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가 (유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가(元嘉)는 유송(劉宋) 문제(文帝) 유의륭이 424년 8월에 즉위하면서 사용한 연호로, 453년까지 사용되었다. 이 시기 원가력(元嘉曆)이 시행되었고, 단화지가 림읍을 평정하는 등의 사건이 있었다. 453년에는 황태자 유소가 문제를 시해하고 태초로 개원했으나, 유준이 난을 평정하고 효무제로 즉위하면서 유소를 처형하고 원가 연호로 회귀했다. 원가 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왜 등 주변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백제는 유송에 조공하고 고구려는 유송과 북위에 모두 사신을 보내는 실리 외교를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송의 연호 - 영광 (유송)
    유송 명제가 사용한 연호 영광은 465년 2월부터 9월까지 사용되었으며, 당시 북위의 화평 6년에 해당한다.
  • 유송의 연호 - 경화 (연호)
    경화는 465년 유송 명제가 영광에서 개원한 연호로, 을사년에 시작되어 같은 해 명제가 전 폐제를 살해하고 태시로 개원하면서 4개월 남짓 사용되었다.
원가 (유송)
기본 정보
연호원가(元嘉)
사용 기간424년 ~ 453년
국가
군주송 문제
원가
송 문제 시기에 위치한 원가

2. 연대기

424년 8월, 유의륭이 즉위하고 원가(元嘉)로 개원하였다. 445년 정월 초하루에는 원가력(元嘉曆)을 시행하였다. 446년 5월에는 단화지가 림읍을 평정하였다.

453년 2월, 황태자 유소가 문제(文帝)를 시해하고 즉위하여 태초(太初)로 개원하였다. 같은 해 4월, 무릉왕 유준이 난을 평정하고 황제에 즉위하면서(효무제) 유소를 처형하고 원가(元嘉)로 연호를 되돌렸다.

원가 연간에 사용된 연호는 다음과 같다.

원가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력424년425년426년427년428년429년430년431년432년433년
육십간지
(六十干支)
갑자(甲子)을축(乙丑)병인(丙寅)정묘(丁卯)무진(戊辰)기사(己巳)경오(庚午)신미(辛未)임신(壬申)계유(癸酉)
서진
(西秦)
건홍(建弘)
5년

6년

7년

8년
9년
영홍(永弘)
원년

2년

3년

4년
--
북량
(北凉)
현시(玄始)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승현(承玄)
원년

2년

3년
4년
의화(義和)
원년

2년
3년
영화(永和)
원년

(夏)
진흥(眞興)
6년
7년
승광(承光)
원년

2년

3년
4년
승광(勝光)
원년

2년

3년

4년
--
북연
(北燕)
태평(太平)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태흥(太興)
원년

2년

3년
북위
(北魏)
시광(始光)
원년

2년

3년

4년
5년
신가(神麚)
원년

2년

3년

4년
연화(延和)
원년

2년
원가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서력434년435년436년437년438년439년440년441년442년443년
육십간지
(六十干支)
갑술(甲戌)을해(乙亥)병자(丙子)정축(丁丑)무인(戊寅)기묘(己卯)경진(庚辰)신사(辛巳)임오(壬午)계미(癸未)
북량
(北凉)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승평(承平)
원년[2]
북연
(北燕)

4년

5년

6년
-------
북위
(北魏)

3년
4년
태연(太延)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태평진군
(太平眞君)
원년

2년

3년

4년
원가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30년
서력444년445년446년447년448년449년450년451년452년453년
육십간지
(六十干支)
갑신(甲申)을유(乙酉)병술(丙戌)정해(丁亥)무자(戊子)기축(己丑)경인(庚寅)신묘(辛卯)임진(壬辰)계사(癸巳)
북위
(北魏)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11년
12년
정평(正平)
원년
2년
승평(承平)
원년
흥안(興安)
원년

2년
고창북량
(高昌北凉)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11년


2. 1. 원가 연호 사용 (424년 ~ 453년)

424년 8월, 유의륭이 즉위하고 원가(元嘉)로 개원하였다. 445년 정월 초하루에는 원가력(元嘉曆)을 시행하였다. 446년 5월에는 단화지가 림읍을 평정하였다.

453년 2월, 황태자 유소가 문제(文帝)를 시해하고 즉위하여 태초(太初)로 개원하였다. 같은 해 4월, 무릉왕 유준이 난을 평정하고 황제에 즉위하면서(효무제) 유소를 처형하고 원가(元嘉)로 연호를 되돌렸다.

원가 연간에 사용된 연호는 다음과 같다.

원가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력424년425년426년427년428년429년430년431년432년433년
육십간지
(六十干支)
갑자(甲子)을축(乙丑)병인(丙寅)정묘(丁卯)무진(戊辰)기사(己巳)경오(庚午)신미(辛未)임신(壬申)계유(癸酉)
서진
(西秦)
건홍(建弘)
5년

6년

7년

8년
9년
영홍(永弘)
원년

2년

3년

4년
--
북량
(北凉)
현시(玄始)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승현(承玄)
원년

2년

3년
4년
의화(義和)
원년

2년
3년
영화(永和)
원년

(夏)
진흥(眞興)
6년
7년
승광(承光)
원년

2년

3년
4년
승광(勝光)
원년

2년

3년

4년
--
북연
(北燕)
태평(太平)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태흥(太興)
원년

2년

3년
북위
(北魏)
시광(始光)
원년

2년

3년

4년
5년
신가(神麚)
원년

2년

3년

4년
연화(延和)
원년

2년
원가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서력434년435년436년437년438년439년440년441년442년443년
육십간지
(六十干支)
갑술(甲戌)을해(乙亥)병자(丙子)정축(丁丑)무인(戊寅)기묘(己卯)경진(庚辰)신사(辛巳)임오(壬午)계미(癸未)
북량
(北凉)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승평(承平)
원년[2]
북연
(北燕)

4년

5년

6년
-------
북위
(北魏)

3년
4년
태연(太延)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태평진군
(太平眞君)
원년

2년

3년

4년
원가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30년
서력444년445년446년447년448년449년450년451년452년453년
육십간지
(六十干支)
갑신(甲申)을유(乙酉)병술(丙戌)정해(丁亥)무자(戊子)기축(己丑)경인(庚寅)신묘(辛卯)임진(壬辰)계사(癸巳)
북위
(北魏)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11년
12년
정평(正平)
원년
2년
승평(承平)
원년
흥안(興安)
원년

2년
고창북량
(高昌北凉)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11년


2. 2. 동시대 다른 국가들의 연호

(六十干支)갑자(甲子)을축(乙丑)병인(丙寅)정묘(丁卯)무진(戊辰)기사(己巳)경오(庚午)신미(辛未)임신(壬申)계유(癸酉)서진
(西秦)건홍(建弘)
5년
6년
7년
8년9년
영홍(永弘)
원년
2년
3년
4년--북량
(北凉)현시(玄始)
13년
14년
15년
16년17년
승현(承玄)
원년
2년
3년4년
의화(義和)
원년
2년3년
영화(永和)
원년
(夏)진흥(眞興)
6년7년
승광(承光)
원년
2년
3년4년
승광(勝光)
원년
2년
3년
4년--북연
(北燕)태평(太平)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태흥(太興)
원년
2년
3년북위
(北魏)시광(始光)
원년
2년
3년
4년5년
신가(神麚)
원년
2년
3년
4년연화(延和)
원년
2년원가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서력434년435년436년437년438년439년440년441년442년443년육십간지
(六十干支)갑술(甲戌)을해(乙亥)병자(丙子)정축(丁丑)무인(戊寅)기묘(己卯)경진(庚辰)신사(辛巳)임오(壬午)계미(癸未)북량
(北凉)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승평(承平)
원년[2]북연
(北燕)
4년
5년
6년-------북위
(北魏)
3년4년
태연(太延)
원년
2년
3년
4년
5년6년
태평진군
(太平眞君)
원년
2년
3년
4년원가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30년서력444년445년446년447년448년449년450년451년452년453년육십간지
(六十干支)갑신(甲申)을유(乙酉)병술(丙戌)정해(丁亥)무자(戊子)기축(己丑)경인(庚寅)신묘(辛卯)임진(壬辰)계사(癸巳)북위
(北魏)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11년12년
정평(正平)
원년2년
승평(承平)
원년
흥안(興安)
원년
2년고창북량
(高昌北凉)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11년


2. 2. 1. 424년 ~ 433년

424년에서 433년까지 유송의 연호는 원가(元嘉)였다. 같은 시기, 여러 국가들이 각자의 연호를 사용했다.

나라연호기간
서진건홍(建弘) (420년 ~ 428년), 영홍(永弘) (428년 ~ 431년)
북량현시(玄始) (412년 ~ 428년), 승현(承玄) (428년 ~ 431년), 의화(義和) (431년 ~ 433년), 영화(永和) (433년 ~ 439년)
진흥(眞興) (419년 ~ 425년), 승광(承光) (425년 ~ 431년)
북연태평(太平) (409년 ~ 430년), 태흥(太興) (431년 ~ 436년)
북위시광(始光) (424년 ~ 428년), 신가(神麚) (428년 ~ 431년), 연화(延和) (432년 ~ 435년)



이 시기 서진, 는 431년에 멸망하였고, 북연은 436년에 멸망하였다. 북량은 비교적 늦은 439년까지 존속하였다.

2. 2. 2. 434년 ~ 443년

434년에서 443년까지 북량에서는 영화(433년 ~ 439년), 승평(443년 ~ 460년)의 연호를 사용했다.[2] 북연에서는 태흥(431년 ~ 436년)의 연호를 사용했다. 같은 시기 북위에서는 연화(432년 ~ 435년), 태연(435년 ~ 440년), 태평진군(440년 ~ 451년)의 연호를 사용했다.

2. 2. 3. 444년 ~ 453년

444년 북위태평진군 5년, 고창북량은 승평 2년이었다.[2]

445년 북위는 태평진군 6년, 고창북량은 승평 3년이었다.

446년 북위는 태평진군 7년, 고창북량은 승평 4년이었다.

447년 북위는 태평진군 8년, 고창북량은 승평 5년이었다.

448년 북위는 태평진군 9년, 고창북량은 승평 6년이었다.

449년 북위는 태평진군 10년, 고창북량은 승평 7년이었다.

450년 북위는 태평진군 11년, 고창북량은 승평 8년이었다.

451년 북위는 태평진군 12년, 정평 원년, 고창북량은 승평 9년이었다.

452년 북위는 정평 2년, 승평 원년, 흥안 원년, 고창북량은 승평 10년이었다.

453년 북위는 흥안 2년, 고창북량은 승평 11년이었다.

3. 원가 시대의 주요 사건

원년 8월, 유의륭이 즉위하고, 원가를 개원하였다. 22년 정월 초하루에는 원가력을 시행하였다. 23년 5월에는 단화지가 림읍을 평정하였다. 30년 2월, 황태자 유소가 문제(文帝)를 살해하고 즉위하여 태초로 개원하였으나, 4월에 무릉왕 유준이 난을 평정하고 황제에 즉위하면서(효무제) 유소는 옥사하고 원가로 연호가 되돌아갔다.

3. 1. 정치

원년 8월, 유의륭이 즉위하고, 원가를 개원하였다. 22년 정월 초하루에는 원가력을 시행하였다. 23년 5월에는 단화지가 림읍을 평정하였다. 30년 2월, 황태자 유소가 문제(文帝)를 살해하고 즉위하여 태초로 개원하였으나, 4월에 무릉왕 유준이 난을 평정하고 황제에 즉위하면서(효무제) 유소는 옥사하고 원가로 연호가 되돌아갔다.

3. 2. 사회

3. 3. 외교

3. 3. 1. 백제와의 관계

백제는 원가 시대에 유송에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였다. 비유왕은 430년(원가 7년)에 사신을 보내 표문을 올리고, 434년(원가 11년)에 흰 꿩을 바쳤다. 개로왕은 450년(원가 27년)에 위나라에 사신을 보낸 기록이 있다.

3. 3. 2. 고구려와의 관계

424년, 고구려 장수왕은 남조의 송과 북조의 북위가 대립하는 틈을 이용하여, 양국에 모두 사신을 보내 조공하는 실리 외교를 펼쳤다. 435년 송 문제 (유의륭)는 장수왕을 '도독영주제군사 정동대장군 고구려왕 낙랑공(都督營州諸軍事 征東大將軍 高句麗王 樂浪公)'으로 책봉하였다.

3. 3. 3. 왜와의 관계

왜왕 찬(讚)이 유송에 조공하고, 송나라로부터 안동장군 왜국왕(安東將軍 倭國王)에 봉해졌다.

참조

[1] 역사 갑자년(甲子年) 8월 정유일(丁酉日)
[2] 역사 저거무휘(沮渠無諱)가 고창(高昌)에서 자립하여 세운 왕조에서 사용한 연호. 고창북량이라고 부르며, 북량의 후계 국가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