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글리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글리치는 러시아 야로슬라블주에 위치한 도시로, 1148년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볼가강의 굽이진 부분에 자리 잡고 있다. 1218년부터 1328년까지 우글리치 공국의 수도였으며, 1462년 모스크바 대공 이반 3세는 이 도시를 동생 안드레이 볼쇼이에게 주었다. 1591년, 이반 뇌제의 아들 드미트리 이바노비치가 의문의 죽음을 맞이하면서 '대혼란' 시대를 겪었고, 이후 로마노프 왕조는 그를 성인으로 추대하고 순례지로 만들었다. 주요 건축물로는 크렘린, 알렉세예프스키 수도원, 부활 수도원, 피 위에 성 데메트리오스 교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로슬라블주의 도시 - 로스토프
로스토프는 러시아 야로슬라블주에 위치한 도시로, 바이킹 무역 거점 및 볼가 무역로를 지키는 요새였으며, 10세기에 블라디미르-수즈달의 수도였고, 현재는 에나멜 제조로 유명하다. - 야로슬라블주의 도시 - 다닐로프
다닐로프는 러시아 야로슬라블주 다닐로프스키군의 행정 중심지이자 1777년에 도시 지위를 얻은 도시이며, M8 고속도로와 주요 기차역이 위치하고 치즈 생산 등의 산업이 발달했다. - 황금고리 - 야로슬라블
야로슬라블은 11세기 초 야로슬라프 1세가 건설한 러시아 야로슬라블 주의 주도로, 볼가 강과 코토로슬 강 합류 지점에 위치하며, 중세 무역 중심지이자 17세기 교회 건축으로 유명하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적 도시이자 현재 러시아 북서부의 산업 및 문화 중심지이다. - 황금고리 - 코스트로마
코스트로마는 러시아 코스트로마 주의 주도로, 볼가 강과 코스트로마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며, 역사적 건축물과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 도시 계획이 특징이고, 2022년 화재 사고 이후 약 26만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 러시아의 행정 구역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행정 구역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프리모르스키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부에 위치하며 동해에 면하고 중국, 북한과 국경을 접하며, 주도는 블라디보스토크이고, 온대 습윤 기후와 다양한 동식물상을 보이며, 수산업, 기계 제작, 광업 등이 발달하고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과 교류한다.
우글리치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유럽 러시아 |
좌표 | 57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이름 | У́глич |
로마자 표기 | Uglich |
위치 | 야로슬라블 주 |
행정 구역 |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 우글리치 |
행정 중심지 | 우글리치스키 군 |
도시 범주 | 도시 |
자치구 | 우글리치스키 자치구 |
도시 정착지 | 우글리치 도시 정착지 |
시장 | 엘레아노라 셰레메티예바 |
대표 기관 | 시의회 |
면적 | 26.6 km² |
인구 (2010년) | 34,507명 |
설립일 | 937년 또는 1148년 |
우편 번호 | 152610 |
지역 번호 | 48532 |
웹사이트 | 우글리치 공식 웹사이트 |
인구 통계 | |
2021년 인구 | 31,452명 |
2010년 인구 조사 | 34,507명 |
2002년 인구 조사 | 38,260명 |
1989년 인구 조사 | 39,975명 |
2. 역사
지방의 전승에 따르면 마을의 기원은 937년이지만, 문헌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1148년으로, "우글리체 폴레"(각진 들판)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지명의 유래는 볼가강이 크게 굽어지는 모서리에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1218년부터 1328년까지 우글리치는 작은 공국(우글리치 공국)의 수도였지만, 1328년에 우글리치 공은 영지 등을 모스크바 대공국에 팔았다. 모스크바 대공국의 북쪽 경계에 있던 우글리치는 리투아니아, 타타르족, 트베리 대공국 등의 군대에 자주 습격당하고 불탔다.
루스의 여러 공국을 병합하고 리투아니아와 타타르를 격파한 모스크바 대공 이반 3세는 1462년에 우글리치를 동생인 안드레이 볼쇼이에게 주었다. 안드레이 공의 통치 하에 우글리치는 커졌고, 처음으로 석조 건물이 건설되었다. 그 중에서도 유명한 것은 대성당(1713년에 재건), 생신녀 보호 (포크로프스키) 수도원 (소련 시대에 해체), 붉은 벽돌의 공의 궁전(1481년에 완성되어 현존) 등이 있다.
이반 4세 (이반 뇌제)는 우글리치를 단 한 명의 동생인 유리(1532년 - 1563년)에게 주었다. 이반 뇌제의 카잔 칸국 정복 시에, 우글리치 시민들은 카잔 마을을 공격하기 위해 목조 요새의 부재를 만들어, 흩어진 부재를 볼가강 하류에 있는 카잔으로 수송했다. 16세기에는 우글리치는 정치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마을로서 번성했지만, 이를 정점으로 마을의 운명은 내리막길로 향한다.
이반 4세가 죽은 후, 1584년에 가장 어린 아들인 드미트리 이바노비치는 우글리치로 유배되었다. 그러나 1591년5월 15일, 8세 6개월이었던 드미트리는 우글리치 공의 궁전 뜰에서 목이 베인 채 죽은 채로 발견되었다. 드미트리는 당시 차르・표도르 1세의 25살 아래의 이복 동생으로 차르 후계자의 가장 유력한 후보였다. 슈이스키에 의한 공식 조사에서는 그 사망 원인이 사고사로 단정되었다. 그러나, 표도르 1세의 섭정 보리스 고두노프가 차르 자리를 노리고 살해했다는 소문이 퍼졌다. 또한, 드미트리의 죽음을 알린 대성당의 종은, 종소리로 폭동이 일어났기 때문에, "혀(울리는 부분)"와 "귀(치는 부분)"를 잘라 12번의 채찍형을 가한 후에 시베리아로 "유죄"가 되었다[9]。
드미트리는 류리크 왕조의 유일한 후계자였기 때문에, 그 죽음과 왕가 단절은 러시아의 궁정과 내정에 큰 혼란을 가져왔다. 이 "대혼란"의 시대, 사람들은 드미트리가 살아있다고 믿고, 돌연 나타난 드미트리를 자칭하는 자들(가짜 드미트리 1세, 가짜 드미트리 2세, 가짜 드미트리 3세, 가짜 드미트리 4세)을 지원하여 대공의 자리에 앉히려고 했다. 대혼란에 개입한 폴란드 군은 우글리치의 알렉세옙스키 수도원과 우레이마 수도원을 제압하고, 안에 숨어 있던 사람들을 살육하고 불을 질렀다.
대혼란 후기에 성립한 로마노프 왕조의 차르는 먼저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황태자 드미트리를 성인의 반열에 올리고, 우글리치를 순례지로 만들었다. 드미트리가 죽은 장소에는, 1690년, 시가 작은 "피 위에 성 데메트리오스 교회"를 지었다. 붉은 벽돌 벽에 푸른 돔의 교회는, 볼가강을 북쪽으로 내려가는 배에서 지금도 잘 보인다. 황태자가 살았던 궁전은 박물관이 되었고, 손에 칼을 든 황태자의 상은 시의 문장에도 새겨져 있다.
18세기 전반, 마을의 크렘린에 있던 성당과 종루는 철거되어 다시 지어졌다. 18세기에는 스몰렌스카야 성당, 코르순스카야 성당, 카잔스카야 성당, 보고야프렌스카야 성당 등이 건설되었다. 19세기에 지어진 건축물에서는, 1853년에 봉헌된 주의 세례 여자 수도원의 웅장한 성당이 중요한 것이다.
소련 시대에는 우글리치의 보석 가공 공장으로 시작하여 보석 시계 회사가 된 차이카의 공장이 유명했지만, 현재는 우글리치 공장이 폐쇄되었다. 또한 스탈린 시대에는, 볼가강의 우글리치 바로 상류에 댐을 쌓아 우글리치 수력 발전소가 건설되었고, 우글리치의 교외는 수몰되었다.
2. 1. 초기 역사와 우글리치 공국
우글리치는 1148년 '우글리체 폴레'(구석진 밭)로 처음 기록되었다.[4] 도시 이름은 볼가강의 굽이진 부분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4] 1218년부터 1328년까지 우글리치는 우글리치 공국의 수도였으나, 1328년 우글리치 공은 영지 등을 모스크바 대공국에 팔았다.[4] 모스크바 대공국의 북쪽 경계에 있던 우글리치는 리투아니아, 타타르족, 트베리 대공국 등의 군대에 자주 습격당하고 불탔다.이반 3세는 1462년에 이 도시를 그의 동생 안드레이 볼쇼이에게 주었다. 안드레이의 통치 기간 동안 도시가 확장되었고, 최초의 석조 건물이 건설되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성당(1713년에 재건), 생신녀 보호 (포크로프스키) 수도원 (소련 시대에 해체), 붉은 벽돌로 지어진 공작 궁전(1481년에 완공되었으며 현재까지 남아 있음)이었다.
2. 2. 이반 3세와 안드레이 볼쇼이 시대
1462년, 모스크바 대공 이반 3세는 우글리치를 그의 동생인 안드레이 볼쇼이에게 주었다. 안드레이 공의 통치 하에 우글리치는 커졌고, 처음으로 석조 건물이 건설되었다. 그 중에서도 유명한 것은 대성당(1713년에 재건), 생신녀 보호 (포크로프스키) 수도원 (소련 시대에 해체), 붉은 벽돌의 공의 궁전(1481년에 완성되어 현존) 등이 있다.2. 3. 이반 뇌제 시대와 카잔 포위전
이반 뇌제의 통치 기간 동안, 우글리치는 그의 유일한 형제인 유리에게 넘어갔다. 현지 주민들은 차르가 카잔을 함락하는 것을 도왔는데, 이는 스비야시스크의 나무 요새를 건설하여 볼가강을 통해 카잔까지 운송했기 때문이다. 16세기 내내 우글리치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번영했지만, 그 이후 운세는 쇠퇴하기 시작했다.2. 4. 드미트리 이바노비치 사망 사건과 혼란의 시대
이반 4세 사후, 그의 막내 아들 드미트리 이바노비치는 1584년 우글리치로 유배되었다.[5] 1591년 5월 15일, 드미트리는 궁정 안뜰에서 목이 잘린 채 발견되었다.[5] 공식 수사관들은 사고사로 결론지었으나, 차르의 최고 고문인 보리스 고두노프가 드미트리를 살해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5][9] 드미트리의 죽음을 알린 대성당 종은 "혀"를 잘리고 시베리아로 "유배"되었다.[5]드미트리는 고대 류리크 왕조의 마지막 후손이었기에, 그의 죽음은 혼란의 시대로 알려진 왕조적, 정치적 위기를 초래했다.[5] 사람들은 드미트리가 살아있다고 믿었고, 여러 가짜 드미트리들이 나타나 모스크바 왕위를 차지하려 했다. 혼란의 시대 동안, 폴란드인들은 알렉세예프스키와 울레이마 수도원을 포위하여 불태우고 안에 피신한 사람들을 살해했다.
로마노프 왕조는 드미트리를 성인으로 지정하고 우글리치를 순례지로 만들었다. 드미트리가 살해된 장소에는 1690년 피 위에 성 데메트리오스 교회가 세워졌다.[9] 붉은 벽과 푸른 돔은 볼가강을 따라 북쪽으로 가는 여행객들에게 보인다. 왕자가 살았던 궁전은 박물관이 되었고, 칼을 든 체사레비치의 모습은 도시의 문장으로 채택되었다.
2. 5. 로마노프 왕조와 순례지
로마노프 왕조는 대혼란 후기에 황태자 드미트리를 성인으로 지정하고, 우글리치를 순례지로 지정했다.[9] 1690년에는 드미트리가 살해된 것으로 추정되는 자리에 피 위에 성 데메트리오스 교회가 건설되었다.[9] 붉은 벽돌 벽에 푸른 돔의 교회는 볼가강을 북쪽으로 내려가는 배에서 지금도 잘 보인다. 황태자가 살았던 궁전은 박물관이 되었고, 손에 칼을 든 황태자의 상은 시의 문장에 새겨져 있다.2. 6. 18세기 이후의 발전
18세기 초, 크렘린 대성당과 종탑이 철거되고 재건되었다.[9] 18세기에는 스몰렌스카야 교회, 코르순스카야 교회, 카잔스카야 교회, 보고야블렌스카야 교회가 건설되었다.[9] 19세기의 가장 중요한 건물은 1853년에 봉헌된 주현절 수도원 대성당이다.[9]2. 7. 소련 시대와 현대
소련 시대에는 차이카 시계 공장이 운영되었으나 현재는 문을 닫았다.[9] 수력 발전소는 스탈린 시대에 볼가강의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그러나 댐과 우글리치 저수지의 개발로 인해 도시 외곽에 심각한 홍수가 발생했다.[9] 2008년 11월에는 넥상스 케이블 공장이 문을 열었다.[9]3. 행정 구역 및 자매 도시
wikitext
행정 구역상 우글리치는 야로슬라블주에 속하며, 우글리치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6] 우글리치는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로 별도로 통합되어 있으며, 이는 야로슬라블주의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다.[6] 지방 자치체로서 우글리치시는 우글리치스키 지방 자치구 내에 우글리치 도시 정착지로 통합되어 있다.[7]
이토슈타인(독일 헤센주)
케우루(핀란드 중앙수오미 지역)
3. 1. 행정 구역
행정 구역상 우글리치는 야로슬라블주에 속하며, 우글리치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6] 우글리치는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로 별도로 통합되어 있으며, 이는 야로슬라블주의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다.[6] 지방 자치체로서 우글리치시는 우글리치스키 지방 자치구 내에 우글리치 도시 정착지로 통합되어 있다.[7]3. 2. 자매 도시
케우루(핀란드 중앙수오미 지역)
4. 주요 건축물 및 유적지
우글리치 중심부의 볼거리는 요새이자 구세주 변모 대성당 등이 있는 크렘린이다. 크렘린 외에도, 시내 중심가에는 역사적인 러시아 건축의 다른 예들이 있다. 특히 유명한 것은 알렉세옙스키 수도원과 주의 부활(보스크레센스키) 수도원이다.
알렉세옙스키 수도원의 성모 승천 대성당은 1628년에 건축되었으며 세 개의 첨탑이 있고, 중세 러시아 건축의 걸작이다. 일반 사람들은 이 교회를 "놀라운" 교회라고 불렀고, 그 수식어가 공식 명칭의 일부가 되었다. 또한 인근에는 좀 더 평범한 러시아 건축인 세례자 요한 성당(1681년)도 있다.
볼가 강변 근처에는 주의 부활 수도원의 큰 성당, 식당, 종탑, 여름 성당 등이 보인다. 이 건물들은 1674년부터 1677년 사이에 지어졌다. 수도원 반대편에는 세례자 요한 탄생 성당이 있다. 1689년부터 1690년 사이에 지어진 이 성당은, 한 상인이 아들이 익사한 장소를 기념하여 건립했다. 그 외에도 교외에는 17세기에 재건된 우레마 수도원 등 훌륭한 건축물이 많이 있다.
4. 1. 크렘린
우글리치 중심부의 볼거리는 요새이자 구세주 변모 대성당 등이 있는 크렘린이다. 크렘린 외에도, 시내 중심가에는 역사적인 러시아 건축의 다른 예들이 있다.4. 2. 알렉세예프스키 수도원
알렉세예프스키 수도원의 성모승천 삼각 지붕 교회(1628년)는 러시아 중세 건축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일반 사람들은 이 교회를 "놀라운" 교회라고 불렀고, 그 수식어가 공식 명칭의 일부가 되었다. 근처에는 세례자 요한 교회(1681년)가 인접해 있다.4. 3. 부활 수도원
볼가 강둑에 더 가까이 있는 부활 수도원에는 거대한 대성당, 식당, 종탑, 여름 교회가 있다. 이 건물들은 모두 일렬로 서 있으며 1674년부터 1677년 사이에 지어졌다. 수도원 맞은편에는 세례자 요한 탄생 교회(1689-90)가 있다. 이 교회는 아들이 익사한 곳을 기념하기 위해 지역 상인이 지었다.4. 4. 피 위에 성 데메트리오스 교회
피 위에 성 데메트리오스 교회는 1690년에 드미트리 이바노비치가 사망한 장소에 세워졌다. 붉은 벽과 푸른 돔이 특징이다.
4. 5. 세례자 요한 탄생 교회
세례자 요한 탄생 교회(1689-90)는 아들이 익사한 곳을 기념하기 위해 지역 상인이 건립하였다. 수도원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다.4. 6. 우레이마 수도원
우글리치 인근 지역에는 17세기에 재건된 유서 깊은 우레이마 수도원을 비롯한 훌륭한 건축물이 많이 있다.5. 주목할 만한 인물
비탈리 라조르킨(1945–2021)은 우크라이나 군인이자 과학자, 공공 인사로, 우크라이나군 대령이었다. 알렉산드르 오파린(1894–1980)은 《생명의 기원》 저자로 유명한 생화학자로 우글리치에서 태어났다.
참조
[1]
웹사이트
Муниципальный Совет
http://www.gorodugli[...]
[2]
간행물
Ярославская область в цифрах 2012. Краткий статистический сборник. г. Ярославль 2012 год
http://yar.gks.ru/wp[...]
РОССТАТ Территориальный орган Федеральной службы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по Ярославской области
[3]
문서
ru-pop-ref
[4]
웹사이트
Resurrection Monastery in Uglich: Architectural jewel in chaotic times
https://www.rbth.com[...]
Russia Beyond the Headlines
2019-07-12
[5]
서적
Siberia and the Exile System
James R. Osgood, McIlvaine & Co.
1891
[6]
문서
Law #12-z
[7]
문서
Law #65-z
[8]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5-02
[9]
웹사이트
人間扱いされたロシアの鐘:投獄、処刑されることも
https://jp.rbth.com/[...]
2021-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