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도전동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도 전동기는 회전 자기장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전기 모터로, 1824년 프랑수아 아라고에 의해 회전 자기장의 존재가 공식화된 후, 갈릴레오 페라리스와 니콜라 테슬라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명되었다. 고정자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은 회전 자기장을 생성하고, 회전자는 고정자 자기장보다 약간 느린 속도로 회전하여 토크를 발생시킨다. 유도 전동기는 단상과 삼상으로 나뉘며, 농형과 권선형 회전자를 사용한다. 속도 제어는 주파수, 극수, 전압, 2차 저항 제어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유도 전동기는 기동 토크가 크고 효율이 높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류전동기 -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는 회전자에 영구자석을 사용하여 고효율,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며, 2차 동손이 없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속도 제어 정밀도가 우수하지만, 전용 인버터가 필요하고 특정 조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철도 차량, 전기 자동차, 가전 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교류전동기 - 반발 전동기
    반발 전동기는 회전자의 권선이 정류자에 연결되고 브러시 위치를 변경하여 속도와 회전 방향을 제어하며, 고정자와 회전자 간의 자기장 반발 작용으로 작동하는 교류 전동기이다.
  • 유도 전동기 - 농형 3상 유도전동기
    농형 3상 유도전동기는 19세기 말에 개발되어 3상 전류로 회전 자기장을 만들어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구조로, 구조가 단순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만 시동 토크가 작고 회전 속도 조정 범위가 좁다는 특징을 가진다.
  • 유도 전동기 - 동기전동기
    동기전동기는 고정자의 교류 전류로 만들어진 회전 자계와 회전자의 자계가 동기되어 회전하는 전동기로, 효율이 높고 속도 유지가 안정적이며, 여자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뉘고 전력 시스템의 역률 개선에도 활용된다.
  • 전동기 - 직류전동기
    직류 전동기는 전류와 자기장의 상호 작용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로, 고정자 자석, 정류 방식, 회전자에 따라 분류되며 전기 자동차, 철도 등에서 활용되고 속도 제어가 용이하다.
  • 전동기 - 사이리스터 위상제어
    사이리스터 위상 제어는 사이리스터의 점호 위상 조절을 통해 교류 전압을 제어하는 방식이지만, 고조파 발생으로 필터 회로가 필요하며, 과거 전기 철도 차량 제어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VVVF 인버터 제어로 대체되고 일부에서만 사용된다.
유도전동기
기본 정보
유도 전동기의 구조도
유도 전동기의 구조도
종류AC 전동기
작동 원리전자기 유도
속도비동기 속도
주요 특징간단한 구조
높은 신뢰성
넓은 사용 범위
구조 및 작동 원리
고정자 (Stator)전기자 권선이 배치되어 회전 자계를 발생시키는 부분
교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 자계를 생성
회전자 (Rotor)고정자에서 발생한 회전 자계에 의해 유도 전류가 흘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부분
회전자는 농형과 권선형으로 구분
작동 원리고정자 권선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면 회전 자계가 발생
이 회전 자계가 회전자 권선에 쇄교하여 유도 기전력을 발생
회전자 권선에 유도된 기전력에 의해 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와 회전 자계의 상호 작용으로 회전력 발생
회전자는 회전 자계의 방향으로 회전
종류
농형 유도 전동기 (Squirrel-cage induction motor)회전자 도체가 케이지 형태로 구성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가격이 저렴
기동 토크가 작고, 속도 제어가 어려움
일반적인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
권선형 유도 전동기 (Wound-rotor induction motor)회전자 권선이 외부 저항과 연결
기동 토크가 크고, 속도 제어가 용이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쌈
크레인, 엘리베이터 등 높은 기동 토크가 필요한 곳에 사용
단상 유도 전동기 (Single-phase induction motor)단상 교류 전원을 사용하는 유도 전동기
기동 토크가 없어 별도의 기동 장치가 필요
가정용 기기 등에 주로 사용
특징
장점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함
유지 보수가 용이함
가격이 저렴함
효율이 높음
단점속도 제어가 어려움
기동 토크가 작음 (농형)
역률이 나쁨
응용 분야
제어 방법
VVVF 제어 (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control)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제어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속도 제어 방식
인버터를 사용하여 전압과 주파수를 가변
벡터 제어 (Vector control)전동기의 전류를 크기와 위상으로 제어하여 토크와 자속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방식
높은 정밀도의 속도 및 토크 제어가 가능
고급 제어 기술이 필요
직접 토크 제어 (Direct Torque Control, DTC)전동기의 토크와 자속을 직접 제어하는 방식
빠른 응답성과 높은 효율을 제공
복잡한 제어 알고리즘이 필요
관련 표준
IEC 60034회전 전기 기계
NEMA MG 1전동기 및 발전기
기타 정보
슬립 (Slip)동기 속도와 회전자 속도의 차이
효율 (Efficiency)입력 전력 대비 출력 전력의 비율
역률 (Power factor)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에 의해 결정되는 값

2. 역사

세르비아 테슬라 박물관에 있는 니콜라 테슬라의 첫 번째 유도 전동기 모형


단 세 개의 적층판만 보이는 다람쥐 쳇바퀴형 회전자 구조


유도 전동기의 역사는 19세기 후반, 여러 과학자와 엔지니어들의 독립적인 연구와 발명으로 시작되었다.

1824년, 프랑스 물리학자 프랑수아 아라고는 회전 자기장의 존재를 공식화했으며, 이를 아라고의 회전이라고 명명했다. 1879년 월터 베일리는 스위치를 수동으로 켜고 끄는 방식으로 이를 시연했는데, 이는 사실상 최초의 원시적인 유도 전동기였다.[2]

최초의 정류자가 없는 단상 교류 유도 전동기는 헝가리 엔지니어 블라티 오토가 발명했다. 그는 단상 전동기를 사용하여 자신의 발명품인 전기 계량기를 구동했다.[9]

최초의 교류 정류자가 없는 다상 유도 전동기는 갈릴레오 페라리스와 니콜라 테슬라가 독립적으로 발명했으며, 전자는 1885년에, 후자는 1887년에 작동하는 전동기 모형을 시연했다. 테슬라는 1887년 10월과 11월에 미국 특허를 신청했고, 1888년 5월에 이 중 일부 특허를 받았다. 1888년 4월, ''토리노 왕립 과학 아카데미''는 페라리스의 교류 다상 전동기 연구를 발표하여 전동기 작동의 기초를 상세히 설명했다.[5] 1888년 5월, 테슬라는 ''미국 전기 기술자 협회''(AIEE)에 기술 논문 ''교류 전동기 및 변압기를 위한 새로운 시스템''을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는 세 가지 형태의 4극자 고정자 전동기를 설명했다.

당시 교류 전력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던 조지 웨스팅하우스는 1888년에 테슬라의 특허를 라이선스하고, 페라리스의 유도 전동기 개념에 대한 미국 특허 옵션을 구매했다.[17] 테슬라는 1년 동안 컨설턴트로 고용되기도 했다. 웨스팅하우스 직원이던 C. F. 스콧은 테슬라를 돕도록 배정되었고, 나중에 웨스팅하우스에서 유도 전동기 개발을 맡았다.[12] 미하일 돌리보-도브로볼스키는 1889년에 농형 회전자 유도 전동기를, 1890년에 삼각 코어 변압기를 발명했다. 그는 테슬라의 전동기가 2상 맥동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고 주장하며, 삼상 연구를 지속하도록 했다.[23] 웨스팅하우스는 1892년에 첫 번째 실용적인 유도 전동기를 개발했고, 1893년에 일련의 다상 60 헤르츠 유도 전동기를 개발했지만, 초기 웨스팅하우스 전동기는 2상 전동기였다.[12]

제너럴 일렉트릭 컴퍼니(GE)는 1891년에 삼상 유도 전동기 개발을 시작했다.[12] 1896년까지 제너럴 일렉트릭과 웨스팅하우스는 바 권선 회전자 디자인(나중에 다람쥐 쳇바퀴형 회전자라고 불림)에 대한 교차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12] 아서 E. 케넬리는 AC 문제 분석에서 90º 회전 연산자를 나타내기 위해 복소수를 처음으로 밝혀냈다.[24] GE의 찰스 프로테우스 스타인메츠는 유도 전동기 스타인메츠 등가 회로라는 분석 모델을 개발했다.[12]

이러한 발명과 혁신에서 비롯된 유도 전동기 개선으로 인해, 현대 100-마력 유도 전동기는 1897년의 7.5마력 전동기와 동일한 장착 치수를 갖게 되었다.[12]

2. 1. 대한민국에서의 유도 전동기 역사

일제강점기에 유도 전동기가 도입되어 광산, 방직 공장 등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해방 이후, 한국전쟁으로 인해 산업 시설이 파괴되었으나, 1960년대부터 경제 개발 계획이 추진되면서 유도 전동기 생산이 본격화되었다.

19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에 따라 대규모 산업 시설이 건설되면서 고성능 유도 전동기 수요가 증가했다. 1980년대, 전자 기술 발전과 함께 인버터 제어 방식이 도입되어 유도 전동기의 효율과 성능이 향상되었다. 1990년대 이후, 대한민국은 유도 전동기 생산 기술력을 확보하고 세계 시장에 진출하였다.

최근에는 에너지 효율 규제 강화와 친환경 정책 추진으로 인해 고효율 유도 전동기 개발 및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3. 작동 원리

3상 전원은 유도 전동기에서 회전 자기장을 제공한다.


본질적인 슬립 - 고정자 필드와 회전자의 불균등한 회전 주파수


유도 전동기와 동기 전동기에서, 전동기의 고정자에 공급되는 교류 전력은 교류 진동에 맞춰서 회전 자기장을 생성한다.[28] 동기 전동기의 회전자는 고정자 자기장과 같은 속도로 회전하는 반면,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는 고정자 자기장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유도 전동기 고정자의 자기장은 회전자에 대해서 변화하거나 회전한다. 이것은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에 대향하는 전류를 유도하며, 실제로 전동기의 2차 권선은 외부 임피던스를 통해 단락되거나 닫힐 때 발생한다. 회전 자속은 회전자의 권선에 자기 선속을 유도하며,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유도된 전류와 유사한 방식으로 전류를 흐르게 한다.[29]

회전자 권선의 전류는 회전자에서 고정자 자기장에 반응하는 자기장을 생성한다. 렌츠의 법칙에 따라 생성된 자기장의 방향은 회전자 권선을 통한 전류의 변화에 반대하는 것과 같다. 회전자 권선에서 유도 전류의 원인은 회전하는 고정자 자기장이다. 회전자 권선 전류의 변화에 맞서기 위해 회전자는 회전하는 고정자 자기장의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회전자는 유도 회전자 전류와 토크의 크기가 하중의 균형을 이룰 때까지 가속화한다.

회전자 전류가 유도되려면, 물리적 회전자의 속도가 고정자의 회전 자기장(n_s)보다 낮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기장이 회전자 도체에 대해 움직이지 않아 전류가 유도되지 않는다. 동기 속도로 회전하면 회전자 전류가 유도되지 않으므로, 유도 전동기는 항상 동기 속도보다 약간 느리게 작동한다. 실제 속도와 동기 속도 사이의 차이를 "슬립"이라 하며, 표준 B형 설계 토크 곡선 유도 전동기의 경우 약 0.5%에서 5.0%까지 다양하다.[30]

유도 전동기는 유도 발전기로 사용될 수 있으며, 펼쳐서 직접 선형 운동을 생성할 수 있는 선형 유도 전동기를 형성할 수 있다.

3. 1. 동기 속도

슬립에 따른 일반적인 토크 곡선, 여기서는 "g"로 표시


교류 전동기의 동기 속도 n_s는 고정자 자계의 회전 속도이다.

동기 속도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된다.

:n_s={2f\over{p}}

여기서 f는 전동기 공급 장치의 주파수이며, p는 자극의 수이고 n_sf는 동일한 단위이다.

f를 단위 헤르츠로, 분당 회전수에서 n_s로 하면 공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n_s={2f\over{p}} \cdot \left(\frac{60\ \mathrm{s}}

{\mathrm{min}}\right)={120f\over{p}} \cdot \left(\frac{\mathrm{s}}

{\mathrm{min}}\right)

  • 극수: 고정자의 자극 수. (예: N, S가 2쌍 있으면 4극)
  • 주파수: 고정자 권선의 교류 주파수.
  • 동기 속도: 회전 자계의 속도.

3. 2. 슬립



슬립(s)은 동기 속도와 작동 속도의 차이를 나타내며, 동일한 주파수에서 rpm, % 또는 동기 속도 비율로 표현된다. 슬립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된다.[34][35]

:s = \frac{n_s-n_r}{n_s}\,

여기서 n_s는 고정자의 회전 자계 속도(동기 속도)이고, n_r는 회전자 기계 속도이다. 슬립은 회전자가 정지했을 때 1, 동기 속도에서 0이 되며 전동기의 토크를 결정한다. 단락된 회전자 권선은 저항이 작기 때문에, 작은 슬립도 회전자에서 큰 전류를 유도하고 상당한 토크를 생성한다.[36] 정격 부하에서 슬립은 소형 또는 특수 목적 전동기의 경우 5% 이상, 대형 전동기의 경우 1% 미만으로 다양하다.[37] 이러한 속도 변화는 크기가 다른 전동기가 기계적으로 연결될 때 부하 분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37] 슬립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VFD)가 종종 최상의 솔루션을 제공한다.[37]

유도 전동기는 동기 전동기나 직류기와 같이 별도로 여자(勵磁)되지 않고, 영구 자석 전동기처럼 자기 소자(消磁)되지 않으며, 오직 유도에 의해서만 회전력을 얻는다.

회전자 전류가 유도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회전자의 속도가 고정자의 회전 자계 속도보다 낮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계가 회전자의 도체에 대해 이동하지 않아 전류가 유도되지 않는다. 회전자의 속도가 동기 속도 이하가 되면, 회전자 내의 자계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권선에 더 많은 전류가 유도되어 더 큰 토크가 발생한다. 이때 회전자에 유기되는 자계의 회전 속도와 고정자의 회전 자계 회전 속도의 비를 "슬립"이라고 한다. 부하가 걸리면 회전 속도가 감소하고 슬립이 증가하여 부하를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토크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유도 전동기는 "비동기 전동기"라고도 불린다.

동기 속도로 회전하면 회전자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유도 전동기는 항상 동기 속도보다 약간 느린 속도로 동작한다. 실제 속도와 동기 속도의 차이를 "슬립"이라고 하며, 표준적인 디자인 B의 토크 곡선을 갖는 유도 전동기에서는 약 0.5%에서 5.0% 범위에서 변화한다.

4. 구조



유도 전동기는 크게 고정자회전자로 구성된다. 고정자는 전동기 몸체에 고정되어 회전 자기장을 생성하고, 회전자는 고정자 내부에 위치하며 회전 자기장에 의해 유도 전류가 발생하여 회전력을 얻는다.

  • '''고정자(Stator)''': 전동기 몸체에 고정되어 회전 자기장을 생성한다.
  • '''회전자(Rotor)''': 고정자 내부에 위치하며, 회전 자기장에 의해 유도 전류가 발생하여 회전력을 얻는다.


단상 교류는 자체로 회전 자계를 만들 수 없지만, 삼상 유도 전동기에서는 고정자 권선을 약 2/3 정도로 줄여 단상 권선으로 하고, 별도의 시동 방법을 통해 기동한다. 보조 권선을 주 권선과 직교하는 장소에 감아 콘덴서나 코일로 전류 위상을 어긋나게 하거나, 단락환 대신 정류자를 사용하여 기동 토크를 얻는다(반발 전동기).

4. 1. 고정자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는 철심과 권선으로 구성된다. 철심은 얇은 규소 강판을 여러 겹 쌓아 만들어지며, 자기 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권선은 철심의 슬롯에 감겨 있으며,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자기장을 생성한다. 자기장의 분포를 최적하기 위해 권선은 N극과 S극의 동일한 수를 지닌 자계와 고정자 슬롯 주위에 분포된다.

4. 2. 회전자

회전자는 농형(Squirrel-cage)과 권선형(Wound-rotor)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농형 회전자는 구조가 단순하고 튼튼하여 대부분의 유도 전동기에 사용된다. 권선형 회전자는 슬립링과 브러시를 통해 외부 저항을 연결하여 기동 특성 및 속도 제어를 할 수 있다.[30]

고정자는 원통형 철심에 축 방향으로 홈을 새겨 권선을 수용하지만, 회전자는 회전축에 고정된 원통형 철심에 축 방향으로 약간 비스듬하게 홈을 새겨 도체봉 또는 권선을 수용한다. 회전자는 양단을 단락시킨 농형 삼상 유도 전동기와 세 조의 권선을 Y결선으로 교차시킨 권선형 삼상 유도 전동기로 구성된다. 권선형의 경우, 회전자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각 권선의 시단을 단락하고, 종단을 축상에 설치한 슬립링이라는 절연된 도체환에 접속하여 인공 흑연제의 브러시를 통해 외부로 인출해 놓았다. 누설 자속에 의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자와 회전자는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어 고정자와 회전자 간의 간극은 동기 전동기보다 좁다.

5. 종류

유도 전동기는 전원 공급 방식에 따라 단상 유도 전동기와 삼상 유도 전동기로 분류된다.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는 회전자를 관통하는 자기장을 유도하기 위해 공급 전류를 전달하는 극으로 구성된다. 자기장의 분포를 최적화하기 위해 권선은 고정자 주위의 슬롯에 분포되어 있으며, 자기장은 동일한 수의 북극과 남극을 갖는다. 유도 전동기는 가장 일반적으로 단상 또는 3상 전원으로 구동되지만 2상 전동기도 존재한다. 이론적으로 유도 전동기는 어떤 수의 상이라도 가질 수 있다.[43]

업계 전반에 걸쳐 표준화된 NEMA 및 IEC 전동기 프레임 크기는 샤프트, 발 장착, 일반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특정 전동기 플랜지 측면에 대한 호환 가능한 치수를 제공한다. 개방형 방적(ODP) 전동기 설계는 외부에서 내부 고정자 권선으로 자유로운 공기 교환을 허용하므로 이 스타일의 전동기는 권선이 더 시원하기 때문에 약간 더 효율적인 경향이 있다. 주어진 정격 전력에서 낮은 속도는 더 큰 프레임을 필요로 한다.[43]

3상 전동기는 위상 연결 중 두 개를 서로 바꿔 연결하여 회전 방향을 바꿀 수 있다. 회전 방향을 정기적으로 변경해야 하는 전동기(예: 호이스트)는 필요에 따라 회전을 반전시키기 위해 제어기에 추가적인 전환 접점을 갖추고 있다.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는 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압의 위상 순서를 전자적으로 변경하여 거의 항상 회전 반전을 허용한다.

유도 전동기의 역률은 부하에 따라 변동하며, 일반적으로 전부하에서 약 0.85 또는 0.90에서 무부하 시 약 0.20까지 낮아진다.[49] 이는 고정자 및 회전자 누설 리액턴스와 여자 리액턴스 때문이다.[44] 역률은 개별 모터에 또는 여러 모터를 커버하는 공통 버스에 커패시터를 연결하여 개선할 수 있다. 경제적 및 기타 고려 사항으로 인해 전력 시스템은 거의 역률 1로 보정되지 않는다.[50]

고조파 전류가 있는 전력 커패시터 적용에는 커패시터와 변압기 및 회로 리액턴스 간의 고조파 공진을 피하기 위한 전력 시스템 분석이 필요하다.[45] 공진 위험을 최소화하고 전력 시스템 분석을 단순화하기 위해 공통 버스 역률 보정을 권장한다.

5. 1. 단상 유도 전동기

단상 유도 전동기는 시동 시 회전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메커니즘이 필요하다.[43] 다람쥐 꼬리형 회전자 권선을 사용하는 유도 전동기는 각 회전에서 토크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회전자 막대를 약간 기울일 수 있다. 2개의 권선을 가진 많은 단상 전동기는 축전기(콘덴서)가 단상 전원으로부터 90° 떨어진 두 번째 전력 상을 생성하여 이를 두 번째 전동기 권선에 공급하기 때문에 2상 전동기로 볼 수 있다.[43]

단상 분상 전동기에서 회전 반전은 기동 권선의 연결을 반전시켜 수행된다. 일부 전동기는 설치 시 회전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동 권선 연결부를 밖으로 빼놓는다. 기동 권선이 전동기 내부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회전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 단상 셰이디드 폴 전동기는 두 번째 세트의 셰이딩 권선이 제공되지 않는 한 고정된 회전 방향을 갖는다.[43]

  • 종류
  • * 분상 기동형 전동기
  • * 축전기(콘덴서) 기동형 전동기
  • ** 상시 콘덴서를 접속한 채로 사용하는 전동기를 특히 콘덴서 모터라고 한다.
  • * 음영극형 유도 전동기
  • * 반발 기동형 전동기

5. 2. 삼상 유도 전동기



유도 전동기와 동기 전동기 모두에서, 전동기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은 교류 진동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자기장을 생성한다. 동기 전동기의 회전자는 고정자 자기장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반면,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는 고정자 자기장보다 약간 느린 속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유도 전동기 고정자의 자기장은 회전자에 대해 변화하거나 회전하고 있다. 이는 전동기의 2차 권선과 같은 효과로, 회전자에서 반대 방향의 전류를 유도한다.[28] 회전하는 자기 선속변압기의 2차 권선에서 유도되는 전류와 유사한 방식으로 회전자 권선에 전류를 유도한다.[29]

회전자 권선에서 유도된 전류는 차례로 고정자 자기장에 반작용하는 회전자에서 자기장을 생성한다. 회전자의 자기장 방향은 렌츠의 법칙에 따라 회전자 권선을 통한 전류의 변화에 반대한다. 회전자 권선에서 유도 전류의 원인은 회전하는 고정자 자기장이므로, 회전자 권선 전류의 변화에 반대하기 위해 회전자는 고정자 자기장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자는 유도된 회전자 전류와 토크의 크기가 회전자에 가해지는 부하와 균형을 이룰 때까지 가속한다. 동기 속도로 회전하면 회전자 전류가 유도되지 않으므로 유도 전동기는 항상 동기 속도보다 약간 느리게 작동한다. 실제 속도와 동기 속도 사이의 차이 또는 "슬립"은 표준 B형 설계 토크 곡선 유도 전동기의 경우 약 0.5%에서 5.0%까지 다양하다.[30] 유도 전동기의 본질적인 특성은 토크가 동기 또는 직류 기계에서와 같이 회전자가 별도로 여자되거나 영구 자석 전동기에서와 같이 자체 자화되는 대신, 전적으로 유도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이다.[28]

회전자 전류가 유도되려면, 물리적 회전자의 속도가 고정자의 회전 자기장(n_s)보다 낮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기장이 회전자 도체에 대해 움직이지 않아 전류가 유도되지 않는다. 회전자의 속도가 동기 속도 아래로 떨어지면, 회전자에서 자기장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여 권선에 더 많은 전류를 유도하고 더 많은 토크를 생성한다. 회전자에서 유도된 자기장의 회전 속도와 고정자의 회전 자기장의 회전 속도 사이의 비율을 "슬립"이라고 한다. 부하가 걸리면 속도가 떨어지고 슬립이 증가하여 부하를 회전시킬 충분한 토크를 생성한다. 이러한 이유로, 유도 전동기는 때때로 "비동기 전동기"라고도 불린다.[31]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는 회전자를 관통하는 자기장을 유도하기 위해 공급 전류를 전달하는 극으로 구성된다. 자기장의 분포를 최적화하기 위해 권선은 고정자 주위의 슬롯에 분포되어 있으며, 자기장은 동일한 수의 북극과 남극을 갖는다. 유도 전동기는 가장 일반적으로 3상 전원으로 구동되지만 2상 전동기도 존재한다. 이론적으로 유도 전동기는 어떤 수의 상이라도 가질 수 있다.

업계 전반에 걸쳐 표준화된 NEMA 및 IEC 전동기 프레임 크기는 샤프트, 발 장착, 일반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특정 전동기 플랜지 측면에 대한 호환 가능한 치수를 제공한다. 개방형 방적(ODP) 전동기 설계는 외부에서 내부 고정자 권선으로 자유로운 공기 교환을 허용하므로 이 스타일의 전동기는 권선이 더 시원하기 때문에 약간 더 효율적인 경향이 있다. 주어진 정격 전력에서 낮은 속도는 더 큰 프레임을 필요로 한다.[43]

  • 삼상 유도 전동기
  • * 농형 삼상 유도 전동기
  • * 권선형 삼상 유도 전동기

6. 속도 제어

유도 전동기의 속도는 주파수, 극수, 전압 등을 변경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일정 전압 및 일정 주파수로 운전되는 3상 유도 전동기의 특성은 슬립 $s$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따라서 토크 및 회전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전원 주파수, 극수, 전원 전압, 전동기 임피던스 파라미터를 변경해야 한다.

전동기 기동 시에는 회전 속도가 0이므로 슬립은 거의 1이다. 유도 전동기는 최대 토크를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어 회전자 전기 저항은 매우 낮고 누설 리액턴스는 작다. 이는 기동 시 역률이 낮고 큰 돌입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형 전동기는 기동 시간도 짧고 돌입 전류가 전원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므로 직입 기동법을 사용하지만, 중용량 이상은 기동 토크를 희생하면서 입력 전압을 낮추어 기동해야 한다. 기동 시에는 축 부하 경감도 동시에 필요하며, 이중 농형 회전자나 심구 농형 회전자 등을 사용하여 회전자 내부의 누설 리액턴스를 크게 하고, 기동 시 회전자 전류를 표면에 모아 돌입 전류를 억제하는 특수 농형 유도 전동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에서는 공급 전압과 주파수를 모두 낮추어 기동한다.

6. 1. 주파수 제어

전력 전자공학의 발전에 따라 가장 발전된 유도 전동기의 속도 제어 방식은 인버터를 사용하여 전원 주파수를 변화시켜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넓은 범위에서 정밀한 속도 제어가 가능하며, 에너지 효율도 높다.[46][47][48]

고정자 권선과 회전자 권선 모두에 쇄교하는 자속을 일정하게 유지할 때, 공급 주파수와 공급 전압은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자화 포화를 피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displaystyle {\frac {V}{f}}}$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 제어 방식은 거의 정토크 모터로 작동하며, 부하 변동에 따른 속도 변화도 작다. 동기 속도보다 낮은 주파수를 공급하면 발전기로 작동하므로 회생 제동도 사용할 수 있어, 이상적인 속도 제어가 가능하다. 범용 모터에 사용할 수 있는 인버터 장치의 보급으로 인해,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한 농형 삼상 유도 전동기와 인버터의 조합은 에너지 소비량 감소 추세와 보수 측면에서도 다른 용도를 능가하고 있다.

6. 2. 극수 변환 제어

극수 변환 제어는 고정자 권선의 결선을 변경하여 극수를 바꾸어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속도 단계를 제한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복잡한 권선 구조가 필요하다.

6. 3. 전압 제어

고정자 전압을 변경하여 유도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전압 제어는 간단하지만, 토크가 감소하고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46][47][48]

6. 4. 2차 저항 제어 (권선형 유도 전동기)

권선형 삼상 유도 전동기에서는 슬립 링의 끝에 가변 저항 (2차 저항이라고 부름)을 성형으로 연결하고, 속도 상승과 함께 가변 저항 값을 낮추어 기동한다.[46] 2차 저항을 삽입함으로써 전류는 제한되고 부하와 균형을 이루는 점의 슬립을 이동할 수 있으므로, 속도 제어에도 이용된다.

7. 응용 분야

유도 전동기는 다양한 산업 분야 및 가정용 기기에 널리 사용된다. 산업 현장에서는 펌프, 팬, 컨베이어, 압축기, 공작 기계 등의 동력원으로 활용되며, 가정에서는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선풍기 등 가전제품의 구동원으로 사용된다. 또한, 전기 자동차, 철도 차량 등 교통 시스템의 추진 장치로도 활용된다.

7. 1. 대한민국에서의 활용 사례

유도전동기(Induction motor)는 여러 산업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제철 산업''': 포스코, 현대제철과 같은 주요 제철소에서는 철강 생산 공정의 핵심 동력원으로 유도 전동기를 활용한다.
  • '''전자 제품 제조''': 삼성전자, LG전자 등 전자 제품 제조 공장에서는 생산 라인을 구동하는 데 유도 전동기가 사용된다.
  • '''발전 산업''':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를 포함한 발전소에서는 냉각수 펌프, 송풍기 등 보조 기기를 구동하기 위해 유도 전동기를 활용한다.
  • '''도시 철도''': 서울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 등 도시 철도 시스템에서는 전동차 추진 장치로 유도 전동기가 사용된다.
  • '''자동차 산업''': 현대자동차, 기아 등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전기 자동차 구동 모터로 유도 전동기를 사용하고 있다.

8. 효율 및 에너지 절약

유도 전동기의 효율은 기계적 출력 전력과 전기 입력 전력의 비율로 정의되며, 그리스 문자 에타(Eta) (\eta)로 표시된다.[48] 효율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한다.[48]

:\eta=\frac{\text{출력 기계 전력}}{\text{입력 전기 전력}}

전 부하 시 모터 효율은 85~97%이며, 다음과 같은 손실이 발생한다.[46]


  • 마찰 및 풍손: 5~15%
  • 철손 또는 코어 손실: 15~25%
  • 고정자 손실: 25~40%
  • 회전자 손실: 15~25%
  • 부유 부하 손실: 10~20%


많은 국가에서 고효율 전동기의 제조 및 사용을 장려하는 법률을 시행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도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최저 효율 기준을 만족하는 유도 전동기만 생산 및 판매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고효율 전동기를 참조하십시오.''

9. 장점 및 단점

유도전동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튼튼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속도 제어가 비교적 쉽고, 다양한 부하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반면, 유도전동기는 기동 시 큰 전류가 필요하고, 역률이 낮으며, 속도 제어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효율이 비교적 낮고, 슬립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한다.

참조

[1] 간행물 "'''Induction Machine'''\t– an asynchronous machine of which only one winding is energized" http://www.electrope[...] IEC 60050 1990-10
[2] 논문 Account of the Repetition of M. Arago's Experiments on the Magnetism Manifested by Various Substances during the Act of Rotation https://archive.org/[...] 2012-12-02
[3] 서적 Polyphase Electric Currents and Alternate-Current Motors https://archive.org/[...] E. & F.N. Spon 2012-12-02
[4] 논문 A Mode of producing Arago's Rot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879-06-28
[5] 논문 Interpretation of a Discovery http://www.doiserbia[...] 2013-02-10
[6] 문서 The Electrical engineer, Volume 5 1890-02
[7] 문서 The Electrician, Volume 50 1923
[8] 문서 Official gazette of the United States Patent Office: Volume 50 1890
[9] 웹사이트 Blathy http://people.clarks[...] People.clarkson.edu 2009-08-04
[10] 논문 Electricity Supply Meters https://archive.org/[...] 1896-03
[11] 논문 Atti della Reale Academia delle Science di Torino
[12] 논문 The History of Induction Motors in America
[13] 서적 The Froehlich/Kent Encyclopedia of Telecommunications: Volume 17 – Television Technology to Wire Antennas Marcel Dekker, Inc.
[14] 서적 . . . a new application of the alternating current in the production of rotary motion was made known almost simultaneously by two experimenters, Nikola Tesla and Galileo Ferraris, and the subject has attracted general attention from the fact that no commutator or connection of any kind with the armature was required. . . . https://books.google[...] Charles & Co. 1888-09-21
[15] 논문 Electromagnetic Rotation with an Alternating Current
[16] 논문 A New System for Alternating Current Motors and Transformers http://www.tfcbooks.[...] 2012-12-17
[17] 웹사이트 Empires of Light: Edison, Tesla, Westinghouse, and the Race to Electrify the World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2003-08-19
[18] 웹사이트 Electrical World https://books.google[...] McGraw-Hill 1921-05-18
[19] 서적 Icons of Invention the Makers of the Modern World from Gutenberg to Gat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2-09-10
[20]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History of Techn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2-02
[21] 서적 The Fundamentals of Nuclear Power Generation Questions & Answers. Authorhouse
[22] 논문 150th Birthday of Michael von Dolivo-Dobrowolsky Colloquium http://www.vde.com/d[...] 2013-02-10
[23] 논문
[24] 논문 Impedance https://zenodo.org/r[...] 1893-01
[25] 논문 The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Motor
[26] 서적 Determination of the Losses in Induction Machines Due to Harmonics http://dspace.hil.un[...] University of New Brunswick
[27] 서적 Theory and Calculation of Alternating Current Phenomena McGraw Publishing Company
[28] 서적 Standard Handbook for Electrical Engineers Sixteenth Edition "{{google books |pla[...] McGraw Hill Professional 2012-09-03
[29] 웹사이트 AC Motors http://hsc.csu.edu.a[...] NSW HSC Online – Charles Sturt University 2012-12-02
[30] 서적 Information Guide for General Purpose Industrial AC Small and Medium Squirrel-Cage Induction Motor Standards http://www.nema.org/[...] NEMA 2012-12-02
[31] 웹사이트 Induction (Asynchronous) Motors http://www.ece.mssta[...] Mississippi State University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Course ECE 3183, 'Electrical Engineering Systems for non-ECE majors' 2012-12-02
[32] 웹사이트 Induction Motors http://www.electricm[...] Penton Media, Inc. 2016-04-12
[33] 웹사이트 Motor Formulas http://www.elec-tool[...] elec-toolbox.com 2013-01-01
[34] 논문 Torque Slip Characteristics of Induction Motor Malnad College Of Engineering
[35] 서적 Application Guide for AC Adjustable Speed Drive Systems http://www.nema.org/[...] NEMA 2012-12-02
[36] 서적 Alternating Current Fundamental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37] 웹사이트 AC Induction Motor Slip https://web.archive.[...] Plantservices.com 2012-12-18
[38] 간행물 Chapter 12 – The Three-Phase, Squirrel-Cage Induction Motor Delmar, Cengage Learning
[39] 서적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and Drive Systems, 2003. PEDS 2003
[40] 간행물 The cascade synchronous–asynchronous motor https://ieeexplore.i[...] Ufa State Aviation Technical University, Ufa, Russia 2019-10-22
[41] 웹사이트 Motoring Ahead https://www.powertra[...] 2012-04-18
[42] 웹사이트 Three phase induction motor working principle http://en.engineerin[...]
[43] 웹사이트 SPECIFIER GUIDE https://web.archive.[...] 2016-10-04
[44] 서적 Standard Handbook for Electrical Engineers McGraw-Hill
[45] 문서 NEMA MG-1, p. 19
[46] 웹사이트 Improving Motor and Drive System Performance: A Sourcebook for Industry https://www1.eere.en[...] 2012-12-31
[47] 간행물 201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Technology (ICIT) IEEE 2014-02
[48] 간행물 201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Technology (ICIT) 2014-02
[49] 논문 Induction Motor Starting in Practical Industrial Applications 2011-01
[50] 서적 Energy-Efficient Electric Motors and their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Plenum Press
[51] 서적 Electric Machines : Theory, Operation, Applications, Adjustment, and Control Prentice Hall
[52] 간행물 Section 5 – Three-Phase Induction Motors by Hashem Oraee https://web.archive.[...] McGraw-Hill
[53] 웹사이트 Induction Machine Equivalent Circuit Model https://people.ucalg[...] Hosted by University of Calgary 2022-02-02
[54] 서적 IEEE Standard Test Procedure for Polyphase Induction Motors and Generators IEEE
[55] 문서 Alger (1949), p. 711
[56] 서적 Parameter and Speed Estimation of Induction Motors from Manufacturers Data and Measurements https://etd.lib.metu[...] Middle East Technical University
[57] 웹사이트 Determining Induction Machine Parameters https://people.ucalg[...] Hosted by University of Calgary 2022-02-01
[58] 웹사이트 Electrical Machine I: Basics, Design, Function, Operation https://web.archive.[...] RWTH Aachen University Institute of Electrical Machines 2013-01-11
[59] 서적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https://books.google[...] Educational Foundation for Atomic Science 2012-08-08
[60] 논문 Account of the Repetition of M. Arago's Experiments on the Magnetism Manifested by Various Substances during the Act of Rotation https://archive.org/[...] 2012-12-02
[61] 서적 Polyphase Electric Currents and Alternate-Current Motors https://archive.org/[...] E. & F.N. Spon 2012-12-02
[62] 논문 A Mode of producing Arago's Rot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879-06-28
[63] 논문 Interpretation of a Discovery http://www.doiserbia[...] 2013-02-10
[64] 논문 Atti della Reale Academia delle Science di Torino
[65] 논문 The History of Induction Motors in America 2012-12-01
[66] 서적 . . . a new application of the alternating current in the production of rotary motion was made known almost simultaneously by two experimenters, Nikola Tesla and Galileo Ferraris, and the subject has attracted general attention from the fact that no commutator or connection of any kind with the armature was required. . . . https://books.google[...] Charles & Co. 1888-09-21
[67] 서적 The Froehlich/Kent Encyclopedia of Telecommunications: Volume 17 - Television Technology to Wire Antennas http://www.amazon.co[...] Marcel Dekker, Inc. 2012-12-02
[68] 논문 Electromagnetic Rotation with an Alternating Current
[69] 논문 A New System for Alternating Current Motors and Transformers http://www.tfcbooks.[...] 2012-12-17
[70] 서적 Jill Jonnes, Empires of Light: Edison, Tesla, Westinghouse, and the Race to Electrify the World, Edison Declares War https://books.google[...]
[71] 서적 Electrical World, Volume 78, No 7. page 340 https://books.google[...]
[72] 서적 Icons of Invention the Makers of the Modern World from Gutenberg to Gat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07-30
[73]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History of Techn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74] 서적 The Fundamentals of Nuclear Power Generation Questions & Answers. http://www.amazon.co[...] Authorhouse
[75] 간행물 150th Birthday of Michael von Dolivo-Dobrowolsky Colloquium http://www.vde.com/d[...] 2012-01
[76] 간행물
[77] 간행물 Impedance http://ieeexplore.ie[...] 1893-01
[78] 간행물 The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Motor http://ieeexplore.ie[...]
[79] 서적 Determination of the Losses in Induction Machines Due to Harmonics http://dspace.hil.un[...] University of New Brunswick
[80] 서적 Theory and Calculation of Alternating Current Phenomena http://openlibrary.o[...] McGraw Publishing Comp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