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인도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인도주의는 모든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고 고통을 경감하며, 취약 계층을 보호하려는 사상과 실천을 의미한다. 이는 "네가 사람들에게 바라는 대로 너희도 그들에게 해라"는 황금률과 같이 보편적인 가치를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종교와 세속적 관점에서 실천되어 왔다. 역사적으로는 19세기 영국의 사회 개혁, 플로렌스 나이팅게일과 앙리 뒤낭의 응급 대응 활동, 적십자 설립 등이 인도주의의 발전을 보여준다. 현대에는 인도적 위기에 대한 긴급 대응,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지원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전쟁, 기아, 빈곤 등 인도적 지원의 한계와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주의 - 인도주의적 지원
    인도주의적 지원은 국제 연합 총회 결의 및 운영 규약에 따라 정부와 비정부 기구 등이 제공하는 식량, 의료 등의 지원을 의미하지만, 소비 패턴 변화, 자원 착취, 의료 지원 비효율성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며,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이 국제적 대응을 조정하나 재정 자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 인도주의 - 지진 대비
    지진 대비는 지진 발생 시 생존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생존 및 완화 대책을 마련하고, 개인, 사회, 건축물 수준에서 심리적 대비, 교육 및 훈련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 응용윤리학 -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기업이 환경, 윤리, 사회공헌 등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하여 사회 전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로, 기업 자선 활동, 윤리적 경영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기업의 재무 성과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지만, 이윤 추구와 상충하거나 홍보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 응용윤리학 - 국민총행복지수
    국민총행복지수(GNH)는 부탄에서 제안된 개념으로, 국민의 행복을 중시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 환경 보호, 문화 보존, 훌륭한 거버넌스 등을 포함한 9가지 영역을 측정하여 정책 결정에 활용하지만, 행복의 주관성과 국제 비교의 어려움 등의 한계도 지적받는다.
  • 가치관 - 정의
    정의는 각자에게 그의 몫을 돌려주려는 의지이자 불평등이 없는 상태를 추구하는 가치로, 서양에서는 사법적 의미가, 동양에서는 도덕적 당위성을 포함하며, 권리 행사와 제한에 적용되는 원리이다.
  • 가치관 - 공동체주의
    공동체주의는 개인보다 공동체의 역할을 강조하는 정치 철학으로, 자유주의에 반대하며 사회 자본과 시민 사회 제도를 강화하려 한다.
인도주의
인도주의
적십자, 적신월, 적수정
인도주의를 상징하는 3가지 엠블럼 (적십자, 적신월, 적수정)
주요 목표인간의 고통 경감
생명 보호
인간 존엄성 유지
관련 분야국제법
국제 관계
구호
사회 사업
윤리학
정치
관련 활동인도적 지원
재해 구호
의료 지원
교육
인권 보호
주요 원칙인간성
중립성
공평성
독립성
자발적 봉사
단일성
보편성
관련 단체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
국제 연합
국제 구호 개발 NGO
역사
기원계몽주의 시기의 인도주의 사상과 관련
발전19세기 노예제 폐지 운동, 빈민 구제 운동 등
20세기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등의 전쟁과 재난을 계기로 국제적인 인도주의 활동 확산
윤리 및 철학적 배경
기반 사상인간의 존엄성
상호존중
연대 의식
관련 철학공리주의, 의무론, 덕 윤리
비판
한계정치적 중립성 유지의 어려움
개발도상국의 문화와 상황에 대한 이해 부족
자원 배분의 불공정성 문제
비판적 관점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연장이라는 비판
서구 중심적 가치관을 강요한다는 비판
관련 개념
연관 개념인도주의적 개입
사회 정의
국제 개발
인권
관련 학문
주요 학문윤리학
정치학
사회학
국제 관계학
법학

2. 인도주의의 보편성

인도주의는 특정 종교나 사상에 국한되지 않고,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지향한다. 이는 다양한 종교 및 철학에서 공통적으로 강조되는 "황금률", 즉 "네가 사람들에게 바라는 대로 너희도 그들에게 해라"라는 계율에서 잘 드러난다.

학자들은 인도주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범위가 확대되어 왔다고 지적한다. 개인과 집단이 자신들의 즉각적인 환경 너머의 집단까지 인간 생명의 정의를 확장해 왔기 때문이다.[4][2][3] 인도주의적 거버넌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복잡해지고 제도화되었다.[5]

다른 민족, 다른 언어 또는 나보다 다른 사회 계층에 속한다는 이유로 어떤 사람이라도 모욕하거나 억압하는 것은 야만적인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L. L. 자멘호프(L. L. Zamenhof)의 호마라니스모(Homaranismo)에 대한 말.


인도(人道)는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이다. “사람으로서의 도리”라고도 한다. 인도의 관점에서 무시할 수 없는 문제를 “인도 문제”라고 한다. “인도”라는 말은 인도주의(ヒューマニズム)에도 포함되어 있다. 유교 사상에서의 “인도”는 “천도”와 대비되는 개념이었다.

2. 1. 다양한 종교에서의 인도주의

장 피크테(Jean Pictet)는 적십자의 기본 원칙에 대한 해설에서 인도주의의 보편적인 특징을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6]

인류애 원칙의 근원은 사회적 도덕성의 본질에 있으며, 이는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네가 사람들에게 바라는 대로 너희도 그들에게 해라.''' 이 기본적인 계율은 거의 동일한 형태로 모든 주요 종교, 브라만교(Brahminism), 불교(Buddhism), 기독교(Christianity), 유교(Confucianism), 이슬람교(Islam), 유대교(Judaism) 및 도교(Taoism)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또한 어떤 종교에도 매이지 않고 오직 이성의 이름으로 경험의 데이터에만 헌신하는 실증주의자들의 황금률이기도 합니다. 사실, 인간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인식하기 위해 감정적이거나 초월적인 개념에 의존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6]

종교 역사에서도 인도주의를 실천한 예가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의 민족종교인 천도교에서는 2대교주 손병희 선생때에 교인들이 을 지을때마다 한 숟가락씩 저장해두었다. 이렇게 모인 은 어려운 교인들을 돕는 일에 사용되었다. 또한 신약성서의 마태복음서 25장에도 기억하지 못하는 나눔과 섬김을 했는가 아닌가, 곧 대가를 바라지 않고 어려운 이웃을 도왔는가,아닌가로 구원과 심판이 갈라지는 이야기가 나온다.

2. 2. 세속적 인도주의

장 피크테(Jean Pictet)는 적십자의 기본 원칙에 대한 해설에서 인도주의의 보편적인 특징을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The fundamental maxim of social morality, which can be summed up in the sentence, '''Do unto others as you would have them do unto you'''.|ko|사회적 도덕성의 근본 원칙은 '''네가 남에게 대접받고자 하는 대로 남을 대접하라'''는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영어

이 기본 원칙은 브라만교(Brahminism), 불교(Buddhism), 기독교(Christianity), 유교(Confucianism), 이슬람교(Islam), 유대교(Judaism), 도교(Taoism) 등 모든 주요 종교에서 거의 동일한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이는 종교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이성에 근거하여 경험적 데이터에만 전념하는 실증주의자들의 황금률이기도 하다. 인간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협력하는 것이 유익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데 감정적이거나 초월적인 개념에 의존할 필요는 전혀 없다.[6]

3. 역사적 발전과 사례

인도주의는 오랜 역사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벚꽃동산에서 뜨로피모프가 추구한 모든 사람의 행복, 천도교에서 손병희가 실천한 쌀 한 숟가락 나눔, 신약성서 마태복음서 25장에 나오는 대가 없는 도움은 모두 인도주의의 실천 사례이다.[1]

사회학장 지글러는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에서 적십자와 같은 인도주의 구호단체가 전투 능력 부재와 한정된 으로 인해 모든 기아를 돕지 못하는 한계를 지적했다. 출판인 김규항은 《예수전》에서 어려운 이웃을 돕는 것을 넘어 모든 사람이 최소한의 생존을 보장받아 자존감을 갖고 살 수 있는 사회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니엘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에서는 야만인을 죽이는 스페인 사람들을 무시무시하고 잔인한 존재로 여기는 인도주의자의 모습이 묘사된다.

헨리 솔트가 결성한 인도주의 연맹(1891~1919)은 인도주의적 대의를 진전시키고자 한 영국의 옹호 단체이다.[7]

인도주의 시대를 구분하는 다양한 제안이 있는데, 마이클 바넷은 "제국주의적 인도주의"(19세기 후반~1945년), "신인도주의"(1945~1989년), "자유주의적 인도주의"(1990년 이후) 시대로 구분한다.[2] 노르베르트 괴츠, 조지나 브루이스, 슈테펜 베르터는 "임시적 인도주의"(~1900년경), "조직화된 인도주의"(1900년경~1970년), "표현적 인도주의"(1970년 이후) 시대를 주장하며, 현재는 "표현적 시대에 뿌리를 두고 자동화된 인터페이스와 기증자와 수혜자 사이에 두터운 '방화벽'이 있는 새로운 종류의 방어적 인도주의"에 진입하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제안한다.[8]

전쟁에서는 전시 국제법에 규정된 전투 행위를 벗어난 행위에 대해 인도적인 측면에서 처벌이 내려지기도 한다. 사용되는 무기에 대해서도 윤리가 요구되며, 대량살상무기 중 덤덤탄이나 화학무기 등은 인도적인 이유로 사용이 금지되었다. 근대 이후 전쟁 포로에게는 "인간적인 대우"가 요구되고 있지만, 고문, 잔혹 행위, 학대 등은 최근에도 발생하며 문제시되고 있다.[29]

3. 1. 19세기 영국의 사회 개혁

산업혁명 이후 경제적 혼란 속에서 인도주의는 1833년 공장법, 1844년 공장법과 같은 사회 개혁 입법을 통해 아동 및 비숙련 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 환경을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 여성 참정권 운동에 참여한 많은 영국 여성들 또한 인도주의를 실천했다.[7]

3. 2. 20세기 인도주의 활동

19세기 중반,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앙리 뒤낭은 응급 대응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앙리 뒤낭의 활동은 적십자 설립으로 이어졌다.[7]

오늘날 인도주의는 인도적 위기에 대한 긴급 대응의 사상과 원칙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인도주의 원칙, 특히 인류애의 원칙에 기반한 인도적 대응을 주장한다. 국제 의료 구호 단체인 국경없는의사회(Médecins Sans Frontières) 미국 지부의 전 사무총장인 니콜라스 드 토렌테(Nicholas de Torrente)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인도주의 행동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인류애, 중립성, 독립성, 그리고 공정성입니다. 이는 모든 사람이 인간이라는 이유만으로 동등한 존엄성을 가지며, 수혜자를 차별하지 않고 오직 필요에 따라 지원해야 한다는 확신을 전제로 합니다. 인도주의 단체는 적대 행위에 참여하거나 분쟁의 한쪽 편에 유리한 행동을 해서는 안 되며, 정치적, 종교적 또는 기타 어떤 의제의 이익을 위해서도 활동해서는 안 됩니다.[10]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반세기 이상이 지난 현재에도 전 세계 여러 지역 분쟁 지역에서는 무력 분쟁이나 자연재해로 인한 사회 기반 시설의 붕괴로 인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없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이러한 지역에 대해 국제연합(United Nations), 국제 적십자 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국경없는의사회(Médecins Sans Frontières) 등을 비롯한 여러 비정부기구(NGO)들이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

3. 3. 한국의 인도주의 역사

한국의 민족종교인 천도교에서는 2대 교주 손병희 때 교인들이 밥을 지을 때마다 한 숟가락씩 쌀을 모아 어려운 이웃을 돕는 인도주의적 실천을 했다. 신약성서의 마태복음서 25장에는 대가를 바라지 않고 어려운 이웃을 도운 사람들에 대한 구원과 심판 이야기가 나온다. 벚꽃동산에서 뜨로피모프의 사상은 모든 사람의 행복을 추구하는 인도주의로 해석될 수 있다.[1]

4. 현대 인도주의의 과제

현대 사회에서 인도주의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으며,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4. 1. 전쟁과 인도주의

전쟁 중에도 전시 국제법에 따른 인도적 원칙이 준수되어야 하며, 전쟁 포로에 대한 인도적 대우, 민간인 보호 등이 중요하다.[29] 대량살상무기 사용 금지는 인도주의적 이유에서 비롯된 것이다.[29] 그러나 최근에도 지역 분쟁에서 민간인 고문, 학대 등 인도주의에 반하는 행위들이 발생하고 있어 국제 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다.[29]

4. 2. 인도적 지원의 한계와 비판

장 지글러는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에서 적십자와 같은 인도주의 구호 단체들이 분쟁 지역에서 스스로를 보호할 능력이 부족하고, 모든 기아를 해결할 만큼 충분한 자원을 확보하지 못하는 현실적인 한계를 지적했다.[10] 김규항은 《예수전》에서 어려운 이웃을 돕는 것을 넘어 모든 사람들이 최소한의 생존을 보장받고 자존감을 가지고 살 수 있는 사회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10]

4. 3. 디지털 인도주의

패트릭 마이어는 2010년 아이티 지진 당시 크라우드매핑을 통해 피해 상황을 파악하고 구호 활동을 지원한 사례를 설명하며 '디지털 인도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3][14][15] 소셜 미디어는 인도주의 단체들에게 상황 인식을 개선하고, 광범위한 전략 및 물류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18]

2010년 아이티 지진 발생 10일 후, 미국에서는 "아이티를 위한 희망" 자선 방송 행사가 열려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재난 생존자들에 대한 공감을 호소하고, NGO를 통한 기부를 독려했다. 이 행사는 디지털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미국인의 정체성과 연결된 도덕적 책임감을 강조하며 구호 활동 참여를 유도했다.[19][20]

빅데이터는 위기 상황을 파악하고, 인도주의적 대응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2] 2010년 러시아 산불 당시, 소셜 미디어를 통해 피해 지역 정보가 공유되고 구호 활동이 조직되었다.[21] 러시아 정부가 재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디지털 인도주의는 큰 역할을 수행했다.[21]

5. 인도주의의 다양한 실천

인도주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실천될 수 있다.[23][24][25][2]


  •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기금 모금
  • 의료 지원[26]
  • 생계 지원 및 자금 조달
  • 난민 지원
  • 교육
  • 기후 변화 및 환경 보호
  • 인권 및 성폭력 보호[27]
  • 식량 및 물 공급
  • 숙소 제공


국제 연합(UN),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 국경없는의사회 등 여러 비정부기구(NGO)들이 전 세계 분쟁 지역에서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

6. 한국 사회와 인도주의

한국 사회는 인도주의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에는 가치관의 다양화에 따라 가치관이 다른 타인과 협력하는 데 중요시되는 개념이다. 인도는 '인간'이라는 틀 안에서 사용되기도 하며, 사회 통념 이상으로 '인간'이라는 존재의 모습을 묻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1]

참조

[1] 서적 Humanitarianism in the Modern World: The Moral Economy of Famine Relief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Empire of Humanity: A History of Humanitarianism https://www.jstor.or[...] Cornell University Press 2011
[3] 서적 The Purpose of Intervention: Changing Beliefs about the Use of Force https://www.jstor.or[...] Cornell University Press 2003
[4] 학술지 The Rise of Modern Humanitarianism https://www.jstor.or[...] 1915
[5] 학술지 Humanitarian Governance https://www.annualre[...] 2013
[6]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http://www.icrc.org/[...] 2013-10-03
[7] 학술지 Against All Cruelty: The Humanitarian League, 1891-1919 1994
[8] 서적 Humanitarianism in the Modern World: The Moral Economy of Famine Relief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Life lived in relief : humanitarian predicaments and Palestinian refugee politics https://www.worldcat[...] 2018
[10] 웹사이트 Harvard Law School Human Rights Journal - http://www.law.harva[...]
[11] 잡지 The Book Stops Here https://www.wired.co[...]
[12] 서적 The Best of Technology Writing 200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6-08-09
[13] 뉴스 The rise of the digital saviour: can Facebook likes change the world? https://www.theguard[...] 2015-06-18
[14] 웹사이트 Crisis Mapping Pioneer Focuses on Humanitarian Uses For Drones https://www.npr.org/[...] NPR 2016-09-29
[15] 웹사이트 How Crisis Mapping Saved Lives in Haiti http://voices.nation[...] National Geographic Society (blogs) 2012-07-02
[16] 웹사이트 Digital Humanitarianism https://olc.worldban[...] World Bank Group
[17] 잡지 How AI, Twitter and digital volunteers are transforming humanitarian disaster response https://www.wired.co[...]
[18] 뉴스 Is Digital Humanitarianism All Good? http://www.huffingto[...] 2016-04-05
[19] 학술지 Soundscapes of Disaster and Humanitarianism: Survival Singing, Relief Telethons, and the Haiti Earthquake https://digitalcolle[...] 2012
[20] 웹사이트 Soundscapes of Disaster and Humanitarianism: Survival Singing, Relief Telethons, and the Haiti Earthquake https://works.bepres[...]
[21] 서적 Digital Humanitarians Routledge
[22] 학술지 Rethinking big data in digital humanitarianism: practices, epistemologies, and social relations https://burnsr77.git[...] 2014-10-09
[23] 학술지 Humanitarianism in the 21st Century https://journals.ope[...] 2010-06-01
[24] 학술지 Classical humanitarianism and resilience humanitarianism: making sense of two brands of humanitarian action 2018-09-10
[25] 웹사이트 Humanitarianism: An Overview https://www.cmi.no/p[...]
[26] 학술지 Global Public-Private Health Partnerships: lessons learned from ten years of experience and evaluation 2020-11-07
[27] 학술지 How sex- and age-disaggregated data and gender and generational analyses can improve humanitarian response https://onlinelibrar[...] 2013-07
[28] 사전
[29] 뉴스 ロシア軍に深く根付いた「残虐行為の文化」 https://www.cnn.co.j[...] CNN 2022-04-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