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윤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용윤리학은 1970년대 의학 및 기술 발전과 관련된 윤리적 논쟁 속에서 등장하여, 현재는 도덕 철학의 하위 분야이자 다중 전문 분야의 학문으로 자리 잡았다. 초기에는 생명 윤리 및 의료 윤리 분야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4원칙 접근법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응용윤리학은 학문적 담론을 넘어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으며, 의학, 비즈니스, 정보 기술 등 거의 모든 전문 분야에서 윤리 강령이 존재한다. 응용윤리학은 현실 문제 해결을 위해 규범 윤리 이론을 활용하며, 결과주의, 의무론, 덕 윤리와 같은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한다. 사례 기반 추론은 이론과 실제 사례 사이의 간극을 극복하려는 접근 방식 중 하나이다. 응용윤리학은 직업 윤리, 생명 윤리, 의료 윤리, 환경 윤리학, 사회 윤리, 기업 윤리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용윤리학 -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기업이 환경, 윤리, 사회공헌 등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하여 사회 전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로, 기업 자선 활동, 윤리적 경영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기업의 재무 성과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지만, 이윤 추구와 상충하거나 홍보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 응용윤리학 - 인도주의
인도주의는 인간의 존엄성과 권리를 옹호하는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상 및 실천으로, 인류애, 중립성, 독립성, 공정성을 근본 원칙으로 개인의 기본적 욕구 충족과 고통 경감을 위해 노력하며 사회적 장벽을 넘어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윤리학 - 폭력
폭력은 자신, 타인 또는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행위로, 철학, 사회학, 심리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며, 자기 지향적, 대인, 집단 폭력으로 분류되고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여 예방과 개입을 위한 전략이 사용된다. - 윤리학 - 평화
평화는 전쟁이나 폭력의 부재, 정의의 실현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지며, 개인적 차원에서는 친절, 존중, 관용 등으로 나타나고, 역사적으로 동맹, 무역, 국제기구를 통해 추구되며, 평화 연구를 통해 폭력적, 비폭력적 행동과 사회 갈등의 구조적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응용윤리학 |
---|
2. 역사
응용윤리학은 학문적인 철학적 담론의 영역을 넘어 윤리학 연구를 확장시켰다.[7] 1970년대 초, 급속한 의학 및 기술 발전에 대한 논쟁 속에서 등장한 응용윤리학은 현재 도덕 철학의 하위 분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응용윤리학은 의학, 비즈니스, 정보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가 필요하므로, 본질적으로 다중 전문 분야의 학문이다. 오늘날 거의 모든 전문 분야에서 윤리 강령이 존재한다.[8]
응용윤리학은 옳고 그름의 기준에 관한 규범 윤리학과 윤리적 속성, 진술, 태도 및 판단의 본질에 관한 메타윤리학과 구별된다.[10] 이 세 가지 윤리학 분야는 별개의 것으로 보이지만,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현실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규범 윤리 이론을 활용한다.
도덕적 딜레마를 검토하는 응용윤리학적 접근 방식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생명 윤리 및 의료 윤리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널리 사용되는 접근 방식 중 하나는 톰 보챔프와 제임스 칠드레스가 개발한 4원칙 접근법이다.[9] 원칙주의라고 불리는 4원칙 접근법은 자율성, 악행 금지, 선행, 정의라는 네 가지 일응의 의무 윤리 원칙을 고려하고 적용한다.
3. 기초 이론
규범 윤리 이론은 현실 세계의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려 할 때 충돌할 수 있는데, 결과주의와 의무론 사이의 간극을 극복하려는 한 가지 접근 방식은 사례 기반 추론(사례주의)이다.
응용 윤리학은 응용 인식론과 구별되는데, 응용 철학의 범주에 속하는 응용 인식론은 인식론을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14]
3. 1. 규범 윤리 이론
응용윤리학은 종종 다음과 같은 규범 윤리 이론을 활용한다.
# 결과주의: 행위의 옳고 그름은 오직 결과에만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11] 전형적인 결과주의 이론은 공리주의로, 고전적으로 행위가 도덕적으로 옳은지 여부는 순수하게 합산된 심리적 행복을 최대화하는지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의 주요 발전은 제러미 벤담과 존 스튜어트 밀로부터 나왔으며, 이들은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를 구분했다. 주목할 만한 후기 발전은 헨리 시지윅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그는 동기 또는 의도의 중요성을 도입했고, R. M. 헤어는 공리주의적 의사 결정에서 선호의 중요성을 도입했다.[12] 다른 형태의 결과주의에는 우선주의가 있다.
# 의무론: 행위는 맥락이나 결과에 관계없이 내재적인 옳고 그름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이 접근 방식은 이마누엘 칸트의 정언 명법 개념으로 전형화되며, 이는 칸트의 의무에 기초한 윤리 이론의 중심이었다. 또 다른 주요 의무론적 이론은 자연법으로,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크게 발전했으며, 가톨릭 교회의 도덕에 관한 가르침의 중요한 부분이다. 문턱 의무론은 규칙이 불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까지는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결과가 너무 심각해 특정 문턱을 넘어서면 결과주의가 시작된다.[13]
# 덕 윤리: 아리스토텔레스와 공자의 개념에서 파생되었으며, 적절하게 '덕 있는' 행위자가 선택한 것이 올바른 행위라고 한다.
규범 윤리 이론은 현실 세계의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려 할 때 충돌할 수 있다. 결과주의와 의무론 사이의 간극을 극복하려는 한 가지 접근 방식은 사례 기반 추론으로, 사례주의라고도 한다. 사례주의는 이론으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사례의 즉각적인 사실에서 시작한다. 사례주의는 윤리 이론을 사용하지만, 윤리 이론을 도덕적 추론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앨버트 존슨과 스티븐 툴민(`사례주의의 남용`, 1988)과 같은 사례주의자들은 응용 윤리학의 전통적인 패러다임에 도전한다. 사례주의자들은 이론에서 시작하여 특정 사례에 이론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사례 자체에서 시작하여 해당 특정 사례에 대해 고려해야 할 도덕적으로 중요한 특징(이론과 실질적인 고려 사항 모두 포함)이 무엇인지 묻는다.
3. 2. 사례 기반 추론
규범 윤리 이론들은 현실의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려 할 때 충돌할 수 있다. 이러한 간극을 극복하기 위한 한 가지 접근 방식은 사례 기반 추론(사례주의)이다. 사례주의는 이론으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사례의 즉각적인 사실에서 시작한다.[10] 앨버트 존슨과 스티븐 툴민('사례주의의 남용', 1988)과 같은 사례주의자들은 응용 윤리학의 전통적인 패러다임에 도전하며, 윤리 이론을 도덕적 추론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간주하지 않는다.[10] 이들은 이론에서 시작하여 특정 사례에 이론을 적용하는 대신, 특정 사례 자체에서 시작하여 해당 사례에 대해 고려해야 할 도덕적으로 중요한 특징(이론과 실질적인 고려 사항 모두 포함)이 무엇인지 묻는다.[10] 의료 윤리 위원회에 대한 관찰에서 존슨과 툴민은 특히 문제가 되는 도덕적 사례에 대한 합의가 참가자들이 이념이나 이론보다는 사례의 사실에 집중할 때 종종 나타난다고 지적한다.[10] 따라서 랍비, 가톨릭 사제, 불가지론자는 이 특정 사례에서 최선의 접근 방식은 특별한 의료를 보류하는 것이라는 데 동의할 수 있지만, 개별 입장을 뒷받침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10] 이처럼 사례에 집중하고 이론에 집중하지 않음으로써 도덕적 논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합의 가능성을 높인다.[10]
4. 응용 분야
응용윤리학은 광범위한 현실 문제에 적용되며, 사회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하위 분야들이 발전해 왔다.
4. 1. 주요 분야
- 직업 윤리[8][22]
- 생명 윤리[9][23]
- 의료 윤리[9][23]
- 간호 윤리
- 사생학
- 연구 윤리
- 환경 윤리학: 온난화를 비롯한 환경 파괴와 경제에 대해 논한다.
- 사회와 인권: 인종 차별, 동성애, 사형 폐지, 젠더, 동물 권리가 자주 논점이 된다.
- 기업 윤리
- 법철학
- 보도 윤리: 보도, 미디어를 논한다.
- 컴퓨터 윤리학: 최근 크게 발전하고 있는 컴퓨터에 대해 논한다.
- 전쟁 윤리학
- 교육 윤리학
- 스포츠 윤리학
- 학술 윤리학: 데이터 조작, 인체·동물 실험, 부패의 내부 고발 등
- 정치 윤리학 (예: 기아, 경제 격차)
- 로봇 윤리학: 로봇 기술이 야기하는 윤리적 문제를 다룬다. 또한, 로봇이 도덕적 행위자나 도덕적 배려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도 논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pplied Ethics
http://www.oxfordbib[...]
2017-06-25
[2]
웹사이트
Disability and Health Care Rationing
https://plato.stanfo[...]
The Metaphysics Research Lab, Department of Philosophy, Stanford University
2017-06-25
[3]
웹사이트
Voluntary Euthanasia
https://plato.stanfo[...]
The Metaphysics Research Lab, Department of Philosophy, Stanford University
2017-06-25
[4]
웹사이트
Ethics of Stem Cell Research
https://plato.stanfo[...]
The Metaphysics Research Lab, Department of Philosophy, Stanford University
2017-06-25
[5]
웹사이트
Environmental Ethics
http://www.iep.utm.e[...]
2017-06-25
[6]
웹사이트
Business Ethics
https://plato.stanfo[...]
The Metaphysics Research Lab, Department of Philosophy, Stanford University
2017-06-25
[7]
간행물
Self-enlightenment of Applied Ethics
Routledge
[8]
간행물
Researcher perceptions of ethical guidelines and codes of conduct
[9]
서적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Oxford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Applied Ethics
http://www.iep.utm.e[...]
2017-06-25
[11]
웹사이트
Consequential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02-16
[12]
서적
Moral thinking: its levels, method, and point
Clarendon Pr
1992
[13]
웹사이트
Deontological Ethic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02-16
[14]
서적
Nature, Cognition and System I: Current Systems-Scientific Research on Natural and Cognitive System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5]
웹사이트
Applied Ethics
http://www.oxfordbib[...]
2017-06-25
[16]
웹사이트
Disability and Health Care Rationing
https://plato.stanfo[...]
2017-06-25
[17]
웹사이트
Voluntary Euthanasia
https://plato.stanfo[...]
2017-06-25
[18]
웹사이트
Ethics of Stem Cell Research
https://plato.stanfo[...]
2017-06-25
[19]
웹사이트
Environmental Ethics
http://www.iep.utm.e[...]
2017-06-25
[20]
웹사이트
Business Ethics
https://plato.stanfo[...]
2017-06-25
[21]
간행물
Self-enlightenment of Applied Ethics
Routledge
[22]
간행물
Researcher perceptions of ethical guidelines and codes of conduct
[23]
서적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Oxford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Applied Ethics
http://www.iep.utm.e[...]
2017-06-25
[25]
웹사이트
Consequential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02-16
[26]
웹사이트
Deontological Ethic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02-16
[27]
서적
Nature, Cognition and System I: Current Systems-Scientific Research on Natural and Cognitive System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8]
웹사이트
Applied Ethics
http://www.oxfordbib[...]
2017-06-25
[29]
웹사이트
Disability and Health Care Rationing
https://plato.stanfo[...]
2017-06-25
[30]
웹사이트
Voluntary Euthanasia
https://plato.stanfo[...]
2017-06-25
[31]
웹사이트
Ethics of Stem Cell Research
https://plato.stanfo[...]
2017-06-25
[32]
웹사이트
Environmental Ethics
http://www.iep.utm.e[...]
2017-06-25
[33]
웹사이트
Business Ethics
https://plato.stanfo[...]
2017-06-25
[34]
간행물
Self-enlightenment of Applied Ethics
Routledge
[35]
간행물
Researcher perceptions of ethical guidelines and codes of conduct
[36]
서적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