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춘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춘수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증 의정부 좌찬성 윤희림의 손자이며, 증 영의정 윤변의 아들이다. 1564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아산 현감을 지냈으나, 백성들에게 행패를 부리고 재물을 탐한다는 비난을 받아 파직되었다.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하여 사후 원종공신에 책록되었으며, 호성원종공신 3등에 녹훈되었다. 사후 이조 참의에 증직되었고, 위성원종공신에 추록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윤춘수는 사용(司勇)을 지내고 증 의정부좌찬성 윤희림(尹希琳)의 손자이자, 증 의정부영의정에 추증[1]된 윤변과 광평대군의 손자 청안군 이영의 서녀 전주이씨의 아들이다. 계모는 현윤명(玄允明)의 딸 현씨이고, 서모 전주이씨는 광평대군의 증손 고양부정 이억손(高陽副正 李億孫)의 서녀이다. 임진왜란 때의 장군 원균과의 인척관계는 해평 윤씨와 파평 윤씨로 본관이 달라 정확히 알 수 없다.
[1]
문서
이복 동생 윤두수와 윤근수 형제의 현달로 정1품에 증직된 것이다.
2. 생애
친형제로는 윤담수(尹聃壽), 윤기수(尹期壽)와 누이 1명이 있었으며, 계모 현씨에게서 20년 이상 연하인 이복동생 윤두수, 윤근수 형제가 태어났다. 일찍이 분가하여 충청남도 공주시(公州)에 살았다.[1] 1564년의 식년과 진사시에 합격하고, 그 해의 별시문과에 합격하였다.[2] 아산현감(牙山縣監)으로 재직 중 백성들에게 온갖 행패를 부려 원성이 높자 이지함이 이를 대신 해결하였다.
충청도도사가 장계를 올려 그가 재물을 탐한다고 비난하기도 했다.[3] 결국 1578년(선조 12년) 4월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4]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터지고 선조가 의주로 피난갈 때 동생 윤두수, 윤근수 및 일가족이 선조를 의주까지 수행하였으므로 사후 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이때 그의 친동생 윤담수 등도 선조를 호종하였으므로 역시 호성원종공신 3등에 녹훈되었다.
2. 1. 초기 생애
윤춘수는 증 좌찬성 윤희림(尹希琳)의 손자이자, 증 영의정 윤변과 광평대군의 손자 청안군 이영(淸安君 李嶸)의 서녀 전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친형제로는 윤담수(尹聃壽), 윤기수(尹期壽)와 누이 1명이 있었으며, 계모 현씨에게서 이복동생 윤두수, 윤근수 형제가 태어났다. 일찍이 분가하여 충청남도 공주시(公州)에 살았다.[1]
2. 2. 관직 생활
1564년(명종 19년) 식년과 진사시에 합격하고, 그 해 별시문과에 합격하였다.[2] 아산현감(牙山縣監)으로 재직 중 백성들에게 온갖 행패를 부려 원성이 높자 이지함이 이를 대신 해결하였다.
충청도도사가 장계를 올려 그가 재물을 탐한다고 비난하기도 했다.[3] 결국 1578년(선조 12년) 4월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4]
2. 3. 임진왜란과 호종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고 선조가 의주로 피난갈 때 동생 윤두수, 윤근수 및 일가족과 함께 선조를 호종하였다.[4] 이 공로로 사후 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친동생 윤담수 등도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원종공신 3등에 녹훈되었다.
2. 4. 사후
증 이조참의에 추증되었으며, 1604년(선조 37년) 호성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 3등에 책록되었다. 다시 증 이조참판에 가증되고,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에 추록되었다. 뒤에 다시 여러번 거듭 추증되어 증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 이름 비고 증조부 윤계정(尹繼丁) 조부 윤희림 조모 죽산 박씨(竹山朴氏) 박준산(朴峻山)의 딸 아버지 윤변(尹忭) 어머니 전주 이씨(全州李氏) 청안군 이영(淸安君 李嶸)의 서녀, 광평대군의 손녀[6] 계모 현씨 서모 전주 이씨(全州李氏) 고양부정 이억손(高陽副正 李億孫)의 딸[5] 부인 김씨 김언호(金彦浩)의 딸 형 윤담수(尹聃壽) 동생 윤기수(尹期壽) 누이 해평 윤씨 이복 동생 윤두수(尹斗壽) 이복 제수 황씨 이복 동생 윤근수(尹根壽) 장남 윤호(尹皞) 1542년 - 1589년 1월 25일 외조부 청안군 이영(淸安君 李嶸)
참조
[2]
웹인용
윤춘수(尹春壽)
https://web.archive.[...]
2012-01-31
[3]
문헌
충청 도사가 아산 현감 윤춘수가 재물을 탐한다고 서장을 올리다
선조실록
1578-04-20
[4]
문헌
헌부가 아산 현감 윤춘수의 용렬함을 들어 파직을 청하다
선조실록
1578-04-13
[5]
웹사이트
고양부정의 딸 이씨
http://khistory.kore[...]
[6]
웹인용
서녀 윤변의 처 전주이씨
https://web.archive.[...]
2012-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