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피어는 미국 남서부에 거주하는 호피족이 사용하는 유토아즈텍어족 언어이다. 4개의 방언(퍼스트 메사, 미숑노비, 시파울로비, 서드 메사)으로 나뉘며, 벤자민 리 워프의 연구를 통해 처음 분석되었다. 호피어는 로마자를 사용하며, 음운론적으로 6개의 모음과 방언에 따라 다양한 자음을 가진다. 형태론적으로는 접미사를 통해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표현하며, 명사는 주격과 사격으로, 지시사는 격으로 표시된다. 통사론적으로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지며, 복수 동사와 이중수 명사가 존재한다. 호피어는 푸에블로 언어권에 속하며, 언어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벤자민 리 워프는 호피어를 예시로 사피어-워프 가설을 제시했지만, 그의 주장은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유트아스테카어족 - 코만치어 코만치어는 코만치족이 사용하는 유토아즈텍어족 언어로, 억압 정책으로 소멸 위기에 처했으나 암호 해독자들의 활약으로 재조명되었고 현재 언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며, 6개의 모음과 자음을 가진 다합성어의 특징을 보인다.
유트아스테카어족 - 피필어 피필어는 우토아즈텍어족 나우아어군의 언어로, 엘살바도르에서 주로 사용되며 멸종 위기에 있어 언어 부활 노력이 진행 중이고, 멕시코 남부 나우아틀어와 유사성을 가지면서도 고전 나와틀어와 음운론적, 문법적 차이를 보인다.
미국의 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미국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소멸위기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소멸위기언어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호피어
기본 정보
언어 이름
호피어
고유 이름
Hopilàvayi (호필라바이)
화자 수
6,080명 (2015년 인구 조사)
모어 사용자 수
40명
민족
호피족 (7,350명, Golla 2007)
사용 국가
미국
사용 지역
애리조나주 북동부
언어 상태
취약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
언어 분류
어족
유트아스테카어족
어파
북부 유트아스테카어파
문자 체계
문자
라틴 문자
언어 코드
ISO 639-3
hop
Glottolog
hopi1249
기타
참고
IPA (국제 음성 기호) 사용
지도
호피어는 유네스코의 세계 위험 언어 지도에 의해 취약한 언어로 분류됨
관련 정보
민족
호피족
언어
호피어 (Hopilàvayi), 평원 인디언 수화 (Hand Talk)
거주지
호피족 자치구역 (Hopitutskwa)
언어 보존 노력
교육 프로그램
애리조나 공립학교에서 이중 언어 프로그램 성장 중 (http://azednews.com/2014/07/07/dual-language-programs-grow-in-arizona-public-schools/)
언어 보호
호피어 보호를 위한 교육 (https://www.npr.org/2019/08/17/751986794/teaching-to-protect-the-hopi-language)
2. 언어 변이
벤자민 워프는 호피어를 퍼스트 메사, 미숑노비, 시파울로비, 서드 메사의 네 가지 방언으로 구분했다.[1] 쇵고포비 출신 화자가 쓴 입문 교재가 있는데, 쇵고포비는 세컨드 메사의 또 다른 마을이지만, 다른 방언과의 관계는 분석되지 않았다.
2. 1. 퍼스트 메사 방언
애리조나주 퍼스트 메사(동쪽 메사)의 왈피 푸에블로와 폴라카 마을, 그리고 인근 지역 사회에서 사용된다. 폴라카는 메사 꼭대기에 위치한 다른 마을들과 달리 퍼스트 메사 기슭에 위치해 있으며, 호피족과 테와족이 함께 사용한다. 애리조나 테와 공동체는 퍼스트 메사에 거주하며, 이들은 호피어, 영어, 스페인어 외에 테와어를 사용한다.
2. 2. 미숑노비 방언
벤자민 워프의 연구에 따르면, 미숑노비 방언은 애리조나주 세컨드 메사(중앙 메사)의 미숑노비 마을에서 사용된다. 미숑노비는 퍼스트 메사와 서드 메사 방언에 비해 사용자가 적다. 워프는 미숑노비 방언이 가장 오래되었고 음운적으로 복잡하다고 주장하며, 서드 메사 방언은 미숑노비에서 사라진 몇몇 오래된 유물을 보존하고 있다고 한다.
호피어에 대한 최초의 출판된 분석은 벤자민 워프의 미숑노비 호피어 연구이다. 그의 연구는 주로 한 명의 보호구역 밖 정보 제공자를 기반으로 했지만, 나중에 다른 보호구역 화자들에 의해 검증되었다.[1]
2. 3. 시파울로비 방언
시파울로비 방언은 애리조나주 세컨드 메사(중앙 메사)의 시파울로비 마을에서 사용되는데, 이곳은 미숑노비 마을과 가깝다. 워프는 세컨드 메사의 다른 마을들이 어떤 방언에 속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언급한다.[1]
2. 4. 서드 메사 방언
벤자민 워프는 호피어를 네 가지 방언으로 구분했는데, 그 중 서드 메사 방언은 애리조나주 서드 메사(서쪽 메사)의 오라이비 마을과 인근 지역 사회, 그리고 서드 메사에서 서쪽으로 떨어진 모엔코피 마을에서 사용된다.
에 따르면, 젊은 세대의 서드 메사 방언 화자들은 모음 ''a'', ''i'', ''e'', ''u'' 뒤에서 서로 다른 주어 종속절 ''-qw''의 순음화 특징을 잃어버리고 대신 ''-q''를 사용한다. 이러한 순음화 소실은 동시성 표지에서도 발견되는데, 젊은 화자들은 ''-kyang''을 사용하는 반면, 이전 세대에서는 ''-kyangw''를 사용한다. 음절 종결 자음에서 ''kw'' 또는 ''ngw''가 있는 단어에서도 순음화가 소실된다.
naksuhop (젊은 세대) vs. nakwsuhop (이전 세대) "그는 시작했다"
hiknihop (젊은 세대) vs. kikwnihop (이전 세대) "그는 마실 것이다"
tuusungtihop (젊은 세대) vs. tuusungwtihop (이전 세대) "그는 얼어붙었다"
3. 음운론
호피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되며, 방언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호피어는 6개의 기본 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방언에 따라 자음의 수에 차이가 있다. 특히 서드 메사 방언과 미숑노비 방언은 자음 목록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인다.
미숑노비 방언은 서드 메사 방언보다 더 많은 자음을 가지는데, 유기 파열음과 무성 공명음 계열이 추가되었다.
호피어는 저모음 앞에서 여러 연구개 파열음 대립을 보인다. 다른 모음 앞에서는 이러한 대립이 중화된다. 중화 환경의 연구개음은 "중립" ''k''라고 불린다.[5] 전설 모음 와 앞에서는 구개음화되어 구개 활음 가 뒤따른다. 비전설 모음 와 앞에서는 일반적인 연구개음이다. 전설 원순 모음 앞에서는 후설 조음을 가진다. 앞에서는 구개 활음이 따르는 전설 연구개음과 후설 연구개음 사이에 음소 대립이 존재한다.
스페인어 차용어는 호피어에 세 번째 연구개 대립을 도입했다. 이러한 차용어의 연구개음은 "중립"이며, 일반적으로 연구개 조음을 가진다.
연구개 파열음과 유사하게, 호피어는 전설 비음과 후설 비음을 가진다. 전설 비음은 구개음 이다. 후설 비음은 서드 메사 방언에서 연구개음 으로, 미숑노비 방언에서는 로 묘사된다.
3. 2. 2. 설단음
호피어의 치경 지찰음 와 는 설단음이다. 일부 서드 메사 방언 사용자는 이 소리를 와 로 구개음화하는데, 이는 영어의 와 와 비슷하게 들릴 수 있다. 미숑노비 방언에서는 음절 시작 부분에서 가 구개음화되고 다른 곳에서는 구개음화되지 않는다.
r영어로 표시되는 설단음은 권설 마찰음 ()과 탄음 사이에서 변하지만, 마찰음으로 소리나는 경우가 더 흔하다. 미숑노비 방언에서는 이 소리가 약하게 마찰음이다. 음절 코다 위치에서는 무성 마찰음 로 소리가 없어진다.
3. 3. 음절 구조
가장 흔한 음절 묶음은 CV와 CVC이다.
CVCC 묶음은 언어 내에서 CC 결합의 수가 제한적이어서 매우 드물다. 이로 인해 음절 내 묶음 C-C와 CC-C를 찾는 것도 드물다.
3. 4. 강세
호피어의 강세 패턴은 거의 모든 단어에 적용되는 간단한 규칙을 따른다.
모음이 하나 또는 두 개인 단어에서는 첫 번째 모음에 강세가 온다.
모음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첫 번째 모음이 길거나 두 개의 자음이 바로 뒤따르면 첫 번째 모음에 강세가 온다. 그렇지 않으면 두 번째 모음에 강세가 온다.
이 규칙의 몇 가지 예외는 sikisve|시키스베hop "자동차", wehekna|웨헤크나hop "흘리다" 및 warikiwta|와리키우타hop "달리기"가 있다. 이러한 단어들은 두 번째 모음에 강세가 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실제로는 첫 번째 모음에 강세가 온다.
3. 5. 성조
호피어의 서드 메사 방언은 장모음, 이중 모음, 모음 + 공명음 시퀀스에 성조가 나타난다. 이 방언은 하강조 또는 평성조를 갖는다.
서드 메사 방언의 하강조(고-저)는 Whorf가 기록한 세컨드 메사 방언에서 모음 + 사전 유기 자음, 모음 + 무성 공명음, 또는 모음 + ''h'' 시퀀스에 해당한다.
이중자로 표기된 특정 자음이 음절 경계에서 만나는 유사한 음소와 구별하기 위해 마침표를 사용한다: kwaahu ('독수리') 하지만 kuk.wuwàaqe ('발자국을 따라가다').
현대 유타 주에서 몰몬교 학자들이 개발한 알파벳 시스템인 데저렛 문자는 2014년에 재발견된 1860년에 만들어진 영어-호피어 필사 사전에서 학술적인 표기법으로 사용되었다.[6]
5. 형태론
호피어는 교착어로, 단어에 접사가 붙어 그 의미가 변한다. 호피어는 다양한 목적의 접미사를 사용하며, 성별에 따라 다른 특정 용어들을 사용한다.[1]
5. 1. 접미사
호피어는 다양한 목적으로 접미사를 사용한다.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접미사
목적
예시
의미
mahop
따라가다
waymahop
따라서 걷다
numahop
주변을 가다
waynumahop
주변을 걷다
mihop
~로, ~쪽으로
itamumihop
우리 쪽으로
nihop
미래
tuuvanihop
던질 것이다
ngwuhop
습관적인 접미사
tuuvangwuhop
보통 던진다
ve/pehop
위치
Ismo'walpehop
Ismo'wala에서
qhop
거리 접미사
atkyamiqhop
맨 아래까지
sahop
오직, 단지
suksahop
오직 하나
동사 또한 접미사로 표시되지만, 이들은 규칙적인 패턴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접미사 ''-lawu''와 ''-ta''는 모두 단순 동사를 지속적인 동사(동작이 진행 중이며 아직 완료되지 않음을 의미)로 만드는 데 사용되지만, 어떤 동사에 어떤 접미사가 적용되는지 예측하기 어렵다. 호피어를 제2언어로 배우는 학습자는 대개 이것을 암기한다.[1]
5. 2. 성별에 따른 어휘
호피어에는 말하는 사람의 성별에 따라 다른 특정 용어들이 있다.
남성 화자
여성 화자
의미
a'ni|아니hop
hin'ur|힌우르hop
매우
kwakwha|콰콰hop
askwali|아스콸리hop
감사합니다
lolma|롤마hop
nukwangw|누쾅우hop
좋은
owi, 'wi|오위, 위hop
ooo, wiya|오오, 위야hop
예
6. 통사론
호피어의 가장 단순한 문장은 주어와 술어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Maana wuupa' (그 소녀는 키가 크다)와 같다. 호피어 문장은 대부분 목적어를 포함하며, 목적어는 주어와 동사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호피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다.
명사와 대명사는 주격 또는 사격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단수 주격 대명사 "you"는 um|움hop이고, 단수 목적격 대명사는 ung|웅hop이다. 지시사는 격에 따라 주격과 사격 형태로 나타난다.
지시사
주격
사격
이것
iˈ/it|이/잇hop
그것
pam/put|팜/풋hop
저것
miˈ/mit|미/밋hop
이들
ima/imuy|이마/이무이hop
그들
puma/pumuy|푸마/푸무이hop
저들
mima/mimuy|미마/미무이hop
호피어에는 복수 동사가 있다. 이중수 명사 주어는 이중수 접미사 "-vit"을 취하지만 단수 동사를 취한다. 이중수 대명사는 없으며, 복수 대명사와 단수 동사를 함께 사용하여 이중수 의미를 나타낸다. 명사와 동사의 복수성은 부분적인 반복으로 표시된다.
명사 주어
대명사 주어
단수
taaqa nöösa|한 남자가 먹었다hop
ni’ nöösa|나는 먹었다hop
이중수
taaqa-vit nöösa|두 남자가 먹었다hop
itam nöösa|우리 둘이 먹었다hop
복수
taa~taqt nöö~nösa|여러 남자가 먹었다hop
itam nöö~nösa|우리 모두가 먹었다hop
6. 1. 어순
호피어에서 가장 단순한 형태의 문장은 주어와 술어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Maana wuupa' (그 소녀는 키가 크다)와 같다.
그러나 많은 호피어 문장은 목적어를 포함하며, 이는 주어와 동사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호피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언어이다.
대명사 역시 주격 또는 사격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호피어에서 단수 주격 대명사 "you"는 um|움hop이며, 단수 목적격 대명사는 ung|웅hop이다.
지시사는 호피어에서 격으로 표시되며, 먼저 주격 형태로 표시한 다음 사격 형태로 표시된다.
지시사
주격
사격
이것
iˈ/it|이/잇hop
그것
pam/put|팜/풋hop
저것
miˈ/mit|미/밋hop
이들
ima/imuy|이마/이무이hop
그들
puma/pumuy|푸마/푸무이hop
저들
mima/mimuy|미마/미무이hop
6. 3. 수
호피어에는 복수 동사가 있다. 이중수 명사 주어는 이중수 접미사 "-vit"을 취하지만 단수 동사를 취한다. 호피어에는 이중수 대명사가 없으며, 대신 복수 대명사를 단수 동사와 함께 사용하여 이중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명사와 동사의 복수성은 부분적인 반복으로 표시된다.
명사 주어
대명사 주어
단수
taaqa nöösa|한 남자가 먹었다hop
ni’ nöösa|나는 먹었다hop
이중수
taaqa-vit nöösa|두 남자가 먹었다hop
itam nöösa|우리 둘이 먹었다hop
복수
taa~taqt nöö~nösa|여러 남자가 먹었다hop
itam nöö~nösa|우리 모두가 먹었다hop
7. 언어 접촉
호피어는 푸에블로 언어권(슈프라흐분트)에 속하며, 타노아어, 케레스어, 주니어, 나바호어와 함께 사용된다.
호피어 화자들은 전통적으로 주니와 소통하는 언어로 호피어를 사용해 왔다. 또한 아리조나 테와, 즉 테와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푸에블로 반란 이후 갈리스테오 분지에서 나와 퍼스트 메사에 정착하면서 300년 이상 타노아어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 왔다. 아리조나 테와족은 전통적으로 호피어, 테와어, 나바호어, 스페인어,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통역 역할을 해왔다.
호피어는 1540년 탐험가들과의 짧은 접촉을 시작으로 스페인과 접촉했다. 1629년에는 소규모의 프란체스코회 선교사들이 호피 지역에 도착하기 시작하여 이듬해 교회를 지었다. 그들은 푸에블로 반란이 일어나고 호피족이 스페인 사람들을 이 지역에서 몰아낼 때까지 1680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스페인이 그곳에 있는 동안의 행동과 리오그란데 지역의 푸에블로 난민들의 부정적인 경험에 대한 이야기는 호피족이 동화에 저항하거나 거부하는 태도를 갖도록 하는 데 기여했다.
일련의 연구는 호피어로 다른 언어에서 차용된 차용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
8. 언어 보존 노력
에모리 세카퀘프테와를 비롯한 사람들이 편집한 포괄적인 호피-영어 사전이 출판되었고, 호피 문해력 프로젝트라는 단체가 호피어 보급에 힘쓰고 있다. 많은 수의 호피 어린이들이 호피어를 사용하며 성장하고 있다.[4] 2004년에는 언어 부활을 돕기 위해 비영리 단체인 메사 미디어(Mesa Media)가 설립되었다.[5]
2013년 기준으로, "출생부터 5세까지의 어린이를 둔 가족을 위한 파일럿 언어 부활 프로젝트인 호피 라바야이 네스트 모델 프로그램"이 시파울로비 마을에서 계획되고 있다.[4] 2019년 이후, 어린이들을 위한 언어 몰입을 포함하는 더 최근의 호피어 부활 프로그램들이 보고되었다.[3]
9. 메타언어학
벤자민 리 워프는 언어학자이자 남서부 및 중앙 아메리카 언어 간의 관계에 대한 최고 권위자 중 한 명으로, 호피어를 사용하여 한 사람의 세계관이 언어에 의해 영향을 받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라는 사피어-워프 가설을 예시했다. 그러나 워프의 호피어 연구 결과는 일부에 의해 논쟁되거나 거부되었다.[8]
9. 1. 호피 시간 논쟁
벤자민 리 워프는 저명한 언어학자이자 남서부 및 중앙 아메리카 언어 간의 관계에 대한 최고 권위자 중 한 명으로, 호피어를 사용하여 한 사람의 세계관이 언어에 의해 영향을 받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라는 사피어-워프 가설을 예시했다. 워프의 가장 잘 알려진 주장 중 하나는 호피어가 "우리가 '시간'이라고 부르는 것에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단어, 문법 형태, 구문 또는 표현이 없다"는 것이었다.[7] 워프의 진술은 호피어에 지속 시간이나 시간의 연속성에 대한 개념이 없다는 의미로 오해되었지만, 사실 그는 호피족이 시간을 분할하고 세분화할 수 있는 객체나 실체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의미였다. 또한, 존 A. 루시에 따르면, 워프의 많은 비평가들은 그의 글을 정확하게 읽는 데 실패했으며, 대신 그의 주장에 대한 불친절한 캐리커처를 제시하는 것을 선호했다. 호피어에 시간 개념이 존재한다는 것은 에케하르트 말로트키에 의해 광범위하게 문서화되었으며,[8] 다른 언어학자들과 철학자들 또한 워프의 더 광범위한 주장에 대해 회의적이며 그의 호피어 연구 결과는 일부에 의해 논쟁되거나 거부되었다.[8]
참조
[1]
웹사이트
Status of Hopi language
https://web.archive.[...]
2015-09-08
[2]
웹사이트
Dual-language programs grow in Arizona public schools
http://azednews.com/[...]
2015-08-17
[3]
뉴스
Teaching To Protect The Hopi Language
https://www.npr.org/[...]
2019-08-17
[4]
뉴스
Preserving Hopi Language – Crucial to Children's Early Success
https://web.archive.[...]
2013-10-18
[5]
웹사이트
About Us – Mesa Media
https://www.mesamedi[...]
2017-05-29
[6]
서적
An 1860 English–Hopi Vocabulary Written in the Deseret Alphabet
University of Utah Press
[7]
서적
Language Thought and Reality: Selected Writings of Benjamin Lee Whorf
MIT Press
[8]
웹사이트
Setting the Record Straight About Native Languages: Language Complexity
http://www.native-la[...]
Native Languages of the Americas
2007-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