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블리야 첼레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블리야 첼레비는 1611년 오스만 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태어난 여행가이자 작가이다. 그는 40년 동안 오스만 제국과 주변 지역을 여행하며 10권의 기행문 《세야하트나메》를 저술했다. 이 책은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역사, 지리, 민속, 언어, 문화를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으며, 첼레비는 다양한 지역의 언어와 문화를 기록했다. 첼레비의 여행기는 17세기 오스만 제국에 대한 중요한 기록으로 남아 있으며, 현대에도 소설, 영화, 기념 행사 등 다양한 형태로 재조명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캅카스 탐험가 - 율리우스 하인리히 클라프로트
    독일의 동양학자이자 언어학자, 탐험가인 율리우스 하인리히 클라프로트는 아시아 언어 연구에 몰두하여 《아시아 잡지》를 출판하고 러시아 중국 사절단에 합류해 시베리아 민족의 언어와 문화를 연구했으며, 《아시아 폴리글로타》를 포함한 300편이 넘는 저술을 남겼다.
  • 캅카스 탐험가 - 모리츠 바그너 (박물학자)
    모리츠 바그너는 독일의 박물학자, 탐험가, 지리학자이자 진화론 연구가로서, 여러 지역을 탐험하며 지리적 연구와 동식물 수집을 통해 종의 진화에 있어 지리적 격리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동 이론'을 주장했다.
  • 17세기 오스만 제국 사람 - 마흐무트 1세
    마흐무트 1세는 18세기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반란으로 옹립되어 서구화 개혁을 추진하고 전쟁과 건축 사업을 벌였으나, 제국 쇠퇴를 겪었다.
  • 17세기 오스만 제국 사람 - 무스타파 2세
    오스만 제국의 제22대 술탄인 무스타파 2세는 대터키 전쟁에 참여했으나 패배 후 제국 영토를 상실했고, 술탄 권위 강화를 시도했으나 에디르네 사건으로 폐위되었다.
에블리야 첼레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헝가리의 에게르에 있는 피로스 로스타스 베아가 만든 에블리야 첼레비 동상 (2014)
헝가리 에게르에 건립된 에블리야 첼레비 조각상 (2014년 촬영)
본명데르비시 메흐메트 질리
다른 이름에블리야 첼레비
직업여행가, 작가
출생일1611년 3월 25일
출생지오스만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 (현재의 터키 이스탄불)
사망일1682년
사망지오스만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 또는 카이로 (현재의 터키 이스탄불 또는 이집트 카이로)
국적오스만 제국
알려진 작품《세야하트나메》(Seyahatnâme, 여행기)

2. 생애

에블리야 첼레비는 1611년 오스만 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터키 이스탄불)에서 퀴타히아 출신의 부유한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3] 에블리야 첼레비의 부모는 오스만 제국의 궁정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아버지는 보석 세공사로 일했고 어머니는 오스만 제국의 압하지야인 출신 수상이었던 멜레크 아흐메드 파샤의 친척이었다.[4]

에블리야 첼레비는 오스만 제국의 궁정에서 근무하던 울라마로부터 다양한 교육을 받았고[6] 수피즘 교단에서도 활동했다. 독실한 무슬림이었지만 광신주의를 반대했으며, 꾸란에 등장하는 구절을 낭송하고 이슬람교에 대한 자유로운 농담을 나누기도 했다.[6][7] 1640년부터 40여 년 동안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시작으로 오스만 제국의 여러 도시들을 넘나드는 여행을 전개했다.

에블리야 첼레비는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군주국 간의 전쟁 등에도 참전했다. 1684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 또는 카이로에서 사망했다고 전해진다.[9]

현재 박물관으로 사용되는 퀴타히아의 에블리야 첼레비의 집

3. 여행기

에블리야 첼레비는 오스만 제국 각지를 여행하며 10권 분량의 기행문인 《세야하트나메》(여행기)를 집필했다. 이 책은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역사, 지리, 민속, 언어, 문화, 생활 양식을 연구하는 귀중한 자료로 여겨진다.[34][35]

첼레비는 1663년 로테르담에서 아메리카 원주민을 만났다고 주장하며 그들의 말을 인용했고,[2] 1665~66년 에서는 독일어페르시아어 단어의 유사성을 언급하며 인도유럽어족에 대한 초기 관찰을 보여주었다.[10] 크레타 방문 시에는 차니아 함락과 칸디아 원정을 기록했고,[11][12] 오스만 제국 발칸 지역에서는 크로아티아 여러 지역의 역사 기록과 민족지학 자료를 남겼다.[13]

1640년 체르케시아 방문 시에는 여성의 아름다움과 모스크, 바자르가 없는 점을 지적하고 체르케스인의 환대를 언급했다.[14][15] 모스타르의 옛 다리를 보고는 "하늘 높이 바위에서 바위로 던져져 있다"고 묘사했다.

모스타르의 옛 다리


17세기 아나톨리아와 발칸 반도를 여행하며 불가리아 북동부를 우즈(오우즈) 지역으로 언급하고, 실리스트라에 '치타크'라는 터키어 사용 무슬림 사회가 있다고 기록했다.[17] 1660년 코소보에서는 중심부를 '아르나우드'라 언급하고, 부슈트리 주민들이 알바니아어 또는 튀르키예어를 사용한다고 기록했다.[18] 알바니아를 세 차례 방문하며 여러 도시를 방문했다.[19][20][21][22][23][24]

1667년 파르테논 조각상에 대한 경이로움을 표현하며 "인간의 손길이 아닌 하늘의 솜씨"라고 묘사했다.[25][26] 바쿠 석유 상인에 대해서는 석유가 솟아나며 그 수입이 사파비 에게 전달된다고 기록했다. 코사크의 아조프 습격이 크림 칸국 영토에 미치는 영향과 크림반도의 노예 무역에 대해서도 언급했다.[27][28]

17세기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여행기 중에서는 이슬람 관점에서 작성된 몇 안 되는 상세한 기록 중 하나로,[30] "팔레스타인 땅"을 중요하게 다루었다.[33] 메카샤리프들이 지역 무역을 증진시키고, 순례 중 많은 매매가 이루어졌다고 설명했다.[1]

비록 《세야하트나메》에 과장이나 허구적 내용도 있지만,[35] 17세기 오스만 제국 문화와 생활양식에 대한 유용한 안내서로 평가받는다. 《세야하트나메》는 총 10권으로, 각 권의 내용은 하위 섹션인 "주요 내용"에 표로 정리되어 있다. 첼레비는 여행 중 각 지역의 언어를 기록하여 30여 개의 튀르크어 방언과 여러 언어 자료를 남겼으며,[37] 독일어페르시아어의 유사성을 언급하기도 했지만, 인도유럽어족의 존재는 알지 못했다.

3. 1. 주요 내용

에블리야 첼레비는 오스만 제국 전역을 여행하며 쓴 기행문인 《세야하트나메(여행기)》를 출간했다. 10권으로 구성된 이 책은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역사, 지리, 민속, 언어, 문화, 생활 양식을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34][35]

《세야하트나메》의 각 권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요 지역 및 내용연도
1권이스탄불과 주변 지역1630년
2권아나톨리아, 캅카스, 크레타, 아제르바이잔1640년
3권시리아, 팔레스타인, 아르메니아, 루멜리아1648년
4권아나톨리아 동부, 이라크, 이란1655년
5권러시아발칸반도1656년
6권제4차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시기 오스만 제국 군대의 헝가리 원정1663년 ~ 1664년
7권오스트리아, 크림반도, 두 번째 캅카스 여행1664년
8권그리스, 두 번째 크림반도, 루멜리아 여행1667년 ~ 1670년
9권메카로의 하즈1671년
10권이집트수단1672년



첼레비는 여행 중에 각 지역의 언어를 기록하여 30여 개의 튀르크어 방언과 여러 언어 자료를 남겼다.[37] 그는 독일어페르시아어의 유사성을 언급하기도 했지만, 인도유럽어족의 존재는 알지 못했다. 특히 캅카스어족, 펠로폰네소스반도 동쪽 끝의 차콘어, 흑해 북부의 우비흐어에 대한 기록은 주목할 만하다.[37]

《세야하트나메》는 일부 내용이 과장되거나 허구라는 지적도 있지만,[35]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문화와 생활 양식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남아있다.

3. 2. 세부 내용

에블리야 첼레비는 오스만 제국의 여러 지역을 여행하며 쓴 기행문인 《세야하트나메(여행기)》를 출간했다. 10권으로 구성된 이 책은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역사, 지리, 민속, 언어, 문화, 생활 양식을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35]

《세야하트나메》의 각 권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내용연도
1권이스탄불과 주변 지역1630년
2권아나톨리아, 캅카스, 크레타, 아제르바이잔1640년
3권시리아, 팔레스타인, 아르메니아, 루멜리아1648년
4권아나톨리아 동부, 이라크, 이란1655년
5권러시아발칸반도1656년
6권제4차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시기 오스만 제국 군대의 헝가리 원정1663년 ~ 1664년
7권오스트리아, 크림반도, 두 번째 캅카스 여행1664년
8권그리스, 두 번째 크림반도, 루멜리아 여행1667년 ~ 1670년
9권메카로의 하즈 (순례)1671년
10권이집트수단1672년



에블리야 첼레비는 1611년 이스탄불에서 퀴타히아 출신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3] 그의 아버지는 보석 세공사였고, 어머니는 대재상 멜렉 아흐메드 파샤의 친척이었다.[4] 그는 제국 ''울라마'' (학자)로부터 궁정 교육을 받았다.[6] 이슬람에 대한 자유로운 농담을 할 정도로 독실한 무슬림이었으며, 무라드 4세의 궁정에서 성직자이자 연예인으로 고용되기도 했다.[6][7] 음악적 재능도 뛰어나 성악과 기악 음악을 공부했으며, ilm al-musiqi|일름 알 무시끼ota라고 불리는 음악 이론도 훈련받았다.[7]

첼레비는 1663년 로테르담에서 아메리카 원주민을 만났다고 주장하며, 그들의 말을 인용하기도 했다.[2] 1665~66년 방문 시에는 독일어페르시아어 단어 사이의 유사점을 언급하며, 이는 인도유럽어족 관계에 대한 초기 관찰로 평가받는다.[10] 크레타를 방문했을 때는 차니아 함락과 칸디아 원정에 대해 기록했다.[11][12] 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역을 여행하면서는 크로아티아의 여러 지역을 방문하여 역사 기록 및 민족지학 자료를 남겼다.[13]

1640년 체르케시아 방문 시에는 여성들의 아름다움과 모스크와 바자르가 없는 점을 지적하고, 체르케스인들의 환대에 대해 언급했다.[14][15] 모스타르의 옛 다리를 보고는 "하늘 높이 바위에서 바위로 던져져 있다."라고 묘사했다.

17세기 아나톨리아와 발칸 반도를 여행했던 첼레비는 불가리아 북동부를 우즈(오우즈) 지역으로 언급했으며, 실리스트라에는 '''치타크'''라는 터키어를 사용하는 무슬림 사회가 살고 있다고 기록했다.[17] 1660년 코소보에 갔을 때는 이 지역의 중심부를 ''아르나우드''(آرناوود)라고 언급하고, 부슈트리 주민들이 알바니아어 또는 튀르키예어를 사용한다고 기록했다.[18] 알바니아 전역을 세 차례 방문하며 티라나, 레자, 슈코드라 등 여러 도시를 방문했다.[19][20][21][22][23][24]

1667년에는 파르테논 조각상에 대한 경이로움을 표현하며 "인간의 손길이 아닌 하늘의 솜씨로 만들어진 작품"이라고 묘사했다.[25][26] 바쿠의 석유 상인에 대해서는 석유가 땅에서 솟아나며, 그 수입이 사파비 에게 전달된다고 기록했다. 에블리야 첼레비는 코사크의 아조프로부터의 습격이 크림 칸국 영토에 미치는 영향과 크림반도의 노예 무역에 대해 언급했다.[27][28]

17세기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을 다룬 여행기 중 첼레비의 기록은 이슬람 관점에서 작성된 몇 안 되는 상세한 기록 중 하나이다.[30] 그는 "팔레스타인 땅"에 대한 언급을 중요하게 다루었다.[33] 메카샤리프들이 지역 무역을 증진시켰으며, 순례 기간 동안 많은 매매가 이루어졌다고 설명했다.[1]

첼레비는 역사상 가장 길고 야심찬 여행기 중 하나인 ''세야하트나메''를 저술했다.[34] 비록 과장되거나 허구적인 내용도 있지만,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문화와 생활양식에 대한 유용한 안내서로 평가받는다.[35] ''세야하트나메'' 전체에 대한 완전한 영어 번역본은 없지만, 부분 번역본들이 존재한다. 오스트리아 동양학자 요제프 폰 함머-푸르크스탈의 번역본이 가장 길지만, 언어가 낡았다는 평가를 받는다.[36]

에블리야는 여행한 각 지역의 언어 샘플을 수집한 것으로 유명하며, 약 30개의 튀르크 방언과 언어를 목록화했다. 독일어페르시아어의 유사성을 언급했지만, 공통적인 인도유럽어족 계통은 부인했다. ''세야하트나메''는 코카서스 언어와 차코니아어의 최초 기록, 우비흐어 표본 등을 담고 있으며, 아라비아 말과 그 품종에 대해서도 자세히 기록했다.[37] 첼레비의 여행기에는 허구로 여겨지는 부분도 있지만, 17세기 오스만 제국 전역의 생활 양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4. 평가 및 영향

에블리야 첼레비는 오스만 제국의 여행가이자 작가로, 그의 여행기 ''세야하트나메''는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문화, 사회, 언어 등 다양한 측면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첼레비는 1611년 이스탄불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좋은 교육을 받았으며, 꾸란을 암송하고 이슬람에 대한 자유로운 농담을 할 정도로 종교에 대한 지식도 깊었다.[6][7] 그는 무라드 4세의 궁정에서 성직자이자 연예인으로 활동하기도 했으며, 음악적 재능도 뛰어났다.[7]

첼레비는 평생 동안 오스만 제국과 주변 지역을 여행하며 ''세야하트나메''를 집필했다. 그의 여행기는 건물, 시장, 관습,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으며,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특히, 그는 여행 중에 접한 다양한 언어와 방언을 기록하여 언어학적으로도 중요한 자료를 남겼다. ''세야하트나메''는 이스탄불에서 시작하여 아나톨리아, 코카서스, 시리아, 이라크, 이란, 러시아, 발칸 반도, 그리스, 이집트 등 광범위한 지역을 10권에 걸쳐 다루고 있으며, 제4차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과 같은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록도 포함하고 있어 역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유네스코는 첼레비 탄생 400주년을 기념하여 그의 업적을 기렸으며,[38] 2011년에는 구글이 그의 탄생 400주년 기념 두들을 제작하기도 했다.[39] 첼레비는 오르한 파무크의 소설 ''하얀 성''을 비롯한 여러 문학 작품과 영화에도 등장하며, 그의 모험을 다룬 애니메이션 영화도 제작되었다.

현대 북마케도니아 스코페의 에블리야 첼레비 거리


4. 1. 긍정적 평가

에블리야 첼레비는 역사상 가장 길고 야심찬 여행기 중 하나인 ''세야하트나메''를 저술했다.[34] ''세야하트나메''에 묘사된 내용 중 상당수는 과장되거나 완전히 허구이거나 3차 정보의 오해석이 있었지만, 그의 기록은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문화와 생활양식에 대한 유용한 안내서로 남아있다.[35]

''세야하트나메''는 당시 오스만 문학 관습에서 벗어나 토착어와 고급 터키어를 혼합하여 썼으며, 그 결과 17세기의 오스만 제국에서의 삶에 대한 대중적이고 접근 가능한 참고 자료가 되었다.[8]

에블리야는 여행한 각 지역의 언어 샘플을 수집한 것으로 유명하다. ''세야하트나메''에는 약 30개의 튀르크 방언과 언어가 목록화되어 있다. 첼레비는 독일어페르시아어의 몇몇 단어의 유사성을 언급했지만, 어떠한 공통적인 인도유럽어족 계통은 부인했다. ''세야하트나메''는 또한 많은 코카서스 언어와 차코니아어의 최초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언어학 문헌 외에 현존하는 유일한 우비흐어 표본도 포함하고 있다.

첼레비의 여행기에는 허구로 여겨지는 부분도 지적되고 있지만, 17세기의 오스만 제국 전역의 생활 양식을 오늘날 아는 데 있어서 일급의 견문록임은 틀림없다.

4. 2. 비판적 평가

에블리야 첼레비의 저서 ''세야하트나메''는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문화와 생활상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평가받지만, 내용 중 상당수가 과장, 허구, 또는 3차 정보의 오해석이라는 비판도 받고 있다.[35]

''세야하트나메''는 총 1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권은 이스탄불, 마지막 권은 이집트를 다룬다. 현재까지 ''세야하트나메'' 전체에 대한 영어 번역본은 없지만, 부분적인 번역본들은 존재한다. 1834년 오스트리아 동양학자 요제프 폰 함머-푸르크스탈이 "에블리야 에펜디"라는 이름으로 첫 두 권(이스탄불과 아나톨리아)을 영어로 번역했지만, 언어가 낡았다는 평가를 받는다.[36] 그 외에도 에리히 프로코슈가 10권을 독일어로 거의 완벽하게 번역했고, 로버트 댕코프의 ''에블리야 첼레비의 세계: 오스만 정신''(2004), 댕코프와 수용 김의 ''오스만 여행자: 에블리야 첼레비의 여행기에서 발췌''(2010) 등의 번역본이 있다.

에블리야 첼레비는 여행한 각 지역의 언어를 기록한 것으로 유명하며, ''세야하트나메''에는 약 30개의 튀르크 방언과 언어가 목록화되어 있다. 그는 독일어페르시아어의 유사성을 언급했지만, 공통적인 인도유럽어족 계통은 부인했다. ''세야하트나메''는 코카서스 언어와 차코니아어의 최초 기록, 우비흐어 표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아라비아 말과 그 품종에 대한 기록도 담고 있다.[37]

''세야하트나메'' 10권에는 콘스탄티노플과 주변 지역(1630), 아나톨리아, 코카서스, 크레타아제르바이잔(1640), 시리아, 팔레스타인, 아르메니아루멜리아(1648), 쿠르디스탄, 이라크, 및 이란(1655), 러시아 및 발칸 반도(1656), 제4차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동안의 헝가리 군사 작전(1663/64), 오스트리아, 크림 반도, 그리고 두 번째 코카서스(1664), 그리스, 그리고 두 번째 크림 반도와 루멜리아(1667–1670), 메카로의 하지(1671), 이집트와 수단(1672) 등의 여정이 묘사되어 있다.

이처럼 첼레비의 여행기에 허구적인 부분이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17세기 오스만 제국 전역의 생활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임은 분명하다.

5. 현대의 재조명

그는 역사상 가장 길고 야심찬 여행기 중 하나인 ''세야하트나메''를 저술했다.[34] 비록 ''세야하트나메''에 묘사된 내용 중 상당수가 과장되거나 완전히 허구이거나 3차 정보의 오해석이 있었지만, 그의 기록은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문화와 생활양식에 대한 유용한 안내서로 남아있다.[35]

현재 ''세야하트나메'' 전체에 대한 영어 번역본은 없지만, 다양한 부분에 대한 번역본은 존재한다. 가장 긴 단일 영어 번역본은 1834년에 오스트리아 동양학자 요제프 폰 함머-푸르크스탈에 의해 출판되었으며, "에블리야 에펜디"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폰 함머-푸르크스탈의 작업은 이스탄불과 아나톨리아를 다룬 첫 두 권을 다루지만, 언어가 낡았다.[36]

에블리야는 여행한 각 지역의 언어 샘플을 수집한 것으로 유명하다. ''세야하트나메''에는 약 30개의 튀르크 방언과 언어가 목록화되어 있다. 첼레비는 독일어페르시아어의 몇몇 단어의 유사성을 언급하지만, 어떠한 공통적인 인도유럽어족 계통을 부인한다. ''세야하트나메''는 또한 많은 코카서스 언어와 차코니아어의 최초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언어학 문헌 외에 현존하는 유일한 우비흐어 표본도 포함하고 있다. 그는 또한 아라비아 말과 그 다양한 품종에 대해 자세히 기록했다.[37]

에블리야 첼레비는 다음과 같은 작품 및 매체에 등장한다.


  • 오르한 파무크의 1985년 소설 ''하얀 성''
  • 슬로바키아 작가 유라이 체르베냐크의 소설 ''캡틴 바토리의 모험''(Dobrodružstvá kapitána Báthoryho)
  • 1996년 영화 ''이스탄불, 내 날개 아래에서''(İstanbul Kanatlarımın Altında)
  • 2014년 터키 최초의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에블리야 첼레비와 불멸의 물''(Evliya Çelebi ve Ölümsüzlük Suyu)
  • 2015년 TV 시리즈 ''무흐테셤 유지엘: 쾨셈'' (터키 배우 네지프 멤릴리가 연기)


유네스코는 첼레비 탄생 400주년을 기념일 기념 일정에 포함시켰다.[38] 2011년 3월 25일, 구글은 에블리야 첼레비의 탄생 400주년을 기념하는 두들을 제작했다.[39]

체레비의 여행기에는 허구로 여겨지는 부분도 지적되고 있지만, 17세기의 오스만 제국 전역의 생활 양식을 오늘날 아는 데 있어서 일급의 견문록임은 틀림없다.

10권 전권이 외국어로 번역된 것은 아니지만, 알바니아 여행기, 디야르바크르, 비트리스 주, 불가리아의 하스코보 주 등의 여행기는 외국어로 번역되었다. 가장 긴 영어 번역본은 1834년오스트리아의 동양학자 요제프 폰 함머-푸르크슈탈에 의해 출판되었지만, 번역에 어려움이 있었다.

에브리야 체레비의 공적으로 가장 뛰어난 점은, 그가 당시 각지에서 사용되던 언어를 명확하게 기록한 것이다. 30개 이상의 터키어 방언과 각국어 자료를 남겼다. 인도유럽어족의 존재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독일어부터 페르시아어까지의 유사성을 깨달았다. 특히 동아나톨리아의 여행기에서는 쿠르드어에 대해 상세하게 분석하고 있다. 체레비가 캅카스어족, 펠로폰네소스 반도 동단의 차콘어(Tsakonian), 흑해 북부의 우비흐어에 대해서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참조

[1] 서적 The Ottomans: A Cultural Legacy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2] 웹사이트 Saudi Aramco World : The Unread Masterpiece of Evliya Çelebi http://www.saudiaram[...] saudiaramcoworld.com 2014-10-27
[3] 서적 Evliya Çelebi's Book of Travels: Evliya Çelebi in Diyarbekir https://books.google[...] Brill
[4] 서적 An Ottoman Mentality: The World of Evliya Çelebi https://books.google[...] BRILL
[5] 서적 An Ottoman Mentality: The World of Evliya Çelebi https://books.google[...] BRILL
[6] 서적 Jerusalem: The Biography Weidenfeld & Nicolson
[7] 학술지 Turkish Instruments of Music in the Seventeenth Century 1936
[8] 학술지 Evliya Çelebi as Linguist 1979
[9] 뉴스 Evliya Celebi Turkish traveler and writer https://www.britanni[...] 2017-10-21
[10] 서적 The Muslim Discovery of Europe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01
[11] 서적 Literature of Travel and Exploration: A to F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3
[12] 서적 An Ottoman Mentality: The World of Evliya Çelebi https://books.google[...] BRILL 2006
[13] 서적 Kulturno – historijski spomenici Banije s pregledom povijesti Banije od prapovijesti do 1881. https://www.ceeol.co[...] Serb National Council 2008
[14] 서적 Evliya Çelebi Seyahatnamesi'nde Kafkaslar
[15] 서적 Evliya Çelebi Seyahatnâmesi Yapı Kredi Yayınları Ltd. Şti.
[16] 웹사이트 Saudi Aramco World : Hearts and Stones http://www.saudiaram[...] saudiaramcoworld.com 2014-10-27
[17] 웹사이트 Çitak - Çitaklar https://www.soguksuh[...]
[18] 학술지 The Ottoman Empire in Recent International Politics – II: The Case of Kosovo http://eprints.bbk.a[...]
[19] 웹사이트 1662 Evliya Chelebi: Seyahatname - a Journey through Northern Albania and Montenegro http://www.albanianh[...] 2022-04-01
[20] 웹사이트 1670 Evliya Chelebi: Seyahatname - a Journey to Gjirokastra http://www.albanianh[...] 2022-04-01
[21] 웹사이트 1670 Evliya Chelebi: Seyahatname – a Journey around Lake Ohrid http://www.albanianh[...] 2022-04-01
[22] 웹사이트 1670 Evliya Chelebi: Seyahatname - a Journey to Berat and Elbasan http://www.albanianh[...] 2022-04-01
[23] 웹사이트 1670 Evliya Chelebi: Seyahatname - a Journey to Vlora and Durrës http://www.albanianh[...] 2022-04-01
[24] 웹사이트 Das albanische Lexikon des Evliya Çelebi, 1662, und was ein Derwisch auf der Durchreise alles wissen muß http://www.elsie.de/[...] 2022-04-01
[25] 서적 A Traveller's History of Athens https://archive.org/[...] Interlink Books
[26] 학술지 I, Marble Maiden http://www.saudiaram[...] Saudi Aramco 2008-11-12
[27] 서적 Between Russians, Ottomans and Turks: Crimea and Crimean Tatars https://books.google[...] Isis Press 1998
[28] 웹사이트 Slave Trade in the Early Modern Crimea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Muslim, and Jewish Sources https://www.academia[...]
[29] 서적 Warfare, State and Society on the Black Sea Step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0] 학술지 "Thousands great saints": Evliya Çelebi in Ottoman Palestine http://www.quest-cde[...]
[31] 학술지 Archaeology as Cultural Survival: The Future of the Palestinian Past
[32] 학술지 Evliya Tshelebi's Travels in Palestine https://archive.org/[...]
[33] 학술지 Intellectual networks, language and knowledge under colonialism: the work of Stephan Stephan, Elias Haddad and Tawfiq Canaan in Palestine, 1909-1948 https://era.ed.ac.uk[...] University of Eidenburgh
[34] 서적 The Ottomans: A Cultural Legacy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35] 뉴스 Evliya Celebi Turkish traveler and writer https://www.britanni[...] 2017-10-19
[36] 논문 Joseph von Hammer-Purgstall's English Translation of the First Books of Evliya Celebi's Seyahâtname (Book of Travels) https://www.research[...] 2015
[37] 웹사이트 The Evliya Çelebi Ride And Way Project, Turkey http://www.waho.org/[...] 2023-03-13
[38] 웹사이트 Anniversaries celebrated by Member States {{pip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ttp://portal.unesco[...] portal.unesco.org 2014-10-27
[39] 웹사이트 25 March: Remembering Evliya Çelebi on Birthday https://observervoic[...] 2023-03-25
[40] Fish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