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리우스 하인리히 클라프로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율리우스 하인리히 클라프로트는 1783년 독일에서 태어난 동양학자로, 중국어, 만주어, 몽골어 등 다양한 언어에 능통했다. 그는 러시아와 프랑스에서 활동하며 시베리아와 코카서스 지역의 언어와 문화를 연구했고, 특히 《아시아 폴리글로타》를 통해 당시 알려진 동양 언어 지식을 집대성했다. 또한 서양에서 처음으로 일본 시를 번역하여 출판했으나, 번역의 정확성에는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캅카스 탐험가 - 에블리야 첼레비
에블리야 첼레비는 40여 년간 오스만 제국과 주변 지역을 여행하며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역사, 지리, 민속, 문화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인 《세야하트나메》라는 기행문을 남긴 오스만 제국의 여행가이자 작가이다. - 캅카스 탐험가 - 모리츠 바그너 (박물학자)
모리츠 바그너는 독일의 박물학자, 탐험가, 지리학자이자 진화론 연구가로서, 여러 지역을 탐험하며 지리적 연구와 동식물 수집을 통해 종의 진화에 있어 지리적 격리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동 이론'을 주장했다. - 독일의 탐험가 - 알렉산더 폰 훔볼트
프로이센 귀족 출신 과학자이자 탐험가인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남아메리카 탐험과 연구를 통해 근대 지리학 방법론을 확립하고 생명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대한 통찰을 제공했으며,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기고 국제적인 과학 협력에 기여했다. - 독일의 탐험가 - 마르틴 베하임
마르틴 베하임은 뉘른베르크 출신의 독일 상인이자 지리학자로, 1492년에 제작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지구본인 "에르다프펠"로 유명하며, 이는 당시 유럽인들의 세계관과 지리적 인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 독일의 동양학자 - 야코프 그림
야코프 그림은 그림 동화 편찬, 독일어 사전 편찬 참여, 그림의 법칙 정립 등 언어학과 문헌학에 큰 업적을 남긴 독일의 학자이자, 법학자, 민속학자, 자유주의 운동가였다. - 독일의 동양학자 - 아우구스트 슐라이허
아우구스트 슐라이허는 언어를 유기체처럼 보고 굴절어, 교착어, 고립어로 분류하여 언어 진화의 계통수 모형을 제시하고 인도유럽어 연구와 비교 언어학 방법론 발전에 기여한 19세기 독일의 언어학자이다.
율리우스 하인리히 클라프로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율리우스 하인리히 클라프로트 |
출생 | 1783년 10월 11일 |
출생지 | 베를린 |
사망 | 1835년 8월 28일 (51세) |
사망지 | 파리 |
국적 | 독일 |
학문 분야 | |
분야 | 언어학 역사 민족학 글쓰기 동양학 탐험 |
영향 | 동아시아 연구를 비판적인 방법론을 가진 과학적 학문 분야로 전환하는 데 기여 |
기타 | |
업적 | 동아시아 연구를 과학적 학문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 |
2. 생애
1783년 베를린에서 화학자 마르틴 하인리히 클라프로트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아시아 언어에 관심을 가져 1802년 ''Asiatisches Magazin''을 출판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 아카데미 교수로 초빙되었다. 1805년 러시아의 중국 사절단에 합류하였고, 1807년부터 1년간 카프카스 지역을 연구했다. 이후 몇 년간 아카데미에서 동양 관련 서적을 연구하다 1812년 베를린을 거쳐 1815년 파리로 이주하였다. 1816년 훔볼트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고,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로부터 동양 언어와 문학 교수로 임명됨과 동시에 저술을 위해 파리에 머무는 것을 허용받았다. 1835년 파리에서 사망하였다.
클라프로트는 중국어, 만주어, 몽골어, 산스크리트어, 튀르키예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등 다양한 언어에 능통한 동양학자였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783년 화학자 마르틴 하인리히 클라프로트의 아들로 베를린에서 태어났다.[3] 어린 시절부터 아시아의 언어를 공부하여 1802년에는 ''Asiatisches Magazin''을 출판하였다.[4] 이러한 업적으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아카데미 교수로 초빙되었다.14세에 동양 언어, 특히 중국어에 흥미를 느껴 베를린 왕립 도서관의 중국 서적을 탐독하고, 스스로 『중국어휘집''(Vocabularium Characteristico-Sinico-Latinum...)''』(미간행)을 편찬했다.[8] 19세인 1802년에는 2권 4부 구성의 『아시아 잡지''(Asiatisches Magazin)''』를 간행하여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1805년에는 골로프킨 백작이 이끄는 러시아의 중국 사절단에 합류하여 시베리아 여러 민족의 언어, 풍습, 인종을 조사하고, 캬흐타에서 몽골어와 만주어를 배웠다.[3] 1807년부터 1년간 카프카스에서 민족지학적, 언어학적 측면을 연구하였다.[4] 1809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귀환하였다.
1810년에는 아카데미의 만한 서목록 작성을 위촉받았고, 1811년 활자 주조 감독을 위해 베를린으로 파견되었으나, 귀환하지 않아 러시아에서의 지위를 잃었다. 1812년에는 베를린으로 이주하였다.[4]
2. 2. 러시아에서의 활동
1802년 율리우스는 젊은 시절부터 아시아 언어 연구에 몰두하여 ''Asiatisches Magazin''(아시아 잡지)를 출판했고, 상트페테르부르크 학술원에 초빙되어 교수 직을 받았다.[3] 1805년에는 골로프킨 백작이 이끄는 러시아의 중국 파견 사절단에 합류했다.[4] 당시 러시아는 흑룡강 귀속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이때 율리우스는 포토츠키 백작의 주선과 후원으로 사절단에 합류하여 시베리아 여러 민족의 언어, 풍습, 인종을 조사하고, 캬흐타에서 몽골어와 만주어를 배우고, 다량의 만주어, 티베트어, 몽골어 서적을 수집했다.[8]1807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온 율리우스는 아카데미 정회원으로 추대되었고, 같은 해 코카서스 지역의 민족지학 및 언어학적 측면을 연구했다.[4] 그러나 코카서스의 혹독한 자연 조건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고, 1809년 페테르부르크로 귀환했다.[8]
1810년 율리우스는 러시아 문부대신의 요청으로 아카데미의 만주-한족 서적 목록 작성을 위촉받았다. 1811년에는 이를 인쇄할 활자 주조 감독을 위해 베를린으로 파견되었으나, 파견 기간 만료 후에도 돌아오지 않아 러시아에서의 귀족 칭호와 학술적 지위를 모두 잃었다.[8]
2. 3. 파리에서의 활동
1815년, 율리우스는 얼마 남지 않은 사재를 털어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에서 빌헬름 폰 훔볼트의 후원을 받았다.[8] 1816년 훔볼트는 프로이센 국왕으로부터 율리우스를 위한 아시아 언어 및 문학 교수의 직함과 급여를 얻었으며, 그의 저작 출판에 필요한 기간 동안 파리에 머무르는 것을 허가받았다.[4] 이로 인해 율리우스는 프로이센 정부로부터 교수 칭호와 고액의 급여, 그리고 70000FRF의 출판 경비를 지원받아 파리 거주를 인정받았다.[8] 이후 율리우스는 1835년 8월 27일(또는 28일) 사망에 이르기까지 파리에서 연구와 출판에 전념하게 된다.[8][4]2. 4. 개인적 특성과 논란
율리우스 하인리히 클라프로트는 뛰어난 재능을 가진 학자였지만, 완벽주의적인 성격과 강한 자존심으로 인해 다른 연구자들과 잦은 논쟁을 벌였다. 특히 위구르어의 계통을 튀르크어족으로 분류한 그의 주장은 러시아의 이사크 야코프 슈미트와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는데, 슈미트는 위구르어가 탕구트어에 속한다고 주장했다.[5] 클라프로트는 만주어에 대한 랑글레의 이해를 비판하기도 했다. 그의 비판을 피한 사람은 레뮈자 정도였다고 알려져 있다.[9]또한 클라프로트의 인격과 생활 태도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도 있었으며, 파리에서의 사생활은 상당히 방탕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이른 죽음(51세)도 이러한 생활 방식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9]
3. 주요 연구 및 업적
클라프로트는 1823년과 1831년에 ''아시아 폴리글로타''(Asia polyglotta)를 출판하여 당시 알려져 있던 동양 언어 지식을 종합하고, 특히 러시아 제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새로운 분류를 제시했다.[4] 그는 중국어, 만주어, 몽골어, 산스크리트어, 튀르키예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코카서스 언어 등 다양한 언어에 능통한 동양학자였다.[3]
클라프로트는 서양에서 처음으로 다이카 시대 일본 시를 번역하여 출판하기도 했다. 도널드 킨은 만엽집 일본 학술 진흥회 판 서문에서 클라프로트가 한카(長歌) 한 수를 번역했으나, 시베리아에서 만난 일본 표류민과 어부들의 도움을 받아 번역이 정확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7]
1805년 백작 골로프킨의 중국 주재 대사 일원으로 참여했고, 귀국 후 1807년부터 1808년까지 코카서스를 탐험하며 민족지 및 언어 연구를 진행했다.[4] 그의 저서는 300개 이상이며,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3. 1. 언어 연구
클라프로트는 1823년과 1831년에 ''아시아 폴리글로타''(Asia polyglotta)를 출판하여 당시 알려진 지식을 종합하고 동양 언어, 특히 러시아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새로운 분류를 제시하였다.[4] 그는 중국어뿐만 아니라 만주어, 몽골어, 산스크리트어, 튀르키예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코카서스 언어 등 다양한 언어에 능통한 동양학자였다.[3]클라프로트는 일본의 다이카 시대 시를 서양에서 처음으로 번역하여 출판한 사람이기도 하다. 도널드 킨은 만엽집의 일본 학술 진흥회 판 서문에서 클라프로트가 한카(長歌) 한 수를 번역했으며, 시베리아를 여행하다 만난 일본 표류민과 어부들의 도움을 받았지만, 번역이 정확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7]
클라프로트의 저서는 300개 이상이며,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3. 1. 1. 위구르어 연구
『Abhandlung über die Sprache und Schrift der Uigurende』 (베를린, 1812년, 파리 재판: 1820년)3. 2. 탐험 및 민족지학적 연구
율리우스 하인리히 클라프로트는 1805년 백작 골로프킨의 중국 주재 대사 일원으로 참여했다.[4] 귀국 후, 학술원의 지원을 받아 1807년부터 1808년까지 민족지와 언어 탐구를 위해 코카서스를 탐험했다.[4]클라프로트는 중국어, 만주어, 몽골어, 산스크리트어, 튀르키예어, 아랍어, 페르시아어뿐만 아니라 코카서스 언어까지 능숙하게 구사하는 동양학자였다.[3] 그의 광범위한 관심사는 아시아적 맥락에서 개별 국가의 발달에 대한 연구를 포함했다.[3]
1812년에 클라프로트는 ''위구르인의 언어와 문자에 대한 논문''(Abhandlung über die Sprache und Schrift der Uiguren)을 저술했는데, 이는 몽골학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이사크 야코프 슈미트와 논쟁을 일으켰다.[5] 클라프로트는 위구르어가 튀르크어족 언어라고 주장했지만, 슈미트는 위구르어가 탕구트어 언어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5]
클라프로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1807·08년 코카서스 및 그루지야 여행''(Reise in den Kaukasus und nach Georgien in 1807 und 1808, 1812년~1814년)
- ''동(東)코카서스의 역사와 지리''(Geographische und historische Beschreibung des östlichen Kaukasus, 1814년)
- ''아시아 폴리글로타''(Asia polyglotta, 1823년, 1829년)
- ''아시아 역사 지도''(Tableaux historiques de l'Asie, 1826년)
3. 3. 일본 문학 번역
클라프로트는 서양에서 처음으로 다이카 시대 일본 시를 번역하여 출판한 사람이었다. 도널드 킨은 만엽집의 일본 학술 진흥회 판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1834년, 저명한 독일 오리엔탈리스트 하인리히 율리우스 클라프로트(1783–1835)가 장시(長詩)에 대한 '엔보이(한카)' 한 수를 번역했다. 클라프로트는 이상한 언어를 찾기 위해 시베리아를 여행하다가 8세기 시를 연구하기에 이상적인 멘토라고는 할 수 없는 일본 표류민과 어부들을 만났다. 놀랍게도 그의 번역은 정확과는 거리가 멀었다."[6]
일본에 관한 다른 저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1832 – ''삼국통람도설'' (https://books.google.com/books?id=lsoNAAAAIAAJ&q=nipon%20o%20dai%20itsi%20ran ''삼국통람도설'' 또는 ''세 왕국의 개요'', 파리: 오리엔탈 번역 기금)
- 1834 – ''일본왕대일람'' (https://books.google.com/books?id=18oNAAAAIAAJ&q=nipon+o+dai+itsi+ran ''일본왕대일람'' 또는 ''일본 황제 연대기'', M. 이사크 티칭이 나가사키 네덜란드 상업 회사에 소속된 여러 통역관의 도움을 받아 번역함; 일본-중국 원본을 기반으로 재검토, 보완 및 수정된 저서이며, 주석이 포함되어 있고, M.J. 클라프로트의 일본 신화 역사 개요가 포함되어 있음. 파리: 오리엔탈 번역 기금.)[7]
- 레뮈자 저, 『불국기』 (랑드레스와 공동, 파리, 1836년)
4. 주요 저서
클라프로트는 300개 이상의 출판물을 저술했다. 그중 대표적인 저서는 ''아시아 폴리글로타''(1823년과 1831년 출판)로, 당시 알려진 지식을 종합하고 특히 러시아 제국 동부 언어 분류에 새로운 기틀을 마련했다.[6]
클라프로트의 다른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클라프로트는 서양에서 처음으로 다이카 시대 일본 시를 번역하여 출판한 사람이기도 하다. 도널드 킨은 만엽집의 일본 학술 진흥회 판 서문에서 클라프로트가 시베리아를 여행하다 일본 표류민과 어부들을 만나 8세기 일본 시를 연구했지만, 그의 번역은 정확성과는 거리가 멀었다고 설명했다.
참조
[1]
서적
Secret Memoirs of the Shoguns: Isaac Titsingh and Japan, 1779–1822
https://books.google[...]
2006
[2]
간행물
Julius Klaproth. His Life and Works with Special Emphasis on Japan
http://edoc.hu-berli[...]
2006
[3]
문서
http://edoc.hu-berli[...]
[4]
문서
https://books.google[...]
[5]
문서
http://edoc.hu-berli[...]
[6]
웹사이트
Accidental acquisitions: The nineteenth-century Korean collections in the National Museum of Ethnology, Part 1
http://www.rmv.nl/pu[...]
[7]
서적
Dictionnaire des orientalistes de langue française
https://books.google[...]
2008
[8]
문서
이 어휘집에는[[1800年]][[5月17日]]편찬 시작의 날짜가 있다.본서를 포함하여 베를린의 도서관에 있던 [[선교사]]와 초기 중국 학자의 손으로 되는 중국 관련 사본 14종 22책은 [[제2차 세계 대전|제2차 대전]] 후 폴란드에 접수되어 오늘 [[크라크프 대학]]의 [[야제론스카 도서관]]에 있다.
[9]
서적
東洋学の系譜 欧米篇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