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프레도 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프레도 람은 1902년 쿠바에서 태어난 화가로, 아프리카, 중국, 유럽 등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융합한 독창적인 화풍을 구축했다. 그는 스페인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스페인 내전에 참여하여 공화주의를 지지했다. 이후 파리에서 피카소 등과 교류하며 국제적인 예술가로 성장했다. 람은 쿠바로 돌아와 아프리카계 쿠바 문화의 정체성을 예술로 표현하고자 했으며, 대표작 《정글》을 통해 모더니즘과 아프리카 문화의 조화를 시도했다. 그는 말년에 파리에 정착하여 다양한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20세기 미술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윌프레도 람은 1902년 쿠바 빌라클라라 주 사과라그란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중국 이민자였고, 어머니는 콩고 출신 노예의 후손과 쿠바 물라토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이었다.[2]
1923년 람은 살바도르 달리의 스승이자 프라도 미술관의 큐레이터였던 페르난도 알바레스 데 소토마요르 이 사라고사에게서 그림을 배우기 위해 마드리드로 유학을 떠났다. 그는 오전에는 보수적인 스승의 화실에서, 저녁에는 젊고 비순응적인 화가들과 교류하며 작업했다.[2] 프라도 미술관에서 그는 히에로니무스 보스와 피터 브뤼겔 1세의 작품에 감명을 받았다.[2] 초기에는 모더니즘 스페인 화풍의 영향을 받았으나, 점차 단순하고 장식적인 스타일로 변화했다.[2] 1929년 에바 피리즈와 결혼했으나, 1931년 아내와 아들이 결핵으로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5]
아바나로 돌아온 람은 아프리카계 쿠바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되었다. 그는 아프리카계 쿠바인들이 여전히 억압받고, 그들의 문화가 관광 상품으로 전락하는 현실에 주목했다.[7] 쿠바가 아프리카 유산을 잃을 위기에 처했다고 판단, 자신의 예술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자 했다. 그는 막스-폴 푸셰와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1952년, 윌프레도 람은 파리에 정착하여 쿠바, 뉴욕, 프랑스 등 여러 곳을 오가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쳤다.[14] 1955년에는 아바나 대학교에서 전시회를 열어 바티스타 독재에 저항하는 학생들을 지지하기도 했다. 1965년에는 쿠바 혁명 정부를 위해 《제3세계》를 제작하여 사회적, 경제적 평등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표현했다.
[1]
웹사이트
Wifredo Lam
https://www.latiname[...]
2021-09-08
2. 초기 생애
어린 시절 람은 아프리카계 쿠바인들의 문화 속에서 성장했다. 그의 가족은 가톨릭과 아프리카 전통 신앙을 모두 믿었다. 그의 대모 마토니카 윌슨은 산테리아 여사제이자 치료사, 마법사로 존경받는 인물이었으며, 람은 그녀를 통해 아프리카 오리샤 의례를 접했다.[2] 람은 산테리아, 팔로 몬테, 아바쿠아 비밀 협회에 가입하지는 않았지만, 쿠바 문화에 널리 퍼져있던 관행이었기에 익숙했다.[3] 이러한 아프리카 축제와 영적 관행과의 접촉은 훗날 그의 예술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16년, 람은 가족의 뜻에 따라 법학을 공부하기 위해 아바나로 이주했다. 동시에 식물원에서 열대 식물을 공부했다.[4] 1918년부터 1923년까지 에스쿠엘라 데 벨라스 아르테스에서 회화를 공부했지만, 학문적인 교육 방식에 회의를 느꼈다.
3. 유럽에서의 활동
1930년대 동안 람은 초현실주의와 앙리 마티스의 영향을 받았다.[2] 스페인 농민들의 고통에 공감하게 되었는데, 이는 쿠바에서 그가 자란 전 노예들의 고통과 유사했다.[7] 1936년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공화주의 진영에 가담하여 포스터와 선전물을 제작했다.[2] 1937년 전투 중 부상으로 바르셀로나로 이송되었고, 그곳에서 마놀로 우게를 만났는데, 그는 람에게 피카소와의 만남을 주선해 주었다.[2]
1938년 람은 파리로 이주하여 피카소의 지원 아래 페르낭 레제, 앙리 마티스, 조르주 브라크, 호안 미로 등 당대 주요 예술가들과 교류했다.[5] 피카소는 그를 화상 피에르 롭에게 소개했고, 1939년 파리에서 람의 첫 개인전이 열려 비평가들로부터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다.[8]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1940년 마르세유로 피난, 앙드레 브르통 등 초현실주의자들과 교류하며 공동 작업을 진행했다.[2] 1941년 브르통,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등과 함께 마르티니크를 거쳐 쿠바로 귀국했다.
4. 아바나 시기
> "나는 조국의 드라마를, 흑인 정신과 흑인 조형 미술의 아름다움을 철저히 표현함으로써 그림으로 그리고 싶었다. 이런 방식으로 나는 트로이의 목마가 되어, 착취자들의 꿈을 놀라게 하고, 혼란스럽게 할 수 있는 환각적인 인물들을 쏟아낼 수 있었다."[7]
쿠바에서 람의 화풍은 급격히 변화했다. 열대 식물에 대한 연구와 아프리카계 쿠바 문화에 대한 친숙함을 바탕으로, 그의 그림에는 인간, 동물, 식물의 특징이 융합된 혼성적인 인물이 등장하기 시작했다.[2] 그의 스타일은 초현실주의, 입체주의적 접근법과 산테리아의 이미지, 상징을 결합한 독자적인 것이었다.[9] 1943년, 그는 대표작 《정글》을 발표했다. 이 작품은 마스크와 같은 얼굴을 한 네 명의 인물이 울창한 열대 식물에서 반쯤 나타나는 모습을 묘사하여 그의 성숙한 스타일을 반영했다. 그해 말, 이 작품은 뉴욕의 피에르 마티스 갤러리에서 전시되어 논란을 일으켰다.[7] 이 그림은 모더니즘과 아프리카 문화의 생동감 넘치는 에너지 사이의 긴장을 묘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7] 《정글》은 결국 뉴욕의 현대 미술관에 소장되었다. 이 작품은 마드리드의 레이나 소피아 미술관에 걸려 있는 피카소의 《게르니카》와 자주 비교된다.
《정글》과 비교되는 피카소의 또 다른 작품은 《아비뇽의 처녀들》이다.[10] 두 그림은 36년의 간격을 두고 제작되었고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둘 다 성적인 맥락에서 여성을 묘사하고, 디자인에 원시주의와 입체주의적 요소를 담고 있다.[10]
람의 작품 《정글》에서 아프리카의 아이디어와 유럽 스타일이 결합된 것은 람과 그의 두 번째 아내가 백인이 아닌 쿠바 인구로부터 차별을 받는 결과를 낳았다. 쿠바로 돌아온 람은 국제적인 예술 커뮤니티에서 벗어나 쿠바 아방가르드 스타일을 더 실험했다. 쿠바 예술가들은 람이 그의 예술 작품과 쿠바인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해 사칭했다고 비난했다.
람은 추상을 계속 단순화하고 종합하면서도 구상적인 그림을 계속 그렸고, 그의 스타일을 규정하는 신화와 토템주의를 계속 발전시켰다.[8] 1944년, 그는 헬라나 홀저와 결혼했지만 1950년에 이혼했다. 1946년, 그는 앙드레 브르통과 함께 아이티에서 4개월을 보냈다. 람은 부두교 의식을 관찰함으로써 아프리카의 신성함과 마법 의식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와 지식을 더욱 풍부하게 했지만, 나중에 그는 아메리카 대륙 전역에서 발견한 아프리카 영성과 접촉한 것이 그의 공식 스타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반면에 아프리카 시는 그의 그림에 폭넓은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7] 1950년, 그는 르네 포르토카레로 등과 함께 산티아고 데 라스 베가스 마을에서 도자기에 대해 작업했다.[11]
5. 후기 활동 및 유산
1960년, 람은 이탈리아 알비솔라 마리나에 스튜디오를 설립하고, 스웨덴 화가 루 라우린과 결혼하여 그곳에 정착했다. 1964년에는 구겐하임 국제상을 수상했으며, 1966년부터 1967년까지 유럽 전역에서 그의 회고전이 개최되었다. 람은 아스게르 요른의 권유로 도자기를 시작하여 1975년에 첫 도자기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그는 말년까지 조각, 금속 주조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1982년, 윌프레도 람은 파리에서 생을 마감했다. 쿠바 정부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아바나에 윌프레도 람 현대 미술 센터를 설립했다.[12] 2015년에는 파리 조르주 퐁피두 센터에서 람의 회고전이 열렸으며, 이 전시는 이후 스페인 국립 소피아 왕비 미술관, 런던 테이트 미술관으로 순회 전시되었다.[14] 람의 작품은 20세기 미술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특히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
6. 대표작 《정글》
람의 대표작으로 여겨지는 ''정글''은 작가의 성숙한 스타일을 잘 보여준다. 인간, 동물, 식물의 모습을 섞어 괴물 같은 혼성적인 생물을 만들어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융합은 마법적 변형으로 묘사된다.[5] 학자들은 이러한 인물들이 람의 잠재의식에서 비롯되었으며, 초현실주의와 연결된다고 추측한다.[16] 밀집된 구성은 폐쇄 공포증을 유발하는 한편, 형태는 구별하기 어렵다. 학자들은 이러한 추상적인 인물 구성을 입체주의의 영향으로 본다.[16]
네 인물의 길쭉한 팔다리는 뚜렷한 윤곽이 없으며, 큰 발, 둥근 엉덩이와 가슴, 두 인물의 입 아래에 있는 남성 생식기를 닮은 이미지 등 신체 부위에 강조가 두드러진다.[16][10] 아프리카 가면에서 영감을 받은 머리 모양도 등장하는데, 학자들은 람이 아프리카 가면 조각에 관심이 많았다고 본다.[16] 형태의 무지갯빛은 그림에 열대 느낌을 더한다. 빽빽하게 들어선 사탕수수 줄기와 야자수 잎은 인물들과 섞여 있는데, 이는 자연 속에 깃든 신을 묘사하는 아프로-쿠바 종교의 우주론적 개념을 반영한다.[6] 그림 속 사탕수수는 스페인과 포르투갈 소유의 아프리카 노예들이 일했던 밭을 암시한다.[16] 가위를 든 맨 오른쪽 인물은 사탕수수를 수확하고, 맨 왼쪽 인물은 말을 닮은 모습으로 아프로-쿠바 신화 속 인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16] 사탕수수가 작품에 맥락을 제공하지만, "정글"이 발생하는 특정 장소는 없다.[10] 학자들은 이러한 구체성 부족이 작품을 더 보편적으로 만든다고 제안한다.[10]
파란색, 녹색, 노란색, 흰색이 섞인 어두운 색은 달빛 아래 비밀스러운 장면을 암시하며, 이는 노예들 사이에서 비밀리에 행해지던 아프리카 종교 의식을 언급하는 것일 수 있다.[16][17] "정글"의 색 사용은 정글 깊숙한 곳에서 낮에 일어나는 일로도 볼 수 있다.[16] 역사가들은 붉은색과 주황색 사용이 피를 나타낸다고도 말한다.[10]
《정글》은 쿠바의 원시성을 묘사하려는 것이 아니라, 산테리아에서 영감을 받은 영적인 상태를 표현하려 했다.[18] 람은 아프리카계 쿠바 문화, 특히 아프리카계 쿠바 전통이 관광을 위해 폄하되는 방식의 부조리함을 드러내고자 했다. 카리브해 및 대서양 연구 학자 프란시스코-J. 에르난데스 아드리안은 《정글》이 식민 시대의 부산물로 대서양에 씌워진 이국적인 시선에 대한 비판이라고 주장한다.[10] 람은 당시 아프리카계 쿠바인의 현실을 묘사하여 명성을 얻었다.[16][10] 이 작품은 식민주의적 관점에 도전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0] 에르난데스 아드리안은 작품 속 이미지가 쿠바 사회에서 흑인들이 겪는 끊임없는 투쟁을 반영한다고 주장한다.[10] 특히 《정글》에 묘사된 사탕수수를 통해 암시되는 노예 노동은 중요한 투쟁 중 하나이다.[19] 미술사학자 도리스 마리아-레이나 브라보는 이 작품이 시사하는, 쿠바에서 많은 이들이 참여해야 했던 고된 노동이 관광객들이 쿠바를 "놀이터"로 여기던 시선과 크게 다르다고 주장한다.[19]
7. 작품 목록
작품명 제작 연도 소장처 두 인물프랑스어(Deux personnages) 1938년 프랑스 마르티니크 일반 의회 모자상(Mother and Child) 1939년 시카고 미술관 라 타블 블랑슈 (하얀 테이블)프랑스어(La Table Blanche (The White Table)) 1939년 페레즈 미술관 아나무(Anamu) 1942년 시카고 현대 미술관 사탄(Satan) 1942년 뉴욕 현대 미술관 정글(The Jungle) 1943년 뉴욕 현대 미술관 무제(Untitled) 1943년 보스턴 미술관 호메나헤 아 히코테아es(Homenaje a jicotea) 1943년경 로 미술관 라 슈벨르 (갈기)프랑스어(La Chevelure (The Mane)) 1945년 페레즈 미술관 무제(Untitled) 1945년 갤러리 르롱, 파리 전사프랑스어(Le guerrier) 1947년 갤러리 르롱, 파리 꿈프랑스어(Le Reve) 1947년 허쉬혼 미술관 엑소도(Exodo) 1948년 워싱턴 D.C. 하워드 대학교 미술관 맹목적인 영혼프랑스어(L'Espirit aveugle) 1948년 인디애나폴리스 미술관 리사모나(Lisamona) 1950년 뉴햄프셔 스티븐 M. 그린바움 영혼 없는 아이들프랑스어(Les enfants sans âme) 1964년 브뤼셀 현대 미술관 엘 테르세르 문도es(El Tercer Mundo) 1965년–1966년 아바나 국립 미술관 세월의 그림자(The Shadow of Days) 1970년 도블레 데스누도 II – 레클리나도라 (두 개의 누드 II – 누워있는 여성)es(Doble desnudo II – mujeres recostadas (Double Nude II – Reclining Women)) 1937년 페레즈 미술관 라 벤타나 I (창)es(La Ventana I (The Window)) 1935년 페레즈 미술관
8. 전시회
연도 장소 전시회 제목 1939년 파리 피에르 갤러리 윌프레도 람 회화 1939년 뉴욕 펄스 갤러리 피카소의 드로잉과 윌프레도 람의 구아슈 1942년 뉴욕 피에르 마티스 갤러리 람 회화 1944년 뉴욕 피에르 마티스 갤러리 람 회화 1945년 뉴욕 피에르 마티스 갤러리 람 회화 1945년 파리 피에르 갤러리 윌프레도 람 1946년 아이티 포르토프랭스 Centre d'Art 갤러리 람 1946년 런던 런던 갤러리 쿠바 화가 윌프레도 람 1950년 아바나 센트럴 파크 람: 최근 작품 1950 1955년 카라카스 국립 미술관 윌프레도 람 1961년 노터데임 대학교 윌프레도 람 1966년 바젤 쿤스트할레, 하노버 케스트너게젤샤프트, 스테델릭 미술관, 스톡홀름 모데르나 박물관, 브뤼셀 팔레 데 보자르(순회) 윌프레도 람 말레리, 빅 젠틸스 빌트하우에리 1978년 샬로텐룬 오르드루프가르드, 뢰비코덴 윌프레도 람 1982년-1983년 마드리드 국립 현대 미술관, 브뤼셀 이젤 미술관, 파리 파리 시립 현대 미술관(순회) 윌프레도 람 1902–1982를 위한 오마주 1991년-1992년 베이징 중앙 미술 학원, 상하이 미술관, 항저우 미술 학원, 광저우 미술 학원, 홍콩 아트 센터(순회) 윌프레도 람, 판화 1992년-1993년 뉴욕 아메리카스 소사이어티, 바르셀로나 라 카이샤 재단(순회) 윌프레도 람: 종이 작품 회고전 1992년-1993년 마드리드 레이나 소피아 국립 미술관, 바르셀로나 미로 재단(순회) 윌프레도 람 2001년 파리 다퍼 재단 람 메티스 2002년-2003년 요코하마 미술관 윌프레도 람: 변화하는 이미지, 백주년 기념 전시 2005년 프랑스 릴 쉬르 라 소르그 캉프레동 미술관, 르네 샤르 하우스 윌프레도 람과 시인들 2007년-2009년 밀워키 마르케트 대학교 해거티 미술관, 마이애미 미술관, 롱비치 라틴 아메리카 미술관, 세인트 피터스버그 달 리 미술관(순회) 북아메리카의 윌프레도 람 2010년-2011년 리우데자네이루 카이샤 문화 센터, 상파울루 피나코테카 데 에스타도(순회) 윌프레도 람, 판화 2010년 프랑스 낭트 미술관 윌프레도 람 1902–1982: 카리브해와 아방가르드 사이의 여행 2011년 파리 그랑 팔레 국립 갤러리 세제르, 람, 피카소, 우리는 만났다 2013년-2014년 르 프랑수아 클레망 재단 세제르, 람, 피카소, 우리는 만났다 2014년-2015년 보스턴 맥멀렌 미술관, 애틀랜타 하이 미술관(순회) 윌프레도 람, 새로운 세계를 상상하다 2016년-2017년 런던 테이트 모던 갤러리 윌프레도 람 아이 전시회 2015년-2017년 파리 국립 현대 미술관, 조르주 퐁피두 센터, 마드리드 레이나 소피아 국립 미술관, 런던 테이트 모던(순회) 윌프레도 람 2017년 베들레헴 PA 리하이 대학교 미술 갤러리, 졸너 아트 센터 윌프레도 람의 드로잉: 1940–1955. 하바나, 쿠바의 후안 카스티요 바스케스 개인 소장품
9. 참고 문헌
참조
[2]
서적
Wifredo Lam and His Contemporaries 1938–1952
The Studio Museum in Harlem
1992
[3]
논문
Riding Modernism: Wifredo Lam's Decenterings
1997
[4]
웹사이트
Lam, Wifredo
https://www.oxfordar[...]
Oxford University Press
1999-09-27
[5]
웹인용
Guggenheim Collection - Artist - Lam - Biography
http://www.guggenhei[...]
Guggenheim Collection
2006-01-06
[6]
논문
The Painter's Line: The Drawings of Wifredo Lam
2002
[7]
간행물
Wifredo Lam: a Sketch
1988
[8]
서적
Wifredo Lam and the International Avant-Garde, 1923–1982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2
[9]
간행물
Review: Multiculturalism in the Americas
1993
[10]
논문
Paris, Cuba, New York: Wifredo Lam and the Lost Origins of ''The Jungle''
2009
[11]
서적
Victor Moreno – ein kubanischer Maler
Vielflieger Verlag
[12]
웹사이트
Centro de Arte Contemporáneo Wifredo Lam
http://www.lahabana.[...]
2013-12-11
[13]
웹사이트
Centro de Arte Contemporáneo Wifredo Lam
https://www.afar.com[...]
2017-03-22
[14]
웹사이트
THE EY EXHIBITION: WIFREDO LAM
https://cubacounterp[...]
2016-12-01
[15]
웹인용
Pérez Art Museum Miami Announces Latin American and Latinx Art Fund • Pérez Art Museum Miami
https://www.pamm.org[...]
2023-04-05
[16]
웹사이트
MoMA {{!}} Wifredo Lam. The Jungle. 1943
https://www.moma.org[...]
2021-03-17
[17]
웹사이트
The Jungle
https://www.moma.org[...]
2020-11-08
[18]
서적
Latin American Art of the 20th Century
Thames & Hudson Ltd
2004
[19]
웹사이트
Lam, The Jungle (article)
https://www.khanacad[...]
2021-03-26
[20]
웹사이트
Sotheby's 12/06/17 Lot 11
http://www.sothebys.[...]
[21]
웹인용
Doble desnudo II - mujeres recostadas (Double Nude II – Reclining Women) • Pérez Art Museum Miami
https://www.pamm.org[...]
2023-09-06
[22]
웹인용
La Table blanche (The White Table) • Pérez Art Museum Miami
https://www.pamm.org[...]
2023-09-06
[23]
웹인용
La ventana I (The Window) • Pérez Art Museum Miami
https://www.pamm.org[...]
2023-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