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트아스테카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트아스테카어족은 북아메리카 서부와 멕시코에 걸쳐 분포하는 언어 어족이다. 이 어족에는 아스테카 문명의 언어인 고전 나와틀어와 그 현대 방언들이 포함되며, 미국 서부의 여러 주와 멕시코의 다양한 주에서 사용된다. 유트아스테카어족은 크게 북부와 남부로 나뉘며, 각 언어 간의 관계와 분류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논쟁이 존재한다. 현재는 누믹, 타키, 피믹, 타라카히트, 코라촐, 아스테카의 6개 하위 그룹과 2개의 미분류 언어로 분류되며, 사멸된 언어를 포함하여 다양한 언어가 이 어족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트아스테카어족 - 코만치어
    코만치어는 코만치족이 사용하는 유토아즈텍어족 언어로, 억압 정책으로 소멸 위기에 처했으나 암호 해독자들의 활약으로 재조명되었고 현재 언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며, 6개의 모음과 자음을 가진 다합성어의 특징을 보인다.
  • 유트아스테카어족 - 호피어
    호피어는 애리조나 북동부에 거주하는 호피족이 사용하는 유트-아즈텍어족에 속하는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이며, 스페인어 차용어와 소멸 위기에 따른 보존 노력, 그리고 '호피 시간' 개념 논쟁과 함께 여러 방언과 로마자 표기법을 특징으로 한다.
  • 엘살바도르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엘살바도르의 언어 - 나와틀어
    나와틀어는 멕시코에서 사용되는 우토아즈텍어족의 나와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의 총칭으로, 30개(국립 원주민 언어 연구소 기준) 또는 28개(Ethnologue 기준)의 개별 변종이 있으며, 과거 아즈텍어라고 불렸으나 현재는 나와어라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피필어의 포함 여부는 논쟁 중이다.
  • 멕시코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멕시코의 언어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유트아스테카어족
개요
이름유트아스테카어족
다른 이름유트아스테칸어족
로마자 표기Yuteu-aseuteeka-eojok
어족세계 주요 어족 중 하나
사용 지역미국 서부
멕시코
언어학적 정보
조상 언어원시 유트아스테카어
어족 분류카이타어파
코라촐어파
쿠파어파
호피어
나와어파
느므어파
오파타어
피마어파
세라어파
타라우마라어파
트바툴라발어
ISO 639-5azc
Glotto 코드utoa1244
Glottolog 이름Uto-Aztecan
분포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 유트아스테카어족의 분포 지도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 유트아스테카어족의 분포 지도
멕시코 내 유트아스테카어족의 현재 분포
멕시코 내 유트아스테카어족의 현재 분포
통계
화자 수1,900,412명
기준 년도2014년

2. 지리적 분포

유트아스테카어족은 북아메리카의 산맥 및 그와 인접한 저지대에서 사용되는데, 미국 서부(오리건주, 아이다호주, 몬태나주, 유타주, 캘리포니아주, 네바다주, 애리조나주)와 멕시코를 포함한다. 아스테카인들의 언어인 고전 나와틀어와 그 현대 친척 언어들도 유트아스테카어족의 구성원이다. 나와틀어의 후손 언어인 피필어는 멕시코에서 중앙아메리카로 이주해 나갔고, 이전에는 많은 화자가 있었다. 오늘날에는 에스파냐어에 전역적으로 밀려, 과테말라온두라스에서는 사멸했고, 엘살바도르 서부에서는 거의 사멸한 상태이다.

미국과 멕시코에서의 유토아즈텍어족의 현존하는 것과 사멸된 것의 역사적인 분포


유토아즈텍어족의 원향은 일반적으로 미국 남서부, 애리조나주, 뉴멕시코주, 멕시코 북부 어딘가였으며, 처음에는 남부 어파와 북부 어파로 나뉘었다고 생각된다. 누믹어파의 원향은 캘리포니아주의 데스 밸리 부근이며, 남부 유토아즈텍어는 소노라주 남부와 시날로아주 북부를 비롯한 멕시코 북서부로 퍼져나갔다고 여겨진다.

2. 1. 현존하는 멕시코와 메소아메리카 유트아스테카어족 언어들의 분포

멕시코 및 주변의 유토아스테카어족 사용 지역


멕시코에서는 소노라 주, 시날로아 주, 치와와 주, 나야리트 주, 두랑고 주, 사카테카스 주, 할리스코 주, 미초아칸 주, 게레로 주, 산루이스포토시 주, 이달고 주, 푸에블라 주, 베라크루스 주, 모렐로스 주, 멕시코 주, 멕시코 시티에서 사용된다. 고전 나우아틀어는 아즈텍의 언어이며, 나우아틀 방언의 현대 언어는 유트아스테카어족에 속한다. 피필어는 나우아틀어에서 파생된 언어로, 멕시코에서 일어난 이주로 인해 중앙 아메리카로 퍼져나갔으며, 한때 많은 사용자를 보유했었다. 현재는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에서는 사멸되었고, 엘살바도르 서부에서도 거의 사멸되었는데, 이들 지역은 모두 스페인어가 지배적인 지역이다.

3. 분류

유토아스테카어족은 1900년대 초부터 단일 어족으로 여겨져 왔으며, 일반적으로 8개의 언어 그룹으로 하위 분류되는 것이 인정되고 있다. 어떤 언어 변종이 독립된 언어이고, 어떤 것이 방언에 불과한지, 그리고 상위 분류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캠벨(1997), 미슨(1999), 고다드(1999)의 의견 일치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어족어파어군언어사용 지역 및 추정 화자 수
유트아스테카어족북부 유트아스테카어족
(지리적 구분일 수 있음)
느므어파서느므어군파비오초어, 배넉어, 북부 파이우트어700명, 캘리포니아주, 오리건주, 아이다호주, 네바다주
모노어40여명, 캘리포니아주
중앙느므어군
쇼쇼니어, 고슈트어능숙한 화자 1000명 및 학습자 1000명, 와이오밍주, 유타주, 네바다주, 아이다호주
코만치어100명, 오클라호마주
팀비샤어, 파나민트어20명, 캘리포니아주네바다주
남느므어군콜로라도 강 방언 연속체: 유트어, 남부 파이우트어, 체메웨비어모든 방언형 총 920명, 콜로라도주, 네바다주, 캘리포니아주, 유타주, 애리조나주
카와이수어5명, 캘리포니아주
캘리포니아 언어 지역세라노어파세라노어, 키타네무크어 (†)모어 화자 없음
쿠파어파카위야어, 쿠페뇨어카위야어 35명, 쿠페뇨어 화자 없음
rowspan=1 |루이세뇨후아네뇨어5명, 캘리포니아주 남부
rowspan=1 |통바어 (가브리엘리노페르난데뇨어)마지막 모어 화자 1900년대에 사망, 21세기에 재활성화 노력 진행 중, 캘리포니아주 남부
호피어파호피어6,800명, 애리조나주 북동부
트바툴라발어파트바툴라발어5명, 캘리포니아주 컨 카운티
남부 유트아스테카어족
(지리적 구분일 수 있음)
테피마어파
피마어군오오드함어 (피마파파고어)14,000명, 미국 애리조나주 남부 및 멕시코 소노라주 북부
오오브노오크어650명, 멕시코 치와와주소노라주
테페완어군북부 테페완어6,200명, 치와와주
남부 테페완어10,600명, 두랑고주 남동부
테페카노어 (†)1985년경 이후 사멸, 할리스코주 북부
타라우마라어파타라우마라어 (여러 변이형)모든 방언형 총 45,500명, 치와와주
상류 와리히오어, 하류 와리히오어2,840명, 치와와주소노라주
투바르어 (†)시날로아주소노라주
카이타어파야키어11,800명, 소노라주애리조나주
마요어33,000명, 시날로아주소노라주
오파타어파오파타어 (†)1930년경 이후 사멸, 소노라주
에우데예어 (†)소노라주, 1940년 이후 사멸
코라촐어파코라어13,600명, 나야리트주 북부
위촐어17,800명, 나야리트주할리스코주
아스테카어파포추텍어 (†)1970년대 이후 사멸, 오아하카주 해안
핵심 나와어파피필어20-40명, 엘살바도르
나와틀어1,500,000명, 멕시코 중부



이 외에도, 지금은 사멸했거나 기록되지 않았거나 잘 알려지지 않은 멕시코 북부의 언어들 중 다수가 유트아스테카어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57]

유토아스테카어족의 하위 범주에 관한 대부분의 문제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의가 분분하며, 특히 상위 수준 그룹화에 대한 이견은 19세기부터 지속되었다. 현재 학자들은 방언 연속체 내에서 언어 경계를 어디에 그릴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2011년경부터 "북부 유토아스테카어"와 "남부 유토아스테카어" 언어 간의 제안된 기본적인 분할을 받아들일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진행 중이다.[11] 테렌스 카우프만은 북부 및 남부 분파로의 기본적인 분할을 유효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윅 R. 밀러는 통계적 근거로 북부 유토아스테카어가 하나의 단위로 간주될 수 있을 만큼 공통 어휘가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반면에 그는 남부 유토아스테카어 간의 공통 어휘 수가 유전적 관계를 시사한다고 생각했다.[11]

일부 분류는 코라촐과 나우아어 간의 유전적 관계를 가정했지만,[11] 카우프만은 코라촐과 아스테카어 간의 유사성을 확산으로 설명한다.[11]

3. 1. 분류의 역사

유토아스테카어족 간의 유사성은 1859년 J. C. E. 부쉬만에 의해 처음 언급되었지만, 그는 아스테카 분파와 나머지 언어 간의 유전적 관계를 인식하지 못했다. 그는 두 그룹 간의 유사성을 확산으로 돌렸다. 다니엘 개리슨 브린턴은 1891년 아스테카어를 이 언어족에 추가하고 유토아스테카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그러나 존 웨슬리 파월은 1891년에 출판된 북미 원주민 언어 분류에서 이 주장을 거부했다. 파월은 "쇼쇼니언" (타키, 누믹, 호피, 투바투라발 포함)과 "소노란" (피믹, 타라카히탄, 코라촐 포함)의 두 언어족을 인정했다.

1900년대 초 알프레드 L. 크로버는 쇼쇼니언 그룹의 관계를 밝혔고, 에드워드 사피어는 아스테카, "소노란" 및 "쇼쇼니언" 간의 통일성을 증명했다. 사피어가 기록되지 않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에 비교 방법을 적용한 것은 획기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유토아스테카어족은 1900년대 초부터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언어 계통으로 받아들여졌으며, 일반적으로 6개의 하위 그룹(누믹, 타키, 피믹, 타라카히트, 코라촐, 아스테카)이 유효한 것으로 인정된다. 이 외에 두 개의 미분류 언어인 투바투라발과 호피가 있다.

2011년경부터 "북부 유토아스테카어"와 "남부 유토아스테카어" 언어 간의 제안된 기본적인 분할을 받아들일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진행 중이다. 북부 유토아스테카어는 파월의 "쇼쇼니언"에 해당하며, 후자는 나머지 모든 언어, 즉 파월의 "소노란"과 아스테카를 합한 것이다. 테렌스 카우프만은 북부 및 남부 분파로의 기본적인 분할을 유효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윅 R. 밀러는 북부 유토아스테카어는 하나의 단위로 간주될 수 있을 만큼 공통 어휘가 충분히 많지 않다고 주장했다. 반면에 그는 남부 유토아스테카어 간의 공통 어휘 수가 유전적 관계를 시사한다고 생각했다.

일부 분류는 코라촐과 나우아어 간의 유전적 관계를 가정했다. 테렌스 카우프만은 코라촐과 아스테카어 간의 유사성을 인정하지만, 이를 유전적 진화가 아닌 확산으로 설명한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원시 유토아스테카어의 분열을 방언 연속체의 점진적인 붕괴 사례로 본다.

3. 2. 현재 체계

에 따르면 유트아스테카어족의 현재 체계는 다음과 같다. 이 분류는 이전의 타아카이타어파와 타카어파로 묶였으나, 더는 계통적으로 유효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언어들을 분리했다. 북부와 남부 언어들 간의 구분이 지리적인지 계통적인지는 논의 중이다.

어족어파어군언어사용 지역 및 추정 화자 수
유트아스테카어족북부 유트아스테카어족
(지리적 구분일 수 있음)
느므어파서느므어군파비오초어, 배넉어, 북부 파이우트어700명, 캘리포니아주, 오리건주, 아이다호주, 네바다주
모노어40여명, 캘리포니아주
중앙느므어군
쇼쇼니어, 고슈트어능숙한 화자 1000명 및 학습자 1000명, 와이오밍주, 유타주, 네바다주, 아이다호주
코만치어100명, 오클라호마주
팀비샤어, 파나민트어20명, 캘리포니아주네바다주
남느므어군콜로라도 강 방언 연속체: 유트어, 남부 파이우트어, 체메웨비어모든 방언형 총 920명, 콜로라도주, 네바다주, 캘리포니아주, 유타주, 애리조나주
카와이수어5명, 캘리포니아주
캘리포니아 언어 지역세라노어파세라노어, 키타네무크어 (†)모어 화자 없음
쿠파어파카위야어, 쿠페뇨어카위야어 35명, 쿠페뇨어 화자 없음
rowspan=1 |루이세뇨후아네뇨어5명, 캘리포니아주 남부
rowspan=1 |통바어 (가브리엘리노페르난데뇨어)마지막 모어 화자 1900년대에 사망, 21세기에 재활성화 노력 진행 중, 캘리포니아주 남부
호피어파호피어6,800명, 애리조나주 북동부
트바툴라발어파트바툴라발어5명, 캘리포니아주 컨 카운티
남부 유트아스테카어족
(지리적 구분일 수 있음)
테피마어파
피마어군오오드함어 (피마파파고어)14,000명, 미국 애리조나주 남부 및 멕시코 소노라주 북부
오오브노오크어650명, 멕시코 치와와주소노라주
테페완어군북부 테페완어6,200명, 치와와주
남부 테페완어10,600명, 두랑고주 남동부
테페카노어 (†)1985년경 이후 사멸, 할리스코주 북부
타라우마라어파타라우마라어 (여러 변이형)모든 방언형 총 45,500명, 치와와주
상류 와리히오어, 하류 와리히오어2,840명, 치와와주소노라주
투바르어 (†)시날로아주소노라주
카이타어파야키어11,800명, 소노라주애리조나주
마요어33,000명, 시날로아주소노라주
오파타어파오파타어 (†)1930년경 이후 사멸, 소노라주
에우데예어 (†)소노라주, 1940년 이후 사멸
코라촐어파코라어13,600명, 나야리트주 북부
위촐어17,800명, 나야리트주할리스코주
아스테카어파포추텍어 (†)1970년대 이후 사멸, 오아하카주 해안
핵심 나와어파피필어20-40명, 엘살바도르
나와틀어1,500,000명, 멕시코 중부



위 표의 언어들 외에도, 지금은 사멸했거나 기록되지 않았거나 잘 알려지지 않은 멕시코 북부의 언어들 중 다수가 유트아스테카어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57] 유토아스테카어족은 1900년대 초부터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언어 계통으로 받아들여졌으며, 일반적으로 6개의 하위 그룹(누믹, 타키, 피믹, 타라카히트, 코라촐, 아스테카)이 유효한 것으로 인정된다. 투바투라발과 호피는 미분류 언어이다. 최근 연구는 타라카히트어와 타키어의 통일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유토아스테카어족 언어 간의 유사성은 1859년 J. C. E. 부쉬만이 처음 언급했지만, 그는 아스테카 분파와 나머지 언어 간의 유전적 관계를 인식하지 못했다. 대니얼 개리슨 브린턴은 1891년 아스테카어를 이 언어족에 추가하고 유토아스테카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그러나 존 웨슬리 파월은 1891년 북미 원주민 언어 분류에서 이 주장을 거부했다.

1900년대 초 알프레드 L. 크로버는 (쇼쇼니족)과의 관계를 밝혀냈고, 에드워드 사피어는 비교 언어학을 적용하여 아스테카, "소노란", "쇼쇼니언" 간의 통일성을 증명했다.

유토-아스테카어족의 하위 범주에 관한 대부분의 문제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의가 분분하며, 특히 상위 수준 그룹화에 대한 이견은 19세기부터 지속되었다. 현재 학자들은 방언 연속체 내에서 언어 경계를 어디에 그릴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2011년경부터 "북부 유토아스테카어"와 "남부 유토아스테카어" 언어 간의 제안된 기본적인 분할을 받아들일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진행 중이다.[11] 북부 유토아스테카어는 제프리 히스와 알렉시스 마나스터 라머가 각각 형태론적, 음운론적 증거를 바탕으로 유전적 그룹으로 제안했다. 테렌스 카우프만은 북부 및 남부 분파로의 기본적인 분할을 유효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윅 R. 밀러는 통계적 근거로 북부 유토아스테카어가 하나의 단위로 간주될 수 있을 만큼 공통 어휘가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반면에 그는 남부 유토아스테카어 간의 공통 어휘 수가 유전적 관계를 시사한다고 생각했다.[11]

일부 분류는 코라촐과 나우아어 간의 유전적 관계를 가정했지만,[11] 카우프만은 코라촐과 아스테카어 간의 유사성을 확산으로 설명한다.[11]

3. 3. 사멸한 언어

간단하게 언급만 되었고 기록되기 이전에 사멸한 수많은 언어들이 유트아스테카어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4. 음운론

유트아스테카어족의 음운 체계는 비교적 단순한 편이다.

4. 1. 자음


  • n과 *ŋ은 실제로는 각각 *l와 *n이었을 수도 있다.



  • n과 *ŋ은 실제로는 각각 *l과 *n이었을지도 모른다.

5. 외부 관계

"아즈텍-타노아" 상위어족은 20세기 초 에드워드 사피어가 처음 제안했으며, 우토아즈텍어족과 미국 남서부의 타노아어족을 통합한다. 이후 다른 학자들이 어휘적 증거로 이를 뒷받침했다. 이 제안은 제안된 동계어 집합의 타당성에 대해 많은 비판을 받았으며, 지난 세기 말 이후 입증되지 않아 대부분 폐기되었다.[7]

참조

[1] 웹사이트 Nahuatl Family https://mexico.sil.o[...] 2020-10-16
[2] 간행물 Nawat – and not Nahuatl. Central American Nawat and its flavors: Nawat pipil and Nawat nicarao https://www.caratula[...] 2013
[3] 간행물 Las lenguas de la Gran Nicoya Museo Nacional de Costa Rica 1994
[4] 웹사이트 Nicarao https://www.merriam-[...]
[5] 웹사이트 Summary by language family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14-07-02
[6] 웹사이트 The Pahka'anil Language https://web.csulb.ed[...] 2023-05-21
[7] 서적 American Indian languages: The historical linguistics of Native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8] 문서 Campbell 1997:136
[9] 문서 Kaufman, Terrence, (2001) "Nawa linguistic prehistory" http://www.albany.ed[...] Mesoamerican Language Documentation Project
[10] 문서 Mithun 1999
[11] 문서 Goddard 1996:7; Miller 1983:118; Mithun 1999:539-540.
[12] 문서 Benjamin Lee Whorf. 1946. "The Hopi Language, Toreva Dialect," ''Linguistic Structures of Native America''. Ed. Cornelius Osgood. Viking Fund Publications in Anthropology 6. New York: Wenner-Gren Foundation. Pages 158-183.LaVerne Masayesva Jeanne. 1978. ''Aspects of Hopi grammar'',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hD dissertation.Hopi Dictionary Project. 1998. ''[[Hopi Dictionary: Hopìikwa Lavàytutuveni]]: A Hopi-English Dictionary of the Third Mesa Dialect With an English-Hopi Finder List and a Sketch of Hopi Grammar''. Tucson: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3] 문서 C.F. Voegelin. 1935. ''Tübatulabal Grammar''.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American Archaeology and Ethnology 34/2.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C.F. Voegelin. 1958. "Working Dictionary of Tubatulabal,"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24:221-228.
[14] 문서 David Iannucci. 1972. "Numic historical phonology," Cornell University PhD dissertation.Michael Nichols. 1973. "Northern Paiute historical grammar,"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PhD dissertationWick R. Miller. 1986. "Numic Languages," ''Handbook of North American Indians, Volume 11, Great Basin''. Ed. by Warren L. d’Azevedo. Washington: Smithsonian Institution. Pages 98-106.
[15] 문서 Lila Wistrand Robinson & James Armagost. 1990. ''Comanche Dictionary and Grammar''.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Publications in Linguistics Publication 92. Dallas, Texas: The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Jean O. Charney. 1993. ''A Grammar of Comanche''. Studies in the Anthropology of North American Indians. Lincoln, Nebraska: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6] 문서 Jon P. Dayley. 1989. ''Tümpisa (Panamint) Shoshone Grammar''.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Linguistics Volume 115.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Jon P. Dayley. 1989. ''Tümpisa (Panamint) Shoshone Dictionary''.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Linguistics Volume 116.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문서 John E. McLaughlin. 2006. ''Timbisha (Panamint)''. Languages of the World/Materials 453. Muenchen: LINCOM Europa.
[18] 문서 Richley H. Crapo. 1976. ''Big Smokey Valley Shoshoni''. Desert Research Institute Pub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10. Reno: University of Nevada Press.Beverly Crum & Jon Dayley. 1993. ''Western Shoshoni Grammar''. Boise State University Occasional Papers and Monographs in Cultural Anthropology and Linguistics Volume No. 1. Boise, Idaho: Department of Anthropology, Boise State University.
[19] 문서 Wick R. Miller. 1972. ''Newe Natekwinappeh: Shoshoni Stories and Dictionary''. University of Utah Anthropological Papers 94. Salt Lake City: University of Utah Press.Wick R. Miller. 1996. "Sketch of Shoshone, a Uto-Aztecan Language," ''Handbook of North American Indians, Volume 17, Languages''. Ed. Ives Goddard. Washington, D.C.: Smithsonian Institution. Pages 693-720.
[20] 문서 Drusilla Gould & Christopher Loether. 2002. ''An Introduction to the Shoshoni Language: Dammen Daigwape''. Salt Lake City, Utah: The University of Utah Press.
[21] 문서 D.B. Shimkin. 1949. "Shoshone, I: Linguistic Sketch and 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15:175-188.D. B. Shimkin. 1949. "Shoshone II: Morpheme List,"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15.203-212.Malinda Tidzump. 1970. ''Shoshone Thesaurus''. Grand Forks, North Dakota.
[22] 문서 Maurice L. Zigmond, Curtis G. Booth, & Pamela Munro. 1991. ''Kawaiisu, A Grammar and Dictionary with Texts''. Ed. Pamela Munro.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Linguistics Volume 119.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3] 문서 Margaret L. Press. 1979. ''Chemehuevi, A Grammar and Lexicon''.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Linguistics Volume 92.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Laird, Carobeth. 1976. ''The Chemehuevis''. Malki Museum Press, Banning, California.
[24] 문서 Edward Sapir. 1930. ''Southern Paiute, a Shoshonean Language''. Reprinted in 1992 in: ''The Collected Works of Edward Sapir, X, Southern Paiute and Ute Linguistics and Ethnography''. Ed. William Bright. Berlin: Mouton deGruyter.Edward Sapir. 1931. ''Southern Paiute Dictionary''. Reprinted in 1992 in: ''The Collected Works of Edward Sapir, X, Southern Paiute and Ute Linguistics and Ethnography''. Ed. William Bright. Berlin: Mouton deGruyter.Pamela A. Bunte. 1979. "Problems in Southern Paiute Syntax and Semantics," Indiana University Ph.D. dissertation.
[25] 문서 Talmy Givón. 1980. ''Ute Reference Grammar''. 1st edition. Ignacio, Colorado: Ute Press.Jean O. Charney. 1996. ''A Dictionary of the Southern Ute Language''. Ignacio, Colorado: Ute Press.
[26] 문서 Sidney M. Lamb. 1957. "Mono Grammar,"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Ph.D. dissertation.Rosalie Bethel, Paul V. Kroskrity, Christopher Loether, & Gregory A. Reinhardt. 1993. ''A Dictionary of Western Mono''. 2nd edition.
[27] 문서 Evan J. Norris. 1986. "A Grammar Sketch and Comparative Study of Eastern Mono,"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Ph.D. dissertation.
[28] 문서 Anonymous. 1987. ''Yerington Paiute Grammar''. Anchorage, Alaska: Bilingual Education Services.Arie Poldevaart. 1987. ''Paiute-English English-Paiute Dictionary''. Yerington, Nevada: Yerington Paiute Tribe.
[29] 문서 Allen Snapp, John Anderson, & Joy Anderson. 1982. "Northern Paiute," ''Studies in Uto-Aztecan Grammar, Volume 3, Uto-Aztecan Grammatical Sketches''. Ed. Ronald W. Langacker.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Publications in Linguistics Publication Number 57, Volume III. Dallas, Texas: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Pages 1-92.
[30] 문서 Timothy John Thornes. 2003. "A Northern Paiute Grammar with Texts," University of Oregon Ph.D. dissertation.
[31] 문서 Sven Liljeblad. 1966-1967. "Northern Paiute Lessons," manuscript.Sven Liljeblad. 1950. "Bannack I: Phonemes,"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16:126-131
[32] 문서 In addition to the Takic languages considered by Campbell, ''Tataviam'' has been recognized as a separate Takic language (Goddard 1996:7; Mithun 1999:539). Tataviam has sometimes been called by a ''Chumash'' name, ''Alliklik'', although other scholars have reserved that name for a Chumash dialect or language (cf. Campbell 1997:135; Mithun 1999:544)
[33] 문서 Kenneth C. Hill. 1967. ''A Grammar of the Serrano Languag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PhD dissertation.
[34] 문서 Alice J. Anderton. 1988. ''The Language of the Kitanemuks of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PhD dissertation.
[35] 문서 Hansjakob Seiler. 1977. ''Cahuilla Grammar''. Banning, California: Malki Museum Press.Hansjakob Seiler and Kojiro Hioki. 1979. ''Cahuilla Dictionary''. Banning, California: Malki Museum Press.
[36] 서적 Mulu'wetam, the First People: Cupeno Oral History and Language Malki Museum Press 1973
[37] 서적 The Sparkman Grammar of Luiseño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0
[37] 서적 A Luiseno Dictiona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8
[37]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Luiseño Language Malki Museum Press 1971
[37] 논문 Dictionary of Rincon Luiseno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1999
[38] 서적 A Tohono O'odham Grammar Th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983
[38] 서적 Dictionary: Tohono O'Odham/Pima to English, English to Tohono O'Odham/Pima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998
[39] 서적 Textos y gramatica del pima bajo Departamento de Letra y Linguistica, Universidad de Mexico 1993
[40] 간행물 Northern Tepehuan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1982
[41] 서적 A reference grammar of southeastern Tepehuan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1991
[42] 논문 Tepecano, A Piman language of western Mexico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 1916
[43] 간행물 Western Tarahumara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1984
[44] 서적 La lengua guarijio: gramatica, vocabulario y textos Instituto de Investigaciones Antropologicas, UNAM 1996
[45] 서적 El idioma tubar y los tubares Universidad Iberoamericana 1978
[46] 서적 Elementos de la lengua cahita (yaqui-mayo) Universidad Nacional Autónoma de México 1978
[47] 서적 Yaqui Language Structure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999
[47] 서적 Yoeme-English English-Yoeme Standard Dictionary Hippocrene Books 1999
[48] 서적 Vocabulario Mayo ILV 1962
[48] 서적 Una gramática de la Lengua Mayo Universidad de Sonora 1984
[49] 서적 Arte de la Lengua Teguima vulgarmente llamada Opata Miguel de Ribera 1702
[50] 서적 El eudeve, un idioma extinto de Sonora (Study based on materials of J. Johnson, Loaysa, Bartlett, and Smith) Instituto de Investigaciones Antropologicas, Universidad Nacional Autonoma de Mexico 1986
[50] 논문 Eudeve morphosyntax: an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1991
[51] 간행물 Cora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1984
[52] 서적 Gramática Didáctica del Huichol: Vol. I. Estructura Fonológica y Sistema de Escritura Departamento de Estudios en Lenguas Indígenas-Universidad de Guadalajara – Secretaria de Educación Pública 2001
[53] 서적 Las áreas dialectales del náhuatl moderno Instituto de Investigaciones Antropológicas, Universidad Nacional Autónoma de México 1986
[54] 논문 El dialecto mexicano de Pochutla, Oaxaca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1917
[55] 서적 The Pipil language of El Salvador Mouton Publishers 1985
[56] 서적 Vocabulario en Lengua Castellana y Mexicana y Mexicana y Castellana Porrúa México 1555
[56] 서적 Arte de la lengua mexicana: con la declaración de los adverbios della Porrúa 1645
[57] 문서 Campbell 1997
[58] 웹인용 Summary by language family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14-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