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기선은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피아니스트, 대학교수 등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윤치호의 아들이자 윤보선의 재종간이며, 경성고보 재학 중 콩쿠르에서 우승하고 동경 예술대학을 졸업했다. 1944년 귀국 후 피아니스트로 데뷔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거주하다 2013년 사망했다. 주요 수상 경력으로는 문화훈장, 최우수예술인상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피아노 연주자 - 홍난파
    홍난파는 <봉선화>, <고향의 봄> 등 다수의 가곡과 동요를 작곡하고 한국 최초의 바이올린 독주회를 열었으며, 수양동우회 사건 연루와 친일 행적으로 인해 논란이 된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소설가, 언론인이다.
  • 일제강점기의 피아노 연주자 - 이봉룡
    이봉룡은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 이후까지 활동하며 '낙화유수' 등의 히트곡을 작곡한 한국의 작곡가로, 군국가요 작곡에 참여한 친일 논란이 있으며 한국 전쟁 중 부인 실종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작곡 활동을 이어갔다.
  • 미국의 클래식 음악가 - 데이비드 시프린
    데이비드 시프린은 미국의 저명한 클라리넷 연주자이자 교육자로, 세계적인 오케스트라 협연, 현대 작품 초연 기여, 바셋 클라리넷 제작, 링컨센터 실내악 협회 예술 감독 역임, 예일 음악대학 교수 활동, 그래미상 후보 지명 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 미국의 클래식 음악가 - 게리 그래프먼
    러시아계 유대인 부모 아래 뉴욕에서 태어난 미국의 피아니스트이자 교육자인 게리 그래프먼은 커티스 음악원에서 이자벨 벵게로바에게 피아노를 사사하고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데뷔하여 솔리스트로 활동했으며, 오른손 부상 후에는 교육자로서 커티스 음악원에서 후진 양성에 힘쓰고 왼손 피아노 연주에 매진하며 새로운 음악적 가능성을 탐색했다.
  • 대한민국의 클래식 음악가 - 장수철 (음악가)
    장수철은 숭실대학교와 중앙신학교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강사를 역임하고 선명회어린이합창단을 창단하여 세계 순회공연을 지휘했으며, 킹스 칼리지 명예음악박사 학위와 대한민국 문화포장을 받은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 대한민국의 클래식 음악가 - 박재훈 (음악가)
    대한민국의 음악가, 교육자, 목회자인 박재훈은 동요 "구슬비", "어머님 은혜" 등의 작곡가로 알려져 있으며, 해군 군악대 하사로 한국 전쟁에 참전, 영락교회 장로,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등을 역임하며 교회 음악 발전과 후학 양성에 기여했고, 캐나다 이민 후에는 목회 활동을 병행하며 음악과 신앙을 융합한 삶을 살았다.
윤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4년의 윤기선
1944년의 윤기선
이름윤기선
한자 표기尹琦善
영문 표기Kenny Yoon
출생일1921년 10월 22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경성부
사망일2013년 7월 27일
사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직업피아니스트
지휘자
대학 교수
종교개신교
배우자이순복
가족윤치호(아버지)
백매려(어머니)
윤경숙(장녀)
윤영숙(차녀)
윤길용(이복 숙부)
윤치왕(이복 숙부)
윤치창(이복 숙부)
윤영선(이복 형)
윤봉성(이복 형)
윤광선(이복 형)
윤봉희(이복 누나)
윤용희(이복 누나)
윤문희(동복 누나)
정광현(동복 자형)
윤무희(동복 누나)
윤은희(동복 누나)
윤명희(동복 누나)
윤장선(동복 형)
윤봉희(동복 누이동생)
윤영희(동복 누이동생)
윤정선(동복 남동생)
현영학(동복 매제)
윤영구(이복 조카)
채동규(이복 조카사위)
원석연(이복 조카사위)
윤원구(동복 조카)
윤인경(동복 조카딸)
윤효진(동복 조카딸)
활동 시기1944년 ~ 2013년

2. 생애

윤치호의 다섯째 아들로, 어머니는 남포 백씨 백매려이다.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윤보선과는 재종간이다. 제3대 농림부장관을 지낸 윤영선의 이복 동생이며 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을 지낸 윤장선의 동생이다. 본관은 해평이다. 경성부 부민관에서 피아니스트로 데뷔하였으며, 이화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등에서 교수로 활동했다.

2. 1. 초기 생애

윤치호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안양자, 유수만 등에게 음악의 기초를 배웠다. 경성중학교와 경성고등보통학교로 진학하였다. 경성고보 재학 중 조선일보사 주최 제1회 콩쿠르에 출전하여 우승하고, 이후 1~4회 연속으로 피아노 부문 1위를 차지했으며, 전국남녀중등학교 현상 음악경연대회에서 1등을 했다. 경성고등학교 4학년 때 일본으로 유학, 도쿄 예술 대학(우에노 음악학교의 전신)에 입학했다.

그 뒤 일본 우에노 음악학교(지금의 일본 도쿄 예술대학)과 우에노 음악대학원을 마치고 1944년 귀국했다.

2. 2. 음악 활동

1944년 귀국 직후 부민관에서 김순남 등과 함께 귀국독주회를 열고 데뷔하였으며, 이때 그는 여동생 윤보희와 함께 듀엣으로 피아노 연주를 하기도 했다. 해방 직후 김순남, 이건우, 남궁요설, 문학준, 이인형 등과 함께 음악인 단체인 '음악가의 집'에 가입, 순수 실내악 음악활동을 하기도 했으며 프롤레타리아 음악동맹의 기악부장, 조선음악가동맹에도 가입했다. 조선음악가동맹에서는 정희석·조념·이강렬과 함께 현악4중주단으로 활동했다.

1945년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에서 재직하다가 그해 5월 미국으로 건너갔다. 1948년 6월 하와이 연주에 갔다가 바로 줄리어드 음악대학원에 입학하면서 눌러앉게 된다. 1949년 12월에는 뉴욕에서 성공적인 연주회를 하기도 했다.

줄리어드 음악대학원을 졸업한 뒤 한동안 미국에서 살았다. 그 뒤 잠시 귀국하여 서울예술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음대, 서울대학교 음대 교수 등으로 재직했으나 1980년대에 다시 도미,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였다. 한국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솔로 곡과 협주곡을 많이 소개, 연주했으며 '서울 트리오'를 결성하여 실내악 활동을 하기도 했다.

2. 3. 미국에서의 말년

2005년 10월 25일 제3회 한인하 피아노상을 수상하였다.[1] 85세의 고령으로 제3회 한인하 피아노상 수상자로 선정되어 문화계에 화제가 되었다.[2]

2013년 7월 27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자택에서 사망했다.[3]

3. 학력

4. 경력

김순남(오른쪽 끝), 김순남 모친(오른쪽 앞줄 앉은 이)과 함께, 부민관에서 (1944년)

  • 고등학교 재학 당시 전국 고교 콩쿠르에서 4년간 1위를 수상하였다.
  • 1944년 부민관에서 데뷔 연주회를 가졌다.
  • 1945년 아버지 윤치호가 사망하였다. 윤치호는 친일파로 몰려 규탄받던 중 사망하였으나, 그는 연좌되지 않았다.
  • 1946년 해방 후 한국 최초로 피아노 협주곡을 협연하였다.
  • 1948년 미국 줄리어드 음대 대학원에서 음악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 이화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 1974년 서울예술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 미국 하트포트 대학교, 하트 음악 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 서울피아노3중주단 창단에 참여하였다.
  • 1977년 미국으로 이민하여, 이후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였다.
  • 1993년 10월 8일 서울시향과 연주하였다.
  • 2005년 10월 22일 연주회를 열고, 한인하상(Korean American Heritage Award)을 수상하였다.

5.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도쿄예술대학 예술대학상
아다카 상
미국 불버그 장학상
미국 모리스 로예브 장학상
1989년대한민국 문화훈장
1996년 12월96 최우수예술인상(음악부문)
2005년 10월 22일제3회 한인하 피아노상


6. 저서

7.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윤치호(尹致昊)1865년 1월 16일 - 1945년 12월 9일
어머니백매려(白梅麗)1890년 8월 1일 - 1943년 4월 10일, 남포 백씨, 다른 이름은 백미려(白美麗), 1907년 윤치호와 재혼
부인이순복(李珣馥)1921년 12월 26일 - ?, 한산 이씨 이은구(李殷求)의 딸
누나윤문희(尹文姬)1909년 - ?, 별칭은 마리(Mary), 정광현(서울대학교 법대 교수)과 결혼
매형정광현(鄭光鉉)1902년 - 1980년, 서울대학교 법대 교수
누나윤무희(尹武姬)1912년 5월 4일 - 1914년 3월 10일
누나윤은희(尹恩姬)1917년 11월 11일 - ?
매형정봉섭의학박사
윤장선(尹璋善)1920년 - 2005년 3월 25일, 전(前) 미국 샌프란스시코 총영사관, 다른 이름은 워싱턴[4]
형수기세선1922년 - 2007년 9월 28일[6]
형수김오현(金梧鉉)1926년 3월 1일 - ), 경주 김씨, 김기곤(金基坤)의 딸, 윤장선의 후처
여동생윤보희(尹寶姬)1923년 10월 19일 - , 이화여자대학교 음대 교수
매부현영학(玄永學)1921년 - 2004년 1월 14일, 기독교 민중신학자이며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학장
동생윤정선(尹挺善)1928년 - 2008년 3월 4일, 미국에서 사망, 요셉[4]
제수김영주
누나윤명희(尹明姬)1918년 2월 8일 - 2013년 10월 30일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사망 (장지: Fairfax Memorial Park)
매형조인호(趙麟鎬)? - ?
여동생윤영희미국 거주
매부미국
여동생윤정희
윤경숙1945년 ~ , 음악가
사위노춘규미국 거주, 의사, 의학, 철학박사, 대학교수, 의학박사 노병호의 아들
윤영숙1948년 ~ , 첼리스트, 서울대학교 교수


참조

[1] 뉴스 한인하-윤기선 두 원로 피아니스트 '건반위의 황혼'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0-10-27
[2] 뉴스 "[전시] 老? NO!… 원로화가들 잇단 전시회"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5-11-01
[3] 뉴스 "[부고] 한국 1세대 피아니스트 윤기선씨"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3-07-29
[4] 서적 윤치호 일기:1916-1943 역사비평사 2001
[5] 서적 윤치호 일기:1916-1943 역사비평사 2001
[6] 문서 미국 캘리포니아 LA에서 사망
[7] 뉴스 "[부음] 張善暎 예비역육군중령 별세 外"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8] 뉴스 민중신학자 이화여대 현영학 교수 별세: : 종교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Christian Today https://www.christia[...]
[9] 뉴스 민중신학 개척 현영학씨 별세- 중앙일보 뉴스 https://archive.toda[...]
[10] 웹인용 교수신문 https://web.archive.[...] 2010-11-09
[1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0-11-09
[12] 뉴스 7월 30일 궂긴 소식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3-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