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엔 총회 결의 62/16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총회 결의 62/167은 2007년 12월 18일 제62차 유엔 총회에서 통과된 대북 인권 결의안에 대한 표결 결과를 다룬다. 총 192개국 중 101개국이 찬성, 22개국이 반대, 59개국이 기권했으며 대한민국은 기권했다. 이와 관련하여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의 회고록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북한의 의견을 수렴하여 기권 결정을 내렸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정치적 논란이 발생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관련 의혹을 부인하며 해명을 반복했지만, 해명에 일관성이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고, 이후 송민순 전 장관의 청와대 문건 공개, 김만복 전 국정원장의 육성 파일 공개, 관련 회의록 공개 등 진실 공방이 이어졌다. 이 논란은 대한민국 대북 정책 방향과 한미 관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진보와 보수 진영 간의 이념 대립을 심화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유엔 - 원주민 권리 선언
    원주민 권리 선언은 원주민 개인과 공동체의 권리 보호 및 증진을 목표로 2007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결의안으로, 자결권, 문화 보존, 토지 권리 등 다양한 권리를 명시하고 있으며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원주민 권리 보호를 위한 중요한 지침으로 작용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유엔 관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는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한 심층 조사를 바탕으로 북한 정권의 광범위하고 조직적인 인권 침해 행위를 폭로하고 국제사회의 대응을 촉구하는 2014년 유엔 보고서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유엔 관계 - 주제네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부
    주제네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한 북한의 외교 대표부로, 1973년 옵서버 대표부로 개설되어 1991년 대표부로 격상되었으며, 북한의 외교 정책 수행 및 국제기구 관련 활동을 수행한다.
  • 2007년 12월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2007년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는 이명박 후보가 48.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경제 대통령 이미지와 정권 교체 여론, BBK 주가 조작 의혹 논란, 낮은 투표율, 지역별 표심 차이 등이 특징이다.
  • 2007년 12월 -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은 6개 대륙 클럽 대항전 우승팀과 개최국 대표를 포함한 7개 팀이 일본에서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하여 AC 밀란이 우승했고, 카카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모든 참가 팀이 첫 출전이었다.
유엔 총회 결의 62/167
결의 정보
결의안 번호62/167
기관총회
날짜2007년 12월 18일
회의제76차 본회의
코드A/RES/62/167
문서결의안 원문 보기
찬성101
기권59
반대22
불참10
주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상황
결과결의안 채택
국제 연합 총회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상황에 관한 투표 결과
국제 연합 총회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상황에 관한 투표 결과

2. 투표 결과

2007년 유엔 총회에서 북한 인권 결의안에 대한 표결이 진행되었다.[6] 표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투표
찬성101
반대22
기권59
불참10
총계192



각 투표 결과에 따른 세부 국가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2. 1. 찬성


2. 2. 반대

[2]

2. 3. 기권


2. 4. 불참


3. 대한민국 기권 과정 논란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회고록에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유엔 총회 결의안 표결에 대해 평양의 의견을 들은 후 한국 정부가 기권했다고 주장했으며,[3] 그의 부적절한 소통 공개는 한국 정치에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3. 1. 송민순 회고록 폭로 파문

노무현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냈던 송민순이 2016년 발간한 회고록에서, 문재인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이 2007년 12월 18일 제62차 유엔 총회 대북 인권결의안에 대한 대한민국 정부의 투표 방침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에 사전 문의 후 결정하도록 주장했다고 폭로해 파문이 일었다.[7] 송민순은 2007년 11월 18일 관계 장관 회의에서 북측의 의견을 확인해보자고 정한 후 북측에 의사를 물었고, 20일에 북측의 반대 의사를 확인하고 기권 입장을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8]

한편, 정부 외교·안보 수뇌부 간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자, 문재인이 김만복 당시 국정원장의 제안을 수용해 북한의 의견을 사전에 물어보자고 회의를 정리했다는 이야기도 제기되었다.[9] 반면에 김만복 전 국정원장은 자신이 그런 제안을 한 적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어 이에 대한 기억은 엇갈렸다.[9] 설사 문재인이 회고록 내용대로 발언했더라도 '기권 결정은 16일 회의에서 최종 결정됐던 것'이라는 다른 회의 참석자 주장을 감안하면 이는 '사전 협의'가 아닌 '통보'로 해석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9] 또한 송민순의 주장을 입증할 추가 자료를 찾기 어렵다는 문제도 제기되었다.[9]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회고록에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유엔 결의안 표결에 대해 평양의 의견을 들은 후 한국 정부가 기권했다고 주장했다.[3] 그의 부적절한 소통 공개는 한국 정치에 거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3. 2. 미국 측 기록

알렉산더 버시바우 당시 주한 미국 대사는 2007년 11월 19일, 유엔 대북 인권 결의안 표결 이틀 전에 조중표 외교부 1차관을 만나 "한국이 찬성 투표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명확한 답변을 듣지 못했다.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도 회고록에 이와 같은 내용을 작성했다.[8] 위키리크스에 공개된 기밀문서에 따르면, 대한민국 외교부 담당자는 주한 미국 대사관 정무참사관과의 면담에서 대한민국이 기권하기로 한 최종 결정이 표결 두 시간 전에야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이는 표결 직전까지 미국에 기권 결정이 알려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10] 미국 측은 우방국과 결정 내용을 사전에 공유하지 못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8]

문재인 측 주장에 따르면 16일에 기권 결정 후 18일에 북측에 통보했고, 송민순 전 장관의 회고록에 따르면 18일에 북측에 의사를 묻고 20일에 답변을 받은 후 기권을 결정했다. 어느 쪽이든 미국에는 정보 공유를 하지 않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긴밀히 협의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제기되었다.[8]

3. 3. 문재인의 해명 및 항변

2016년 10월 17일 문재인은 이 논란에 대해 "인권결의안에 관한 사안은 기억에 거의 없는 상황"이라며 "사실관계는 당시를 잘 기억하는 분들에게 물으세요"라고 해명했다.[11]

2017년 1월 15일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문재인은 "당시 회의는 안보실장이 주재하는 회의였고, 비서실장(본인)은 단지 참관하는 역할이었을 뿐 결정을 내릴 입장이 아니다."라고 반론했다. 그는 이 논란이 송민순 전 장관의 주관적인 착오에서 비롯된 일이라고 일축했다. 당시 배석자였던 김장수 전 국방장관,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 김만복 전 국정원장, 송민순 전 외교부장관의 기억과 기록이 이와 다르다는 점을 그 근거로 들었다.[12] 문재인은 이러한 문제 제기에 대해 "우리가 새누리당처럼 북한과 내통해 우리 군에 총질해 달라는 반역죄라도 지었나. 10년 전 일에 대한 한 사람의 주관적인 회고록을 가지고 한 건 잡았다는 듯이 구시대적 색깔론을 들이대며 혹세무민하는 행태, 부끄럽지도 않나"고 비판했다.[13] 그는 종북 논란에 대해서도 "특전사 출신인 저보고 종북이라는 사람들, 병역기피하고 방산비리 저지르는 자들이 진짜 종북"이라고 맞대응했다.[14][15]

2017년 2월 9일 JTBC 썰전에서 문재인은 "외교부장관이 찬성에 대해 북한도 반발하지 않을 거라고 주장했다. 북한이 반발하지 않는다면 당연히 찬성해야지. 외교부 체면도 서고 보수층 지지도 얻을 수 있고. 그렇다면 찬성으로 갈 참이니까 확인해보자 해서 국정원이 북한의 입장을 확인했는데, 국정원은 북한 반발이 심할 것 같고 후속 회담에 차질이 있을 수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기권이다가 됐다. 전 과정에 대해 외교부장관 본인도 동의했다"고 해명했다.[16]

2017년 4월 19일 KBS 대선 토론에서 문재인은 "국정원을 통해 북한이 어떤 태도를 취할지 파악해 봤다는 것이다. 북한에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국정원이 해외라든지 휴민트 등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국정원을 통해 북한의 반응을 판단해 보도록 했다. 그런 뜻이다. 국정원 자체 정보망을 가동한 것이다. 여러 가지 해외에 있는 정보망, 휴민트 등 국정원 정보망이 많다. 외교부도 당시엔 자신들 정보망에 의하면 북한이 인권결의안 찬성에 대해 반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나름의 외교부 정보망으로 판단을 한 것이다. 그러면 국정원 측의 판단은 어떠냐, 그렇게 판단을 구하게 된 것이다."라고 해명했다.[17]

2017년 4월 22일 울산 롯데백화점 광장 유세에서 문재인은 "북한에 먼저 의견을 물은 것이 아니라 이미 기권 결정을 내린 후 북한에 통보했다"고 해명했다.[18]

3. 4. 해명 번복 주장 논란

문재인 전 대통령이 '선 기권, 후 통보'라고 말했던 것이 나중에 '선 문의, 후 기권'으로 바뀌는 등 해명에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이 있었다.[19]

하태경 의원은 문재인 전 대통령이 말을 바꾸고 있다고 주장하며, "국민들을 바보로 아는 것인가. 이렇게 다른 얘기를 해놓고 들키지 않고 넘어갈 수 있다고 본 것인가"라고 비판했다.[19] 이어 "2007년과 똑같은 상황이 벌어지면 또 북한에 물어보고 결정할 것인가"라며 "사드 문제도 다음 정부로 넘기자고 했는데 그것도 북한에 물어보고 넘길 텐가"라고 지적했다.[19]

2017년 4월 19일 밤 진행된 제2차 대통령선거 후보 토론회에서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 회고록 논란이 다시 제기되었다.[20] 머니투데이 측의 팩트 체크 기사에 따르면, 실제 '썰전' 발언 내용을 확인한 결과 "국정원에게 북한에 물어보고, 확인하게 했다"는 발언을 문재인 전 대통령이 한 적이 없으며, 유 후보 보다는 문 후보의 말에 발언 내용이 더 가까웠다고 분석하였다.[21]

3. 5. 송민순의 청와대 문건 공개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회고록에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유엔 결의안 표결에 대해 평양의 의견을 들은 후 한국 정부가 기권했다고 주장했다.[3] 그의 부적절한 소통 공개는 한국 정치에 거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문재인 측이 관련 의혹을 계속 부인하자, 송민순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반박 문건을 제시하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22] 송민순은 "김만복 당시 국가정보원장이 북한에서 받은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문서에 찍힌 로고는 청와대 마크다. 싱가포르를 방문 중인 노무현 대통령에게 안보실장이 20일 저녁 6시30분에 접수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는 내용이 서류 밑에 적혀 있다."며 2007년 11월 인권결의안 투표와 관련된 북한 측 반응을 정리해 당시 노무현 대통령에게 전달됐던 청와대 문건을 공개하였다.[22] 청와대 문건에는 인권결의안을 통과시킬 시 남북관계에 위태로운 사태가 초래될 수 있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의 경고가 적혀있었다.[22]

문재인은 이른바 '송민순 메모지'는 선거 때마다 도지는 색깔론 공세라며, 특히 안철수 후보를 겨냥해 기존 야권까지 색깔론에 가세했다고 비판하였다. 또 문재인 측 진성준 TV 토론단장은 SNS에 사전 문의 의혹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탐색전 차원에서 북한의 정확한 의중을 파악한 게 뭐가 문제냐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가 논란이 일자 삭제하였다.[23]

한편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은 노무현 정부 시절의 안보정책 의사결정 구조상, 송민순 전 외교부장관의 주장에는 모순이 있다고 말했다.[24]

또한 김연철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는 애초 주장 자체의 모순점을 지적했다. 김 교수는 “북한에 물어보고 말고 할 사안이 아니다”며 “결정이 내려진 상황에서, 국정원이 북한의 반응을 탐색할 수 있다. 그 결과를 송민순에게 왜 보여주었겠는가? 상황파악 좀 하라는 뜻”이라고 당시 상황을 해석했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은 통일부의 기권 입장을 받아들였지만, 끝까지 외교부 장관의 체면과 위신을 살려주려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고 말했다.[25]

2017년 4월 24일,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측은 송민순 전 외교부 장관을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과 후보자 비방 공직선거법 위반,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및 공무상 비밀 누설 혐의로 형사고발 조치했다.[25]

3. 6. 김만복 녹음파일 공개

2017년 4월 22일, 김만복 전 국정원장의 육성 파일이 공개되었다. 이 파일에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 2007년 북한 인권 결의안에 대해 북한 측에 '기권'이 아닌 '찬성' 의견을 확인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26] 같은 날 하태경 바른정당 의원은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전 국정원장과 일요신문의 3월 31일 통화 녹음 내용을 공개했다.[26]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자신의 회고록에서, 한국 정부가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유엔 결의안 표결에 대해 평양의 의견을 들은 후 기권했다고 주장했다.[3] 이와 같은 송민순 전 장관의 소통 공개는 한국 정치에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3. 7. 당시 회의록 공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측은 2017년 4월 23일, ‘송민순 문건’ 논란과 관련하여 2007년 11월 16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 회의 내용 일부와 11월 18일 청와대 서별관에서 열린 외교안보 간담회 배석자 기록 등 두 건의 자료를 공개하며 반격했다.[27]

김경수 대변인은 “외교안보·남북관계 관련 기록과 자료를 공실을 왜곡해 노무현 대통령과 참여정부의 명예를 훼손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대응을 위해 최소한의 범위에서 관련 자료와 기록을 밝히는 바”라며 자료 공개 이유를 밝혔다.[28]

그러나 바른정당 하태경 의원은 문재인 측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29] 하태경은 북한의 입장을 확인한 것은 2007년 11월 16일 회의 이후이므로 16일 회의록은 의미가 없다고 주장했다.[29] 그는 11월 16일 회의에서 기권으로 가닥을 잡았더라도 송민순 외교부 장관이 동의하지 않아, 노무현 대통령이 11월 18일 재논의를 지시했고, 11월 20일 싱가포르에서 노무현 대통령, 송민순 외교부 장관,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이 최종 회의를 했다고 밝혔다.[29]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이 11월 21일 브리핑에서 11월 20일에 대통령이 기권을 결정했다고 발표한 것을 들어, 11월 16일이 아닌 11월 20일에 최종 결정이 이루어졌다고 강조했다.[29]

실제로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2007년 11월 21일 노무현 대통령의 싱가포르 방문 당시 기자회견에서 “어제(20일) 저녁 늦게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과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이 유엔 대북결의안 문제에 대해 보고를 했고, 이에 대해 노 대통령이 기권 방침을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30]

하태경은 문재인 측이 공개한 11월 18일 회의 메모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에 보내는 통지문 문안까지 검토했다고 되어 있는데, 문재인이 토론에서 북측에 물어보지 않고 간접적으로 알아봤다고 거짓말을 했다고 비난했다.[29] 또한 문재인이 ‘기권 방침 통보만 했을 뿐’이라고 해명했지만, 11월 18일 메모에는 그런 내용이 없고, 오히려 찬성 입장을 밝히자는 얘기가 있다고 지적하며, 11월 18일 메모는 문재인의 거짓말을 입증할 뿐이라고 주장했다.[29]

송민순 전 외교부 장관 역시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이던 문 후보와 결의안 표결 직전인 20일까지 논의를 했다”, “문 후보가 남북채널의 반응이 중요하니 보고 결정하자는 말을 했다”며 문재인 측의 해명을 반박했다.[31]

4. 논란의 쟁점 및 평가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회고록에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유엔 결의안 표결과 관련해 평양의 의견을 확인한 후 한국 정부가 기권했다고 주장했으며,[3] 이러한 소통 공개는 한국 정치에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4. 1. 대북 정책 방향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회고록에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유엔 결의안 표결과 관련, 평양의 의견을 확인한 후 한국 정부가 기권했다고 주장했다.[3] 이와 같은 송 전 장관의 부적절한 소통 공개는 한국 정치에 큰 논란을 야기했다.

4. 2. 한미 관계에 미치는 영향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회고록에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유엔 결의안 표결과 관련, 한국 정부가 평양의 의견을 확인한 후 기권했다고 주장했다.[3] 이러한 송 전 장관의 부적절한 소통 공개는 한국 정치에 큰 논란을 야기했다.

4. 3. 진실 공방의 정치적 의미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회고록에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유엔 결의안 표결에 대해 평양의 의견을 들은 후 한국 정부가 기권했다고 주장했다.[3] 이 사건은 한국 정치에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참조

[1] 웹사이트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on 18 December 2007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6-10-23
[2]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Sixty-second session 76th plenary meeting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7-04-22
[3] 뉴스 Controversy erupts over S. Korea's abstention from U.N. vote in 2007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6-10-14
[4] 웹사이트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on 18 December 2007 http://www.un.org/en[...] United Nations 2016-10-23
[5] 웹인용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on 18 December 2007 http://www.un.org/en[...] United Nations 2016-10-23
[6] 웹인용 General Assembly Sixty-second session 76th plenary meeting http://www.un.org/en[...] United Nations 2017-04-22
[7] 뉴스 '송민순 회고록' 파문…與 "文 국기문란 충격" 野 "색깔론 그만"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10-15
[8] 뉴스 盧정부, 2007년 유엔 北인권결의안 기권 결정… 북한과 사전협의, 미국엔 막판 통보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6-10-19
[9] 뉴스 또 다시 '노무현'... 송민순 회고록 쟁점 셋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6-10-17
[10] 웹인용 UNGA FOLLOW UP DEMARCHE DELIVERED https://wikileaks.or[...] 2007-12-05
[11] 뉴스 https://news.naver.c[...]
[12] 뉴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인터뷰 전문 http://news.chosun.c[...] 2017-02-04
[13] 웹인용 문재인 "송민순, 중대한 기억 착오 새누리, 자신 있으면 끝까지 해보라" http://www.ohmynews.[...] 2016-10-23
[14] 뉴스 문재인 '안보 공약'…"先방미 고정관념 버려야" 견지 http://news.tvchosun[...] TV조선 2016-12-26
[15] 웹인용 文 "특전사 나온 내가 종북?…병역기피‧방산비리가 진짜 종북" -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 2017-02-04
[1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imaeil.co[...] 2019-02-08
[1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focus.kr/[...] 2018-01-20
[18] 뉴스 http://www.seoul.co.[...]
[19] 뉴스 하태경 "文, 인권결의안 표결 전 국정원 통해 北 입장 확인"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7-04-15
[20] 뉴스 https://news.naver.c[...]
[21] 뉴스 https://news.naver.c[...]
[22] 뉴스 '[단독] 송민순 “문재인, 이처럼 증거 있는데도 계속 부인”'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7-04-21
[23] 뉴스 https://news.naver.c[...]
[24] 뉴스 http://www.joongang.[...]
[25] 뉴스 http://m.gobalnews.c[...]
[26] 뉴스 김만복 "文, 北인권결의안 기권 아닌 '찬성' 북에 확인한 것" http://news1.kr/arti[...] 뉴스1 2017-04-22
[27] 뉴스 https://news.naver.c[...]
[28] 뉴스 https://news.naver.c[...]
[29] 웹인용 김경수 대변인의 16일 회의록, 18일 메모 공개에 대한 입장 https://www.facebook[...] 2017-04-23
[30] 뉴스 靑 "北인권결의안 기권은 노대통령 지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11-21
[31] 뉴스 文 측, 반박자료 '靑 회의록' 공개…의혹은 그대로 http://imnews.imbc.c[...] MBC 뉴스데스크 2017-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