonard Darwin|레오나르드 다윈영어
1911년–1914년조지 커존 경
1914년–1917년더글러스 프레시필드
1917년–1919년Thomas Holdich|토마스 홀디치 경영어
1919년–1922년프랜시스 영허스밴드
1922년–1925년로렌스 제틀랜드 후작
1925년–1927년데이비드 조지 호가스
1927년–1930년찰스 클로즈
1930년–1933년윌리엄 구드이너프 제독
1933년–1936년퍼시 콕스 경
1936년–1938년헨리 발푸어
1938년–1941년필립 체투드 경
1941년–1945년조지 클럭 경
1945년–1948년프랜시스 레넬 남작
1948년–1951년해리 린드세이 경
1951년–1954년제임스 워디 경
1954년–1958년제임스 마셜-콘월 경
1958년–1961년로저 네이선 남작
1961년–1963년Raymond Priestley|레이먼드 프리스트리영어
1963년–1966년Laurence Dudley Stamp|로런스 더들리 스탬프 경영어
1966년–1969년길버트 레이쓰웨이트 경
1969년–1971년에드먼드 어빙 경
1971년–1974년에드워드 섀클턴
1974년–1977년더칸 커밍 경
1977년–1980년존 헌트 경
1980년–1982년마이클 와이즈
1982년–1984년비비안 폭스 경
1984년–1987년조지 비숍 경
1987년–1989년로저 졸리 남작
1989년–1993년Crispin Tickell|크리스핀 티켈 경영어
1993년–1997년George Jellicoe, 2nd Earl Jellicoe|조지 젤리코(제2대 젤리코 백작)영어
1997년–2000년John Palmer, 4th Earl of Selborne|존 팔머(제4대 셀번 백작)영어
2000년–2003년로널드 쿠크 경
2003년–2006년닐 코슨스 경
2006년–2009년고든 콘웨이 경
2009년–2012년마이클 페일린[75]
2012년–2015년Judith Rees|주디스 리스영어
2015년–2018년Nicholas Crane|니콜라스 크레인영어
2018년–2021년Lynda Chalker|린다 챌커영어
2021년–2024년나이절 클리퍼드
2024년–현재제인 프랜시스 여교수


4. 회원

1830년 왕립지리학회는 '지리학의 발전'을 추진하는 연구기관인 〈런던지리학회〉로 시작되었으며[80], 조지프 뱅크스1788년에 설립한 옛 아프리카 협회를 흡수했다.[81]

윌리엄 4세의 후원을 받으며 왕립지리학회(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RGS)로 알려지게 되었고, 1859년 빅토리아 여왕에게 공인장을 받았다.

1933년에는 왕립지리학회 소속 학술 회원들을 위한 자매 학회로 영국 지리학회(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IBG)가 설립되었다. 1992년 두 학회의 합병이 논의되어 1995년 1월 새로운 왕립지리학회(정식 명칭: Royal Geographical Society (with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약칭: RGS-IBG)가 발족되었다.

오늘날 왕립지리학회는 세계적으로 지리학 분야의 주요 학회이며, 유럽 최대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지리학회 중 하나이다.

개인 회원은 다음 네 가지 등급으로 나뉜다.

등급설명
일반 회원지리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RGS-IBG 회원이 될 수 있다.[21]
학생 회원GCSE, A 레벨 또는 학부 과정(또는 이와 동등한 수준)에서 지리학(또는 관련 과목)을 공부하는 학생.[22]
젊은 지리학자 회원대학원생 또는 첫 학위 취득 후 5년 이내인 사람.[23][24]
정회원 (Fellow)기존 회원의 추천을 받거나, 지리학 및 국제 개발, 기후 변화, 탐험 의학과 같이 밀접하게 관련된 분야에서 본인의 업적과 학술 발표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만 21세 이상이어야 하며 관련 업적을 증명해야 한다. 또는 이사회의 재량에 따라 정회원으로 5년간 활동한 경우에도 자격이 인정된다. 회원은 이름 뒤에 FRGS를 쓸 수 있다.[25]


5. 공인 지리학자

2002년부터 왕립지리학회는 공인 지리학자(Chartered geographer) 자격을 부여할 권한을 받았다.

공인 지리학자 자격 인증 마크
이 자격은 지리학 또는 관련 분야 학위와 최소 6년의 지리학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또는 학위가 없는 경우 15년의 지리학 관련 업무 경력이 있는 사람에게만 부여된다. 이 자격을 받으면 "CGeog"라는 호칭을 사용할 수 있다.

공인 지리학자(교사)(Chartered geographer (teacher))는 교실 안팎에서 지리적 지식이나 기술을 사용하는 데 있어 역량, 경험 및 전문성을 입증할 수 있고,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CPD)을 통해 전문적인 기준을 유지하는 데 헌신하는 교사에게 제공되는 전문 자격이다.

6. 연구 그룹

왕립지리학회의 연구 및 학술 그룹은 특정 지리 분야에서 활동적인 연구자와 전문 지리학자들을 한데 모은다. 각 그룹은 자체 세미나, 학회, 워크숍 및 기타 활동을 주관하며, 27개의 활동적인 연구 그룹이 있다.[26]

연구 그룹
생물지리학 연구 그룹
영국 지형학회(British Society for Geomorphology)
감옥 지리학 연구 그룹
기후변화 연구 그룹
계약 연구 및 교육 포럼
디지털 지리학 연구 그룹
개발 지역 연구 그룹
경제지리학 연구 그룹
지리정보과학 연구 그룹
보건 및 웰빙 지리학 연구 그룹
레저 및 관광 지리학 연구 그룹
고등교육 연구 그룹
정의 지리학 연구 그룹
해안 및 해양 연구 그룹
역사지리학 연구 그룹
지리학의 역사 및 철학 연구 그룹
산악 연구 그룹
참여 지리학 연구 그룹
계획 및 환경 연구 그룹
정치지리학 연구 그룹
인구지리학 연구 그룹
대학원 포럼
포스트사회주의 지리학 연구 그룹
정량적 방법 연구 그룹
농촌 지리학 연구 그룹
사회문화 지리학 연구 그룹
공간, 성적 취향 및 퀴어 연구 그룹
교통지리학 연구 그룹
도시지리학 연구 그룹
여성과 지리학 연구 그룹


7. 메달 및 상

왕립지리학회는 지리학 발전에 기여한 지리학자들에게 상을 수여한다.[27]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는 창립자 메달과 후원자 메달이 있다. 이 상은 "지리학과 탐험의 진흥과 발전"에 대한 공로를 인정하여 수여되며, 찰스 3세 국왕의 승인을 받는다. 1831년 윌리엄 4세 국왕이 매년 50기니를 기증하여 제정되었으며, 1839년 학회는 이 금전적 상을 창립자 메달과 후원자 메달이라는 두 개의 금메달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이 상은 데이비드 리빙스턴(1855), 나인 싱 라왓(1876),[28] 페르디난트 폰 리히트호펜(1878),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1892), 프레더릭 코트니 셀러스(1893),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1919), 할포드 존 맥킨더(1945), 로렌스 더들리 스탬프(1949), 리처드 졸리(1987), 데이비드 하비(1995) 등 저명한 지리학자들에게 수여되었다.

2004년에는 하리시 카파디아가 히말라야 지역의 지리적 탐험과 등반에 대한 공로로 후원자 메달을 수상하여, 이 상을 받은 두 번째 인도인이 되었다. 2005년에는 니콜라스 섀클턴 교수가 제4기 고기후학 분야의 연구 공로로 창립자 메달을, 장 말로리 교수가 북극과 그 주민에 대한 평생 연구로 후원자 메달을 수상했다. 1902년에는 칸 바하두르 셰르 장에게 지리학에 대한 귀중한 공헌을 인정하여 명예 훈장(흑색 기념 훈장)을 수여했다.

총 17개의 메달과 상을 수여하며, 명예 회원 및 펠로우십도 포함된다. 왕립지리학회에서 수여하는 다른 상으로는 다음과 같다.[29]

상 이름제정 연도수여 기준
빅토리아 메달1902지리학 연구에 뛰어난 공로
머치슨 상1882최근 몇 년 동안 지리학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는 출판물
백 상1882국가 또는 국제 공공 정책 발전에 탁월한 공헌을 하는 응용 또는 과학적 지리 연구
버스크 메달1975지리학 또는 관련 과학의 지리적 측면에 대한 해외 현장 연구 또는 보존 연구
커스버트 피크 상1883지구 관측 및 매핑 방법을 포함한 현대적 방법을 적용하여 인간의 환경에 대한 영향에 대한 지리적 지식을 발전시킨 사람들
에드워드 히스1984유럽 또는 개발도상국에서의 지리학 연구
체리 키어턴 메달 및 상자연사 연구 또는 실천에 관심 있는 여행자, 특히 자연 사진, 예술 또는 영화 제작에 관심 있는 사람[30]
네스 상여행자, 특히 지리학과 우리 세계와 그 환경에 대한 더 폭넓은 이해를 성공적으로 대중화한 여행자


8. 컬렉션

왕립지리학회(RGS)는 500년에 걸친 지리학, 여행 및 탐험의 역사를 담고 있는 200만 점이 넘는 문서, 지도, 사진, 그림, 정기 간행물, 유물 및 서적들을 소장하고 있다.[31] 학회는 미래 세대를 위해 소장품을 보존하는 동시에, 대중에게 접근을 허용하고 학교와 평생 학습자를 위한 소장품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포일 자료실은 학회 소장품을 이용할 수 있는 상담 공간으로 활용되며,[32] 전시회와 워크숍, 그리고 ''영감을 주는'' 강연 시리즈를 개최한다.[33]

왕립지리학회의 유물 소장품은 1,000점이 넘는 물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전 세계의 문화 유물들로 이루어져 있다. 캐나다 북극 지역의 이누이트 부츠부터 당시 벨기에콩고의 의식용 표범 발톱까지 다양하며, 탐험 관련 용품(예: 에베레스트 등정 시 사용된 산소 세트)과 어니스트 섀클턴의 버버리 헬멧과 같은 탐험가들의 개인 소지품도 포함되어 있다.[34] 전 세계 전시회에 소장품이 대여될 정도로 꾸준히 수요가 있다.

도서관 소장 자료는 전 세계 지역의 역사와 지리에 초점을 맞춘 15만 권이 넘는 제본된 책들을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럽 이주에 관한 정보, 19세기 베를린 안내서, 그리고 데이비드 리빙스턴이 쓴 나일강 발원지를 찾는 여정에 대한 기록 등이 포함되어 있다.[35] 현재 약 800종의 학술지가 구독되고 있으며, 현재 구독 중이지 않거나 출판이 중단된 학술지도 다수 보유하고 있어, 학회 회원들은 RGS-IBG 자체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외에도 최신 지리학 학술 문헌에 접근할 수 있다.[36]

왕립지리학회(RGS-IBG)는 4,500건의 탐험 보고서를 보관하고 있다. 이 문서에는 전 세계 거의 모든 국가에 대한 탐험의 업적과 연구 결과에 대한 세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보고서와 8,500건이 넘는 계획 및 과거 탐험에 대한 목록은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되어 있으며, 1965년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스포츠, 과학 및 청소년 탐험과의 연락을 제공한다.[37]

본 학회는 세계에서 가장 큰 사설 지도 컬렉션 중 하나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00만 장의 지도와 해도, 3000권의 아틀라스, 40개의 지구본, 그리고 1000권의 지명사전을 포함한다. 컬렉션에서 가장 오래된 인쇄물은 148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RGS-IBG는 또한 16세기 중반부터의 필사본 자료, 1919년부터의 항공 사진 및 최신 위성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다.[38]

왕립지리학회의 원고 보관소에는 학회 업무 수행 과정에서 생산된 자료와 특별한 관심 대상 인물이나 주제와 관련된 원고들이 보관되어 있다. 문서에는 1830년 학회 설립 이전의 몇몇 자료도 포함되어 있으며, 19세기와 20세기 초 여행가와 지리학자들의 전기 연구뿐만 아니라 지리적 지식의 발전과 지리학의 역사적 발전 연구에도 특히 유용하다.[39]

1994년부터 왕립지리학회는 월요일 저녁 강연의 대부분을 녹화해 왔다. 학회 회원과 펠로우들은 2006년 이후의 강연 중 일부를 온라인으로 시청할 수 있다.[40]

협회의 사진 자료실에는 1830년경부터의 사진, 미술 작품, 네거티브 필름, 랜턴 슬라이드 및 앨범 50만 점 이상이 소장되어 있다. 역사적인 이미지는 로버트 스콧과 어니스트 섀클턴의 남극 모험부터 데이비드 리빙스턴, 새뮤얼 베이커, 존 해닝 스피크, 리처드 프랜시스 버턴의 개척 여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41]

9. 연구 지원 (Grants)

왕립지리학회(RGS-IBG)는 지리 연구와 과학 탐험을 위한 자금을 지원한다. 학회는 연구원, 학생, 교사 및 독립 여행자에게 다수의 보조금을 제공한다. 매년 70개가 넘는 프로젝트가 지원되며, 18만 파운드가 넘는 금액이 지원된다.[42] 나미비아부터 브라질, 그린란드에 이르기까지 120개국 이상에서 연구가 수행되었다.[42]

매년 RGS-IBG는 지리 현장 조사 지원금(Geographical Fieldwork Grants)을 통해 학생 및 연구팀의 현장 연구를 지원하며, 이는 학회에서 가장 오래된 지원 사업이다. 가장 최근에는 개발도상국의 국제 현장 센터에서의 연구를 위한 RGS-IBG 국제 현장 센터 지원금(RGS-IBG International Field Centre Grants)이라는 새로운 사업이 시작되었다. 독립적인 여행 지원금은 지리 탐험을 지원한다.[43]

매년 학회는 박사 과정 학생들의 논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부터 처음으로 현장 연구에 나서는 학부생 그룹에 이르기까지 50개가 넘는 학생 현장 연구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전 세계 어느 지역에서든 인문 지리 및 자연 지리 프로젝트 모두에 대한 지원금이 제공된다.[44]

왕립지리학회(RGS-IBG)는 현장 및 사무실 기반 연구를 통해 정립된 연구자들의 현장 연구부터 신진 학자들의 소규모 프로젝트까지 다양한 학술 지리학자들의 연구를 지원한다. 또한 전 세계 지리학 회의에 참석하는 학자들도 지원한다. 일부 지원은 특정 지리적 지역이나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다른 지원들은 지리학 분야의 모든 측면에 개방되어 있다.[45]

왕립지리학회는 중등 및 고등 교육 수준에서 지리 교육의 혁신을 지원하며, 교사들이 지리 연구원들과 함께 지리 연구를 수행하고, 교실용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교육 자료를 제작할 수 있도록 여러 상을 수여한다.[46]

또한 왕립지리학회는 16종류의 다목적 연구비를 답사 및 현장 조사를 위해 지원하고 있으며, 랄프 브라운(Ralph Brown) 연구비와 길크리스트(Gilchrist) 현장 조사 연구비는 15000GBP가 지급된다.

10. 대중 참여 (Public engagement)

왕립지리학회는 지리학 연구와 교육, 현장 조사, 탐험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의 지리 이해와 인기 향상, 지리 정보 수집 등 다방면에 걸쳐 지원과 홍보를 하고 있다. 지리학 협회(Geographical Association)와 왕립 스코틀랜드 지리학회(Royal Scottish Geographical Society) 등 다른 지리학 관련 학회와 협력하기도 한다.

2004년에는 학술 탐구와 연구를 통해 얻은 영국 국내외의 중요한 역사적 컬렉션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같은 해, 새로운 회원 제도를 도입하여 지리학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널리 학회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새로운 필름 열람실(Foyle Reading Room)과 유리 파빌리온(glass Pavilion)을 공개하여 21세기 학회가 보유한 것을 지적, 시각, 물리적으로 공개했다. 예를 들어 2012년에는 유리 파빌리온에서 1912년 로버트 스콧 탐험대의 허버트 폰팅(Herbert Ponting)이 촬영한 사진을 전시하기도 했다.

10. 1. 21세기 과제 (21st Century Challenges)

21세기 과제는 앞으로 몇 년 동안 우리의 삶과 사회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대중의 이해와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왕립지리학회의 토론 시리즈이다. 강연은 학회 본부에서 열리며, 모든 강연은 추가 정보와 함께 온라인으로 시청할 수 있다.

10. 2. 디스커버링 브리튼 (Discovering Britain)

디스커버링 브리튼(en)[48]은 영국의 건조 환경과 자연 환경 뒤에 숨겨진 이야기를 설명하는 일련의 자체 안내 지리 탐방을 소개하는 웹사이트이다. 각 탐방은 특정 지역의 경관을 탐구하여 자연의 힘, 사람들, 사건 및 경제가 그 지역을 만들고 형성한 방식을 알아본다.[49] 현재 디스커버링 브리튼 웹사이트에는 120개가 넘는 탐방이 있으며, 영국의 모든 지역을 다룬다. 탐방은 위치한 경관에 따라 건조 환경, 선사 시대 환경, 역사적 환경, 작업 환경, 숨겨진 환경, 변화하는 환경을 포함하여 주제별로 구성된다.[50] 또한 탐방은 경관 속의 사람들과 경관을 형성하고, 보존하고,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10. 3. 히든 저니스 (Hidden Journeys)

히든 저니스는 2010년에 왕립지리학회(IBG와 함께)에서 시작한 공공 참여 프로젝트이다.[51] 히든 저니스 웹사이트는 이미지, 이야기, 지도(대부분 학회의 지리학적 자료에서 가져옴)를 결합하여 인기 항공편 경로에 대한 일련의 대화형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이 비행 중 상공을 지나가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운 장소들을 탐험하고 공중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출시 이후 런던-요하네스버그, 뉴욕-로스앤젤레스, 시드니-싱가포르, 마드리드-리우데자네이루 등 25개 이상의 항공편 경로에 대한 온라인 가이드가 게시되었다.[52]

히든 저니스 프로젝트는 기내 엔터테인먼트의 새로운 형태인 지리 엔터테인먼트 또는 지오테인먼트(geotainment)로 불리는 이동 지도 시스템에 콘텐츠를 통합하고 있다.[53]

2013년 12월, 싱가포르항공은 히든 저니스 콘텐츠가 포함된 향상된 이동 지도의 시험 운영을 시작했다.[54] 히든 저니스와 기내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회사인 에어본 인터랙티브(Airborne Interactive)가 공동으로 개발한 이 향상된 지도는 싱가포르항공의 신형 보잉 777-300ER 항공기(편명 SQ308 및 SQ319)의 싱가포르-런던 노선에서 이용 가능하며, 왕립지리학회(IBG와 함께)가 엄선한 다양한 지리적 사실과 하이라이트, 사진 및 지도를 제공한다. 정보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며, 비행이 진행됨에 따라 콘텐츠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승객이 영국 상공을 지날 때 영국 해협의 기원과 중요성을 설명하는 팝업이 표시된다.[55]

11. 학교 교육 지원 (Schools)

왕립지리학회(RGS-IBG) 교육부는 교사, 학생, 학부모를 위해 강좌, 자료, 인증, 보조금, 상, 대회 및 학교 회원 자격을 제공하며, 지리 홍보대사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학회는 KS1부터 GCSE 이후까지 모든 학습 수준에 맞는 사례 연구, 수업 계획, 활동 아이디어를 제공한다.[56] 학생 회원과 젊은 지리학자들을 위해 '뉴스 속 지리'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300개 이상의 시사적인 사례 연구를 제공한다.[57] 학회의 다른 많은 자료는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지리 대사 프로그램[58]은 대학 및 기업의 자원봉사 학부생, 대학원생, 졸업생 지리학자들을 모집, 교육 및 지원한다. 지리 대사들은 학교에서 활기차고 활동 중심적인 수업을 진행하며 매년 3만 명이 넘는 학생들과 교류한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학교에서 필수 과목 이상의 지리 학습의 이점뿐만 아니라 고등 교육과 취업에 대해서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왕립지리학회는 지리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한 경연대회도 개최한다. 올해의 젊은 지리학자상[59]은 KS2부터 A-레벨까지의 학생들을 위한 네 가지 부문으로 나뉜다. 모든 학생은 주어진 주제에 대한 포스터를 제작해야 하지만, A-레벨 학생들은 논문을 작성해야 한다. A-레벨 학생들을 위해 매년 논문 경연대회인 데이비드 W. 스미스 기념상[60]과 최고의 A-레벨 과정 연구를 위한 론 쿡 상[61]이 있다.

12. 출판물 (Publications)

왕립지리학회는 여러 학술 출판물을 통해 지리학 분야의 연구를 널리 알리고 지원한다. 1935년부터 발행된 월간지 '''지오그래피컬'''은 지리학 분야의 최신 연구와 발견을 소개하고, 사람, 장소, 모험, 여행, 환경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또한 왕립지리학회의 최신 활동 소식을 회원과 대중에게 전달한다.[64]

12. 1. 학술지 (Journals)

왕립지리학회(IBG 포함)의 학술 출판물은 해당 분야 전반에 걸친 연구의 보급을 위한 통로와 지원을 제공한다. 학회는 연구 출판물이 연간 백만 회 이상 접속된다고 밝히고 있다.[62]

  • '''지역'''(Area): 신진 연구자들을 위한 연례 시상이 있다.
  • '''GEO: 지리와 환경'''(GEO: Geography and Environment): 2014년에 출시된 오픈 액세스 학술지이다.[63]
  • '''지리학 저널'''(The Geographical Journal)(''GJ''): 공공 논쟁과 정책 지향적 의제에 중점을 둔다.
  • '''영국 지리학자 협회 회보'''(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국제적인 지리학 연구 학술지 중 하나이다.
  • '''WIREs: 기후변화'''(WIREs: Climate Change): 영국 기상학회(Royal Meteorological Society)와 와일리-블랙웰(Wiley-Blackwell)과 공동으로 개발한 이 리뷰 학술지는 기후변화 연구 및 학문에 대한 중요한 새로운 백과사전 참고 자료를 제공한다.
  • '''지오그래피컬'''은 왕립지리학회(RGS)의 공식 월간지이며 1935년부터 꾸준히 발행되고 있다. 이 잡지는 사람, 장소, 모험, 여행 및 환경 문제에 대한 그림이 포함된 기사와 함께 지리학 분야의 최신 학술 연구 및 발견을 요약하여 보여준다. '''지오그래피컬'''은 또한 학회의 최신 작업과 활동에 대한 뉴스를 회원과 대중에게 보고한다.[64]

참조

[1]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s://www.rgs.org/[...] Royal Geographical Society 2024-07-22
[2] 서적 The Fifty Years' Work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J. Murray 1881
[3] 서적 The Fifty Years' Work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J. Murray 1881
[4] 학술지 Introduction: Rethinking Joseph Banks 2019-12-20
[5] 학술지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s House: An Architectural History https://www.jstor.or[...] 1980
[6] 웹사이트 Albertopolis: Royal Geographical Society http://www.architect[...] Royal Institute of British Architects 2010-12-15
[7] 학술지 The Admission of Women Fellows to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1892-1914; the Controversy and the Outcome https://www.jstor.or[...] 1996
[8] 웹사이트 Cultural Legacy Details https://www.ucl.ac.u[...]
[9] 웹사이트 Explore: Collections at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https://habitatsandh[...] 2020-04-22
[10] 웹사이트 Royal Geographical Society https://www.britanni[...]
[11] 웹사이트 The Journal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of London https://onlinebooks.[...]
[12] 웹사이트 Proceedings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of London https://onlinebooks.[...]
[13] 웹사이트 The Geographical Journal https://rgs-ibg.onli[...] Wiley (publisher)
[1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early years of the Department 1888-1960 https://www.geog.cam[...]
[15] 웹사이트 Ormsby [née Rodwell Jones], Hilda (1877–1973), geographer https://www.oxforddn[...] 2020-11-23
[16] 학술지 Andrew Charles O'Dell
[17] 웹사이트 Royal Scottish Geographical Society https://www.rgs.org/[...]
[18] 웹사이트 Scott centenary: An enduring scientific legacy http://www.rgs.org/O[...] Royal Geographical Society 2012-02-22
[19] 웹사이트 The Duke of Kent https://www.royal.uk[...]
[20] 웹사이트 Committees of Council https://www.rgs.org/[...]
[21] 웹사이트 Membership https://www.rgs.org/[...] 2024-07-22
[22] 웹사이트 Student Membership https://www.rgs.org/[...] 2024-07-22
[23] 웹사이트 Associate Fellowship https://www.rgs.org/[...] 2024-07-22
[24] 웹사이트 Postgraduate Fellowship https://www.rgs.org/[...] 2013-11-04
[25] 웹사이트 Fellowship https://www.rgs.org/[...] 2024-07-22
[26] 웹사이트 Research Groups http://www.rgs.org/O[...] Rgs.org 2015-05-16
[27] 웹사이트 Medals and Awards http://www.rgs.org/A[...] Royal Geographical Society with IBG 2008-08-07
[28] 학술지 Rediscovering Nain Singh http://www.currentsc[...] 1999-09-10
[29]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Society's medals and awards https://www.rgs.org/[...] Royal Geographical Society 2022-10-28
[30] 웹사이트 Medals & Awards http://www.rgs.org/N[...] Royal Geographical Society 2013-09-28
[31] 웹사이트 Collections http://www.rgs.org/O[...] Rgs.org 2015-05-16
[32] 웹사이트 Foyle Reading Room http://www.rgs.org/O[...] Rgs.org 2015-05-16
[33] 웹사이트 Be Inspired http://www.rgs.org/W[...]
[34] 웹사이트 Artefacts http://www.rgs.org/O[...] Rgs.org 2015-05-16
[35] 웹사이트 Books and pamphlets http://www.rgs.org/O[...] Rgs.org 2015-05-16
[36] 웹사이트 Journals http://www.rgs.org/O[...] Rgs.org 2015-05-16
[37] 웹사이트 Expedition reports http://www.rgs.org/O[...] Rgs.org 2015-05-16
[38] 웹사이트 Maps and atlases http://www.rgs.org/O[...] Rgs.org 2015-05-16
[39] 웹사이트 Manuscript archive http://www.rgs.org/O[...] Rgs.org 2015-05-16
[40] 웹사이트 Events recordings http://www.rgs.org/O[...] Rgs.org 2015-05-16
[41] 웹사이트 Photographs and artworks http://www.rgs.org/O[...] Rgs.org 2015-05-16
[42] 웹사이트 Grants http://www.rgs.org/O[...] Rgs.org 2015-05-16
[43] 웹사이트 Fieldwork and expeditions http://www.rgs.org/O[...] RGS 2014-12-09
[44] 웹사이트 Student Grants http://www.rgs.org/O[...] RGS 2014-11-09
[45] 웹사이트 Research Grants http://www.rgs.org/O[...] RGS 2014-12-09
[46] 웹사이트 Teaching grants and resources http://www.rgs.org/O[...] RGS 2014-12-09
[47] 웹사이트 21st Century Challenges http://www.rgs.org/O[...] Rgs.org 2015-03-25
[48] 웹사이트 Discovering Britain http://www.discoveri[...] RGS 2014-12-09
[49] 웹사이트 Lancaster:A city of philanthropists http://www.rgs.org/N[...] RGS 2014-12-09
[50] 웹사이트 Discovering Britain http://www.discoveri[...] RGS 2014-12-09
[51] 웹사이트 Explore the world beneath your feet – air travel website to reveal landscapes and cultures 10,000m below http://www.rgs.org/N[...] RGS 2014-07-15
[52] 웹사이트 Hidden Journeys crosses the Channel on its new flight path from Farnborough to Cannes. http://www.rgs.org/N[...] RGS 2014-07-15
[53] 웹사이트 Geo-Entertainment looks to open passengers' eyes to the magic of flying https://web.archive.[...] RGS 2014-07-19
[54] 웹사이트 Next generation of in-flight mapping brings the journey alive http://www.rgs.org/N[...] RGS 2014-07-15
[55] 웹사이트 Are we there yet? New in-flight maps point to more fun on planes http://edition.cnn.c[...] RGS 2014-07-15
[56] 웹사이트 Teaching resources http://www.rgs.org/O[...] Rgs.org 2015-05-16
[57] 웹사이트 Geography in the News – topical geography resources for teachers and students http://www.geography[...] Geographyinthenews.rgs.org 2015-05-16
[58] 웹사이트 Geography Ambassador scheme http://www.rgs.org/O[...] Rgs.org 2015-05-16
[59] 웹사이트 Royal Geographical Society – Teaching and learning in geography https://www.rgs.org/[...] 2019-01-17
[60] 웹사이트 Royal Geographical Society – Teaching and learning in geography https://www.rgs.org/[...] 2019-01-17
[61] 웹사이트 Royal Geographical Society – Teaching and learning in geography https://www.rgs.org/[...] 2019-01-17
[62] 웹사이트 Research publications https://www.rgs.org/[...]
[63] 웹사이트 Bulletin 2014 http://issuu.com/rgs[...] 2014-12-09
[64] 웹사이트 Geographical magazine https://web.archive.[...] Rgs.org 2015-05-16
[65] 문서 吉田(2010)
[66] 서적 世界地理行脚 古今書院
[67] 문서 吉田(2010):36 - 37ページ
[68] 문서 吉田(2010):36ページ
[69] 웹사이트 Albertopolis: Royal Geographical Society http://www.architect[...] Royal Institute of British Architects 2012-12-10
[70] 문서 木内(1969):179ページ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웹사이트 Scott centenary: An enduring scientific legacy http://www.rgs.org/O[...] Royal Geographical Society 2012-02-22
[75] 웹사이트 People and staff http://www.rgs.org/A[...] 2012-12-08
[76] 뉴스 秋田と地球の裏側で〜探検家・高橋大輔さん http://akita.keizai.[...] 秋田経済新聞 2012-12-28
[77] 웹사이트 Research Groups http://www.rgs.org/O[...]
[78] 웹사이트 Medals and Awards http://www.rgs.org/A[...] Royal Geographical Society with IBG 2008-08-07
[79] 서적 Rawat의 업적 소개
[80] 서적
[8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