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럽 공동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 공동체(EC)는 1951년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를 시작으로, 1993년 마스트리흐트 조약 발효로 유럽 연합(EU)이 출범하기 전까지 유럽의 경제 및 정치 통합을 추진했던 기구이다. ECSC는 1951년 파리 조약으로 설립되었으며, 1957년 로마 조약을 통해 유럽 경제 공동체(EEC)와 유럽 원자력 공동체(EURATOM)가 추가로 설립되었다. 1967년 브뤼셀 조약으로 세 기구의 집행 기구가 통합되어 "유럽 공동체"로 불리게 되었다. 유럽 공동체는 관세 동맹, 단일 시장, 공동 농업 정책 등 다양한 정책 분야에서 회원국 간 협력을 증진했으며, 1992년 마스트리흐트 조약 체결 이후에는 EU의 3대 기둥 중 하나가 되었다. 2009년 리스본 조약 발효로 유럽 공동체는 유럽 연합에 법인격을 승계하며 소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 연합의 역사 - 유럽 경제 공동체
    유럽 경제 공동체는 1957년 로마 조약으로 프랑스, 서독 등 6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관세 동맹을 통해 경제 통합을 추구하고 공동 정책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유럽 연합의 기반이 되었다.
  • 유럽 연합의 역사 - 공동 외교 안보 정책
    공동 외교 안보 정책은 유럽 연합의 외교 및 안보 정책을 조정하고 실행하는 체제로, 유럽 연합의 가치와 이익 보호, 국제 협력 증진, 평화와 안보 강화를 목표로 하며, 유럽 연합 이사회, 외교이사회 등 주요 구성 요소를 통해 공동 행동과 공동 입장을 실행하고 공동 안보 및 방위 정책과 연관된다.
유럽 공동체
개요
명칭유럽 공동체
로마자 표기Yureop Gongdongche
영어 명칭European Communities
존속 기간1952년 ~ 2009년
주요 조직유럽 경제 공동체
유럽 연합의 기둥
구성유럽 연합을 구성하는 3개의 기둥
존속 기간1993년 ~ 2009년 → EU
공동체 형성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1952년 ~ 2002년
유럽 경제 공동체1958년 ~ 2009년
유럽 원자력 공동체1958년 ~ 현재

2. 역사

1992년 2월 7일 마스트리흐트 조약이 단일유럽의정서(SEA)와 유럽 통합에 관한 선언을 토대로 조인되어 1993년 11월 1일 발효되었다. 이 조약으로 유럽 연합(EU)이 창설되었고, 기존의 유럽의 공동체는 EU의 3개 기둥 구조 중 하나가 되었다. 이때 유럽 경제 공동체(EEC)는 유럽 공동체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초대 유럽 위원회 위원장은 EEC 위원장이었던 자크 들로르가 맡았고 1994년에 자크 상터로 교체되었다.[8]

암스테르담 조약에서는 비자, 불법 이민, 난민 등 사람의 이동의 자유에 관한 정책을 사법·내무 협력에서 유럽 공동체의 정책 분야로 변경했다. 또한 암스테르담 조약과 니스 조약에서는 공동의사결정절차를 이용하는 안건을 확장하여 유럽 공동체의 거의 모든 정책 분야에서 유럽 의회유럽 연합 이사회와 대등한 권한을 갖게 되었다.

2002년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의 근거 조약인 파리 조약이 50년이라는 유효기간으로 인해 효력이 소멸했다. 파리 조약은 갱신되지 않았고, 대신 니스 조약을 통해 그 내용이 로마 조약에 계승되어 ECSC의 기능은 유럽 공동체의 정책 분야 일부로 흡수되었다.

2. 1. 3개의 공동체

1951년 파리 조약으로 설립된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는 유럽 통합의 첫걸음이었다.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서독이 참여하여 석탄과 철강 산업을 통합하고 단일 시장을 만들었다.[1] ECSC의 목적은 회원국 간 전쟁 위험을 줄이고 유럽의 번영을 도모하는 것이었다.[2]

1957년 로마 조약에 따라 유럽 원자력 공동체(EAEC 또는 EURATOM)와 유럽 경제 공동체(EEC)가 설립되었다. EAEC는 회원국 간의 원자력 협력에, EEC는 관세 동맹과 일반적인 경제 협력을 구축하는 데 주력했다.[1] [2]

1967년 합병 조약으로 세 공동체의 집행 기관이 통합되어 "유럽 공동체"로 총칭되기 시작했다. EEC의 위원회와 이사회가 다른 기구의 책임을 이어받았다.[7]

ECSC 조약은 50년 기한으로 2002년에 만료되었고, 그 활동은 모두 유럽 공동체에 흡수되었다.[3] EAEC는 기한이 없어 현재도 존속하고 있다.[4] [5]

2. 2. 유럽 연합으로의 발전

1992년 마스트리흐트 조약으로 유럽 연합(EU)이 출범하면서 유럽 공동체는 EU의 3대 기둥 중 하나가 되었다. 이때 유럽 경제 공동체는 유럽 공동체로 개칭되었으며, 유럽 연합의 초대 유럽 집행위원회 위원장은 자크 들로르가 맡았다가 1994년자크 상테르로 교체되었다.[8]

암스테르담 조약에서는 비자, 불법 이민, 난민 등 사람들의 이동의 자유에 관한 정책을 사법·내무 협력 기둥에서 유럽 공동체 기둥의 대상 분야로 변경했다. 또한 암스테르담 조약과 니스 조약에서는 공동의사결정절차를 사용하는 사안을 확대하여 유럽 공동체가 다루는 거의 모든 정책 분야에서 유럽 의회유럽 연합 이사회와 동등한 권한을 갖게 되었다.[8]

2002년에는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의 근거 조약인 파리 조약이 50년이라는 유효 기간으로 인해 효력이 소멸했다. 파리 조약은 갱신되지 않았고, 대신 니스 조약을 통해 유럽 공동체 설립 조약에 그 내용이 계승되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의 기능은 유럽 공동체의 정책 분야의 일부로 흡수되었다.[3]

2009년에 발효된 리스본 조약으로 3대 기둥 구조가 폐지되고, 유럽 공동체는 유럽 연합에 법인격을 계승하며 소멸했다. 한편 유럽 원자력 공동체는 유럽 연합 내에서 독립된 주체로 존속하고 있다.[4] [5]

3. 정책 분야

유럽 공동체는 회원국 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 분야를 담당했다.[8] 여기에는 출입국 관리, 연합 시민권, 공통 농업 정책 등이 포함되었다.

3. 1. 주요 정책 분야

유럽 공동체가 담당하는 기둥은 아래의 분야이다.[8]

분야분야분야


4. 기구

합병 조약에 따라 유럽 공동체는 모두 동일한 제도적 틀에 의해 통치되게 되었다. 1967년 이전에는 ECSC에 의해 설립된 공동 의회/유럽 의회와 사법 재판소는 이미 EEC와 EAEC에 공유되었지만, 각각 다른 임원을 두고 있었다. 1967년 조약에 따라 ECSC와 EAEC의 사무는 EEC의 이사회와 위원회가 담당하게 되었고, ECSC와 EAEC의 이사회, EAEC의 위원회, ECSC의 최고 기관은 폐지되었다. 1993년 유럽 연합이 설립될 때까지 이 세 공동체가 유럽 공동체를 통치하였다.

5. 회원국

유럽 공동체의 회원국은 이후 유럽 연합의 회원국으로 이어졌다. 각 회원국은 유럽 공동체의 여러 기관에 대표를 파견했다. 이사회에는 각국 정부를 대표하는 각료 1명이 참여했다. 또한 각 회원국은 1명의 유럽 집행위원을 임명할 권한을 가졌는데, 이들은 자국의 이익이 아닌 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대표해야 했다. 2004년 이전에는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등 강대국이 2명의 집행위원을 임명하기도 했다. 유럽 의회 의원의 경우, 1979년 이후 직접 선거로 선출되었으며, 인구수에 따라 의석이 할당되었고 국적이 아닌 정치적 성향에 따라 활동했다. 유럽 사법 재판소를 포함한 다른 기관들에서도 위원의 국적은 다양하게 구성되었다.

5. 1. 회원국 목록

세 공동체의 가입국은 동일하며, 파리 조약과 그 이후의 조약에 서명한 6개국은 "내부 6개국"으로 불렸다("외부 7개국"은 유럽 자유 무역 연합을 형성한 국가들). 설립 국가는 프랑스, 서독, 이탈리아, 베네룩스 3국(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의 6개국이다. 최초의 확장은 1973년으로, 덴마크, 아일랜드, 영국이 가입했다. 1980년대에는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이 가입했다.

창설 회원국은 녹색, 그 이후의 회원국은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1957년 당시 동독을 구성하고 있던 국가는 공동체에 속하지 않았지만, 1990년 독일 재통일로 공동체에 속하게 되었습니다.


가입국가입
벨기에1957년 3월 25일
이탈리아1957년 3월 25일
룩셈부르크1957년 3월 25일
프랑스1957년 3월 25일
네덜란드1957년 3월 25일
서독1957년 3월 25일
덴마크1973년 1월 1일
아일랜드1973년 1월 1일
영국1973년 1월 1일
그리스1981년 1월 1일
포르투갈1986년 1월 1일
스페인1986년 1월 1일


6. 초국가주의와 전망

유럽 공동체는 회원국 간 협력을 넘어 초국가적인 통합을 추구했다. 3개의 기둥 구조는 유럽 연합 내에서 정책 분야별 협력과 통합의 틀을 제공했다.[1] 유럽 경제 공동체의 기관은 유럽 연합의 기관이 되었지만, 그 역할은 기둥마다 달랐다.[1] 유럽 위원회, 유럽 의회, 유럽 사법 재판소는 제2, 제3의 기둥(공동 외교 안보 정책, 사법·내무 협력)에서는 권한이 거의 없었고, 유럽 연합 이사회가 주로 담당했다.[1]

마스트리흐트 조약 이후 유럽 의회의 역할은 커졌다.[1] 공동 결정 절차 제도가 도입되어 유럽 공동체의 안건에 대해서는 유럽 연합 이사회와 대등한 입법권이 유럽 의회에 주어졌다.[1] 리스본 조약이 체결되면서 기둥 구조는 폐지되었고, 공동체의 기둥은 다른 2개의 기둥과 통합되어 단일의 "유럽 연합"이 되었다.[1] 이는 공동체의 기구가 더 큰 권한을 가지게 됨을 의미한다.[1]

유럽 원자력 공동체 설립 조약은 파리 조약과 달리 실효되지 않았다.[1] 유럽 원자력 공동체는 유럽 연합과 완전히 통합되지 않고, 유럽 연합 내부에서 독립적인 주체로 존속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European Communities http://www.cvce.eu/o[...]
[2] 웹사이트 The European Communities http://www.cvce.eu/o[...]
[3] 웹사이트 Treaty establishing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ECSC Treaty http://europa.eu/sca[...] Europa.eu 2012-06-04
[4] 웹사이트 Euratom reform http://www.eu-energy[...] Eu-energy.com 2012-06-04
[5] 웹사이트 Treaty establishing the European Atomic Energy Community (Euratom) http://europa.eu/sca[...] Europa.eu 2012-06-04
[6] 웹사이트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Communities http://curia.europa.[...]
[7] 웹사이트 The European Communities http://www.cvce.eu/o[...]
[8] 웹사이트 What are the three pillars of the EU? http://www.eu-oplysn[...] EU Information Centre (set up by the Folketing) 2008-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