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주민 권리 선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주민 권리 선언은 원주민의 권리를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유엔 결의안으로, 23개의 전문과 46개의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1920년대부터 시작된 노력의 결과로, 자기결정권, 문화적 권리, 정치 및 경제적 권리, 건강권, 취약 계층 보호, 토지 및 자원 권리 등 원주민의 다양한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선언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원주민에 대한 차별 금지, 경제·사회적 개발 촉진을 목표로 한다. 채택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미국은 반대 입장을 보였으나, 이후 지지로 입장을 변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유엔 - 유엔 총회 결의 62/167
    유엔 총회 결의 62/167은 2007년 유엔 총회에서 통과된 북한 인권 결의안으로, 대한민국 정부의 기권 결정 과정과 관련된 논란을 중심으로 정치적 사건들을 낳았다.
  • 유엔 총회 결의 - 킴벌리 프로세스
    킴벌리 프로세스는 분쟁 다이아몬드 거래를 억제하기 위해 2000년 5월 남아프리카공화국 킴벌리에서 수립된 국제 인증 제도이며, 세계 다이아몬드 협의회가 개발한 보증 시스템을 통해 다이아몬드의 원산지를 추적하고 불법 거래를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감시 체계 미흡과 제재 미흡으로 실효성 논란이 있다.
  • 유엔 총회 결의 -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는 1971년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유엔에서 중화민국을 추방하는 결의로, 중국 대표권 문제 해결과 국제적 영향, 대만의 국제적 고립 및 유엔 가입 문제 등의 논란을 야기했다.
  • 2007년 9월 - 2007년 FIFA U-17 월드컵
    2007년 FIFA U-17 월드컵은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어 24개국이 참가, 나이지리아가 우승했으며,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토니 크로스, 매컬리 크리산투스 등의 수상자를 배출한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7년 9월 -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은 중국에서 개최되어 독일이 우승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UEFA 지역 예선을 겸하여 독일, 노르웨이, 스웨덴에게 올림픽 출전권이 주어졌다.
원주민 권리 선언
개요
제목원주민 권리 선언
원제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채택2007년 9월 13일
종류국제 연합 총회 결의
문서 번호A/61/295 문서
주제원주민 권리
투표 결과찬성 143, 반대 4, 기권 11, 불참 34
결과채택
배경 및 내용
목적원주민의 권리와 기본적인 자유를 확인하고 증진
주요 내용자결권
문화적 권리
토지 권리
천연 자원에 대한 권리
차별 금지
투표 결과 상세
찬성아프가니스탄
알바니아
알제리
안도라
앙골라
앤티가 바부다
아르헨티나
아르메니아
오스트리아
아제르바이잔
바하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바베이도스
벨라루스
벨기에
벨리즈
베냉
부탄
볼리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츠와나
브라질
브루나이
불가리아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캄보디아
카메룬
카보베르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칠레
중국
콜롬비아
코모로
콩고 민주 공화국
콩고 공화국
코스타리카
코트디부아르
크로아티아
쿠바
키프로스
체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덴마크
지부티
도미니카 연방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이집트
엘살바도르
에리트레아
에스토니아
에티오피아
피지
핀란드
프랑스
가봉
감비아
조지아
독일
가나
그리스
그레나다
과테말라
기니
기니비사우
가이아나
아이티
온두라스
헝가리
아이슬란드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아일랜드
이탈리아
자메이카
요르단
카자흐스탄
케냐
키리바시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라오스
라트비아
레바논
레소토
라이베리아
리비아
리히텐슈타인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마케도니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레이시아
몰디브
말리
몰타
마셜 제도
모리타니
모리셔스
멕시코
미크로네시아 연방
몰도바
모나코
몽골
몬테네그로
모로코
모잠비크
미얀마
나미비아
네팔
네덜란드
뉴질랜드
니카라과
니제르
나이지리아
노르웨이
오만
파키스탄
팔라우
파나마
파푸아뉴기니
파라과이
페루
필리핀
포르투갈
카타르
대한민국
루마니아
러시아
르완다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사모아
산마리노
상투메 프린시페
사우디 아라비아
세네갈
세르비아
세이셸
시에라리온
싱가포르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솔로몬 제도
소말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페인
스리랑카
수단
수리남
스와질란드
스웨덴
스위스
시리아
타지키스탄
태국
동티모르
토고
통가
트리니다드 토바고
튀니지
튀르키예
투르크메니스탄
투발루
우간다
우크라이나
아랍에미리트
영국
탄자니아
우루과이
우즈베키스탄
바누아투
베네수엘라
베트남
예멘
잠비아
짐바브웨
반대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미국
기권아제르바이잔
방글라데시
부룬디
콜롬비아
조지아
케냐
나이지리아
러시아
사모아
세르비아
우크라이나
불참안도라
벨라루스
베냉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코트디부아르
키프로스
체코
도미니카 공화국
엘살바도르
에스토니아
감비아
가나
기니비사우
아이슬란드
이라크
키르기스스탄
라오스
레바논
룩셈부르크
말리
모나코
네덜란드
팔라우
파라과이
세인트키츠 네비스
산마리노
시에라리온
솔로몬 제도
스리랑카
토고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바누아투
영향
법적 구속력법적 구속력은 없으나, 도덕적, 정치적 영향력을 가짐
각국 정부의 입장 변화반대했던 국가들도 지지 입장으로 전환
중요성원주민 권리 보호 및 증진에 중요한 역할
관련 문서
관련 결의국제 노동 기구 협약 169호
관련 웹사이트국제 연합 원주민

2. 역사적 배경

원주민 권리 선언은 1982년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ECOSOC)가 원주민 인구에 관한 실무 그룹(WGIP)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기구는 호세 리카르도 마르티네스 코보 특별 보고관의 원주민 차별 문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설립되었다. 1985년 실무 그룹은 원주민 권리 선언 초안 작성에 착수, 1993년에 완성하여 차별 방지 및 소수자 보호 소위원회에 제출, 이듬해 승인받았다. 이 과정에서 국제 노동 기구는 1989년 원주민 및 부족민에 관한 협약을 채택했다.

이후 선언 초안은 인권 위원회로 회부되어 검토를 위한 별도 실무 그룹이 설립되었다. 이 실무 그룹은 수년에 걸쳐 11차례 회의를 통해 초안을 검토하고 수정했다. 자기 결정권 및 전통적 토지의 천연 자원 통제 등 일부 조항에 대한 특정 국가들의 우려로 진전이 더뎠다.[22] 2006년 6월 29일, 인권 이사회(인권 위원회 후속 기구)에서 47개 회원국 중 30개국 찬성, 2개국 반대, 12개국 기권, 3개국 불참으로 최종 채택되었다.[23]

2007년 9월 13일, 선언은 총회(문서 A/61/L.67)로 회부되어 제61차 정기 회기에서 채택 투표가 실시되었다.[24][6]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투표수량국가
찬성143아프가니스탄, 알바니아, 알제리, 안도라, 앙골라, 앤티가 바부다, 아르헨티나, 아르메니아, 오스트리아, 바하마, 바레인, 바베이도스, 벨라루스, 벨기에, 벨리즈, 베냉, 볼리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츠와나, 브라질, 브루나이, 불가리아, 부르키나파소, 캄보디아, 카메룬, 카보베르데,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칠레, 중화인민공화국, 코모로, 콩고,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쿠바, 키프로스, 체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덴마크, 지부티, 도미니카,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이집트, 엘살바도르,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가봉, 독일, 가나, 그리스, 과테말라, 기니, 가이아나, 아이티, 온두라스, 헝가리, 아이슬란드,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아일랜드, 이탈리아, 자메이카, 일본, 요르단, 카자흐스탄, 쿠웨이트,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 라트비아, 레바논, 레소토, 라이베리아, 리비아, 리히텐슈타인,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마케도니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레이시아, 몰디브, 말리, 몰타, 모리셔스, 멕시코, 미크로네시아 연방, 몰도바, 모나코, 몽골, 모잠비크, 미얀마, 나미비아, 네팔, 네덜란드, 니카라과, 니제르, 노르웨이, 오만, 파키스탄,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필리핀, 폴란드, 포르투갈, 카타르, 대한민국,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산마리노, 사우디 아라비아, 세네갈, 세르비아, 시에라리온, 싱가포르,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페인, 스리랑카, 수단, 수리남, 스와질란드, 스웨덴, 스위스, 시리아, 태국, 동티모르, 트리니다드 토바고, 튀니지, 터키, 아랍 에미리트, 영국,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베트남, 예멘, 잠비아, 짐바브웨[25]
반대4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미국[25]
기권11아제르바이잔, 방글라데시, 부탄, 부룬디, 콜롬비아, 조지아, 케냐, 나이지리아, 러시아 연방, 사모아, 우크라이나[25]
불참34차드, 코트디부아르, 적도 기니,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피지, 감비아, 그레나다, 기니비사우, 이스라엘, 키리바시, 키르기스스탄, 마셜 제도, 모리타니, 몬테네그로, 모로코, 나우루, 팔라우, 파푸아뉴기니, 루마니아, 르완다, 세인트키츠 네비스, 상투메 프린시페, 세이셸, 솔로몬 제도, 소말리아, 타지키스탄, 토고, 통가, 투르크메니스탄, 투발루, 우간다, 우즈베키스탄, 바누아투[25]



이후 반대표를 던진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미국 4개국과 기권한 콜롬비아, 사모아, 우크라이나는 모두 입장을 바꿔 선언을 지지했다.

2. 1. 초기 노력

이 선언의 토대는 1923년과 1925년에 호데노쇼니 족의 지도자 데스카헤와 마오리 종교 지도자 T. W. 라타나의 활동으로 시작되었으며, 이들은 캐나다와 뉴질랜드가 조약을 준수하지 못한 문제를 국제 연맹에 제기하려 시도했다. 국제 연맹은 국제 연합의 전신이다.[13][14]

3. 주요 내용

유엔 결의안 형식을 따르는 원주민 권리 선언은 23개의 전문과 46개의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조항에는 국가가 원주민의 권리를 증진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3]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원주민 개인과 민족의 자기 결정권, 문화 보호, 통치 형태 및 경제 개발 권리, 건강권, 노인, 여성, 아동 등 취약 계층 보호, 토지 소유권 및 환경 문제에 대한 권리 등을 포함한다.[3]
  • 원주민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고, 그들이 관련된 모든 문제에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그들 스스로가 원하는 경제적, 사회적 개발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90][91]
  • 이 문서가 앞으로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지를 규정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제38~46조).[3]

3. 1. 자기결정권

원주민 개인과 민족은 자기결정권을 가지며, 강제 동화나 문화 파괴로부터 자유로울 권리를 가진다.[3] 선언은 원주민들이 스스로의 관습, 문화 및 전통을 지키고 강화하며, 그들 자신의 필요와 목표에 맞춰 발전을 지속할 권리를 강조한다.[90]

3. 2. 문화적 권리

선언은 원주민 개인과 민족이 관습, 언어, 교육, 미디어, 종교를 통해 문화를 보호할 권리를 규정하며, 여기에는 지적 재산 통제도 포함된다.[3] 선언은 원주민이 스스로의 관습, 문화 및 전통을 지키고 강화하며, 그들 자신의 필요와 목표에 맞춰 발전을 지속할 권리를 강조한다.[90]

3. 3. 정치 및 경제적 권리

선언은 원주민의 통치 형태 및 경제 개발에 대한 권리를 주장한다(제17~21조, 제35~37조).[3] 원주민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고, 이는 그들을 걱정시키는 모든 문제에 대한 그들의 완전하고 효과적인 참여를 촉진하며, 또한 그들의 권리를 명확히 보존하고 그들 스스로가 지향하는 경제·사회적 개발을 지속하도록 한다.[90][91]

3. 4. 건강권

선언은 "문화, 정체성, 언어, 노동, 건강, 교육, 기타 문제"에 대한 국제법에 승인된 인권 향유의 권리와 마찬가지로, 개인 및 공동의 원주민 권리를 설명한다.[90] 건강권은 제23~24조에 명시되어 있다.[3]

3. 5. 취약 계층 보호

선언은 노인, 여성, 아동 등 하위 집단 보호를 규정한다(제22조). 원주민 권리 선언은 "문화, 정체성, 언어, 노동, 건강, 교육, 기타 문제"에 대한 국제법에 승인된 인권 향유의 권리와 마찬가지로, 개인 및 공동의 원주민 권리를 설명한다.[90] 또한, 스스로의 관습, 문화 및 전통을 지키고 강화하며, 그들 자신의 필요와 목표에 맞춰 발전을 지속하기 위한 원주민의 권리를 강조한다.[90]

3. 6. 토지 및 자원 권리

선언은 소유권(배상 또는 토지 반환 포함, 제10조)에서 환경 문제(제26~30조, 제32조)에 이르기까지의 토지 권리를 명시한다.[3]

3. 7. 국가의 의무

국가는 원주민의 권리 보호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한다.[3]

  • 토지(26조), 의례적 물품(12조) 및 유해(12조)를 반환한다.
  • "원주민의 건강을 모니터링, 유지 및 복원하기 위한 프로그램"(29조)을 시행한다.
  • 원주민 개인과 민족의 권리를 보호하고 옹호한다(많은 조항의 하위 항목, 선언 참조).

4. 선언의 목적과 법적 성격

이 선언은 결의안이며, 법적 효력이 있는 문서가 아니다.[5][9] 원주민은 정치적 국가로 간주되지 않으며, 국제사법재판소를 통한 국제법적 보호를 받을 수 없다. 제40조는 원주민이 국가 또는 다른 당사자와의 분쟁 및 갈등 해결을 위한 공정한 절차를 가질 권리를 명시하고 있는데, 원주민은 국제사법재판소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원주민 권리 선언은 원주민이 분쟁을 제기할 사법 권한이 어디에 있는지 명시하지 않는다.[9]

이 선언의 목적은 새로운 권리를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 전통, 원주민 제도의 복원 및 보호, 그리고 자결적 발전을 추구하는 것과 관련된 원주민 화해와 같은 주제를 다루는 것이다.[21] 선언은 "문화, 정체성, 언어, 노동, 건강, 교육, 기타 문제"에 대한 국제법에 승인된 인권 향유의 권리와 마찬가지로, 개인 및 공동의 원주민 권리를 차례로 설명한다. 선언은 스스로의 관습, 문화 및 전통을 지키고 강화하며, 그들 자신의 필요와 목표에 맞춰 발전을 지속하기 위한 원주민의 권리를 강조한다.[90] 동 선언은 원주민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고, 이는 그들을 걱정시키는 모든 문제에 대한 그들의 완전하고 효과적인 참여를 촉진하며, 또한 그들의 권리를 명확히 보존하고 그들 스스로가 지향하는 경제·사회적 개발의 지속을 촉진한다.[90][91]

5. 국제사회의 반응 및 비판

유엔 총회에서 2007년 9월 13일 원주민 권리 선언이 채택되었을 때, 국제사회는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143개국이 찬성, 4개국(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미국)이 반대, 11개국이 기권, 34개국이 불참했다.[25]

투표수량국가
찬성143아프가니스탄, 알바니아, 알제리, 안도라, 앙골라, 앤티가 바부다, 아르헨티나, 아르메니아, 오스트리아, 바하마, 바레인, 바베이도스, 벨라루스, 벨기에, 벨리즈, 베냉, 볼리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츠와나, 브라질, 브루나이, 불가리아, 부르키나파소, 캄보디아, 카메룬, 카보베르데,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칠레, 중화인민공화국, 코모로, 콩고,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쿠바, 키프로스, 체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덴마크, 지부티, 도미니카,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이집트, 엘살바도르,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가봉, 독일, 가나, 그리스, 과테말라, 기니, 가이아나, 아이티, 온두라스, 헝가리, 아이슬란드,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아일랜드, 이탈리아, 자메이카, 일본, 요르단, 카자흐스탄, 쿠웨이트,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 라트비아, 레바논, 레소토, 라이베리아, 리비아, 리히텐슈타인,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마케도니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레이시아, 몰디브, 말리, 몰타, 모리셔스, 멕시코, 미크로네시아 연방, 몰도바, 모나코, 몽골, 모잠비크, 미얀마, 나미비아, 네팔, 네덜란드, 니카라과, 니제르, 노르웨이, 오만, 파키스탄,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필리핀, 폴란드, 포르투갈, 카타르, 대한민국,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산마리노, 사우디 아라비아, 세네갈, 세르비아, 시에라리온, 싱가포르,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페인, 스리랑카, 수단, 수리남, 스와질란드, 스웨덴, 스위스, 시리아, 태국, 동티모르, 트리니다드 토바고, 튀니지, 터키, 아랍 에미리트, 영국,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베트남, 예멘, 잠비아, 짐바브웨[25]
반대4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미국[25]
기권11아제르바이잔, 방글라데시, 부탄, 부룬디, 콜롬비아, 조지아, 케냐, 나이지리아, 러시아 연방, 사모아, 우크라이나[25]
불참34차드, 코트디부아르, 적도 기니,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피지, 감비아, 그레나다, 기니비사우, 이스라엘, 키리바시, 키르기스스탄, 마셜 제도, 모리타니, 몬테네그로, 모로코, 나우루, 팔라우, 파푸아뉴기니, 루마니아, 르완다, 세인트키츠 네비스, 상투메 프린시페, 세이셸, 솔로몬 제도, 소말리아, 타지키스탄, 토고, 통가, 투르크메니스탄, 투발루, 우간다, 우즈베키스탄, 바누아투[25]



반대한 4개국은 모두 영국 제국의 식민지에서 기원했으며, 비원주민이 다수를 차지하는 국가들이다.[26] 이들은 선언의 내용이 자국의 법률 및 현실과 맞지 않다고 주장했는데,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 자기 결정권: 선언에 언급된 자기 결정권 개념에 대한 오해의 소지.[40]
  • 토지 및 자원: 원주민의 전통적 토지에 대한 권리 인정이 현재의 토지 소유권과 충돌 가능성.[40]
  • 지적 재산권: 선언에서 원주민의 지적 재산권을 확장하는 것이 불필요.[40]
  • 원주민 관습법: 원주민 관습법을 국가 법률보다 우선시할 경우 관습적 체형 및 사형 등 용납 불가.[40]


캐나다는 선언의 "정신"을 지지하지만, 캐나다 헌법과 양립할 수 없는 요소, 특히 원주민의 동의를 얻도록 요구하는 조항과 역사적으로 정착된 토지 소유권을 재개정할 수 있는 조항에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24][43]

뉴질랜드는 선언이 자국의 헌법 및 법률 체계와 근본적으로 양립할 수 없으며, 특히 원주민과 비원주민의 토지 소유권 관련 조항이 현실을 무시하고 시행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60]

미국은 선언이 명확한 보편적 원칙을 확립하지 못했으며, "원주민"이라는 용어의 정의가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66][67]

영국은 선언이 법적 구속력이 없으며, 소급 적용될 의도가 없음을 강조했다.[71]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반대했던 국가들은 입장을 바꾸어 선언을 지지하게 되었다.

5. 1. 지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선언 채택을 "유엔 회원국과 원주민들이 고통스러운 역사를 화해하고, 모든 이를 위한 인권, 정의, 발전의 길을 함께 나아가기로 결의한 역사적인 순간"이라고 평가했다.[4] 루이스 아부르 유엔 인권최고대표는 "원주민의 권리에 대한 현재까지 가장 포괄적인 성명서"가 드디어 나왔다며 그간의 노력과 끈기에 만족감을 표했다.[4]

선언 채택 소식은 아프리카에서 환영받았고,[32] 볼리비아 외무부 장관 다비드 초케우앙카는 반대하거나 기권했던 회원국들이 자신이 세계 인권 선언만큼 중요하다고 묘사한 문서를 지지하는 것을 재고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33] 볼리비아는 유엔 원주민 권리 선언을 승인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에보 모랄레스 볼리비아 대통령은 "우리는 이 선언을 법으로 만든 최초의 국가"라며 중요성을 강조했다.

국제 원주민 권리 단체인 서바이벌 인터내셔널의 스티븐 코리 국장은 "이 선언은 거의 4반세기 동안 논의되었습니다."라며, 이 선언에 반대하는 정부들은 가장 취약한 사람들의 인권을 부끄럽게도 거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34]

5. 2. 반대 및 기권

2007년 9월 13일 유엔 총회에서 원주민 권리 선언 채택 투표가 진행되었을 때, 143개국이 찬성, 4개국이 반대, 11개국이 기권, 34개국이 불참하였다.[25]



반대표를 던진 4개국은 모두 영국 제국의 식민지에서 기원했으며, 비원주민이 다수를 차지하는 국가이다.[26] 이들 국가는 이후 모두 선언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입장을 바꾸었다.[17][6] 캐나다는 2016년 5월, 선언 채택 거의 10년 만에 공식적으로 반대 입장을 철회했다.[17]


  • 캐나다는 2020년 12월 3일, 캐나다 법을 UN 결의안에 맞추기 위한 법안인 C-15법안을 하원에 제출했다.[27][28] C-15 법안은 2021년 6월 16일 캐나다 상원을 통과했고, 2021년 6월 21일에 국왕의 재가를 받아 법으로 제정되었다.[29]
  • 호주 정부의 개입은 그 조항에 따라 성공하지 못하고 이의가 제기되었다.[30]


처음 기권했던 콜롬비아, 사모아, 우크라이나는 이후 선언을 지지했다.[31][79]

러시아 연방은 '원주민 권리 선언' 채택 시 기권 결정을 번복한 적이 없다. 2009년 보편적 정례 검토(UPR)에서 멕시코의 권고를 수용했지만, 2013년에는 에스토니아의 거의 동일한 권고를 거부하며 자국의 법률이 이미 '원주민 권리 선언'의 조항보다 더 진전되었다고 주장했다.[78]

우크라이나는 처음에는 선언 채택을 기권했지만, 러시아 연방의 크림반도 합병에 대응하여 원주민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을 변경하여 크림 타타르족을 원주민으로 주장했다. 2014년 5월, 우크라이나는 공식적으로 UNDRIP를 지지했다.[79][80] 2021년 6월 1일,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는 크림 타타르족, 크림 카라이트족, 크림차크족의 지위에 관한 법률 "우크라이나 원주민에 관한 법률"을 통과시켰다.[81]

피지, 키리바시, 마셜 제도, 나우루, 팔라우,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통가, 투발루, 바누아투 등 태평양에 위치한 10개의 유엔 회원국은 모두 원주민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투표 당시 총회에 불참했다.

5. 3. 반대 국가들의 주요 쟁점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2007년 유엔 총회 투표에서 이 선언에 반대했지만, 이후 이 선언을 지지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말 브로프(Mal Brough) 가족, 지역 사회 서비스 및 원주민 문제부 장관은 원주민의 관습법 체계를 유지하는 조항과 관련하여 "모든 오스트레일리아인에게는 단 하나의 법만 있어야 하며, 현대 사회에서 용납될 수 없는 관행을 법으로 제정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24]

마리스 페인(Marise Payne) 자유당(Liberal Party) 상원의원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선언에 대한 반대를 오스트레일리아 상원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더 자세히 설명했다.[40]

  • 자기 결정에 대한 언급과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
  • 토지와 자원에 대한 현대 현실에 대한 무지. "많은 독자들에게는 현재 원주민과 비원주민을 포함한 다른 시민이 적법하게 소유한 토지에 대한 원주민의 권리를 인정해야 하는 것처럼 보이며, 따라서 제3자의 권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40]
  • 현재의 국제법 및 오스트레일리아 법 하에서 불필요한 선언 하에서의 원주민 지적 재산 권리의 확장에 대한 우려.
  • 선언에 따른 원주민의 자신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대해 무자격 동의를 할 수 있는 권리의 잠재적 남용, "이는 일부 독자들에게는 국가의 모든 문제, 즉 국가 법률 및 기타 행정 조치를 거부할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40]
  • 지적, 실질적 및 문화적 재산에 대한 원주민 권리의 배타성은 "제3자의 권리, 특히 국가법에 따라 적절한 경우 원주민 토지 및 유산, 문화 유물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하지 않습니다."[40] 또한, 그 선언은 "원주민에게 부여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소유권과 사용 및 그와 관련한 제3자의 재산에 대한 권리를 고려하지 않습니다."[40]
  • 선언이 원주민 관습법을 국가법보다 우위에 두어 "전반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관행"을 허용할 수 있다는 우려,[40] 예를 들어 관습적 체형 및 사형과 같은.


캐나다 정부는 선언의 "정신"을 지지하지만, 선언에는 캐나다 헌법의 권리 및 자유 헌장과 원주민 및 조약 권리를 명시한 제35조를 포함하는 "캐나다의 헌법 틀과 근본적으로 양립할 수 없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고 밝혔다.[24] 특히, 캐나다 정부는 19조(일반 공공 정책 문제에 관해 원주민의 동의를 얻도록 정부에 요구하는 것처럼 보임)와 26조 및 28조(역사적으로 정착된 토지 소유권을 재개정하거나 부인할 수 있음)에 문제가 있었다.[43]

전 인도 및 북부 개발부 장관 척 스트랄은 이 문서를 "헌법 정부 하의 서구 민주주의에서 실행 불가능하다"고 묘사했다.[44] 스트랄은 더 나아가 "캐나다에서는 개인의 권리와 집단적 권리의 균형을 맞추고 있으며, (이) 문서에는 그런 것이 전혀 없다. 이에 동의함으로써, 여기서 유일하게 작용하는 권리는 퍼스트 네이션의 권리라고 말함으로써 이 문서에 종속된다. 그리고 물론 캐나다에서는 이는 헌법과 일치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그는 다음과 같은 예를 들었다. "캐나다에서는... 이에 대해 협상한다... (원주민의 권리는) 이 나라의 다른 모든 권리를 능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때로는 200년 또는 300년 동안 해당 토지에서 살았고 퍼스트 네이션과 함께 사냥하고 낚시를 해 온 사람들도 고려해야 한다."[45]

유엔 원주민 권리 상설 포럼에 참석한 뉴질랜드 대표단. 뉴질랜드는 2010년 4월에 원주민 권리 선언을 지지했다.


2007년, 뉴질랜드의 마오리부 장관인 파레쿠라 호로미아는 선언을 "무력하다"고 묘사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가 문제 삼는 네 가지 조항이 있는데, 이는 선언이 뉴질랜드의 헌법적, 법적 체계와 근본적으로 양립할 수 없게 만듭니다." 그는 특히 제26조가 "원주민과 비원주민을 포함한 다른 시민이 현재 합법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토지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도록 요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현실을 무시하고 시행이 불가능할 것입니다."[60]

이에 마오리당 대표인 피타 샤플스는 "뉴질랜드가 원주민에 대한 차별 금지를 반대하고, 모든 사람의 정의, 존엄성, 기본적인 자유를 반대한 것은 극도로 부끄러운 일"이라고 말했다.[61]

유엔 주재 미국 대표부 대변인 벤자민 창은 "오늘 한 일은 명확하지 않다. 현재로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며 명확한 보편적 원칙을 확립하지 못했다"라고 말했다.[66] 미국 대표부는 또한 선언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는 "원주민 권리 선언에 관한 미국의 의견"이라는 문서를 발표했다. 이 문서의 대부분은 다른 세 국가의 거부와 동일한 요점을 기반으로 하지만, 미국은 "원주민"이라는 용어가 정확히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제공하지 못한 점에 주목했다.[67]

영국 정부를 대표하여, 영국 대사이자 유엔 부대표인 캐런 피어스는 "선언은 법적 구속력이 없으며, 역사적 사건에 대해 소급 적용될 의도가 없음을 강조했다. 영국의 영토 및 해외 영토 내의 소수 민족 집단 및 기타 민족 집단은 선언이 적용되는 원주민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말했다.[71]

참조

[1] 웹사이트 DOTROIP-24-2-PDF https://web.archive.[...] 2018-09-03
[2] 웹사이트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s://www.un.org/d[...] 2015-12-11
[3] 웹사이트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United Nations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on 13 September 2007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2007
[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adopts Declaration on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s://web.archive.[...] 2007-09-13
[5]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s://www.un.org/e[...] 2012-03-05
[6]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adopts Declaration on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Major Step Forward' towards human rights for all, says President https://web.archive.[...] 2021-07-21
[7] 간행물 Cultural genocide in Australia, Canada, New Zealand, and the United States 2010
[8] 웹사이트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 United Nations For Indigenous Peoples https://www.un.org/d[...] 2020-02-16
[9] 간행물 The Legal Status of the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2007) in Contemporary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https://brill.com/vi[...] 2017-12-07
[10] 웹사이트 News https://web.archive.[...] 2013-12-24
[11] 웹사이트 Home https://www.uwaterlo[...] 2016-11-03
[12] 문서 From aspiration to inspiration: UNDRIP finding deep traction in Indigenous communities https://web.archive.[...] The Centre for International Governance Innovation (CIGI) 2013-09-20
[13] 웹사이트 Canada's Forgotten Founders: The Modern Significance of the Haudenosaunee (Iroquois) Application for Membership in the League of Nations » Grand River Country http://grandrivercou[...] 2017-12-14
[14] 간행물 Toward Sustainable Self-Determination: Rethinking the Contemporary Indigenous-Rights Discourse
[15] 문서 Vienna Declaration and Programme of Action
[16] 웹사이트 The Draft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a vital turning point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protection https://www.amnesty.[...] 2024-01-17
[17] 웹사이트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 United Nations For Indigenous Peoples https://www.un.org/d[...] 2019-04-22
[18] 웹사이트 Canada: Implementation of UNDRIP is now the law https://www.lrwc.org[...] 2021-06-29
[19] 웹사이트 China & the UN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The Tibetan Case https://www.e-ir.inf[...] 2014-05-27
[20] 웹사이트 Denied Recognition: Vietnam's refusal to recognize the indigenous and religious rights of the Khmer Krom https://unpo.org/art[...]
[21] 웹사이트 FAQ: B.C.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Act – Province of British Columbia https://web.archive.[...] 2019-11-15
[22] 웹사이트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Adopted by the Human Rights Council on 29 June 2006 https://www.un.org/e[...]
[23] 뉴스 UN Human Rights Council adopts documents on disappearances and indigenous peoples https://www.un.org/a[...] United Nations News Centre 2006-06-29
[24] 뉴스 Indigenous rights outlined by UN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9-13
[25] 뉴스 UN adopts Declaration on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News Centre 2007-09-13
[26] 웹사이트 Canada's Opposition to UNDRIP https://web.archive.[...] 2013-12-29
[27] 뉴스 Liberals introduce bill to implement UN Indigenous rights declaration {{!}} CBC News https://www.cbc.ca/n[...] 2020-12-04
[28] 웹사이트 LEGISinfo – House Government Bill C-15 (43–2) https://www.parl.ca/[...] 2020-12-04
[29] 웹사이트 Bill to align Canadian law with UN Indigenous rights declaration passes to become law https://www.ctvnews.[...] 2021-06-17
[30] 웹사이트 UW Law Digital Commons http://digital.law.w[...] 2013-12-29
[3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s://www.un.org/e[...]
[32] 뉴스 Africa: Jubilation as UN Approves Indigenous Peoples Declaration http://allafrica.com[...] AllAfrica.com 2007-09-13
[33] 뉴스 Aprueba ONU declaración de derechos indígenas http://www.elunivers[...] "El Universal" 2007-09-13
[34] 웹사이트 After 22 years, UN votes on indigenous peoples declaration http://www.survivali[...]
[35] 웹사이트 AIATSIS Collection Access and Use Policy http://aiatsis.gov.a[...] 2015-02-12
[36] 웹사이트 Guidelines for Ethical Research in Australian Indigenous Studies http://aiatsis.gov.a[...] 2015-01-16
[37] 웹사이트 Video Discussions on the Indigenous Peoples Rights Declaration https://www.youtube.[...] sommerfilms – Rebecca Sommer 2007-05-19
[38] 간행물 United States Joins Australia and New Zealand in Criticizing Proposed Declaration on Indigenous Peoples' Rights https://dialnet.unir[...] 2007
[39] 서적 The American Empire and the Fourth World : The bowl with one spoon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40] 웹사이트 Matters of Urgency: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parlinfoweb.a[...] 2007-09-10
[41] 뉴스 Howard vows Aborigine rights vote http://news.bbc.co.u[...] 2007-10-11
[42] 뉴스 Experts hail Australia's backing of UN declaration of indigenous peoples' rights http://www.un.org/ap[...] UN News Centre 2009-04-03
[43] 뉴스 Factbox: What is the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www.canada.co[...] 2007-09-13
[44] 뉴스 Native rights declaration inconsistent with legal tradition: Strahl http://www.canada.co[...] 2007-09-13
[45] 뉴스 Tories defend 'no' in native rights vote http://www.canada.co[...] 2007-09-14
[46] 뉴스 AFN plans to invite "visionary" Chavez to visit Canada http://www.handsoffv[...] 2008-02-07
[47] 뉴스 Canada: Canada Endorses The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indigenouspeo[...] IPIR 2010-11-12
[48] 간행물 Political Party! Celebrating UNDRIP and Indigenous Culture in Montreal http://indiancountry[...] Indian Country Today 2011-09-13
[49] 웹사이트 Bill C-641 (Historical)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Act https://openparliame[...]
[50]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http://indigenous.al[...] 2016-02
[51] 뉴스 Canada officially adopts UN declaration on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www.cbc.ca/ne[...] 2016-05-10
[52] 뉴스 Justice Minister Jody Wilson-Raybould says adopting UNDRIP into Canadian law 'unworkable' – APTN News http://aptn.ca/news/[...] 2016-07-12
[53] 뉴스 Trudeau marks National Aboriginal Day with pledge to build relations, rename day http://www.cbc.ca/ne[...] 2017-06-21
[54] 웹사이트 B.C. government adopts UN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s://energeticcit[...] 2017-09-06
[55] 웹사이트 B.C. Becomes first province to implement UN Indigenous rights declaration https://globalnews.c[...]
[56] 웹사이트 B.C. becomes first province to implement UN Indigenous rights declaration https://globalnews.c[...] 2019-11-15
[57] 웹사이트 B.C.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Act – Province of British Columbia https://www2.gov.bc.[...] Ministry of Aboriginal Relations and Reconciliation 2019-11-15
[58] 웹사이트 B.C. makes history with legislation to implement UN declaration https://vancouversun[...] 2019-11-15
[59] 웹사이트 Bill 41 – 2019: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Act https://www.leg.bc.c[...] 2019-11-15
[60] 웹사이트 Māori Party's head in the clouds http://www.scoop.co.[...] 2007-09-14
[61] 웹사이트 NZ indigenous rights stance 'shameful' – Maori Party http://www.stuff.co.[...] 2011-09-27
[62] 웹사이트 Government to endorse UN indigenous rights declaration http://www.stuff.co.[...] 2009-07-07
[63] 웹사이트 NZ does U-turn on rights charter http://www.stuff.co.[...] 2010-04-20
[64] 웹사이트 New Zealand Statement Before 9th Session of the United Nations Permanent Forum on Indigenous Issues https://indigenouspe[...]
[65] 뉴스 Election 2023 coalition agreement live updates: Christopher Luxon, David Seymour, Winston Peters reveal Government policy, ministers https://www.newshub.[...] 2023-11-24
[66] 뉴스 UN adopts declaration on rights for indigenous peoples worldwide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7-09-13
[67] 웹사이트 Explanation of vote on the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s://archive.toda[...] United States Mission to the United Nations press release 2007-09-13
[68] 웹사이트 Federal Register, Volume 78, Number 87 dated May 6, 2013 http://www.bia.gov/c[...]
[69] 뉴스 U.S. will sign U.N. declaration on rights of native people, Obama tells tribes https://www.washingt[...] 2010-12-16
[70] 간행물 Announcement of U.S. Support for the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s://2009-2017.st[...] 2010-12-16
[71] 간행물 General Assembly Adopts Declaration on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s://www.un.org/N[...] 2014-09-25
[72] 웹사이트 Aboriginal Call for Full Control of Resources in Canada Based on UNDRIP - ICTMN.com http://indiancountry[...]
[73] 웹사이트 UNBISnet http://unbisnet.un.o[...] 2013-12-24
[74] 웹사이트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social.un.org[...] 2013-12-24
[75] 뉴스 YK pyysi säästämään Nellimen porot HS 2011-09-27
[76] 웹사이트 OHCHR {{!}} Finland / Indigenous peoples: New bill threatens Sami's rights to their traditional lands and livelihood https://www.ohchr.or[...] 2020-01-22
[77] 웹사이트 Saami vs. Metsähallitus: The Case for Corporate Recognition of Indigenous Rights https://www.cultural[...] 2020-01-22
[78] 서적 Indigenous Peoples in the Russian Federation https://www.iwgia.or[...] International Work Group for Indigenous Affairs
[79] 웹사이트 Don't Cry for Us Ukraina! (Ukraine) http://www.iccrimea.[...] International Committee for Crimea, Inc 2016-06-25
[80] 웹사이트 Про Заяву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щодо гарантії прав кримськотатарського народу у складі Української Держави https://zakon.rada.g[...] 2021-09-25
[81] 웹사이트 Офіційний портал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http://w1.c1.rada.go[...] 2021-06-12
[82] 웹사이트 PNG land grab update https://devpolicy.or[...] 2021-05-28
[83] 웹사이트 ABC Radio Australia http://www.radioaust[...] 2017-02-03
[84] 웹사이트 On Our Land: Modern Land Grabs Reversing Independence in Papua New Guinea https://www.oaklandi[...] 2017-02-03
[85] 웹사이트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extends remit to land grabbing http://www.scottishl[...] 2017-02-03
[86] 서적 Kastom, property and ideology: Land transformations in Melanesia http://press-files.a[...] ANU Press 2021-05-28
[87]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http://www.barrick.c[...] Barrick Gold 2017-02-03
[88] 웹사이트 Beyond the Mine: the journey towards sustainability, 2011 edition https://web.archive.[...] 2011
[89] 웹사이트 国連先住民族権利宣言 https://web.archive.[...] 時事ドットコム 2020-10-14
[90] 간행물 Frequently Asked Ques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www.un.org/es[...] United Nations Permanent Forum on Indigenous Issues
[91] 뉴스 United Nations adopts Declaration on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www.un.org/ap[...] United Nations News Centre 2007-09-13
[92] 간행물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Adopted by the Human Rights Council on 29 June 2006 http://www.un.org/es[...] United Nations Permanent Forum on Indigenous Issues
[93] 뉴스 UN Human Rights Council adopts documents on disappearances and indigenous peoples http://www.un.org/ap[...] United Nations News Centre 2006-06-29
[94] 뉴스 Indigenous rights outlined by UN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9-13
[95] 뉴스 UN adopts Declaration on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s://press.un.org[...] United Nations News Centre 2007-09-13
[96] 뉴스 Aprueba ONU declaración de derechos indígenas http://www.elunivers[...] El Universal 2007-09-13
[97] 뉴스 Africa: Jubilation as UN Approves Indigenous Peoples Declaration http://allafrica.com[...] AllAfrica.com 2007-09-13
[98] 뉴스 Tories defend 'no' in native rights vote http://www.canada.co[...] The Gazette 2007
[99] 웹사이트 先住権と権原 https://www.ff-ainu.[...] 公益財団法人アイヌ民族文化財団 2022-04-08
[100] 논문 先住民族の事前の自由なインフォームド・コンセントを得る義務 https://doi.org/10.1[...] 世界法学会
[101] 간행물 Statement by Canada's New Government regarding the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www.ainc-inac[...] Indian and Northern Affairs Canada
[102] 간행물 Statement by Ambassador McNee to the General Assembly on the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geo.internati[...]
[103] 웹사이트 Bill to align Canadian law with UN Indigenous rights declaration passes to become law https://www.ctvnews.[...] 2022-04-08
[104] 웹사이트 Consolidated federal laws of canada,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Act https://laws-lois.ju[...] 2022-04-08
[105] 웹사이트 カナダ上院が先住民族の権利に関する国連宣言を順守する法案C-15を可決したことに関するラメティ法相とベネット先住民関係相の共同声明 https://response.jp/[...] 2021-06-17
[106] 간행물 Explanation of vote on the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www.un.int/us[...] United States Mission to the United Nations press release 2007-09-13
[107] 웹사이트 List of tribes in the United States http://www.dickshove[...]
[108] 뉴스 U.S. will sign U.N. declaration on rights of native people, Obama tells tribe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0-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