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니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니폴드는 국소적으로 뿔 모양의 특이점을 가질 수 있는 칼라비-야우 대수다양체이다. 코니폴드의 특이점은 변형(deformation)과 분해(resolution)라는 두 가지 방법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끈 이론과 관련하여 D-막의 감김으로 해석된다. 코니폴드는 끈 이론에서 공간의 위상 변화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클레바노프-위튼 모형과 같은 응용 분야에서 활용된다. 1980년대 후반에 코니폴드에 의한 위상 변환 가능성이 발견되었으며, 1990년에 '코니폴드'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이점 이론 - 임계점 (수학)
임계점은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미분 가능한 실수 함수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점으로, 실변수 함수의 경우 미분 불가능하거나 도함수가 0인 정의역 내의 값이며, 함수의 극값 위치를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특이점 이론 - 특이점 (대수기하학)
특이점은 스킴의 각 점에서의 줄기 국소환이 정칙 국소환이 되지 못하는 점으로,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정칙 스킴인 비특이 대수다양체는 초곡면의 편미분이 동시에 소멸되는 점으로 정의되며 야코비 행렬의 계수로 판별된다. - 끈 이론 - 중력자
중력자는 중력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가상의 기본 입자로 여겨지지만, 양자화된 일반 상대성 이론의 문제로 인해 완전한 이론이 확립되지 않았으며, 중력파의 존재가 간접적으로 뒷받침하지만 직접적인 검출은 현재 불가능하고 질량에 대한 상한선이 제시되고 있으며 초대칭 파트너인 그라비티노의 존재가 예측된다. - 끈 이론 - 잡종 끈 이론
잡종 끈 이론은 닫힌 끈의 왼쪽 진동 모드는 보손 끈, 오른쪽 진동 모드는 초끈으로 전개하며, 10차원 시공간에서 E8×E8 또는 SO(32) 게이지 군을 갖는 끈 이론이다. - 대수기하학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대수기하학 - 매끄러운 함수
매끄러운 함수는 함수의 미분 가능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k번 미분 가능하고 그 미분 함수가 연속일 경우 Ck로 표기하며, 무한히 미분 가능한 함수를 의미하고, 곡선의 부드러움을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 코니폴드 | |
|---|---|
| 개요 | |
| 학문 분야 | 수학, 물리학 | 
| 연구 분야 | 끈 이론, 대수기하학 | 
| 상세 정보 | |
| 설명 |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일종 | 
2. 정의
'''코니폴드'''는 국소적으로 뿔 모양의 특이점을 가질 수 있는 칼라비-야우 대수다양체이다. 이 대수 다양체의 특이점은 두 가지의 방법으로 해소할 수 있다. 하나는 이 대수다양체의 복소 모듈러스를 바꾸는 것으로, 이를 '''변형'''(deformation영어)이라고 한다. 다른 하나는 대수 다양체의 특이점을 부풀리는 것이다. 이를 '''분해'''(resolution영어)라고 한다. 6차원 코니폴드의 경우, 코니폴드를 변형시키면 대개 꼭짓점이 3차원 부분공간으로 부풀려지고, 코니폴드를 분해시키면 꼭짓점이 2차원 부분공간으로 부풀려진다.
코니폴드의 변형과 분해는 끈 이론으로 해석할 수 있다. 끈 이론은 특이점에도 불구하고 6차원의 코니폴드에 축소화할 수 있다. 끈 이론에서, 특이점 주위에 D-막이 감겨 있음을 알 수 있다. IIA종 끈 이론의 관점에서는 분해된 코니폴드의 2차원 꼭짓점에 D2-막이 감긴 것으로 해석하고, IIB종 끈 이론의 관점에서는 변형된 코니폴드의 3차원 꼭짓점에 D3-막이 감긴 것으로 해석한다.
이와 같이, 변형된 코니폴드에서 꼭짓점의 크기를 0으로 보내고, 이를 분해하여 위상수학적으로 다른 칼라비-야우 다양체를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알려진 대부분의 3차원 칼라비-야우 다양체들을 연관지을 수 있다.[1]
'''코니폴드'''는 다음과 같은 3차원 복소수 아핀 대수다양체이다.[2]
이는 칼라비-야우 다양체이며, 에서 2차 특이점(double point영어)을 가진다.
대신
를 정의하면, 코니폴드를 정의하는 식은
인 것이 된다.
2. 1. 변형 (Deformation)
코니폴드의 특이점은 변형을 통해 3차원 구/3-sphere영어 ()로 해소할 수 있다. 코니폴드의 특이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수다양체를 다음과 같이 변형한다.:
여기서 는 복소수 모듈러스다. 인 경우, 를 재정의하여 가 양의 실수가 되게 할 수 있다. 라고 놓으면,
:
:
:
이다. 따라서 임을 알 수 있다. 에서는 이고, 이므로, 특이점이 S3로 부풀려진다. 이를 코니폴드의 변형(變形, deformation영어)이라고 한다.
끈 이론에서, IIB종 끈 이론의 D3-막이 3차원 꼭짓점에 감기는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2. 분해 (Resolution)
코니폴드의 특이점은 변형을 통해 로, 또는 분해를 통해 로 해소된다.특이점을 다른 방법으로 없앨 수도 있다. 대수다양체의 정의식을 다음과 같이 쓰자.
:
여기에 하나의 좌표 를 추가하자. 여기서 는 의 동차좌표이다.
:
특이점 밖에서는 행렬
:
가 하나의 교윳값 0의 고유벡터를 가지므로 는 완전히 결정되고, 이 대수다양체는 원래 코니폴드와 같다. 하지만 원래 특이점 에서는 는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특이점이 매끄러운 로 대체되고, 특이점이 해소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코니폴드의 '''분해'''(resolution영어)라고 한다.
2. 3. 코니폴드 방정식
3. 성질
3. 1. 뿔 구조 (Conical Structure)
코니폴드의 특이점 근처에서는 국소 좌표계를 도입하여 뿔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좌표계에서 대수다양체를 정의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일 경우,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주어진 에 대하여, 는 반지름이 인 3차원 초구 S3를 정의한다. 주어진 와 에 대하여 은 (는 에 수직이므로) 2차원 구 S2를 정의한다. S3와 S2의 반지름은 둘 다 이므로, 이는 위상수학적으로 밑(base)이 S3×S2인 뿔을 정의한다. 이는 S3 위의 접다발 TS3의 사영화(projectivization)이지만, S3의 접다발은 자명하므로 S3×S2로 간주할 수 있다.
3. 2. 대칭성
코니폴드는 실수 5차원 사사키-아인슈타인 다양체에 대한 뿔이다.[2] 이 사사키-아인슈타인 다양체는 다음과 같다.:
이는 위상수학적으로 이다.[2] 그 등거리변환군은 SU(2)×SU(2)×U(1)이다.[2]
4. 응용
코니폴드는 끈 이론에서 축소화 및 AdS/CFT 대응성 연구에 활용된다.
=== 클레바노프-위튼 모형 ===
코니폴드 위에 ⅡB 초끈 이론을 축소화한 뒤, 코니폴드의 꼭짓점에 개의 D3-막을 추가하면, D3-막의 세계부피 위에는 3+1차원  초대칭 게이지 이론이 존재한다. AdS/CFT 대응성에 의하여, 적절한 극한을 취하면, 이 초끈 이론과 동치인  초등각 장론을 찾을 수 있다. 이를 '''클레바노프-위튼 모형'''(Клебанов–Witten model영어)이라고 한다.[3][4]
이에 대응하는 4차원  장론은 다음과 같은 초장을 갖는다.
| 종류 | 기호 | 맛깔 SU(2)L 표현 | 맛깔 SU(2)R 표현 | 게이지 U(N)×U(N) 표현 | 
|---|---|---|---|---|
| U(N)×U(N) 게이지 초장 | 1 | 1 | 딸림표현 | |
| 손지기 초장 | 2 | 1 | ('N', 'N') | |
| 손지기 초장 | 1 | 2 | ('N', 'N') | 
이 경우, 초퍼텐셜은 다음과 같은 꼴이다.
:
여기서
- 는 고전적으로 [질량]−1의 단위를 갖는 결합 상수이다.
 - 은 ''N''×''N'' 정사각 행렬의 대각합이다.
 - 는 2차원 레비치비타 기호이며, SU(2)의 표현 에서 자명한 표현을 고른다.
 
이는 음의 단위의 결합 상수를 가지므로 고전적으로 재규격화될 수 없지만, 양자역학적으로 이 항은 비정상 차원으로 인하여 사실 경계 연산자(marginal operaor영어)를 이룬다.
인 경우, 페예-일리오풀로스 항을 켤 수 있으며, 그 ''D'' 보조장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페예-일리오풀로스 항의 결합 상수이다. 페예-일리오풀로스 항을 켜지 않으면, 그 모듈라이 공간은 코니폴드가 됨을 알 수 있다. 페예-일리오풀로스 항을 켜는 것은 코니폴드의 변형에 해당한다.
| 코니폴드 위의 ⅡB 초끈 이론 | 4차원 초등각 장론 | 
|---|---|
| 꼭짓점 위의 D3-막의 수 N | 게이지 군 U(N)×U(N)의 계수 N | 
| 코니폴드 (하나의 D3-막의 위치) | 모듈라이 공간 | 
| 코니폴드의 SU(2)×SU(2) 대칭 | 및 의 SU(2)×SU(2) 맛깔 대칭 | 
| 코니폴드의 U(1) 대칭 | R대칭 | 
=== 끈 이론에서의 역할 ===
코니폴드는 끈 이론에서 공간의 위상 변화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브라이언 그린은 그의 저서 ''엘레건트 유니버스''에서 코니폴드의 물리학을 설명하는데, 공간이 원뿔 근처에서 찢어질 수 있고, 그 위상이 변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된다. 이러한 가능성은 원래 칸델라스 등이 발견했고, 그린과 휩쉬가 끈 이론에서 알려진 모든 칼라비-야우 콤팩트화 사이의 연결을 증명하는 데 사용했다. 이는 레이드가 제안한, 코니폴드가 가능한 모든 칼라비-야우 복소수 3차원 공간을 연결한다는 추측을 부분적으로 뒷받침한다.
코니폴드 특이점 근처에서 D-막이 감기는 현상을 통해 끈 이론의 동역학을 이해할 수 있다. 기하학적으로 특이한 코니폴드는 끈의 부드러운 물리학으로 이어진다. IIB형 끈 이론에서 수축하는 3차원 구에 D3-브레인이 감기거나, IIA형 끈 이론에서 수축하는 2차원 구에 D2-브레인이 감기면서 발산이 "분산"된다. 이는 스트로민저가 처음 지적했으며, 그린, 모리슨, 스트로민저가 코니폴드 전이를 통한 위상 변화의 끈 이론적 설명을 제공했다. 이들은 "코니폴드"라는 용어와 관련 다이어그램을 만들었다. 코니폴드를 매끄럽게 만드는 두 가지 위상학적으로 다른 방법은 특이 정점을 3차원 구 (복소 구조를 변형) 또는 2차원 구 ("작은 해상도")로 대체하는 것이다. 거의 모든 칼라비-야우 다양체는 이러한 "임계 전이"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레이드의 추측과 일치한다.
코니폴드의 잘 알려진 예는 5차 방정식, 즉 복소 사영 평면 의 5차 초곡면의 변형 극한으로 얻어진다. 공간 는 복소수 차원이 4이고, 5차 방정식(차수 5)으로 정의된 공간은 다음과 같다.
:
균질 좌표 를 에 적용하고, 임의의 고정된 복소수 에 대해, 복소수 차원이 3이다. 이 5차 초곡면의 집합은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가장 유명한 예이다. 만약 복소 구조 매개변수 가 1과 같도록 선택되면, 위에 설명된 다양체는 특이점을 갖게 된다. 방정식에서 5차 다항식의 미분이 모든 좌표 가 같거나, 그 비율이 1의 특정 5제곱근일 때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 특이점의 근방은 단순히 원뿔처럼 보이는데, 그 밑면은 위상적으로 다음과 같다.
:
4. 1. 클레바노프-위튼 모형
D3-막의 세계부피 위에는 3+1차원 초대칭 게이지 이론이 존재한다. AdS/CFT 대응성에 의하여, 적절한 극한을 취하면, 이 초끈 이론과 동치인 초등각 장론을 찾을 수 있다. 이를 '''클레바노프-위튼 모형'''(Клебанов–Witten model영어)이라고 한다.[3][4]이 경우, 대응하는 4차원 장론은 다음과 같은 초장을 갖는다.
| 종류 | 기호 | 맛깔 SU(2)L 표현 | 맛깔 SU(2)R 표현 | 게이지 U(N)×U(N) 표현 | 
|---|---|---|---|---|
| U(N)×U(N) 게이지 초장 | 1 | 1 | 딸림표현 | |
| 손지기 초장 | 2 | 1 | ('N', ) | |
| 손지기 초장 | 1 | 2 | (, 'N') | 
이 경우, 초퍼텐셜은 다음과 같은 꼴이다.
:
여기서
- 는 고전적으로 [질량]−1의 단위를 갖는 결합 상수이다.
 - 은 ''N''×''N'' 정사각 행렬의 대각합이다.
 - 는 2차원 레비치비타 기호이며, SU(2)의 표현 에서 자명한 표현을 고른다.
 
이는 음의 단위의 결합 상수를 가지므로 고전적으로 재규격화될 수 없지만, 양자역학적으로 이 항은 비정상 차원으로 인하여 사실 경계 연산자(marginal operaor영어)를 이룬다.
인 경우, 페예-일리오풀로스 항을 켤 수 있으며, 그 ''D'' 보조장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페예-일리오풀로스 항의 결합 상수이다. 페예-일리오풀로스 항을 켜지 않으면, 그 모듈라이 공간은 코니폴드가 됨을 알 수 있다. 페예-일리오풀로스 항을 켜는 것은 코니폴드의 변형에 해당한다.
| 코니폴드 위의 ⅡB 초끈 이론 | 4차원 초등각 장론 | 
|---|---|
| 꼭짓점 위의 D3-막의 수 N | 게이지 군 U(N)×U(N)의 계수 N | 
| 코니폴드 (하나의 D3-막의 위치) | 모듈라이 공간 | 
| 코니폴드의 SU(2)×SU(2) 대칭 | 및 의 SU(2)×SU(2) 맛깔 대칭 | 
| 코니폴드의 U(1) 대칭 | R대칭 | 
4. 2. 끈 이론에서의 역할
코니폴드는 끈 이론에서 공간의 위상 변화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4] 브라이언 그린은 그의 저서 ''엘레건트 유니버스''에서 코니폴드의 물리학을 설명하는데, 공간이 원뿔 근처에서 찢어질 수 있고, 그 위상이 변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된다. 이러한 가능성은 원래 칸델라스(Candelas) 등이 발견했고, 그린(Green)과 휩쉬(Hübsch)가 끈 이론에서 알려진 모든 칼라비-야우 콤팩트화 사이의 연결을 증명하는 데 사용했다. 이는 레이드(Reid)가 제안한, 코니폴드가 가능한 모든 칼라비-야우 복소수 3차원 공간을 연결한다는 추측을 부분적으로 뒷받침한다.코니폴드 특이점 근처에서 D-막이 감기는 현상을 통해 끈 이론의 동역학을 이해할 수 있다. 기하학적으로 특이한 코니폴드는 끈의 부드러운 물리학으로 이어진다. IIB형 끈 이론에서 수축하는 3차원 구에 D3-브레인이 감기거나, IIA형 끈 이론에서 수축하는 2차원 구에 D2-브레인이 감기면서 발산이 "분산"된다. 이는 스트로민저(Strominger)가 처음 지적했으며, 그린, 모리슨(Morrison), 스트로민저가 코니폴드 전이를 통한 위상 변화의 끈 이론적 설명을 제공했다. 이들은 "코니폴드"라는 용어와 관련 다이어그램을 만들었다. 코니폴드를 매끄럽게 만드는 두 가지 위상학적으로 다른 방법은 특이 정점을 3차원 구 (복소 구조를 변형) 또는 2차원 구 ("작은 해상도")로 대체하는 것이다. 거의 모든 칼라비-야우 다양체는 이러한 "임계 전이"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레이드의 추측과 일치한다.
코니폴드의 잘 알려진 예는 5차 방정식, 즉 복소 사영 평면 의 5차 초곡면의 변형 극한으로 얻어진다. 공간 는 복소수 차원이 4이고, 5차 방정식(차수 5)으로 정의된 공간은 다음과 같다.
:
균질 좌표 를 에 적용하고, 임의의 고정된 복소수 에 대해, 복소수 차원이 3이다. 이 5차 초곡면의 집합은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가장 유명한 예이다. 만약 복소 구조 매개변수 가 1과 같도록 선택되면, 위에 설명된 다양체는 특이점을 갖게 된다. 방정식에서 5차 다항식의 미분이 모든 좌표 가 같거나, 그 비율이 1의 특정 5제곱근일 때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 특이점의 근방은 단순히 원뿔처럼 보이는데, 그 밑면은 위상적으로 다음과 같다.
:
코니폴드 위에 ⅡB 초끈 이론을 축소화한 뒤, 코니폴드의 꼭짓점에 개의 D3-막을 추가하면, D3-막의 세계부피 위에는 3+1차원 초대칭 게이지 이론이 존재한다. AdS/CFT 대응성에 의하여, 적절한 극한을 취하면, 이 초끈 이론과 동치인 초등각 장론을 찾을 수 있다. 이를 클레바노프-위튼 모형('N'/Клебанов–Witten model}})이라고 한다.
이에 대응하는 4차원 장론은 다음과 같은 초장을 갖는다.
| 종류 | 기호 | 맛깔 SU(2)L 표현 | 맛깔 SU(2)R 표현 | 게이지 U(N)×U(N) 표현 | 
|---|---|---|---|---|
| U(N)×U(N) 게이지 초장 | 1 | 1 | 딸림표현 | |
| 손지기 초장 | 2 | 1 | ('N', , 'N') | 
이 경우, 초퍼텐셜은 다음과 같은 꼴이다.
:
여기서
- 는 고전적으로 질량−1의 단위를 갖는 결합 상수이다.
 - 은 ''N''×''N'' 정사각 행렬의 대각합이다.
 - 는 2차원 레비치비타 기호이며, SU(2)의 표현 에서 자명한 표현을 고른다.
 
이는 음의 단위의 결합 상수를 가지므로 고전적으로 재규격화될 수 없지만, 양자역학적으로 이 항은 비정상 차원으로 인하여 사실 경계 연산자를 이룬다. 즉, 이 항을 켜는 것은 등각 장론의 모듈라이 공간 속을 이동하는 것에 해당한다.
특히, 만약 인 경우를 생각하면, 페예-일리오풀로스 항을 켤 수 있으며, 그 ''D'' 보조장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페예-일리오풀로스 항의 결합 상수이다. 페예-일리오풀로스 항을 켜지 않으면, 그 모듈라이 공간은 코니폴드가 됨을 알 수 있다. 페예-일리오풀로스 항을 켜는 것은 코니폴드의 변형에 해당한다.
| 코니폴드 위의 ⅡB 초끈 이론 | 4차원 초등각 장론 | 
|---|---|
| 꼭짓점 위의 D3-막의 수 N | 게이지 군 U(N)×U(N)의 계수 N | 
| 코니폴드 (하나의 D3-막의 위치) | 모듈라이 공간 | 
| 코니폴드의 SU(2)×SU(2) 대칭 | 및 의 SU(2)×SU(2) 맛깔 대칭 | 
| 코니폴드의 U(1) 대칭 | R대칭 | 
5. 역사
1987년에 마일스 리드(Miles Reid)는 칼라비-야우 다양체 모듈러스 공간의 연결 가능성을 제안하였다.[5] 1988년에 필립 칸델라스(Philip Candelas) 등은 코니폴드에 의한 위상 변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6] 이후 알려진 거의 모든 복소 3차원 칼라비-야우 다양체들의 모듈러스 공간들이 코니폴드 변환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7]
‘코니폴드’(conifold)라는 용어는 뿔(cone)과 다양체(manifold)를 합성한 단어로, 1990년에 최초로 사용되었다.[8] 1995년 앤드루 스트로민저 등은 이를 D-막을 통해 해석하였다.[9][10]
코니폴드는 끈 이론에서 중요한 대상이다. 브라이언 그린은 저서 ''엘레건트 유니버스'' 13장에서 코니폴드의 물리학을 설명했다. 여기에는 공간이 원뿔 근처에서 찢어질 수 있고, 그 위상이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이 포함된다.
코니폴드의 잘 알려진 예는 복소 사영 평면 의 5차 초곡면의 변형 극한으로 얻어진다. 공간는 복소수 차원이 4이고, 5차 방정식(차수 5)으로 정의된 공간은 복소수 차원이 3이다. 이 5차 초곡면의 집합은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가장 유명한 예이다. 만약 복소 구조 매개변수 가 1과 같도록 선택되면, 다양체는 특이점을 갖게 된다. 이 특이점의 근방은 원뿔처럼 보이는데, 그 밑면은 위상적으로 이다.
끈 이론의 맥락에서, 기하학적으로 특이한 코니폴드는 끈의 완전히 부드러운 물리학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D3-브레인이 IIB형 끈 이론에서 수축하는 3차원 구에 감싸지고, D2-브레인이 IIA형 끈 이론에서 수축하는 2차원 구에 감싸지면서 "분산"된다.
참조
[1] 
저널
 
Connecting moduli spaces of Calabi–Yau threefolds
 
[2] 
서적
 
String theory and M-theory: a modern introduction
 
https://web.arch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4-13
 
[3] 
저널
 
Superconformal field theory on threebranes at a Calabi–Yau singularity
 
1998
 
[4] 
저널
 
Conifolds and geometric transitions
 
2007
 
[5] 
저널
 
The moduli space of 3-folds with ''K''=0 may nevertheless be irreducible
 
1987
 
[6] 
저널
 
Complete intersection Calabi–Yau manifolds
 
1988
 
[7] 
저널
 
Connecting moduli spaces of Calabi–Yau threefolds
 
1988
 
[8] 
저널
 
Rolling among Calabi–Yau vacua
 
1990-01-22
 
[9] 
저널
 
Massless black holes and conifolds in string theory
 
1995-09-25
 
[10] 
저널
 
Black hole condensation and the unification of string vacua
 
1995-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