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누이트 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누이트 종교는 이누이트의 전통적인 신앙 체계로,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령과 신, 영혼에 대한 믿음을 포함한다. 샤먼은 종교 지도자, 치료자 역할을 했으며, 인간과 영혼 세계를 중재하는 역할을 했다. 이누이트 신화에는 여러 정령과 신들이 등장하며, 모든 존재가 영혼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특히, 영혼은 사후에도 지속되며,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했다. 그러나 기독교의 전파로 샤머니즘은 쇠퇴하였으나, 오늘날에도 전통 신앙을 보존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누이트 종교 | |
---|---|
종교 개요 | |
주요 특징 | |
창조주 | 특정 창조주는 없음 |
신 | 다양한 영혼과 정령 존재 |
내세 | 환생, 영혼의 세계 |
의례 | 샤머니즘, 정령 신앙, 애니미즘 |
특징 | 자연과의 조화, 공동체 중시 |
신화와 전설 | |
이야기 종류 | unipkaaq (옛날 이야기, 전설, 민담) |
주요 내용 | 동물과의 교감 자연 현상에 대한 설명 인간과 영혼의 관계 |
핵심 가치 | |
중시하는 가치 | 존중 겸손 협력 가족 자연에 대한 존중 |
영혼과 사후 세계 | |
믿음 | 모든 존재는 영혼을 가지고 있다고 믿음 |
영혼의 종류 | anirniq (사람, 동물, 장소, 무생물에 존재하는 숨결) |
사후 세계 | 죽은 후 다른 세계로 이동하거나 환생한다고 믿음 |
금기 (Taboos) | |
금기 사항 | 특정 행동이나 상황을 피해야 함 |
금기 이유 | 영혼을 달래고 불운을 막기 위해 필요 |
의례와 관습 | |
의례 종류 | 사냥 의례 출산 의례 장례 의례 |
샤먼 역할 | 영혼과 소통 질병 치료 미래 예측 |
현대의 이누이트 종교 | |
종교적 변화 | 기독교의 영향으로 전통 신앙이 약화됨 |
전통 신앙의 유지 |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전통 신앙을 유지하고 계승함 |
2. 이누이트 샤머니즘
이누이트 사회에서 샤먼은 단순한 종교 지도자가 아니라 치료사, 상인, 그리고 때로는 초인적인 능력을 지닌 인물로 여겨졌다. 이들은 공동체 내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영혼과의 소통, 질병 치료, 미래 예측, 사냥의 성공 기원 등 중요한 임무를 맡았다.
이누이트 샤먼, 즉 알래스카와 캐나다 북부의 이누이트어로 아낫쿡(anatquq) 또는 앙가쿡(angakkuq)[63]은 영적 치유자로 알려져 있으며, 이누크티투트어[9] 또는 이누비알루크툰어에서는 ''앙아투크''라고 불린다.[10]
몇몇 기록에 따르면, 샤먼은 그들의 능력 때문에 때로는 두려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51] 이는 샤먼의 힘이 존중받아야 하며, 그들이 항상 선한 존재만은 아닐 수 있다는 인식을 반영한다.
과거에는 '투르응가크'('Tuurngaq')가 단순히 "죽음의 영혼"을 의미했지만, 기독교화 이후 기독교 신념 체계에서 악마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일부 영혼들은 육체와 연결된 적이 없는 '''''투르응가이트'''''(tuurngait, 또는 '토르나이트', '토르나트', '토른레이트', 단수형 '''''투르응가크'''''(tuurngaq), '토르낙', '토른라크', '탄게크')라고 불렸으며, 이들은 샤먼의 조력 영혼으로 묘사되기도 하고, 그 본성은 각 앙아쿠의 능력에 달려있다고 한다.[43] 도움이 되는 영혼들은 어려울 때 소환될 수 있으며, "[...] 사람들을 돕기 위해 존재한다."라고 이누이트 장로 빅터 퉁길리크(Victor Tungilik)는 설명한다.[43] 하지만, 어떤 투르응가이트는 악하고, 흉측하며, 사냥 실패와 도구 파손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아미트소크 호수(어족 자원이 풍부한 곳)의 킹 윌리엄 섬에 사는 이누이트들은 특정 물건을 꿰매는 것에 대한 계절적 금지 사항이 있었다.[13] 아미트소크의 아이들은 한때 ''투낭구사르투트''라는 놀이를 했는데, 이 놀이에서 그들은 영적인 존재에 대한 어른들의 행동을 흉내 내고 심지어 ''앙가쿠잇''과 같은 구두 공식을 암송하기도 했다. 크누드 라스무센에 따르면, 이 놀이는 "정신은 농담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불쾌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다.[14]
2. 1. 샤먼의 역할과 능력
이누이트 사회에서 샤먼 (알래스카와 캐나다 북부의 이누이트어로 아낫쿡(anatquq) 또는 앙가쿡(angakkuq))[63]은 종교 지도자, 상인, 치료자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이들은 신비롭고 강력하며 초인적인 능력을 지닌 인물로 묘사되곤 했다.[64] 초기 탐험가나 사냥꾼들이 이들을 "의술인"으로 부른 것은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64]샤먼의 능력은 다양했지만, 그중에서도 질병을 치료하는 능력이 두드러졌다. 샤먼은 아픈 사람에게서 "숨이나 바람을 불어 날려버리는" 방식으로 병을 치료했다고 전해지지만, 구체적인 방법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64] 샤먼이 질병을 치료하려면 샤먼 자신의 능력뿐만 아니라 치료받는 사람의 믿음도 중요했다.[64]
이야기 속에서 샤먼은 자연재해나 사람들 간의 분쟁과 같은 위기 상황을 해결하거나, 그 의미를 부여하는 역할을 했다.[65] 샤먼은 사람이나 도구에 특별한 능력을 부여하기도 했는데,[66] 예를 들어 납치된 주술사가 마법의 끈을 사용하여 탈출하는 이야기가 전해진다.[67]
일부 이야기에서는 샤먼이 예측 불가능하고 쉽게 화를 내는 등 변덕스러운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샤먼이 신비로운 능력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적인 결함을 지닌 존재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68]
오늘날에는 이누이트 사회가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인간 세계와 영혼 세계를 연결하는 샤먼의 역할은 사제나 목사 등이 대신하고 있다.[69]
2. 2. 샤먼의 선발과 훈련
이누이트 사회에서 샤먼, 즉 앙아쿠크(이누크티투트 음절 문자: ᐊᖓᑦᑯᖅ 또는 ᐊᖓᒃᑯᖅ)는 특별한 존재였다. 이들은 종교 지도자이자, 치유자이며, 때로는 신비롭고 강력한 힘을 가진 인물로 여겨졌다.[63] 초기 탐험가나 사냥꾼들은 이들을 "의술인"이라고 불렀지만, 이는 그들의 역할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표현이다.[64]샤먼이 되는 과정은 정해진 것이 없었지만, 특별한 징조를 통해 선택되거나 기존 샤먼의 제자가 되어 훈련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크누드 라스무센의 친구이자 인류학자인 아우아에 따르면, 샤먼 수련자는 자신의 몸을 해골로 볼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했으며, 각 신체 부위를 특별한 샤먼 언어로 칭했다고 한다.[11][12]
샤먼은 종종 위기의 순간에 등장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사람들에게 특별한 능력을 부여하기도 했다.[65][66] 하지만 이들은 예측 불가능하고 변덕스러운 모습을 보이기도 했는데, 이는 그들이 영적인 힘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인간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68]
오늘날에는 많은 이누이트족이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샤먼의 역할은 사제나 목사 등으로 대체되었다.[69]
2. 3. 한국의 샤머니즘과의 비교
한국의 샤머니즘은 무당이 신내림을 통해 신과 소통하고, 굿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누이트 샤머니즘과 한국 샤머니즘은 영혼과의 소통, 치유, 예언 등에서 유사성을 보이지만, 의식과 구체적인 신앙 대상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이누이트 사회에서 주술사인 앙가쿡(angakkuq])[63]은 종교 지도자, 상인, 치료자 역할을 했다. 이들은 신비하고 강력하며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64] 이누이트 주술사는 아픔에 "숨이나 바람을 불어 날려버리는" 방식으로 치유를 했다고 전해지지만, 구체적인 방법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64] 이야기 속에서 주술사는 위기에 처한 사람들을 돕거나, 사람이나 도구에 비범한 능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했다.[65][66] 그러나 이들은 예측하기 어려운 행동을 하거나 쉽게 화를 내는 등 변덕스럽고 흠이 있는 인간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68] 오늘날 이누이트 민족이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주술사의 역할은 사제나 목사 등으로 대체되었다.[69]3. 이누이트 신화와 신
이누이트는 신을 믿지 않지만, 여러 존재들을 신앙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매섭거나, 보이지 않거나, 복수심이 강하거나, 중재자 역할을 하거나, 끔찍한 경험을 한 존재들이다.
이누이트는 만물에 영혼(이누크티투트어: 아니르니크, 복수형 아니르니잇)이 있다고 믿었다. 이 영혼들은 죽음 이후에도 지속된다고 여겨졌다. 이누이트는 "우리 존재의 가장 큰 위험은 우리의 식단이 완전히 영혼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에 있다"라고 말할 정도로 영혼의 존재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모든 존재는 인간과 같은 영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물을 죽이는 것은 사람을 죽이는 것과 거의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다. 죽은 동물이나 인간의 아니르니크는 복수할 수 있다고 믿었기에, 관습을 따르고 금기를 피하며 올바른 의식을 행하여 달랬다.
북극의 가혹한 환경에서 이누이트는 보이지 않는 힘에 대한 두려움 속에서 살았다. 불운은 공동체 전체를 멸망시킬 수 있었고, 화가 난 보이지 않는 힘에게 생존에 필요한 것을 구걸하는 것은 일상이었다. 이누이트에게 아니르니크를 모독하는 것은 멸종의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었다. 이누이트 문화에서 앙아쿠크의 주요 역할은 영혼을 달래기 위해 따라야 할 의식과 금기를 조언하고 상기시키는 것이었다. 앙아쿠크는 영혼을 보고 접촉할 수 있다고 여겨졌다.
아니르니잇은 그들을 둘러싼 하늘이나 공기인 실라의 일부로 여겨지며, 단순히 빌려온 것이다. 각 사람의 아니르니크는 그것이 머무는 삶과 육체에 의해 형성되지만, 동시에 더 큰 전체의 일부이다. 이 때문에 이누이트는 그 이름을 따서 아니르니크의 힘이나 특징을 빌려올 수 있었다. 해양 포유류, 북극곰, 식물 등 단일 종류의 것들의 영혼은 동일하다고 여겨졌으며, 그 종류와 연결된 관리자나 주인을 통해 소환될 수 있었다. 어떤 경우에는 인간이나 동물의 아니르니크가 동물에 대한 존경이나 영향력의 인물이 되기도 한다.
이누이트 사이에 기독교가 전파된 이후, 아니르니크는 기독교적 의미에서 영혼을 의미하는 단어로 받아들여졌다. ''아니르니시아크''는 ''천사''를 의미하고, ''하느님''은 위대한 영인 ''아니르니알루크''로 번역된다.
3. 1. 주요 신
이누이트 신화에는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신들이 등장한다. 주요 신들은 다음과 같다.- 세드나: 바다와 해양 동물을 다스리는 여신으로, 이누이트 신화에서 가장 중요한 신 중 하나이다. 여러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70]
- 나누크: 북극곰의 신으로, 사냥꾼들에게 숭배받았다.
- 실라 (실라프 이누아): 공기와 날씨를 관장하는 신으로, 인간의 영혼과도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 테케이쳘톡: 순록의 신으로, 사냥의 성공과 관련이 있다.
- 앙구타: 죽은 자를 지하 세계로 인도하는 신이다.
- 이갈룩: 달의 신으로, 태양신 말리나와 남매 관계이다.
- 아글루릭: 바다의 사악한 신으로, 얼음 아래에 거주하며 방랑자의 사냥과 낚시를 돕는다.
- 아크나: 다산의 여신이다.
- 아마고크/아마록: 밤에 혼자 사냥하는 사람들을 데려가는 늑대신이다.
- 핑가: 사냥, 다산, 약의 여신이다.
- 칼리어테탕: 날씨의 정령이자 동물의 수호자이며, 어부와 사냥꾼의 수호자이다. 세드나의 동반자이기도 하다.
- 뿌키네각: 바느질과 요리를 포함한 가정생활의 여신이다.[70]
- 타르키우프 이누아: 달의 신
- 이그니르토크: 빛과 진리의 여신.[53][54][55]
3. 2. 정령과 괴물
이누이트 신화에는 인간에게 해를 끼치거나 도움을 주는 다양한 정령과 괴물들이 등장한다.- 칼루필루이트(Qallupilluit) 또는 칼루팔릭(Qalupalik): 아이들이 해안에서 돌아다니는 것을 막기 위해 어른들이 만든 신화 또는 전설 속 인물이다. 칼루팔릭은 바다에 사는 긴 머리에 녹색 피부, 긴 손톱을 가진 인간형 생물이다. 아모티(amautiit)를 입으며 부모에게 불순종하거나 혼자 돌아다니는 아이들을 물속으로 데려가 자신의 아이로 입양한다. 칼루팔릭은 독특한 윙윙거리는 소리를 내는데 이들이 가까이 있을 때 이 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여전히 학교와 책에서 그리고 가정에서 어른들에 의해 전해지고 있다. 이 신화는 2010년 아메 파팟찌(Ame Papatsie)에 의해 <칼루팔릭>이라는 이름으로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졌다.[71]
- 아키이니(Ahkiyyini): 해골 정령
- 소맨 카 (Saumen Kar 또는 Tornit 또는 Tuniit): 이누이트 버전의 빅풋 또는 예티.
- 티쩌루크(Tizheruk): 뱀 형상 괴물.
- 아닝가아트(Aningaat): 달이 된 소년, 태양 시키니크(Sikiniq)의 형제이며, 때로는 달의 신 타르키우프 이누아와 동일시됨
- 아우마닐: 땅에 살면서 고래의 계절별 이동을 안내하는 영
- 시키니크(Sikiniq): 태양이 된 소녀, 달 아닝가아트(Aningaat)의 여동생
- 소우멘 카르: 토르니트 또는 투니이트라고도 불리며, 이누이트 버전의 사스콰치 또는 예티 신화이다. 거인이라고 전해지는 도르셋 문화의 사람들이었을 수도 있다.
4. 이누이트의 영혼관
이누이트는 모든 자연물에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믿었다. 인간은 여러 개의 영혼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으며, 이 영혼들은 죽음 이후에도 지속된다고 믿었다. 이러한 믿음은 이누이트의 세계관에 깊이 뿌리내려 있었으며, "우리 존재의 가장 큰 위험은 우리의 식단이 완전히 영혼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에 있다"라는 관습적인 말에서도 잘 드러난다.[41]
네칠릭 이누이트는 특히 영혼에 대한 믿음이 강했는데, 삶의 고난이 영혼과 관련된 믿음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많은 부적을 사용했으며, 심지어 개조차도 부적을 가질 수 있었다.[16] 한 어린 소년은 너무 많은 부적을 가지고 있어서 거의 놀 수 없을 정도였다는 기록도 있다.[15][17]
이누이트는 인간의 영혼과 같은 영혼을 가진 동물을 죽이는 것은 사람을 죽이는 것과 거의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다. 죽은 동물이나 인간의 영혼은 해방되면 복수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이누이트는 관습에 순종하고, 금기를 피하며, 올바른 의식을 행함으로써 이러한 영혼들을 달랬다.
이누이트 사회에서 앙가쿠크의 주요 역할은 영혼을 달래기 위해 따라야 할 의식과 금기를 사람들에게 조언하고 상기시키는 것이었다. 앙가쿠크는 영혼을 보고 접촉할 수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북극의 가혹함과 예측 불가능성은 이누이트가 보이지 않는 힘에 대한 두려움 속에서 살도록 만들었고, 불운은 공동체 전체를 멸망시킬 수 있었기에, 잠재적으로 화가 나고 복수심에 불타는 힘에게 생존에 필요한 것을 구걸하는 것은 이누이트의 일상이었다.
이누이트는 각 사람의 영혼인 아니르니크가 그들을 둘러싼 하늘이나 공기인 실라의 일부이며, 동시에 그 사람이 속한 삶과 육체에 의해 형성된다고 믿었다. 이러한 믿음은 이누이트가 그 이름을 따서 영혼의 힘이나 특징을 빌려올 수 있게 해주었다.
기독교가 전파된 이후, 아니르니크는 기독교적 의미에서 영혼을 의미하는 단어로 받아들여졌다. ''아니르니시아크''는 ''천사''를 의미하고, ''하느님''은 위대한 영인 ''아니르니알루크''로 번역된다.
4. 1. 영혼의 종류와 역할
이누이트는 모든 것에 인간과 같은 영혼, 즉 '''아니르니크'''(Anirnik|아니르니크iu, "숨"을 의미)가 있다고 믿었다. 이 영혼들은 죽음 이후에도 지속된다고 여겨졌다.[41] 이누이트족은 "우리 존재의 가장 큰 위험은 우리의 식단이 완전히 영혼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에 있다"라고 말한다. 모든 존재가 인간과 같은 영혼을 가지므로 동물을 죽이는 것은 사람을 죽이는 것과 거의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다. 죽은 동물이나 인간의 아니르니크는 해방되면 복수할 수 있기에, 이누이트는 관습에 순종하고 금기를 피하며 올바른 의식을 행하여 이 영혼들을 달랬다.[41]아니르니잇은 그들을 둘러싼 하늘이나 공기인 실라의 일부로 여겨진다. 각 사람의 아니르니크는 그것이 머무는 삶과 육체에 의해 형성되지만, 동시에 더 큰 전체의 일부이다. 이 때문에 이누이트는 그 이름을 따서 아니르니크의 힘이나 특징을 빌려올 수 있었다.[41]
기독교가 전파된 이후, 아니르니크는 기독교적 의미에서 영혼을 의미하는 단어로 받아들여졌다. ''아니르니시아크''는 ''천사''를 의미하고, ''하느님''은 위대한 영인 ''아니르니알루크''로 번역된다.[41]
캐리부 이누이트는 영혼을 이원론적으로 보았다. 호흡과 관련된 영혼은 ''우마피아''(생명의 장소)라고 불렸고, 아이의 개인적 영혼은 ''타르넥''(Tarneq|타르넥iu)이라고 불렸다. 타르넥은 매우 약하다고 여겨져 죽은 친척의 이름-영혼의 보호가 필요했다. 특히 남자아이의 경우, 조상이 아이의 몸에 있다는 것은 더 부드러운 행동에 기여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믿음은 일종의 환생으로 여겨졌다.[28]
4. 2. 영혼과 관련된 금기
이누이트는 모든 것에 인간과 마찬가지로 영 또는 영혼(이누크티투트어: ''아니르니크'', "숨"을 의미하며 복수형은 ''아니르니잇'')이 있다고 믿었다. 이 영혼들은 죽은 후에도 지속된다고 여겨졌다. 이누이트의 관습에 따르면, "우리 존재의 가장 큰 위험은 우리의 식단이 완전히 영혼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에 있다."라고 한다. 모든 존재가 인간의 영혼과 같은 영혼을 가지므로, 동물을 죽이는 것은 사람을 죽이는 것과 거의 다르지 않다고 보았다. 죽은 동물이나 인간의 ''아니르니크''는 해방되면 복수할 수 있으므로, 관습에 순종하고 금기를 피하며 올바른 의식을 행하여 달래야 했다.[42]북극의 가혹함과 예측 불가능성은 이누이트가 보이지 않는 힘에 대한 두려움 속에서 살도록 했다. 불운은 공동체 전체를 멸망시킬 수 있었고, 잠재적으로 화가 나고 복수심에 불타는 힘에게 생존에 필요한 것을 구걸하는 것은 일상이었다. 이누이트에게 ''아니르니크''를 모독하는 것은 멸종의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었다. 이누이트 문화에서 앙가쿠크(무당)의 주요 역할은 영혼을 달래기 위해 따라야 할 의식과 금기를 조언하고 상기시키는 것이었다.
''아니르니잇''은 그들을 둘러싼 하늘이나 공기인 실라의 일부로 여겨지며, 각 사람의 ''아니르니크''는 삶과 육체에 의해 형성되지만, 동시에 더 큰 전체의 일부이다. 이누이트는 그 이름을 따서 ''아니르니크''의 힘이나 특징을 빌려올 수 있었다. 또한, 해양 포유류, 북극곰, 식물 등 단일 종류의 것들의 영혼은 동일하다고 여겨졌으며, 그 종류와 연결된 관리자나 주인을 통해 소환될 수 있었다.
킹 윌리엄 섬의 아미트소크 호수 근처에 사는 이누이트들은 특정 물건을 꿰매는 것에 대한 계절적 금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신발 밑창은 지정된 장소에서 정착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만 꿰맬 수 있었다.[13]
네칠릭 이누이트는 매우 긴 겨울과 폭풍이 몰아치는 봄을 겪으며, 기아가 흔한 위험이었다.[15] 이글루릭 이누이트와 달리, 네칠릭은 많은 부적을 사용했다. 개조차도 부적을 가질 수 있었고,[16] 한 소년은 80개의 부적을 가지고 있어서 거의 놀 수 없을 정도였다.[15][17]
바다의 여인인 눌리아주크는 사람들이 특정 금기를 어기면 자신의 ''쿨리크''(물개 지방을 태우는 등유 램프) 대야에 해양 동물을 가두었다. 이런 일이 발생하면, ''앙가쿠크''는 사냥감을 구걸하기 위해 그녀를 방문해야 했다.[21]
4. 3. 네칠릭 이누이트
네칠릭 이누이트(Netsilik Inuit, ''네칠링미우트''는 "바다표범의 사람들"을 의미)는 매우 긴 겨울과 폭풍이 몰아치는 봄이 특징인 곳에서 살았다. 기아는 흔한 위험이었다.[15]다른 이누이트 문화와 달리 네칠릭은 삶의 고난 때문에 많은 부적을 사용했다. 개조차도 부적을 가질 수 있었다.[16] 기록된 한 사례에서, 한 어린 소년은 80개의 부적을 가지고 있어서 거의 놀 수 없었다.[15][17] 한 남자는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아 그를 보호하기 위한 17개의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15][18]
네칠릭 여성들 사이의 문신은 힘을 제공했으며 그들이 죽은 후에 어디로 갈지를 결정할 수 있었다.[19]
바다의 여인인 눌리아주크(Nuliajuk)는 "미끈거리는 자"로 묘사되었다.[20] 만약 사람들이 특정 금기를 어기면, 그녀는 자신의 ''쿨리크''(물개 지방을 태우는 등유 램프) 대야에 해양 동물을 가두었다. 이런 일이 발생하면, ''앙가쿠크''(angakkuq)는 사냥감을 구걸하기 위해 그녀를 방문해야 했다. 네칠릭의 구전 역사에서 그녀는 원래 공동체에서 학대받은 고아 소녀였다.[21]
또 다른 우주 존재인 달의 남자는 인간과 그들의 영혼이 천상의 장소에 도착할 때 그들에게 자비로웠다.[22][23] 이러한 믿음은 금기를 어기면 달의 분노가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그린란드 이누이트의 믿음과는 다르다.[22]
날씨와 자주 연관되는 실라 또는 실라프 이누아는 사람들 안에 갇힌 힘으로 여겨졌다.[24] 네칠릭 사이에서 실라는 남성으로 상상되었다. 네칠릭(및 구리 이누이트)은 실라가 원래 거인과 싸우다 부모가 죽은 거대한 아기였다고 믿었다.[25]
4. 4. 캐리부 이누이트
캐리부 이누이트는 내륙에서 생활했기 때문에 바다 여신을 믿지 않았다. 이들은 순록(캐리부)을 다스리는 우주적 존재인 실라 또는 핑가를 숭배했는데, 일부 집단은 이 둘을 다르게 보기도 했지만, 다른 집단은 동일하게 여기기도 했다. 이들에게 바치는 희생 제물은 사냥의 행운을 가져다줄 수 있었다.[30]4. 5. 구리 이누이트
구리 이누이트는 "바람 거주자" 개념을 통해 영적인 힘을 얻는다고 믿었다. 이들의 영적 치유자인 ''안가쿠이트''(angakkuit)는 바람 거주자로부터 힘을 얻었으며, 그들의 조력 영혼조차도 ''실라프 이누에''(silap inue)라고 불렸다.[40]4. 6. 그린란드 이누이트
그린란드 이누이트는 영혼이 모든 인간의 관절, 심지어 손가락뼈에도 깃든다고 믿었다.[41]5. 현대 이누이트 신앙
현대에 들어 기독교의 영향으로 이누이트족의 전통 신앙은 쇠퇴했다. 이누이트의 기독교화는 자발적인 개종과 강제적인 압력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무당 전통의 파괴로 이어졌다.[52]
과거 이누이트 사회에서 무당(''알래스카와 캐나다 북부의 이누이트어로 ''anatquq'' 또는 ''angakkuq'')은 종교 지도자, 상인, 치유자 등으로 활동하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초기 탐험가와 모피 사냥꾼들은 무당을 의술가로 부르기도 했지만, 이 용어는 무당의 역할과 능력을 오해하게 만들었다.[45] 무당은 질병을 치료하는 능력이 있었지만, 그들의 역할은 인간과 영혼, 동물, 그리고 이누이트 전통의 영혼 세계 사이의 중재자에 더 가까웠다.[45]
무당의 역할은 엄격하게 정의되지 않았지만, 그들의 치유 능력은 대부분의 기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질병을 "숨을 불어내거나 날려버리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무당마다 치료 방법은 다양했다. 다만, 무당은 치료를 받는 사람들의 믿음을 얻어야 했다.[45]
무당에 대한 이야기에는 위기의 시기에 그들이 해결책을 제시하거나 의미를 부여하는 내용이 많다. 이러한 위기는 자연과의 갈등이나 사람들 사이의 분쟁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다.[46] 어떤 이야기에서는 무당이 마법의 끈으로 납치된 딸을 끌어당기기도 하고,[47] 사람이나 물건에 특별한 능력을 부여하기도 했다.[48] 무당은 예측 불가능하고 쉽게 화를 내는 존재로 묘사되기도 하며,[49] 자신의 이익을 위해 무당을 사칭하다가 처벌받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전해진다.[50] 어떤 기록에서는 사람들이 무당의 능력 때문에 그들을 두려워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51]
5. 1. 기독교와의 관계
기독교 선교사들은 이누이트의 전통 신앙을 미신으로 간주하고 금지하려 했다.[52] 그러나 일부 이누이트는 기독교와 전통 신앙을 융합하여 자신들만의 신앙 형태를 유지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무당(Angakkuq)의 역할은 기독교의 사제, 목사 등 종교 지도자들로 대체되었다.[52]5. 2. 전통 신앙의 보존 노력
이누이트의 기독교화는 자발적인 개종과 기독교로의 강제적인 압력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무당 전통의 파괴로 이어졌다. 사제, 목사, 그리고 다른 기독교 종교 권위자들은 인간 세계와 다른 세계 사이의 연결 고리로서 무당의 역할을 대체했다.[52]참조
[1]
웹사이트
Texts of mythology
http://www.sacred-te[...]
2013-01-26
[2]
간행물
Religion by Indigenous Identity: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Statistics Canada
[3]
웹사이트
Inuit (Eschimo)
http://yomee.com/Rel[...]
2008-12-31
[4]
웹사이트
Shooting the Breeze
http://www.nunatsiaq[...]
Nunatsiaq News
1999-09-10
[5]
문서
Kleivan & Sonne 1985
[6]
문서
Lowenstein 1992
[7]
웹사이트
Eastern Canadian Inuktitut-English Dictionary ᐊᖓᑦᑯᖅ
https://glosbe.com/i[...]
2020-09-30
[8]
웹사이트
Eastern Canadian Inuktitut-English Dictionary ᐊᖓᒃᑯᖅ
https://glosbe.com/i[...]
2020-09-30
[9]
웹사이트
Dreams and Angakkunngurniq : Becoming an Angakkuq
http://www.tradition[...]
Francophone Association of Nunavut
2020-09-30
[10]
웹사이트
Inuinnaqtun to English
http://en.copian.ca/[...]
2020-09-30
[11]
문서
Merkur 1985
[12]
문서
Rasmussen 1965
[13]
문서
Rasmussen 1965
[14]
문서
Rasmussen 1965
[15]
문서
Rasmussen 1965
[16]
문서
Rasmussen 1965
[17]
문서
Kleivan & Sonne
[18]
문서
Kleivan & Sonne 1985
[19]
문서
Rasmussen 1965
[20]
문서
Kleivan & Sonne 1985
[21]
문서
Rasmussen 1965
[22]
문서
Kleivan & Sonne 1985
[23]
문서
Rasmussen 1965
[24]
문서
Rasmussen 1965
[25]
문서
Kleivan & Sonne 1985
[26]
문서
Gabus 1970
[27]
문서
Kleivan & Sonne 1985
[28]
문서
Gabus 1970
[29]
문서
Gabus 1970
[30]
문서
Kleivan & Sonne 1985
[31]
문서
Rasmussen 1965, Kleivan & Sonne 1985
[32]
문서
Gabus 1970
[33]
문서
Kleivan & Sonne 1986
[34]
서적
Arctic Ecology and Identity
Akadémiai Kiadó • International Society for Trans-Oceanic Research
[35]
문서
Nuttall 1997
[36]
문서
Merkur 1985
[37]
문서
Gabus 1970
[38]
웹사이트
Saladin d'Anglure 1990
http://www.fss.ulava[...]
2006-05-17
[39]
문서
Menovščikov 1968
[40]
문서
Merkur 1985
[41]
뉴스
The enchanted worlds of Marshall Sahlins
https://www.thenatio[...]
[42]
문서
Lowenstein 1992
[43]
문서
Neuhaus 2000
[44]
문서
Hall 1975
[45]
서적
Northern Tales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46]
문서
Hall 1975
[47]
문서
Hall 1975
[48]
문서
Hall 1975
[49]
서적
Northern Tales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50]
서적
Northern Tales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51]
문서
Hall 1975
[52]
웹사이트
Sámi Noaidi and Inuit Angakoq: Traditional Shamanic Roles and Practices
https://www.laits.ut[...]
[53]
서적
Guide to the Gods
Gale Research
1992
[54]
서적
Goddesses in World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55]
서적
The Eskimo of Baffin Land and Hudson Bay: from notes collected by George Comer, James S. Mutch, E.J. Peck
https://archive.org/[...]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1907
[56]
문서
The Goddess Guide
[57]
서적
L'Ethnographie
https://books.google[...]
L'Entretemps éditions.
1922
[58]
웹사이트
Qallupilluit - from the Inuit tribes, a "troll-like" creature
http://www.inuitmyth[...]
2012-02-18
[59]
웹사이트
Texts of mythology
http://www.sacred-te[...]
2013-01-26
[60]
웹인용
Archived copy
http://yomee.com/Rel[...]
2008-12-31
[61]
저널
Mr. Holman Dreams: Part One of Two
https://nunatsiaq.co[...]
1999-09-24
[62]
서적
Eskimos, Greenland and Canada
E.J. Brill
1985
[63]
서적
The Eskimo Story-Teller: Folktales from Noatak, Alaska
The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64]
서적
Northern Tales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65]
서적
The Eskimo Story-Teller: Folktales from Noatak, Alaska
The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66]
서적
The Eskimo Story-Teller: Folktales from Noatak, Alaska
The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67]
서적
The Eskimo Story-Teller: Folktales from Noatak, Alaska
The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68]
서적
Northern Tales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69]
웹인용
Sámi Noaidi and Inuit Angakoq: Traditional Shamanic Roles and Practices
https://www.laits.ut[...]
[70]
서적
The Goddess Guide: Exploring the Attributes and Correspondences of the Divine Feminine
Llewellyn Worldwide
2009
[71]
웹인용
Nunavut Animation Lab: Qalupalik
http://www.nfb.ca/fi[...]
National Film Board of Canada
2011-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