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상 끈 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상 끈 이론은 2차원 초등각 장론을 기반으로 하며, 로렌츠 대칭을 위상적으로 뒤틀어 A-모형과 B-모형을 생성한다. A-모형은 켈러 형식에 의존하고 켈러 중력 및 천-사이먼스 이론과 관련되며, B-모형은 복소 구조에 의존하고 고다이라-스펜서 중력과 관련된다. 이 두 모형은 거울 대칭으로 연결되며, 고파쿠마르-바파 쌍대성, 결정 융해 모형과의 쌍대성, 기하학적 변환, 정칙 이상 현상, 그리고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계산에 활용된다. 위상 끈 이론은 에드워드 위튼에 의해 1988년에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끈 이론 - 중력자
    중력자는 중력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가상의 기본 입자로 여겨지지만, 양자화된 일반 상대성 이론의 문제로 인해 완전한 이론이 확립되지 않았으며, 중력파의 존재가 간접적으로 뒷받침하지만 직접적인 검출은 현재 불가능하고 질량에 대한 상한선이 제시되고 있으며 초대칭 파트너인 그라비티노의 존재가 예측된다.
  • 끈 이론 - 잡종 끈 이론
    잡종 끈 이론은 닫힌 끈의 왼쪽 진동 모드는 보손 끈, 오른쪽 진동 모드는 초끈으로 전개하며, 10차원 시공간에서 E8×E8 또는 SO(32) 게이지 군을 갖는 끈 이론이다.
위상 끈 이론
개요
유형끈 이론
분야이론 물리학
상세 정보
관련 개념거울 대칭

2. 전개

위상 끈 이론은 1988년 에드워드 위튼이 고안한 "위상 꼬임"이라는 과정을 통해 일반적인 끈 이론의 시그마 모형을 변형하여 만들어진다.[1] 이 이론은 R-대칭으로 알려진 두 개의 U(1) 대칭을 가지는데, 로렌츠 대칭을 회전 대칭성과 R-대칭성을 조합하여 수정할 수 있다. 이 두 R-대칭 중 하나를 사용하여 위상 꼬임을 가하면, A-모형과 B-모형이라는 두 가지 다른 이론을 얻을 수 있다.

세계면 이론이 등각 대칭을 갖지 않으면 U(1)A 대칭은 깨져서 A-모형만 정의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과녁 공간이 켈러 다양체시그마 모형의 경우, 오직 A-모형만이 존재한다. 반대로 과녁 공간이 \mathbb R^n이고 초퍼텐셜을 가진 란다우-긴즈부르크 모형의 경우, 초퍼텐셜 형태에 따라 U(1)V 대칭이 깨져 B-모형만 정의될 수 있다.

양자 역학적으로 U(1) 대칭은 이상이 발생하여 꼬임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플럭스가 0인 켈러 다양체의 경우, A-모형으로 이어지는 꼬임은 항상 가능하지만, B-모형은 시공간의 첫 번째 천 클래스가 사라질 때, 즉 시공간이 칼라비-야우 다양체일 때만 가능하다.

위상 끈 이론의 계산 결과는 일반적으로 정칙 함수를 포함하며, 그 값은 시공간 초대칭에 의해 보호되는 완전한 끈 이론 내의 모든 정칙량들을 부호화한다. 위상 끈 이론은 체른-시몬스 이론, 그로모프-위튼 불변량, 거울 대칭, 기하학적 랑글란즈 프로그램 등 여러 주제와 관련되어 있다.

위상 끈 이론의 연산자들은 일정량의 초대칭성을 보존하는 완전한 끈 이론에서의 연산자 대수를 나타낸다. 위상 끈 이론은 일반 끈 이론의 세계면 묘사를 위상 꼬임을 통해 얻어진다. 이 연산은 위상 양자장론의 구성과 유사하며, 국소적 자유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2. 1. A-모형과 B-모형의 비교

위상 끈 이론의 세계면 이론은 2차원 \mathcal N=(2,2) 초등각 장론이다. 이 경우 R대칭은 U(1)V×U(1)A인데, 이 두 성분 가운데 하나를 로런츠 대칭 SO(2)=U(1)E과 대응시켜 위상적 뒤틂(topological twist)을 가하여 위튼형 위상 양자장론을 만들 수 있다. U(1)V로 뒤틀면 '''A-모형'''(A-model영어), U(1)A로 뒤틀면 '''B-모형'''(B-model영어)을 얻는다.[2]

만약 세계면 이론이 등각 대칭을 갖지 않는다면 U(1)A 대칭은 깨지게 된다. 이 경우는 오직 A-모형만을 정의할 수 있다. 반대로, 과녁 공간이 \mathbb R^n이고 초퍼텐셜을 가진 '''란다우-긴즈부르크 모형'''(Landau–Ginzburg model영어)의 경우, 초퍼텐셜이 특수한 형태가 아니라면 U(1)V 대칭이 고전적으로 깨지게 된다. 이 경우는 오직 B-모형만을 정의할 수 있다.

A-모형과 B-모형은 거울 대칭에 의하여 서로 연관된다.

성질A-모형B-모형
뒤트는 대칭U(1)VU(1)A
과녁 공간의 조건(일반화) 켈러 다양체복소다양체
매장 사상 \Sigma\to M의 국소화 조건정칙 함수상수 함수
초대칭 D-막특수 라그랑주 부분다양체(special Lagrangian submanifold영어)정칙 부분다양체
손지기 환(chiral ring)(a,c) 환(c,c) 환
란다우-긴즈부르크 모형의 손지기 환자명함\mathbb C[\phi^1,\dots,\phi^n]/(\partial_iW) (초퍼텐셜 W를 가진 n차원 란다우-긴즈부르크 모형)[2]
시그마 모형의 손지기 환양자 코호몰로지(quantum cohomology) (벡터 공간으로서 드람 코호몰로지 H^q(M;\bigvee T^*M)와 같지만 환 연산이 다름. 큰 부피 극한에서는 드람 코호몰로지로 수렴)[2]접다발외대수 다발의 돌보 코호몰로지 H^q(M;\bigvee^pTM)[2]
정칙 변칙의 존재 여부없음있음 (BRST 불변 관측가능량이 모듈러스 공간 위에서 정칙함수가 아닐 수 있음)
관련된 범주후카야 범주(Fukaya category)연접층의 범주



위상학적 A-모델은 6차원 실수 공간의 일반화된 켈러 시공간인 대상 공간과 함께 제공된다. A-모델 닫힌 끈의 끈 장 이론은 켈러 중력으로 알려져 있으며, 마이클 버샤드스키와 블라디미르 사도프에 의해 소개되었다. N개의 D2-브레인 묶음에 대한 세계 부피 이론은 A-모델의 열린 끈의 끈 장 이론이며, 이는 U(N) 체른-시몬스 이론이다. 기본 위상 끈은 D2-브레인에서 끝날 수 있다.

B-모델은 또한 기본 끈을 포함하며, B-모델의 닫힌 끈의 끈장론은 중력의 코다이라-스펜서 이론으로 알려져 있으며, 마이클 버샤드스키, 세르지오 체코티, 오구리 히로시 및 쿰룬 바파에 의해 개발되었다. B-모델은 D(-1), D1, D3 및 D5-브레인을 가지며, 이들은 각각 정칙적인 0, 2, 4, 6-부분다양체를 감싼다. 여기서 6-부분다양체는 시공간의 연결 성분이다. D5-브레인에 대한 이론은 정칙적 체른-시몬스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3. 위상 시그마 모형

M이 콤팩트 칼라비-야우 다양체이고, \Sigma가 콤팩트 리만 곡면(=세계면)이면, M 위에 2차원 \mathcal N=(2,2) 시그마 모형을 정의할 수 있다. 이 시그마 모형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phi,\psi)\colon\Sigma\to TM매끄러운 함수이다. 여기서 TMM의 (비정칙) 접다발의 전체 공간이며, 이 경우 \psi(z,\bar z)\in T_{\phi(z,\bar z)}M이다.


이들은 손지기 초장[3]으로 표현 가능하다.

:\Phi(\theta^\pm,\bar\theta^\pm)=\phi+\psi_+\theta^++\psi_-\theta^-+\cdots

(나머지 성분들은 보조장이거나, \phi\psi의 도함수로 구성된다.)

이들은 R대칭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전하를 갖는다.[3]

U(1)V 전하U(1)A 전하스핀 h-\bar h
z00−1
\bar z00+1
\theta^+−1−1−½
\bar\theta^++1−1−½
\theta^-−1+1
\bar\theta^-+1−1
\phi000
\psi_++1+1
\bar\psi_+−1−1
\psi_-+1−1−½
\bar\psi_-−1+1−½



즉, 초장 \Phi는 로런츠 스칼라이자 모든 R대칭에 대하여 중성이다. 기호에서 윗첨자 ±는 뒤틀기 전 로런츠 스핀을 나타내며, 아랫첨자 ±는 로런츠 스핀의 반대 부호이다.

이 시그마 모형의 두 가지 위상 뒤틂은 각각 다음과 같다.[3]

뒤틂\psi_+\bar\psi_+\psi_-\bar\psi_-
뒤틀기 이전스핀 +½, \sqrt{\Omega^{1,0}\Sigma}\otimes \phi^*T^{1,0}M스핀 +½, \sqrt{\Omega^{1,0}\Sigma}\otimes\phi^*T^{0,1}M스핀 −½, \sqrt{\Omega^{0,1}\Sigma}\otimes\phi^*T^{1,0}M스핀 −½, \sqrt{\Omega^{0,1}\Sigma}\otimes\phi^*T^{1,0}M
A뒤틂 h-\bar h=h-\bar h+q_V/2스핀 +1, \Omega^{1,0}\Sigma\otimes \phi^*T^{1,0}M스핀 0, \phi^*T^{0,1}M스핀 0, \phi^*T^{1,0}M스핀 −1, \Omega^{0,1}\Sigma\otimes\phi^*T^{1,0}M
B뒤틂 h-\bar h'=h-\bar h-q_A/2스핀 +1, \Omega^{1,0}\Sigma\otimes \phi^*T^{1,0}M스핀 0, \phi^*T^{0,1}M스핀 −1, \Omega^{0,1}\Sigma\otimes\phi^*T^{1,0}M스핀 0, \phi^*T^{1,0}M



위상 뒤틂에 따라 \psi의 스핀이 변화한다.

4. 다른 이론과의 관계

A모형의 관측 가능량은 그로모프-위튼 불변량으로 엄밀히 정의되며, 이는 양자 코호몰로지를 정의한다. 위상 끈 이론은 크게 위상 A모형과 위상 B모형으로 나뉜다. 위상 끈 이론의 계산 결과는 정칙 함수를 포함하며, 그 값은 시공간 초대칭에 의해 보호되는 완전한 끈 이론 내의 모든 정칙량들을 부호화한다.

위상 끈 이론은 체른-시몬스 이론, 그로모프-위튼 불변량, 거울 대칭, 기하학적 랑글란즈 프로그램 등 여러 주제와 관련되어 있다.

위상 끈 이론의 연산자는 일정량의 초대칭성을 보존하는 완전한 끈 이론에서의 연산자 대수를 나타낸다. 위상 끈 이론은 일반 끈 이론의 세계면 묘사를 위상 꼬임을 통해 얻어진다. 연산자들은 다른 스핀을 가지며, 이는 위상 양자장론의 구성과 유사하다. 위상 끈 이론에는 국소적 자유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고파쿠마르-바파 쌍대성에 따르면, 코니폴드 위의 열린 끈 A모형은 U(N) 천-사이먼스 이론의 큰 N 극한과 같다.[7] 이는 라제시 고파쿠마르캄란 바파가 발견했다. A모형 위상 끈 이론은 통계역학의 결정 융해 모형과도 쌍대적이다.[8][9]

여러 쌍대성이 위 이론들을 연결한다. 두 개의 거울 다양체 상의 A-모델과 B-모델은 거울 대칭으로 연결되며, 이는 3차원 토러스 위의 T-쌍대성으로 설명되어 왔다.

4. 1. 유효 이론

일반적으로, (초)끈 이론은 낮은 에너지에서 (초)중력 유효 이론을 이룬다. A형 위상 끈 이론의 유효 이론은 '''켈러 중력'''(Kähler gravity영어)이라고 불리며,[4] 특수한 경우 천-사이먼스 이론으로 해석할 수 있다.[5] B형 위상 끈 이론의 유효 이론은 '''고다이라-스펜서 중력'''(Kodaira–Spencer gravity영어)이다.[6]

4. 2. 쌍대성

고파쿠마르-바파 쌍대성(Gopakumar–Vafa duality)에 따르면, 코니폴드 위의 열린 끈 A모형은 U(N) 천-사이먼스 이론의 큰 N 극한과 같다.[7] 이는 라제시 고파쿠마르캄란 바파가 발견하였다. A모형 위상 끈 이론은 또한 통계역학의 결정 융해 모형과 서로 쌍대적이라고 추측된다.[8][9]

여러 쌍대성이 위 이론들을 연결한다. 두 개의 거울 다양체 상의 A-모델과 B-모델은 거울 대칭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는 3차원 토러스 위의 T-쌍대성으로 설명되어 왔다. 동일한 다양체 상의 A-모델과 B-모델은 S-쌍대성에 의해 연결될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는 원래의 브레인과 동일한 사이클을 감싸지만 반대 이론에서 나타나는, NS5-브레인과 유사한 NS 브레인이라고 불리는 여러 새로운 브레인의 존재를 암시한다. 또한 A-모델과 B-모델의 결합 및 B-모델의 켤레 복소수 결합은 일종의 차원 축소에 의해 위상 M-이론과 관련된다. 여기서 A-모델과 B-모델의 자유도는 동시에 관찰될 수 없는 것으로 보이며, 양자역학에서 위치와 운동량 사이의 관계와 유사한 관계를 가진다.

4. 2. 1. 정칙 이상 현상 (Holomorphic Anomaly)

B-모델은 정칙 이상 현상을 겪는데, 이는 고전적으로 정칙인 복소수 의존성이 비정칙 양자 보정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드워드 위튼은 [https://arxiv.org/abs/hep-th/9306122 문자열 이론의 양자 배경 독립성]에서 이러한 구조가 복소 구조 공간을 기하학적 양자화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구조와 유사하다고 주장했다. 이 공간이 양자화되면, 차원의 절반만 동시에 교환되므로 자유도의 수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은 진공 편극이라고 하는 임의의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켤레 모델은 누락된 자유도를 포함하므로, B-모델과 켤레 모델을 텐서곱하여 누락된 모든 자유도를 다시 얻고, 편극의 임의 선택에 대한 의존성을 제거한다.

4. 3. 기하학적 변환 (Geometric Transitions)

열린 끈으로 묘사되는 D-브레인을 갖는 구성과, 브레인이 플럭스로 대체된 구성은 쌍대성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쌍대성의 대표적인 예시는 라제쉬 고파쿠마르와 컴런 바파가 제시한 고파쿠마르-바파 쌍대성이다.

고파쿠마르-바파 쌍대성은 변형된 코니폴드에서 A-모형의 3-구에 있는 N개의 D6-브레인 묶음을, 스트링 결합 상수에 N을 곱한 값에 해당하는 B장을 가진 해결된 원뿔곡면에서 A-모형의 닫힌 끈 이론과 관련시킨다. A-모형의 열린 끈은 U(N) 천-사이먼스 이론으로 묘사되는 반면, A-모형의 닫힌 끈 이론은 켈러 중력으로 묘사된다.

원뿔곡면은 해결되었지만, 팽창된 2-구의 면적은 0이며, 0이 아닌 것은 면적의 복소수 부분으로 간주되는 B-장뿐이다. 실제로, 천-사이먼스 이론은 위상수학적이므로, 변형된 3-구의 부피를 0으로 줄여 이중 이론과 동일한 기하학에 도달할 수 있다.

이 쌍대성의 거울 쌍대성은 또 다른 쌍대성으로, 해결된 원뿔곡면에서 2-사이클을 감싸는 브레인 위의 B-모형의 열린 끈을 변형된 원뿔곡면 위의 B-모형의 닫힌 끈과 관련시킨다. B-모형의 열린 끈은 종단되는 브레인 위의 정칙 천-사이먼스 이론의 차원 축소로 묘사되는 반면, B-모형의 닫힌 끈은 고다이라-스펜서 중력으로 묘사된다.

4. 4. 초대칭 게이지 이론

A-모형 위상 끈 이론은 4차원 또는 5차원 \mathcal N=2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프리퍼텐셜(prepotential영어)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B-모형 위상 끈 이론은 4차원 \mathcal N=1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초퍼텐셜(superpotential영어)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10]

A-모형 계산은 BPS 블랙홀의 베켄슈타인-호킹 엔트로피를 계산하는 데도 사용된다.[10]

안드레이 오쿤코프, 니콜라이 레셰티킨영어, 쿰룬 바파는 양자 A-모델이 끈 결합 상수의 역수에 해당하는 온도에서 고전적으로 용융되는 결정의 쌍대라는 예상을 제시했다.

5. 응용

A모형 위상 끈 이론은 4차원 및 5차원 N=2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프리포텐셜을 계산하고, 5차원에서 회전하는 블랙홀의 BPS 상태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10]

6. 역사

에드워드 위튼이 1988년에 위상 끈 이론을 도입하였다.[11] 위상 끈 이론은 에드워드 위튼이 1988년에 고안한 위상 꼬임이라는 절차를 통해 시그마 모형을 수정하여 만들어진다.

참조

[1] 간행물 Topological Sigma Models 1988-02
[2] 서적 Mirror Symmetry http://www.claymath.[...]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Clay Mathematical Institute
[3] 저널 A mini-course on topological strings 2005
[4] 저널 Theory of Kähler Gravity
[5] 저널 Chern-Simons Gauge Theory As A String Theory
[6] 저널 Kodaira-Spencer Theory of Gravity and Exact Results for Quantum String Amplitudes http://projecteuclid[...] 1994
[7] 저널 On the Gauge Theory/Geometry Correspondence
[8] 저널 Quantum Calabi-Yau and Classical Crystals
[9] 저널 Quantum Foam and Topological Strings
[10] 저널 Lectures on black holes, topological strings and quantum attractors (2.0)
[11] 저널 Topological sigma models http://projecteuclid[...]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