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의 국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의 국기는 가로로 빨강, 파랑, 흰색 세 가지 색상의 줄무늬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세르비아의 문장이 위치한다. 국기의 비율은 2:3이다. 색상은 전통적으로 전쟁, 자유, 어머니의 젖을 상징하며, 1835년 이후 세르비아의 국기로 사용되었다. 세르비아의 국기는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사회주의 붉은 별이 추가되기도 했다. 현재는 대통령기와 해군기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국기가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세르비아의 상징 - 쌍두수리
쌍두수리는 고대 근동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국가와 단체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알바니아, 세르비아 등의 국장과 동방 정교회에서 사용되고, 스포츠 클럽 엠블럼으로도 활용된다. - 국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 국기 - 독일의 국기
독일 국기는 검은색, 빨간색, 금색 가로 줄무늬 삼색기로, 자유주의와 통일 독일을 상징하며, 1949년 서독과 동독, 그리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 유럽 -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는 발트 3국 중 가장 큰 국가로, 1009년에 이름이 처음 언급되었고, 1253년 통일 국가를 세운 후 폴란드와의 연합을 거쳐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립, 소련 점령과 재독립을 거쳐 현재는 민주주의 공화국으로 유럽 연합, NATO, OECD 회원국이다. - 유럽 - 벨기에
벨기에는 서유럽에 위치하며, 네덜란드, 독일, 룩셈부르크, 프랑스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를 주로 사용하며, 유럽 연합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창립 회원국으로서, 브뤼셀은 유럽 연합의 주요 기관들이 위치한 도시이다.
세르비아의 국기 | |
---|---|
개요 | |
별칭 | 국기 / Državna zastava |
국기 종류 | |
용도 | 010010 |
비율 | 2:3 |
채택일 | 2004년, 2010년 (표준화) |
디자인 | 적색, 청색, 백색의 가로 삼색기; 중앙에서 약간 왼쪽에 작은 국장이 있음 |
디자이너 | 알 수 없음 |
시민기 | |
별칭 | 시민기 / Narodna zastava |
용도 | 100100 |
비율 | 2:3 |
채택일 | 1835년, 2004년, 2010년 (표준화) |
디자인 | 적색, 청색, 백색의 가로 삼색기 |
언어별 명칭 | |
세르비아어 | застава Србије (zastava Srbije) |
별칭 (세르비아어) | тробојка (trobojka) |
2. 규격과 색상
세르비아의 국기는 가로 세로 비율이 2:3이며, 빨강, 파랑, 흰색 세 가지 색상이 가로로 같은 너비로 배열되어 있다. 국기 중앙에는 세르비아의 소형 문장이 세로로 배치되어 있으며, 깃대 쪽으로 국기 길이의 1/7만큼 이동되어 있다.[22]
각 색상은 공식적인 의미는 없지만, 전통적으로 빨간색은 전쟁에서 흘린 피, 파란색은 자유, 흰색은 어머니의 젖을 상징한다고 알려져 있다.[24]
2. 1. 색상 규정
세르비아의 국기 규격과 색상은 다음과 같다.[22][23]
색상 | 빨강 (줄무늬) | 빨강 (국장) | 파랑 | 노랑 | 검정 |
---|---|---|---|---|---|
팬톤 | 192C | 704C | 280C | 123C | 0 |
CMYK | 0-90-70-10 | 0-90-70-30 | 100-72-0-19 | 4-24-95-0 | 0-0-0-100 |
RGB | 198-54-60 | 161-45-46 | 12-64-118 | 237-185-46 | 33-35-30 |
도식 | 빨강 | 자홍 | 파랑 | 흰색 | 노랑 | 검정 |
---|---|---|---|---|---|---|
팬톤 | 1797C | 704C | 541C | 흰색 | 143C | 검정 |
CMYK | 0-73-69-22 | 0-90-70-30 | 90-46-0-53 | 0-0-0-0 | 4-24-95-0 | 0-0-0-100 |
RGB | 199-54-61 | 161-45-46 | 12-64-119 | 255-255-255 | 237-185-45 | 0-0-0 |
16진법 | #C7363D | #A12D2E | #0C4077 | #FFFFFF | #EDB92E | #000000 |
세르비아의 국기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해 왔다.
위 표에서 자홍색은 대통령 기장과 같이 더 큰 문장의 족제비털 휘장에만 사용된다.
국기 비율은 2:3(높이/너비)이며, 세로로 중앙에 배치되고 깃대 쪽으로 국기 길이의 7분의 1만큼 이동된 소형 문장이 새겨져 있다.[22] 빨강, 파랑, 흰색의 3가지 색상은 각각 가로 줄무늬 형태로 국기 높이의 3분의 1씩 차지한다. 권장 색상에서 흰색과 검정색은 Pantone에 문서화되어 있지 않다.[23] 색상은 공식적으로 지정된 의미가 없지만 전통적으로 빨간색은 전쟁에서 흘린 피, 파란색은 자유, 흰색은 어머니의 젖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24]
3. 역사
1217년부터 1346년까지 존속했던 중세 세르비아 왕국의 국기는 1281년의 기록에 따르면 빨강과 파랑 색상으로 구성되었다.[2] 이후 1346년부터 1371년까지 존속했던 세르비아 제국 시기에는 다양한 형태의 깃발이 사용되었는데, 스테판 두샨 황제는 쌍두 독수리 문양과 함께 붉은색과 노란색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위한 봉기가 일어났던 19세기 초, 세르비아인들은 다양한 형태의 깃발을 사용하였다. 제1차 세르비아 봉기와 제2차 세르비아 봉기에서 사용된 깃발들은 붉은색, 파란색, 흰색을 기본으로 다양한 상징들이 추가된 형태였다.
근대 세르비아 공국이 수립된 후, 1835년 헌법에서는 세르비아 국기를 밝은 빨강, 흰색, 강철색 어두움으로 묘사했다. 그러나 이 헌법은 러시아로부터 프랑스 국기와 유사하다는 비판을 받았고, 이후 "위는 빨강, 중간은 파랑, 아래는 흰색"으로 변경되어 현재 사용되는 세르비아 국기의 기본 형태가 확립되었다.[8] 1882년 세르비아 왕국으로 전환되면서 국기가 변경되었다.국기 사용 기간 설명 -- 중세 세르비아 왕국의 국기 1217년-1346년 -- 세르비아 제국의 국기 1346년-1371년 -- 세르비아 공국의 국기 1835년–1882년 -- 세르비아 공국의 민간 국기 1835년–1882년 -- 세르비아 왕국의 국기 1882년–1918년 -- 세르비아 왕국의 민간 국기 1882년–1918년 -- 세르비아 구국정부의 국기 1941년-1945년 --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 1945년-1992년 -- 세르비아 공화국의 국기 1992년-2004년 -- 세르비아 공화국의 국기 2004년-2010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세르비아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구성하는 공화국 중 하나가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붉은 별이 추가된 삼색기가 사용되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세르비아는 1992년부터 2004년까지 붉은 별이 제거된 삼색기를 사용하다가, 2004년 국장을 추가한 현재의 국기를 채택하였다.
3. 1. 중세 시대
스테판 블라디슬라브 (1233–1243년 재위) 국왕의 아들인 ''주판'' 데사는 코토르에서 두브로브니크로 사절을 보내 라구사에 보관된 국왕의 보물 일부를 되찾아왔는데, 1281년 7월 3일에 실행되었다. 재고 목록에는 "빨강과 파랑 색상의 깃발"이 포함되어 있었다.[2] 이것은 "빨강과 파랑 직물의 깃발"로 묘사되어 있으며, ''zendato'' (čendasr)는 얇고 비단 같은 직물의 일종이다. 이는 세르비아 국기의 색상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가장 오래된 세르비아 국기는 빨강과 파랑이었다.[2] 그러나 이미 1271년에 주판 데사의 국기 색상은 빨강과 흰색이었다. 색상 순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수평 빨강과 파랑 버전은 현대 세르비아에서 중세 테마 행사에 사용되기도 한다.[2]
1326년에 스테판 데찬스키 국왕은 맘루크 술탄국의 알렉산드리아로 사절을 보내 전쟁 깃발로 사용하기 위해 노란색 깃발을 요청했다.[3] 비잔틴 제국은 벨바즈드 전투 (1330)에서 세르비아인들이 여러 개의 전쟁 깃발을 게양했다고 언급했으며, 노란색 깃발도 그 중 하나였을 것이다.
세르비아 국기의 가장 오래된 그림은 안젤리노 덜체르트가 제작한 1339년 지도에서 볼 수 있다. 당시 스테판 두샨 국왕이 통치하던 세르비아는 수도 스코페 (''Scopi'') 위에 빨간색 쌍두 독수리가 그려진 흰색 깃발로 표현되어 있다. 1346년에 황제로 즉위한 두샨은 네 개의 부싯돌을 가진 비잔틴 ''사각별''을 채택했는데, 이는 오늘날까지 세르비아 국기의 요소(세르비아 십자가)가 되었다. 디미트리예 아브라모비치가 본 힐란다르의 깃발은 수도회에서 두샨 황제의 깃발이라고 주장했는데, 상단과 하단에 빨간색, 중앙에 흰색의 삼색기였다. 두샨 황제는 또한 보라색 바탕에 금색 십자가가 있는 제국 ''디벨리온''을 채택했다. 두샨의 또 다른 깃발은 아토스 산의 힐란다르 수도원에 보관된 제국 기병대 깃발로, 빨강과 노랑의 삼각 이색 깃발이었다.
3. 2. 제1차, 2차 세르비아 봉기
제1차 세르비아 봉기 동안 다양한 깃발이 사용되었다. 초기 깃발 중 마테야 네나도비치가 묘사한 깃발은 오늘날의 국기와 최초의 세르비아 국기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이 깃발은 세 개의 흰색 십자가가 있는 적-청-적으로 이루어져 있었다.[4] 단 하나의 세르비아 십자가만 있는 유사한 깃발도 있었다. 봉기의 정규군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상징이 있는 밝은 노란색 깃발을 사용했으며, 보이보드 깃발은 종종 적백색이었고, 검은색 두 머리 독수리가 겹쳐져 있었다. 또한 적황색, 적백청색, 적청색 등 다른 색상의 깃발도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색상과 함께 1741년 흐리스토포르 제파로비치의 저서 ''스템마토그래피아''에서 가장 흔히 차용된 다양한 상징이 깃발에 나타났다. 깃발에서 가장 흔한 상징은 세르비아 십자가였고, 그 다음으로는 티모크 계곡(트리발리아)의 문장과 기타 다양한 십자가가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깃발은 스렘스키 카를로비치에서 세르비아 화가 스테판 가브릴로비치, 일리야 가브릴로비치, 니콜라 아포스톨로비치가 디자인하였다. 제2차 세르비아 봉기에도 이와 유사한 깃발들이 사용되었으며, 이 봉기의 가장 잘 알려진 깃발은 중앙에 큰 빨간색 그리스 십자가가 있는 흰색 깃발인 타코보 깃발이었다.[5]
3. 3. 근대 세르비아 공국 및 왕국
1835년 스레테네 헌법은 세르비아 국기의 색상을 밝은 빨강, 흰색, 그리고 ''čelikasto-ugasita''(이는 ''강철색 어두움''으로 번역될 수 있음)로 묘사했다.[6] 이 헌법은 특히 러시아로부터 비판을 받았고, 국기는 혁명적인 프랑스 국기와 유사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7] 그 후 곧 밀로슈 오브레노비치는 오스만 포르테에 새로운 헌법이 국기와 문장에 관한 조항을 포함하도록 요청했고, 이후의 페르만은 세르비아인들이 자체 해상 국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 이는 "위는 빨강, 중간은 파랑, 아래는 흰색"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오늘날 사용되는 색상의 첫 번째 등장이다.[8]
현재 세르비아 국기의 색상은 1835년 이후 러시아 국기의 상징성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이 색상은 러시아 국기의 색상과 반대이며, 세르비아에는 그 이유를 설명하려는 다양한 대중적인 이야기가 존재한다.[9]
세르비아는 1835년부터 1918년까지 적색, 청색, 백색 삼색기를 국기로 지속적으로 사용했으며, 1918년 세르비아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합병된 후 주권 국가로서의 지위를 상실하면서, 이후 유고슬라비아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삼색기는 1918년부터 1945년까지 세르비아의 민간 국기로도 사용되었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이 세르비아에 대한 연대의 표시로 워싱턴 D.C.의 백악관에 세르비아 국기를 게양하기도 했다.[10][11][12][13]
국기 | 사용 기간 | 설명 | |
---|---|---|---|
-- | 세르비아 공국의 국기 | 1835년–1882년 | |
-- | 세르비아 공국의 민간 국기 | 1835년–1882년 | |
-- | 세르비아 왕국의 국기 | 1882년–1918년 | |
-- | 세르비아 왕국의 민간 국기 | 1882년–1918년 |
3. 4. 유고슬라비아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는 6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개편되었으며, 그 중 하나가 세르비아였다. 각 공화국은 사회주의 붉은 별을 포함하는 조건으로 자체 국기를 가질 자격이 있었다.[14] 유고슬라비아 공화국의 국기 표준화로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는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와 동일했는데, 이는 각각 세르비아 왕국과 몬테네그로 왕국의 삼색기를 계속 사용했기 때문이다. 유고슬라비아 붕괴 이후, 세르비아는 처음에는 유고슬라비아 공화국으로서 세르비아 국기를 계속 사용했다.1945년부터 1992년까지는 가로 세로 비율이 1:2였으며, 중앙에는 사회주의를 나타내는 노란색 테두리의 붉은 오각별이 있었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성립부터 2004년 7월 11일까지 몬테네그로에서도 거의 같은 배색의 국기를 사용했다. 세로 가로 비율은 1:3이었고, 가운데 파란색이 약간 밝은 색이었지만, 몬테네그로인과 세르비아인의 차이를 강조하는 여론에 동조하여 2004년 7월 12일에 국기를 변경했다.
유고슬라비아 시대의 공산당 정권 하에서는 세르비아와 같은 세로 가로 비율 1:2의 삼색기에 붉은 별을 장식한 것을 사용했다.
4. 국기 및 국장 관련 논란
세르비아의 국기 및 국장은 19세기 민족 운동 과정에서 세르비아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제정되었다. 따라서 세르비아인 혹은 세르비아인과 혈통이 가깝다고 여겨지는 민족이 주요 지위를 차지하는 여러 국가에서 이와 비슷한 배색의 국기가 사용되거나, 과거에 사용되었다.
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서포터들이 세르비아 국기를 흔들며 자국 대표팀을 응원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2006년 몬테네그로와 분리됨에 따라, 유엔 각 기구 본부에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 대신 세르비아 국기가 게양되었다.[1] 또한, 스포츠 경기의 국제 대회에서도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2] 국장이 없는 깃발이 사용되기도 한다.[3]
1945년부터 1992년까지는 가로 세로 비율이 1:2였으며, 중앙에는 사회주의를 상징하는 노란색 테두리의 붉은 오각별이 있었다.[4] 1992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성립부터 2004년 7월 11일까지 몬테네그로에서도 거의 같은 배색의 국기를 사용했다.[5] 세로 가로 비율은 1:3이었고, 가운데 파란색이 약간 밝은 색이었지만, 몬테네그로인과 세르비아인의 차이를 강조하는 여론에 따라 2004년 7월 12일에 국기를 변경했다.[6]
유고슬라비아 시대 공산당 정권 하에서는 세르비아와 같은 세로 가로 비율 1:2의 삼색기에 붉은 별을 장식한 것을 사용했다.[7]
크라이나 세르비아인 공화국은 1991년 크로아티아 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의 국경 근처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 주민들이 크로아티아 독립에 반대하여 세운 국가이다.[8] 국기는 세르비아와 같은 배색으로 세로 가로 비율은 1:2였다.[9] 1995년 크로아티아의 "폭풍 작전"으로 수도 크닌이 점령당하여 해체되었다.[10]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일부인 세르비아 공화국에서도 세르비아와 같은 배색의 가로 삼색기가 사용되고 있다.[11] 이전 국기의 배색은 세르비아와 같았지만, 국장은 세르비아와 약간 달랐다.[12]
이전에는 가로 세로 비율이 2:3으로, 세르비아 국기에서 국장을 제외한 것과 동일했다.[13] 그러나 헌법 문제를 야기했기 때문에, 2006년 10월부터는 가로 세로 비율이 1:2로 변경되었다.[14]
세르비아 공화국은 세르비아인이 인구의 약 3/4를 차지하는 다수이지만, 이슬람교 보스니아인(약 10%)과 크로아티아인(소수)도 거주한다.[15] 그러나 이 국기와 국장은 모두 세르비아인의 상징만을 게양하고 있어, 세르비아인 이외 주민의 존재를 무시한다는 이유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헌법 재판소는 공화국 정부에 2006년 3월 31일 이후 6개월 이내에 국기와 국가를 개정할 것을 요청했다.[16]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서는 국기·국장에 세르비아인의 상징이 게양되어 있지 않다.[17]
아르헨티나 미시오네스 주의 주기와 도안이 같지만, 가로 세로 비율이 다르다.[18]
5. 그 외의 국기
- - 비율 2:3
5. 1. 대통령기 및 국회의장기
공화국 대통령과 국민의회 의장은 각자의 기를 사용한다.[37]5. 2. 해군기
6. 파생된 국기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 삼색기에서 영감을 받은 다양한 파란색 음영의 기를 사용했다. 이 기는 몬테네그로의 민족 의상에서 유래되었다.[38][39]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 동안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공화국은 세르비아의 기와 동일한 패턴과 색상 배열의 기를 사용했다. 몬테네그로는 1993년에 기의 비율과 파란색 음영을 변경하여 기를 변경했으며 2004년까지 해당 기를 사용했다.
세르비아 삼색기는 또한 유고슬라비아 전쟁 동안 스릅스카 공화국과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의 분리주의 영토의 기초가 되었다. 스릅스카 공화국 기는 여전히 세르비아 삼색기이며,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인 기도 마찬가지이다.[38][39]
기 | 설명 | 사용 기간 |
---|---|---|
-- | 몬테네그로 공국 및 몬테네그로 왕국의 국기 | 1905년–1918년 |
-- | 몬테네그로 공국 및 몬테네그로 왕국의 민간 기 | 1905년–1918년 |
-- |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의 기 | 1946년–1992년 |
-- | 몬테네그로 공화국의 기 | 1992년–2004년 |
-- |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의 기 | 1992년–1995년 |
-- | 스릅스카 공화국의 기 |
1992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성립부터 2004년 7월 11일까지 몬테네그로에서도 거의 같은 배색의 국기를 사용했다. 세로 가로 비율은 1:3이었고, 가운데 파란색이 약간 밝은 색이었지만, 몬테네그로인과 세르비아인의 차이를 강조하는 여론에 동조하여 2004년 7월 12일에 국기를 변경했다.
유고슬라비아 시대의 공산당 정권 하에서는 세르비아와 같은 세로 가로 비율 1:2의 삼색기에 붉은 별을 장식한 것을 사용했다.
크라이나 세르비아인 공화국은 1991년에 크로아티아 내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의 국경에 비교적 가까운 지역에 존재했던 세르비아인 거주 구역의 주민들이 크로아티아의 독립에 반대하여 세운 국가이다. 국기는 세르비아와 같은 배색으로 세로 가로 비율은 1:2였다. 크라이나 세르비아인 공화국은 1995년 크로아티아의 "폭풍 작전"으로 수도 크닌이 점령당하여 해체되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일부를 구성하는 세르비아 공화국에서도 세르비아와 같은 배색의 가로 삼색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전부터 국기의 배색은 세르비아와 같았지만, 국장은 세르비아와 약간 다르다.
이전에는 가로 세로 비율이 2:3으로, 세르비아의 국기에서 국장을 제외한 것과 동일했다. 그러나 헌법 문제를 야기했기 때문에, 2006년10월부터는 가로 세로 비율이 1:2로 변경되었다.
7. 국기 프로토콜
국가 기(사실상의 국가 기)는 항상 국영 건물 입구에 게양된다. 국회는 회의 중이거나 국경일 동안에만 게양한다. 보이보디나와 코소보와 메토히야 자치주의 기관들은 국경일에만 게양한다.[25] 세르비아에 중요한 행사를 기념하는 행사 및 기타 엄숙한 행사, 그리고 기타 경우에도 게양할 수 있다.[26] 국가 애도 기간 동안에는 자치주 기관, 지방 기관 및 공공 서비스 기관을 포함하여 조기 게양된다.[27] 국가 기관 선거가 열리는 동안에는 선거 투표소에 국기를 게양해야 하며,[28] 혼인을 위한 민원 등록소에도 게양해야 한다. (이때 주례는 국기 색상의 띠를 착용해야 한다).[29]
세르비아의 민간 기는 국회 입구와 자치주 기관 및 공공 서비스 기관에 항상 게양된다. 지방 또는 지역 기관 선거가 열리는 동안에는 선거 투표소에 게양해야 한다.[30] 또한 축하 행사, 기타 문화 또는 스포츠 행사, 그리고 기타 경우에도 게양할 수 있다.[31]
국가 기와 민간 기는 모두 땅에 닿도록 게양하거나, 받침대, 식탁보, 카펫 또는 커튼으로 사용하거나, 차량 또는 기타 물체를 덮거나, 연단이나 테이블을 장식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단, 탁상용 기는 예외이다.[32] 손상되었거나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33] 악천후에는 국기를 게양하지 않으며, 조명이 없는 한 낮에만 게양한다.[34]
국기가 탁자나 기타 위치에 세로로 게양되는 경우, 윗부분은 보는 사람의 왼쪽에 있다. 거리에 세로로 게양되는 경우, 거리가 동서 방향이면 북쪽에, 남북 방향이거나 원형 광장이면 동쪽에 윗부분이 위치해야 한다.[35]
법은 세르비아 국기를 다른 국기와 함께 표시하는 방법을 정의하며, 국가 기와 다른 종류의 국기 간에는 차이가 없다. 국기를 다른 국기와 함께 게양하는 경우, 다른 국가 또는 국제기구 대표의 공식 방문을 제외하고는 항상 보는 사람의 왼쪽에 게양된다. 방문객의 국기는 보는 사람의 왼쪽에 게양된다. 국기를 엇갈린 깃대에 함께 게양하는 경우, 세르비아 국기의 깃대가 앞에 위치해야 한다.[36]
세르비아 국기를 두 개의 국기와 함께 게양하는 경우, 가운데에 위치해야 한다.[36]
국기를 여러 개의 국기와 함께 게양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뉴스
Grb Srbije: Dvoglavi orao menja perje
http://www.novosti.r[...]
[2]
웹사이트
Nije bila trobojka: Ovako je izgledala najstarija srpska zastava
https://www.b92.net/[...]
2020-09-14
[3]
서적
[4]
웹사이트
Memoari
[4]
웹사이트
Obeleženo 210 godina od Prvog srpskog ustanka
https://srpska.pravo[...]
2014
[4]
웹사이트
U znak sećanja na ustanike valjevskog kraja
https://www.valjevsk[...]
2019
[5]
웹사이트
Principality of Serbia (1830–1882) FOTW
http://flagspot.net/[...]
[6]
서적
http://scc.digital.n[...]
Princedom of Serbia
2011-06-18
[7]
간행물
Suspendovanje prvog srpskog ustava februar-mart 1835 god.
[8]
서적
Javno pravo Knjazevstva Srbije
[9]
뉴스
Hej, Bože pravde!
http://www.novosti.r[...]
2007-04-17
[10]
웹사이트
The Day when the Serbian and U.S. Flags Flew Together over the White House
https://rs.usembassy[...]
2020-03-22
[11]
웹사이트
Amerikanci se dive Srbima: "Zbog jednog od vas, na Beloj kući je pre 100 godina bila srpska zastava" (VIDEO)
https://www.telegraf[...]
2018-07-22
[12]
뉴스
SRPSKA ZASTAVA VIJORILA SE NA BELOJ KUĆI PRE TAČNO 100 GODINA: Evo kako je došlo do ovog istorijskog događaja
https://www.kurir.rs[...]
[13]
트윗
Zahvaljujući jednom od vas pre sto...
2018-07-22
[14]
웹사이트
Yugoslav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http://fotw.vexillum[...]
[15]
문서
1990 Constitution of Serbia, Article 5
[16]
문서
1990 Constitution of Serbia, Article 133
[17]
문서
Recommendation on the use of the Flag of Serbia ("Official Gazette of Serbia", No. 49/1992.)
[18]
문서
2006 Constitution of Serbia, Article 7
[19]
서적
[20]
웹사이트
Srbija i dalje sa dva grba
https://www.b92.net/[...]
2013-10-26
[21]
웹사이트
Bosnia's 'Foreign' Flag Still Draws Mixed Feelings
http://www.balkanins[...]
2017
[22]
웹사이트
Препорука о коришћењу грба, заставе и химне Србије
http://www.parlament[...]
[23]
웹사이트
Standards of Flag and Coat of Arms, Parliament of Serbia
http://www.srbija.go[...]
[24]
웹사이트
National symbols
https://www.srbija.g[...]
2024-01-01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문서
Family Law, article 299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웹사이트
The FAME: Republic of Srpska
https://zeljko-heime[...]
2018-03-18
[39]
웹사이트
Odluka o zastavi srpske nacionalne manjine u Republici Hrvatskoj
https://web.archive.[...]
2013-04-16
[40]
서적
セルビアの国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