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린데 포크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린데 포크트는 독일의 예술가로, 주로 음악 기보법, 철학 텍스트 및 개인적인 영감에서 비롯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드로잉, 텍스트, 페인팅, 설치 작업을 한다. 그는 미니멀리즘 및 개념주의 작가들과 비교되며, 2002년 사진 작업을 중단한 후 드로잉에 집중하여 명성을 얻었다. 그의 작품은 종종 특정 서적이나 아이디어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반영하며, 지각의 모델을 탐구하는 <몰입(Immersion)> 시리즈를 포함한다. 포크트의 작품은 퐁피두 센터, 뉴욕 현대미술관 등 여러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데이비드 놀란 갤러리, 쾨니히 갤러리, 리슨 갤러리를 전속 갤러리로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예술가 - 히토 슈타이얼
히토 슈타이얼은 독일 뮌헨 출신의 예술가, 영화 제작자, 작가이자 교육자로, 군사화, 감시, 이주, 미디어 역할, 세계화, 이미지 확산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포스트 재현’과 같은 개념을 탐구한다. - 독일의 예술가 - 오르칸 텔한
- 1977년 출생 - 에마뉘엘 마크롱
에마뉘엘 마크롱은 프랑스의 정치인이자 "앙 마르슈!(En Marche!)"를 창당하여 중도주의 정책을 표방하며 2017년과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프랑스의 현직 대통령이다. - 1977년 출생 - 이백윤
이백윤은 중앙대 총학생회장 출신 노동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동희오토 비정규직 노동자 해고 후 부당 해고에 맞선 투쟁, 사회혁명노동자당 충남도당 위원장, 노동당 대통령 후보 출마 등의 활동을 했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 요린데 포크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인물 정보 | |
| 이름 | 요린데 포크트 |
| 국적 | 독일 |
| 학력 | 베를린 예술대학교 |
| 직업 | 예술가 |
2. 유년 시절 및 교육
요린데 포크트는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 접한 음악, 문학, 철학은 그녀의 예술 활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1986년부터 1996년까지 다름슈타트의 시립 음악원(Academy of Sonic Arts)에서 첼로를 전공했으며, 프랑크푸르트에서는 페터 볼프(Peter Wolf)에게 첼로를 배웠다. 이후 괴팅겐 대학교에서 철학과 현대 독일 문학을 공부했다. 1998년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사회학, 철학, 비교문학을 전공했다. 2004년에는 베를린 예술대학에서 [https://en.wikipedia.org/wiki/Katharina_Sieverding 카타리나 지버딩(Katharina Sieverding)] 교수 아래에서 순수미술 및 포토그라피 마이스터슐러 과정을 마쳤다.
포크트의 작품은 주로 음악 기보법, 철학 텍스트, 그리고 작가 자신의 감각적 영감에서 비롯된 정교하고 독특한 알고리즘의 결과물이다.[21] 그녀는 드로잉, 텍스트, 페인팅, 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다루지만, 특히 대규모 드로잉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작업 과정은 일련의 규칙적인 방식을 따르며, 특정 서적이나 아이디어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작품을 위해 개발된 구조는 탐구하는 주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21]
3. 작품활동
이러한 작업 방식은 속도와 리듬이라는 개념으로 확장되는데, 이는 종이 위에 남겨진 필기나 드로잉의 흔적, 또는 안료가 떨어지고 튄 자국 등으로 표현된다. 포크트는 "속도는 작품에 사용하는 소재와 신체가 접촉하는 방식과 일치하며 (...) 무엇에 관한 작업인지에 따라 속도는 빨라질 수도, 느려질 수도 있다”고 설명하며 작업 과정에서의 신체성과 시간성을 강조한다.[22]
그녀의 작업 방식은 엄격한 규칙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지만, 동시에 개인적인 경험, 감정, 기억과 같은 내면 세계가 외부 환경과 교차하는 지점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27] 포크트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상력을 위한 지침"이 만들어진다고 설명한다.[28]
2002년 사진 작업을 중단하고 드로잉에 집중하기 시작한 이후[29][30], 그녀는 'Notations Florida and Indonesia'(2003) 시리즈를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상징 체계를 개발하고 지각에 대한 탐구를 시작했다.[31] 이후 작업들은 이 초기 연구를 바탕으로 형식적, 개념적으로 다양하게 발전했으며, 공통적으로 눈에 보이는 것 너머의 본질을 시각화하고 경험의 동시성을 포착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33]
3. 1. 미니멀리즘 및 개념주의와의 비교 및 차이점
요린데 포크트의 대규모 드로잉은 종종 지침과 규칙 체계에서 비롯되며, 이로 인해 그녀의 작품은 미니멀리즘 및 개념 미술 예술가들과 비교되어 왔다.[3] 특히 1960년대 아방가르드 시기의 존 케이지(John Cage)와 이안니스 크세나키스(Iannis Xenakis)의 이벤트 스코어와 시각 예술 작품,[4] 한네 다보벤(Hanne Darboven)의 알고리즘 패턴,[5] 그리고 [https://en.wikipedia.org/wiki/Sol_LeWitt 솔 르윗(Sol Lewitt)]의 절차적 매개변수와 비교된다.[6]
그러나 이러한 비교에도 불구하고, 포크트의 작품은 이러한 계보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그녀의 엄격한 시스템은 개인적인 경험, 감정, 기억과 같은 내면의 세계가 외부 조건과 어떻게 교차하는지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7] 포크트는 이러한 과정을 "상상력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으로 묘사했다.[8]
2002년에 포크트는 사진 매체를 떠나 그녀가 가장 잘 알려진 드로잉 작업을 시작했는데, 그녀는 이 드로잉을 수년에 걸쳐 "투영 표면, 시각화된 사고 모델, 과학적 실험 설계, 표기, 악보 및 도표"로 번갈아 묘사해 왔다.[9][10] 이 예술가는 2003년부터 시작된 연작인 ''Notations Florida''와 ''Indonesia''에서 그녀만의 독특한 상징 체계를 개발했다. 미술사학자 아스트리드 슈미트-부르크하르트(Astrid Schmidt-Burkhardt)에 따르면, ''Notations Florida''를 구성하는 60개의 잉크 드로잉은 "이미 그녀의 후기 작품을 구별하는 모든 지각의 레지스터를 담고 있다."[11] 그 결과 드로잉은 올랜도에서 마이애미로 여행하면서 예술가가 느낀 일련의 인상을 전달한다. 포크트는 "나는 여전히 상황을 파악했지만, 차이점은 더 이상 셔터를 누르는 대신 노트를 적었다는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원근법으로 분류할 수 없는 그림이 나타났고, 오히려 내가 경험한 것들의 병치와 동시성을 반영했다"고 설명한다.[12]
이 초기 연작에서 개발된 지각 연구를 통해 추가적인 작업 주기가 나타났다.[13] 형식적이고 개념적으로 다양하지만, 이러한 작업 주기들은 모두 사물의 "뒤에" 있는 것을 가시화하고 종이에 표시를 통해 경험의 동시성을 포착하는 데 관심을 공유한다.
3. 2. 초기 작품: 사진에서 드로잉으로 (2002-2003)
2002년, 포크트는 사진 작업을 중단하고 이후 그녀에게 명성을 안겨준 드로잉 작업을 시작했다. 그녀는 이 새로운 작업을 "투영 표면(projection surfaces), 시각화된 사고 모델(visualized thought models), 과학 실험 디자인(scientific experimental designs), 표기법(notations), 악보 및 다이어그램" 등으로 설명했다.[29][9][30][10]
2003년에 시작된 ''Notations Florida and Indonesia''(플로리다와 인도네시아 표기법) 시리즈에서 포크트는 자신만의 독특하고 구체적인 상징 체계를 개발했다. 미술사학자 아스트리트 슈미트-부르크하르트(Astrid Schmidt-Burkhardt)는 ''Notations Florida''를 구성하는 60개의 잉크 드로잉에 "이미 그녀의 후기 작품을 구별하는 지각의 모든 영역(레지스터)이 포함되어 있다"고 평가했다.[31][11] 이 드로잉들은 작가가 플로리다의 올랜도에서 마이애미까지 여행하며 느낀 일련의 인상들을 담고 있다. 포크트는 이 과정에 대해 "나는 여전히 상황을 주시했지만, 셔터를 누르는 대신 기록을 남겼다. 이렇게 하면, 더 이상 원근 화법으로 분류될 수는 없지만, 내가 한 경험과 나란히 위치하며 동시에 존재하는 그림이 탄생하게 된다"고 설명했다.[32][12]
이 초기 시리즈에서 이루어진 지각에 대한 연구는 이후 작업들의 기반이 되었다.[33][13] 이후의 작업들은 형식과 개념 면에서 다양하게 발전했지만, 모두 종이 위에 남긴 표시를 통해 사물 너머의 것을 시각화하고 경험의 동시성을 포착하려는 공통된 목표를 공유한다.
3. 3. <중국 춘화에 대한 관점: 16세기에서 20세기로>(2011/2012)
이 시리즈의 작품들은 오래된 중국의 춘화와 판화 작품들을 표기법과 콜라주 기법을 결합하여 그림 및 문자 다이어그램으로 변환한 것이다.[34][14] 이 작업의 핵심은 이미지를 마치 텍스트처럼 분석하는 “시각적 읽기(visual reading)” 과정이다. 작가는 하나의 장면을 여러 관점에서 바라보는 중국과 일본의 회화 전통을 따라, 각 그림에 최대 100개의 관점(각 관점은 하나의 시선)을 모았다. 이를 통해 콜라주가 마치 과학에서 사용하는 표처럼 보이도록 구성했다. 작품 제작을 위해 작가는 여성의 머리 모양이나 욕조, 연인의 포옹 형태와 같은 특정 구성 요소의 색상 및 윤곽과 일치하는 색종이를 잘라 실루엣을 만들었다. 이 실루엣의 개수는 작가가 특정 부분을 얼마나 여러 번 보았는지에 따라 결정되었다.[35][15] 시인이자 평론가인 존 야우는 “작가는 관능적(에로틱한) 관점을 부분적으로 풀어냄으로써, 그 경험의 본질을 드러내고 적혀 있는 비주얼 데이터의 집합체로 바꾸었다”고 평가했다.[36][16] 이 드로잉 작품들은 바라보는 행위 자체를 통해 정해지는 색과 표기법을 통해, 인간의 지각을 파고들며 언어, 인지, 직관, 연상 등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하나의 정신적 사고 과정처럼 보인다.
3. 4. <단어와 관점을 위한 조각들>(2012), <열정으로서의 사랑: 친밀함의 코드화>(2013/2014)
36부작 연작인 Pieces for Words and Views(단어와 관점을 위한 조각들)는 포크트의 작업 방식에 있어 급격한 변화를 보여준다. 이전 작품들이 외부의 사물이나 상황에 대한 인식을 시각적으로 번역하는 표기 시스템 개발에 집중했다면, 이 시리즈는 작가가 내면의 과정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찾으려는 첫 시도였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상상, 기억, 경험, 감정의 형태를 찾는 노력이 포크트 작업의 중심 주제로 떠올랐다. 이 시리즈는 글을 읽을 때 단어가 독자의 상상 속에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탐구한다. 롤랑 바르트의 사랑의 단상에서 특정 단어들을 선택하여 추상적이면서도 구체적인 이미지로 변환하였다. 각각의 정신적 이미지는 특정한 색과 형태를 부여받아 색을 입힌 양피지 위에 윤곽 드로잉으로 표현된다. 최종 드로잉에서는 여러 이미지를 콜라주 기법으로 합쳐 이미지들 사이에 모호한 관계를 만들어낸다.[17]
유사한 과정을 거친 48부작 연작 Love as passion: On the Codification of Intimacy(열정으로서의 사랑: 친밀함의 코드화)는 니클라스 루만이 1982년에 발표한 동명의 책에 대한 작가의 응답이다. 이 시리즈의 각 드로잉은 루만의 책에서 포크트가 직접 추출한 챕터, 구절, 또는 핵심 단어를 다룬다. 포크트는 직관적인 연상을 불러일으키는 텍스트 구절을 표시하는 것으로 각 드로잉 작업을 시작한다.[17]
3. 5. <몰입(Immersion)>(2018/2019)
`
각 작업은 종이를 특정 안료에 담그는 것으로 시작하는데, 색상 선택은 특정한 분위기나 감정 상태를 나타내기 위함이다.[39][19] 큰 원환체 도형이 구성을 이루는 중심이며, 각 작품마다 크기가 변형되고 회전한다. 포크트는 `
이 시리즈의 또 다른 특징은 금과 귀금속을 사용하는 것이다. 드로잉의 일부를 잘라내어 금, 알루미늄, 구리박을 입힌 뒤 원래 위치에 다시 붙이는 상감세공 기법을 사용한다.
4. 미술관 컬렉션
요린데 포크트의 작품은 여러 국제적인 미술관 및 공공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 주요 소장처는 다음과 같다.
- 파리 조르주 퐁피두 센터 (Centre Pompidou|상트르 퐁피두fra)
- 뉴욕 뉴욕 현대미술관 (Museum of Modern Art|뮤지엄 오브 모던 아트eng)
- 시카고 미술관 (Art Institute of Chicago|아트 인스티튜트 오브 시카고eng)
- 베를린 판화 박물관 (Kupferstichkabinett Berlin|쿠퍼슈티히카비네트 베를린deu)
- 이스탄불 현대 미술관 (İstanbul Modern|이스탄불 모데른tur)
- 본 연방 미술 컬렉션 (Bundeskunstsammlung|분데스쿤스트잠룽deu)
- 함부르크 함부르크 미술관 (Hamburger Kunsthalle|함부르거 쿤스트할레deu)
- 취리히 취리히 미술관 (Kunsthaus Zürich|쿤스트하우스 취리히deu)
- 슈투트가르트 미술관 (Kunstmuseum Stuttgart|쿤스트무제움 슈투트가르트deu)
- 오슬로 노르웨이 현대 미술관 (Museet for Samtidskunst|뮈세트 포르 삼티드스쿤스트nor)
- 뮌헨 그래픽아트 전시관 (Staatliche Graphische Sammlung München|슈타틀리헤 그라피셰 자믈룽 뮌헨deu)
5. 전속 갤러리
요린데 포크트의 전속 갤러리는 데이비드 놀란 갤러리(뉴욕), 쾨니히 갤러리(베를린), 리슨 갤러리(런던)가 있다.
6. 주요 전시
| 연도 | 전시명 | 장소 | 비고 |
|---|---|---|---|
| 2019 | Wall Drawings Series: Jorinde Voigt | 메닐 드로잉 연구소, 휴스턴 | |
| 2018 | Jorinde Voigt | 프라하 국립미술관 | |
| 2018 | Universal Turn (유니버설 턴) | 호르스트 얀센 미술관, 올덴부르크 | |
| 2018 | 신성한 영역 | 베를린 성 마태 교회 | |
| 2017 | A New Kind of Joy (새로운 종류의 기쁨) | 쿤스트할레 뉘른베르크 | |
| 2015 | Jorinde Voigt | 요한 쾨니히, 베를린 | |
| 2014 | Codification of Intimacy: Works on Niklas Luhmann | 데이비드 놀란 갤러리, 뉴욕 | |
| 2014 | Super Passion (슈퍼 패션) | MACRO 로마 현대미술관, 로마 | |
| 2013 | Systematic Notations (체계적인 표기) | 네바다 미술관 NMA | |
| 2013 | Fruits de la passion – Projet pour l'Art Contemporain | 퐁피두 센터, 파리 | 그룹 전시 |
| 2012 | Art Prize Bottcherstrasse | 쿤스트할레 브레멘 | 그룹 전시 |
| 2012 | 3rd Moscow International Biennale for Young Art | 모스크바 | 그룹 전시 |
| 2011 | Jorinde Voigt | 폰 데어 하이트 미술관, 부퍼탈 | |
| 2010 | Staat / Random I-XI (국가 / 랜덤 I-XI) | 헤이그 시립미술관 | |
| 2010 | Line Ligne, Linea. Zeichnung der Gegenwart (Contemporary Drawings) | 쿤스트무제움 본 | 그룹 전시 |
| 2010 | Dopplereffekt. Bilder in Kunst und Wissenschaft [Doppler effect. Images in Art and Science] | 쿤스트할레 킬 | 그룹 전시 |
| 2009 | Symphonic Area (교향곡 영역) | HDKV 하이델베르크 쿤스트페라인 | |
| 2008 | Zeichnung als Prozess (Drawing as Process) | 폴크방 미술관, 에센 | 그룹 전시 |
| 2008 | Dualnab (이중 나브) | 비스바덴 나소 미술 협회 |
7. 참고 문헌
- Jorinde Voigt: Immersion, texts Paul Feigelfeld and Jesi Khadivi (Berlin: Hatje Cantz, 2019)
- Ellen Seifermann (ed), Jorinde Voigt: Shift (Berlin: Walther König, 2018)
- David Nolan (ed): Jorinde Voigt: Ludwig Van Beethoven Sonatas 1-3, texts by Franz W. Kaiser and Jorinde Voigt (Berlin: Hatje Cantz, 2015)
- Julia Klüser & Hans-Peter Wipplinger (eds), Jorinde Voigt: Now (Berlin: Walther König, 2015)
- David Nolan (ed): Jorinde Voigt – Codification of Intimacy, Works on Niklas Luhmann, Liebe als Passion, Text: Lisa Sintermann, Jorinde Voigt, Revolver Publishing, 2014
- Jorinde Voigt (eds): Jorinde Voigt – Views on Views on Decameron. Text : Peter Lang, Cura Books, 2013
- Kai 10 / Raum fur Kunst, Arthena Foundation (ed): Drawing a Universe. Text: Ludwig Seyfarth, Lisa Sintermann, Kerber Verlag, 2013
- David Nolan (ed): Jorinde Voigt – Piece for Words and Views. Text: John Yau, Jorinde Voigt, Hatje Cantz, 2012
- Museum van Bommel van Dam (ed): Nachtliches Konzert – Gregor Hildebrandt und Jorinde Voigt. Text: Niklas Maak, 2012
- Neues Museum Nurnberg (eds): Internationaler Faber-Castell Preis fur Zeichnung 2012 [International Faber-Castell Prize for Drawing 2012]. Text: Lisa Sintermann 2012
- Julia Kluser: Jorinde Voigt – Nexus. Text: Andreas Schalhorn, Lisa Sintermann, Von der Heydt Museum Wuppertal, Hatje Cantz, 2011
- Regina Gallery: Jorinde Voigt – 1000 Views. Text: Lisa Sintermann, Jorinde Voigt, 2011
- Lisa Sintermann, Die Vermessung des Unsichtbaren – Notationsverfahren in den konzeptuellen Zeichnungen von Jorinde Voigt [Measuring the Invisible -notation method in Jorinde Voigt's conceptual drawings], University of Hildesheim, 2010
- Jochen Kienbaum (ed): Jorinde Voigt – Botanic Code, Kienbaum Artists' Books 2011, Snoeck Verlagsgesellschaft, 2010
- Jorinde Voigt, Clemens Fahnemann (ed): Jorinde Voigt – ReWrite. Text: Andrew Cannon, KraskaEckstein Verlag, 2008
- Elke Guhn, Nassauischer Kunstverein Wiesbaden (ed): Jorinde Voigt – DUAL. Text: Clemens crumbs, Kerber Verlag, 2008
- Holger Peter Saupe (ed): JORINDE VOIGT – Otto Dix Prize 2008 laureate, Gera Art Collection 2008
참조
[1]
웹사이트
LVH Art in Conversation with Cellist-turned-Artist Jorinde Voigt
https://www.lvhart.c[...]
2023-05-19
[2]
웹사이트
Jorinde Voigt - Artists - Sicardi {{!}} Ayers {{!}} Bacino {{!}} Art Gallery
https://www.sicardi.[...]
2023-05-19
[3]
서적
Jorinde Voigt: Now
Buchhandlung Walther König
[4]
서적
Jorinde Voigt: Now
Buchhandlung Walther König
[5]
뉴스
Artist of the Week 185: Jorinde Voigt
https://www.theguard[...]
2012-04-12
[6]
웹사이트
Jorinde Voigt, STAAT/RANDOM 1-11
https://www.kunstmus[...]
[7]
서적
Jorinde Voigt: Now
Buchhandlung Walther König
[8]
서적
Jorinde Voigt: Now
[9]
서적
Jorinde Voigt: Now
Buchhandlung Walther König
[10]
서적
Immersion
Hatje Cantz
[11]
서적
Jorinde Voigt: Now
Buchhandlung Walther König
[12]
서적
Jorinde Voigt: Now
Buchhandlung Walther König
[13]
서적
Jorinde Voigt: Now
Buchhandlung Walther König
[14]
서적
KAI 10 {{!}} Raum für Kunst, Arthena Foundation, Düsseldorf (Ed): Drawing a Universe
Kerber Verlag
[15]
서적
Jorinde Voigt: Piece for Words and View
Hatje Cantz
[16]
서적
Jorinde Voigt: Piece for Words and View
Hatje Cantz
[17]
웹사이트
Piece for Words and Views
http://www.thegundga[...]
[18]
서적
Immersion
Hatje Cantz
[19]
서적
Immersion
Hatje Cantz
[20]
웹사이트
Place of Origin
https://theforumist.[...]
[21]
문서
As Voigt explains in a video interview, “I use a structure developed around a certain topic to find a form that can say something about the topic.”
[22]
웹인용
Jorinde Voigt "Salt, Sugar, Sex" at Lisson Gallery, Milan
http://moussemagazin[...]
2020-09-30
[23]
서적
Jorinde Voigt: Now
Buchhandlung Walther König
[24]
서적
Jorinde Voigt: Now
Buchhandlung Walther König
[25]
뉴스
Artist of the Week 185: Jorinde Voigt
https://www.theguard[...]
2012-04-12
[26]
웹인용
Jorinde Voigt, STAAT/RANDOM 1-11
https://www.kunstmus[...]
[27]
서적
Jorinde Voigt: Now
Buchhandlung Walther König
[28]
서적
Jorinde Voigt: Now
[29]
서적
Jorinde Voigt: Now
Buchhandlung Walther König
[30]
서적
Immersion
Hatje Cantz
[31]
서적
Jorinde Voigt: Now
Buchhandlung Walther König
[32]
서적
Jorinde Voigt: Now
Buchhandlung Walther König
[33]
서적
Jorinde Voigt: Now
Buchhandlung Walther König
[34]
서적
KAI 10 {{!}} Raum für Kunst, Arthena Foundation, Düsseldorf (Ed): Drawing a Universe
Kerber Verlag
[35]
서적
Jorinde Voigt: Piece for Words and View
Hatje Cantz
[36]
서적
Jorinde Voigt: Piece for Words and View
Hatje Cantz
[37]
웹인용
Piece for Words and Views
http://www.thegundga[...]
[38]
서적
Immersion
Hatje Cantz
[39]
서적
Immersion
Hatje Cantz
[40]
웹인용
Place of Origin
https://theforumi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