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스파한 자메 모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파한 자메 모스크는 이란 이스파한에 위치한 역사적인 모스크로, 8세기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다. 부이 왕조, 셀주크 왕조, 몽골 제국, 사파비 왕조 등 여러 시대에 걸쳐 증축과 개조를 거치며 다양한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4개의 이완, 두 개의 돔, 다주식 홀, 무카르나스 장식, 다양한 시대의 미흐랍, 화려한 타일 장식 등이 특징이다. 2012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파한의 모스크 - 샤 모스크
    샤 모스크는 아바스 1세가 이스파한 재건 계획의 일환으로 나크셰 자한 광장에 건설한 사파비 왕조 시대의 모스크로, 페르시아 건축의 정수를 보여주는 다채로운 타일 장식과 웅장한 돔이 특징적인 문화 유산이자 관광 명소이다.
  • 이스파한의 모스크 - 셰이크로트폴라 모스크
    셰이크로트폴라 모스크는 이란 이스파한에 있는 사파비 왕조 시대의 모스크로, 왕실의 사적인 공간으로 사용하기 위해 건축되었으며, 모하마드 레자 이스파하니가 설계하고 돔 내부의 독특한 공작 문양과 섬세한 타일 장식이 특징이다.
  • 이란의 세계유산 - 카나트
    카나트는 페르시아에서 기원한 지하 수로 시스템으로, 펌핑 없이 중력을 이용하여 지하수를 지표면으로 끌어올려 관개 등에 사용되며, 건조한 기후에서 물 손실을 줄이는 장점을 가진다.
  • 이란의 세계유산 - 골레스탄 궁전
    골레스탄 궁전은 이란 테헤란에 위치한 궁전 단지로, 카자르 왕조 시대에 왕궁의 공식 거주지로 사용되었으며 페르시아 미술과 유럽 건축 양식이 융합된 건축물 17개로 구성되어 201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스파한 자메 모스크
위치 정보
일반 정보
이름 (한국어)이스파한 자메 모스크
이름 (페르시아어)مسجد جامع اصفهان (Masjed-e Jāmé Isfahan)
다른 이름 (페르시아어)مسجد عتیق (Masjed-e Atiq), مسجد جمعه (Masjed-e Jomeh)
위치이스파한, 이스파한 주, 이란
이스파한 자메 모스크 내부
이스파한 자메 모스크 내부
세계유산 등재 정보
등재 기준(ii)
지정 번호1397
등재 연도2012년
면적2.0756 헥타르 (5.13 에이커)
완충 지역18.6351 헥타르 (46.05 에이커)

2. 역사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 지어졌으며 이스파한에서는 이 모스크의 기둥 가운데 하나가 다마스쿠스에 있는 칼리프가 개인적으로 지었다는 소문이 전해진다. 모스크가 되기 이전에는 조로아스터교 신자들의 예배당이었다고 한다.

이스파한의 자메 모스크는 771년 이스파한의 다른 모스크에서 미흐랍을 이곳으로 옮긴 것에서 시작되었다. 초기 모스크의 형태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부분이 많으며, 고고학적 발굴 조사를 통해 벽돌과 목재를 사용한 고전적인 모스크였던 것이 밝혀진 정도이다.[22]

이 모스크는 약 2세기 동안 소규모 수리가 이루어지면서도 큰 변화 없이 사용되었지만, 10세기 후반 부이족 왕조 시대가 되면서 중정에 접한 부분이 최신 장식 기법을 사용한 구운 벽돌로 재건되고 건물이 대폭 확장되었다. 이로 인해 교실, 도서관, 숙박 시설로 사용되는 부분이 생겨났으며, 출입구에는 두 개의 새로운 첨탑이 세워졌다. 이러한 큰 변화는 시아파였던 부이족 왕조에 의해 980년경 건립된 조르지르 모스크(ジョルジール・モスク)의 영향을 받아, 수니파 측이 이에 대항하여 모스크를 대폭 확장한 것이라고 모스크의 연대기를 작성한 그레이버는 분석하고 있지만, 결정적인 확증은 얻어지지 않았다.[23]

수니파 셀주크 왕조 시대가 되면서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자메 모스크의 기본적인 부분이 거의 완성된다. 이 시대의 특징으로는 남북의 돔 건축과 중정의 네 개의 이완 건축이라는 두 가지를 들 수 있다.[24]

남쪽 이완


셀주크 왕조 시대에 건립된 예배당


남쪽 돔은 1086년부터 1087년에 걸쳐 셀주크 왕조 제3대 술탄 말리크 샤(マリク・シャー)와 그의 재상 니잠 울 멀크(ニザームルムルク|ニザーム・アル=ムルク)에 의해 건립된 것으로, 높이 20미터, 지름 10미터라는 크기는 당시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돔이었다. 동시에 이란 최초의 본격적인 돔을 갖춘 모스크가 되어 건축사적으로도 큰 의미를 가졌다.[25] 북쪽 돔은 1088년에 니잠 울 멀크의 정적이었던 타주 울 멀크(タージュルムルク|タージュ・アル=ムルク)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들 돔은 모스크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건설되었는데, 앙리 스티랑(アンリ・スチールラン)은 이 이유에 대해 당초에는 모스크 안에는 건설할 수 없는 술탄의 묘로서 건축되었다고 주장하지만, 돔 내부에는 그것이 묘였음을 나타내는 비문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26] 또한, 곤바데 하키(ゴンバデ・ハーキ)라고 불리며, 단일 껍질의 벽돌조 돔의 최고 걸작이다.[27] 남쪽 돔은 12세기 전반기에, 북쪽 돔은 14세기까지 모스크 본체에 통합되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25]

다주식 예배당 부분은 1120년 이스마일파의 시위 행동으로 목조 평지붕이 소실되었기 때문에, 벽돌조의 작은 돔이나 볼트로 교체되었다. 이 위를 더 두꺼운 흙층으로 덮어 약간의 요철이 있는 평지붕을 만들었다.[28]

중정에 접한 네 개의 이완이 건립된 것은 1121년부터 1220년경이지만, 건축 과정이나 그 이유에 대해서는 별로 명확하지 않으며, 각각의 스타일과 건축 양식의 차이로부터 동시에가 아닌 순차적으로 건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건립된 것은 그때까지의 이슬람 세계에서 볼 수 있었던 고전적인 이완 스타일이 아니라, 건물과의 구별을 두기 위한 사각형 틀이 이루어진 새로운 스타일의 이완이었다.[29]

말리크 샤 시대에는, 갸엠 광장(ギャーム広場)에 접하여 술탄의 궁전과 시간을 알리는 악단을 위한 건물이 세워지고, 광장 주변은 바자르가 되었다. 또한, 재상의 이름을 딴 수니파 이슬람의 교리를 교육 연구하기 위한 시설(마드라사)로서 건립된 니자미야 학원(ニザーミーヤ学院)이 광장에서 약간 떨어진 동쪽에 있었다고 한다.[30]

그 후 13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몽골 제국,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사파비 왕조 시대에도 손질이 가해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치 "이란 이슬람 건축 박물관"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8세기 - 10세기)

771년 압바스 왕조 시대에 초기 모스크가 건설되었다.[2] 이 모스크는 다마스쿠스에 있는 칼리프가 개인적으로 건설했다는 소문이 이스파한에 전해진다.[22] 모스크가 되기 이전에는 조로아스터교 신자들의 예배당이었다고 한다. 초기 모스크는 진흙 벽돌로 지어졌으며, 시리아-메소포타미아 양식의 회반죽 장식이 있었다.[2] 1970년대 발굴 조사를 통해 벽돌과 목재를 사용한 고전적인 모스크였던 것으로 밝혀졌다.[3][22]

840년경, 알 무타심 치세에 모스크는 더 큰 규모로 재건되었다.[2][3] 이 새로운 건물은 키블라 방향이 변경되었으며, 아케이드로 둘러싸인 큰 중앙 안뜰과, 평평한 지붕[2] 또는 벽돌 둥근 천장 지붕[3]을 지탱하는 구운 벽돌 기둥의 하이포스타일 홀이 있었다. 미흐랍으로 이어지는 통로는 다른 통로보다 약간 더 넓었다.[3] 당시 다른 모스크에는 있었던 미나렛이 이 새로운 모스크에는 없었던 것으로 보이지만,[3] 무카다시는 985년 이전 이스파한의 중앙 모스크에 높은 미나렛이 있었다고 기록했다.[4]

부이 왕조(10세기-11세기) 통치 하에 안뜰 주변에 다엽형 벽돌 기둥의 아케이드가 추가되었고, 초기 회반죽 장식 대신 벽돌로 만든 기하학적 패턴으로 장식되었다.[3][2] 이 개조 공사의 정확한 연대는 불확실하지만,[3] 일부 학자들은 10세기 후반으로 추정한다.[5][2] 올레그 그라바르는 985년에서 1040년 사이로 추정한다.[4] 또한 염색업자 시장 근처 모스크 입구에 두 개의 미나렛이 추가되었는데, 이는 이란과 그 너머에서 일반화된 이중 미나렛 배열의 최초 기록된 사례이다.[4][6]

980년경 건립된 조르지르 모스크의 영향을 받아, 시아파였던 부이족 왕조에 대항하여 수니파 측이 모스크를 대폭 확장했다는 분석도 있지만, 결정적인 확증은 없다.[23] 약 2세기 동안 소규모 수리만 이루어지다가 10세기 후반 부이족 왕조 시대가 되면서 중정에 접한 부분이 최신 장식 기법을 사용한 구운 벽돌로 재건되고 건물이 대폭 확장되면서 교실, 도서관, 숙박 시설로 사용되는 부분이 생겨났다.[23]

2. 2. 부이 왕조 시대 (10세기 - 11세기)

부이 왕조(10세기-11세기) 통치 하에 기존 안뜰 정면 앞에 안뜰 주변에 다엽형 벽돌 기둥의 또 다른 아케이드가 추가되었다.[3][2] 초기 회반죽 장식 대신 새로운 추가 부분은 원, 다이아몬드 모양, 지그재그 및 부이 왕조 시대 다른 기념물에서 발견되는 벽돌 세공과 유사한 다른 기하학적 패턴으로 놓인 벽돌로 장식되었다.[3][2] 이 개조 공사의 정확한 연대는 불확실하지만[3] 일부 학자들은 약 975년 또는 10세기 후반으로 추정한다.[5][2] 올레그 그라바르는 역사적 자료에 나와 있는 모스크에 대한 묘사를 바탕으로 985년에서 1040년 사이로 추정한다.[4] 또한 염색업자 시장 근처 모스크 입구에 두 개의 미나렛이 추가되었다. 각각 입구 양쪽에 서 있었고, 받침대 또는 기초 구조 위에 세워졌다.[4][6] 이것은 나중에 이란과 그 너머에서 일반화된 이중 미나렛 배열의 최초 기록된 사례이다.[4][6]

10세기 후반 시아파 부이족 왕조 시대가 되면서 중정에 접한 부분이 최신 장식 기법을 사용한 구운 벽돌로 재건되고 건물이 대폭 확장되었다.[23] 교실, 도서관, 숙박 시설로 사용되는 부분이 생겨났으며, 출입구에는 두 개의 새로운 첨탑이 세워졌다.[23]

2. 3. 셀주크 왕조 시대 (11세기 - 12세기)

이스파한 자메 모스크의 핵심적인 건축 요소들은 셀주크 왕조 시대에 완성되었다.[24] 1050년 이스파한은 셀주크 제국의 첫 번째 수도가 되었다.[2]

1086~1087년 니잠 알-물크의 후원으로 건설된 남쪽 돔(미흐랍 앞)


1086년부터 1087년에 걸쳐 셀주크 왕조 제3대 술탄 말리크 샤와 그의 재상 니잠 울 멀크에 의해 남쪽 돔이 건립되었다.[25] 높이 20미터, 지름 10미터의 이 돔은 당시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였다.[25] 이는 말리크 샤의 재상 니잠 알-물크의 후원으로 이루어졌으며,[7] 당시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큰 석조 돔이었다.[8][4] 돔은 8개의 리브를 가지고 거대한 기둥들 위에 지지되며,[8][7] 두 개의 1/4 돔 위에 놓인 통형 볼트로 구성된 새로운 유형의 스킨치를 도입했다.[8] 이는 ''무카르나스'' 기법의 초기 등장이었다.[4] 돔 공간은 기도 중 술탄과 그의 수행원을 위한 ''마크수라''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7]

1088~1089년 타지 알-물크의 후원으로 건설된 북쪽 돔


1088년에는 니잠 알 물크의 정적이었던 타주 울 멀크에 의해 북쪽 돔이 건립되었다.[26] 이 돔은 모스크 경계 밖에 위치해 있었으며,[8][7] 중세 이란 건축의 걸작으로 여겨진다.[7][8] 북쪽 돔은 서로 얽힌 리브를 가지고 오각형과 별 모양 패턴을 형성하여 기술적, 미적 발전을 보여준다.[8] 아래쪽 벽은 더 가볍고 우아한 외관을 가지며, 벽과 돔의 다양한 요소들이 수직으로 더 잘 정렬되어 시선을 위쪽으로 이끈다.[7][8] ''무카르나스'' 스킨치가 사용되었다.[4]

12세기 초, 1121~1122년 화재로 모스크가 손상된 후 재건되었다.[7] 이 과정에서 네 개의 이완 배치가 도입되었는데,[7] 미흐랍의 돔형 방으로의 접근 방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돔과 안뜰 사이의 기둥 공간을 대형 이완으로 대체했다. 안뜰의 다른 세 변의 중간에 세 개의 기념비적인 이완을 더 만들었다.[7] 북쪽 이완은 마지막으로 지어진 것일 수 있다.[4] 이러한 변형으로 모스크는 현재의 4개 이완 형태를 갖게 되었고, 이는 이후 이란과 이슬람 세계에서 널리 보급되었다.[7] 안뜰의 남쪽 이완은 다른 이완보다 크고 큰 단층의 ''무카르나스''로 장식되었다.[7] 다른 이완에도 여러 시점에 다른 ''무카르나스'' 구성이 추가되었다.[4]

네 개의 이완 추가 외에도, 오래된 다주식 홀의 나머지 베이들은 십자형 리브 볼트로 개조되었다.[7] 약 200개의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 작은 볼트들이 있으며,[7][8] 이 작업 중 일부는 11세기 말 또는 12세기 초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지만, 연대기는 불분명하며 많은 볼트는 수리 및 개조의 다른 시대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7][2][9]

2. 4. 몽골 제국(일칸 왕조) 시대 (13세기 - 14세기)

울제이투 (재위 1304-1317) 통치 시기, 이슬람 사원 서쪽 이완(Iwan)의 북쪽에 인접한 또 다른 직사각형 기도실, 즉 "겨울 기도실"이 만들어졌다. 이 기도실은 일련의 놀라운 가로형 둥근 천장으로 덮여 있으며, 남쪽 벽에는 1310년에 제작된 정교하게 조각된 회반죽 미흐랍(mihrab)이 있다.[7][2] 이 미흐랍은 이 시대 이란 또는 이슬람 조각 예술의 가장 훌륭한 작품 중 하나로, 당시 존경받는 서예가였던 하이다르(Haydar)가 제작하였으며, 작품에 자신의 서명을 남겼다.[10] 또한 안뜰 측면의 아케이드는 오늘날과 같이 수직으로 두 층으로 나뉘었다.[2]

2. 5. 무자파르 왕조 시대 (14세기)

무자파르 왕조 시대에는 모스크 동쪽에 무자파르 마드라사(Madrasa)로 알려진 마드라사가, 서쪽에 또 다른 기도실이 추가되었는데, 모두 이전 사원 외벽 너머에 있었다.[2][11] 이 공사는 아마도 이스파한 총독(재위 1358~1375)이었던 쿳브 알-딘 샤 마흐무드(Qutb al-Din Shah Mahmud)가 자신의 형제인 샤 슈자(Shah Shuja, Shah Shoja Mozaffari)와 왕위를 다투던 시기에 이루어졌을 것이다.[2][12]

2. 6. 티무르 제국 시대 (14세기 - 15세기)

15세기에는 제한적인 수리 작업이 이루어졌다.[2] 올자이투의 기도실의 둥근 천장이 재건되었고, 많은 작은 둥근 천장과 돔은 이 시대의 것일 수 있다.[2] 남동쪽 모서리에 새로운 기도실이 추가되었다.[2] 안뜰의 정면은 점진적으로 타일로 장식되었다.[2] 특히 오늘날 남쪽 이완 정면을 덮고 있는 풍부한 타일 장식은 1475~6년 아크 코윤루 통치자 우준 하산의 후원 아래 추가된 것이다.[2]

2. 7. 아크 코윤루 시대 (15세기)

1475~6년 아크 코윤루 통치자 우준 하산의 후원 아래 남쪽 이완 정면에 풍부한 타일 장식이 추가되었다.[2]

2. 8. 사파비 왕조 시대 (16세기 - 18세기)

사파비 왕조 시대에는 주로 장식적인 요소들이 모스크에 추가되었다.[2] 남쪽 이완 양쪽에 있는 현재의 첨탑은 17세기에 세워졌다.[4] 사파비 시대에 기도실 일부가 확장되었고, 이완과 첨탑에 새로운 타일 외장이 추가되었다.[2]

서쪽에 있는 무자파르 기도실은 이 시대에 더 큰 "겨울 기도실"로 대체되었는데, 넓고 낮은 아치가 특징이다.[2][11] 대부분의 사파비 왕조 통치자들은 이슬람 사원에서 공사를 진행했지만, 압바스 대왕은 나크시예 자한 광장(Naqsh-e Jahan Square) 주변의 새로운 건설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2]

2. 9. 아프샤르 왕조, 카자르 왕조 시대 (18세기 - 20세기)

아프샤르 왕조(Afsharid dynasty)와 카자르 왕조(Qajar dynasty) 시대 이후 그리고 현대까지 추가적인 수리와 복원이 이루어졌다.[2]

3. 특징

이스파한 자메 모스크는 현재 이란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모스크 가운데 하나로서 4개의 이완을 가진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4개의 문을 마주보고 배치한 점이 특징이다.[38] 이완은 아치형을 띤 천장을 가진 열린 방을 가리킨다. 모스크 남쪽에 위치한 키블라 이완은 13세기 사이에 무카르나스 양식을 띤 천장이 있는데 무카르나스는 틈새와 같은 수도실을 가리킨다.[38]

셀주크 왕조 시대의 건축에는 2개의 벽돌로 구성된 돔 형태의 방을 증축하는 것이 포함되었는데 이 방은 모스크의 명성이 높다. 남쪽 돔은 1086년부터 1087년 사이에 말리크샤 1세의 유명한 재상이었던 니잠 알물크미흐라브를 수용하기 위해 지어졌으며 당시 알려진 어떤 돔보다 더 컸다. 북쪽 돔은 1년 후에 니잠 알물크의 라이벌이었던 타즈 알물크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러한 돔형 방의 기능은 불확실하다. 남북 축을 따라 위치했지만 사원의 경계 밖에 위치했다. 이 돔은 분명 초기의 남쪽 돔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으로 건설되었고 그렇게 성공적으로 건설되었으며 구조적인 명확성과 기하학적 균형을 통해 페르시아 건축의 걸작으로서의 위치를 주장했다. 셀주크 사원에 따라 단계별로 이완이 추가되면서 지금과 같은 4개의 이완을 갖춘 형태를 띤 모스크가 만들어졌다. 이는 이란과 나머지 이슬람 세계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39]

공간의 기능적 필요, 정치적 야망, 종교적 발전, 취향의 변화에 대응하여 몽골 제국, 무자파르 왕조, 티무르 제국, 사파비 왕조의 요소들을 통합한 증축와 개조가 이루어졌다. 특히 1310년에는 몽골 제국의 통치자였던 울제이투가 서양식 아케이드 안에 건립된 측면 기도실에 이내에 정교하게 조각한 치장 벽토 미흐라브가 있다. 사파비 왕조 시대에는 주로 장식이 대부분이었는데 남쪽 이완을 중심으로 무카르나스, 유약을 바른 기와, 미나레트 등이 추가되었다.[40]

이완들 사이에 있는 다주식 영역을 형성하는 둥근 지붕과 교각은 특정한 시기가 없고 다양한 스타일을 띠고 있는데 수리, 재건, 증축을 통해 끝없이 변형되었다. 모스크의 기원은 8세기에 있지만 불타 없어졌고 셀주크 왕조 시대였던 11세기에 다시 재건되어 여러 차례에 걸친 개조를 거쳤다. 그 결과 다양한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방을 갖게 되었고 현재의 모스크는 이란 건축의 다양한 역사를 상징한다.

키블라 방향에서 약 30° 서쪽으로 축을 잡은 세로로 긴 중정(中庭)은 55m×68m, 건물 외곽은 85m×125m의 넓이를 가지며, 다주식(多柱式) 예배실은 남쪽 즉 키블라 벽 쪽에 18개×7열, 북쪽에 18개×5열, 그 사이 동서 벽 쪽에 3개×15열의 구운 벽돌로 된 기둥(피어)을 세운 아랍 고전 양식의 광대한 모스크이다.[31]

이 모스크에는 전통적인 형태의 입구가 8개 있으며, 남동쪽 입구는 항상 개방되고, 다른 입구는 예배 시간에 개방된다. 현재 사용되지 않는 입구나 작업용 입구, 과거 사용되었던 흔적이 있는 입구 등도 있다. 내부에는 벽체나 볼트로 폐쇄된 독립 공간과 바닥 높이로 구분되는 반독립 공간이 있다. 독립 공간으로는 마드라사, 예배실(올제이투의 예배소 등), 샤베스타르[32], 사파비 왕조 시대의 돔 등이 있으며, 반독립 공간으로는 남북 돔, 4개의 이와안 등이 있다.[33] 미흐랍은 사파비 왕조 시대, 무자파르 왕조 시대, 일칸 왕조 시대의 것 등이 여러 곳에 총 13곳 설치되어 있다.[20]

정사각형 방에 원형 돔을 지지하는 구조로, 복잡한 디자인의 삼엽형 "트롱프"를 사용하여 정팔각형을 만들고, 그 위 16개의 아치형 작은 벽을 거쳐 원형 돔의 아랫부분으로 이어진다.[34]

4개의 이와안은 동시에 건설된 것이 아니라 남, 동, 서, 북 순으로 지어졌으며, 좌우 지붕보다 높이 솟은 거대한 직사각형의 테두리가 있는 파사드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채색 타일로 장식되어 있다. 중정에 면한 부분은 아름답게 장식되어 있지만, 측면이나 뒤쪽은 보이는 곳에서조차 장식적인 배려가 없다. 이처럼 정면만 보기 좋게 하고 뒷면은 신경 쓰지 않는 기법은 이란 문화권의 건축에 널리 유행했다. 채색 타일은 두 가지 유형이 있으며, 단색 타일 판을 문양 형태로 조각한 후 붙이는 모자이크 형태와 여러 색상을 사용하여 문양을 그린 채색 타일 형태가 있다. 전자는 아름답지만 손이 많이 들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더 눈에 잘 띄는 곳에 사용된다.[35] 또한, 후자에 쓰인 아랍 문자는 성전 코란을 문양화한 것이다.[36]

남, 서, 동 이와안의 반원형 돔에는 작은 곡면을 복잡하게 조합하여 받침 구조를 가진 독특한 디자인의 무카르나스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모스크의 것은 시대가 오래되어 섬세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35]

3. 1. 네 개의 이완(Iwan) 배치

이스파한 자메 모스크는 4개의 이완(Iwan)을 가진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4개의 문을 마주보고 배치한 점이 특징이다.[38] 이완은 아치형 천장을 가진 열린 방을 가리킨다. 셀주크 왕조 시대에 도입된 네 개의 이완 배치는 이 모스크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로, 각 이완은 안뜰을 향해 열려 있으며 서로 다른 시기에 건설되어 독특한 양식을 보여준다.

모스크 남쪽에 위치한 키블라 이완은 13세기 사이에 무카르나스 양식을 띤 천장이 있다.[38] 무카르나스는 틈새와 같은 수도실을 가리킨다.[38] 남, 서, 동 이완의 반원형 돔에는 작은 곡면을 복잡하게 조합하여 받침 구조를 가진 독특한 디자인의 무카르나스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모스크의 것은 시대가 오래되어 섬세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35] 사파비 왕조 시대에는 주로 장식이 대부분이었는데 남쪽 이완을 중심으로 무카르나스, 유약을 바른 기와, 미나레트 등이 추가되었다.[40]

4개의 이와안은 동시에 건설된 것이 아니라 남, 동, 서, 북 순으로 지어졌으며, 좌우 지붕보다 높이 솟은 거대한 직사각형의 테두리가 있는 파사드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채색 타일로 장식되어 있다.[35] 중정에 면한 부분은 아름답게 장식되어 있지만, 측면이나 뒤쪽은 보이는 곳에서조차 장식적인 배려가 없다.[35] 이처럼 정면만 보기 좋게 하고 뒷면은 신경 쓰지 않는 기법은 이란 문화권의 건축에 널리 유행했다.[35] 채색 타일은 두 가지 유형이 있으며, 단색 타일 판을 문양 형태로 조각한 후 붙이는 모자이크 형태와 여러 색상을 사용하여 문양을 그린 채색 타일 형태가 있다.[35] 전자는 아름답지만 손이 많이 들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더 눈에 잘 띄는 곳에 사용된다.[35] 또한, 후자에 쓰인 아랍 문자는 성전 코란을 문양화한 것이다.[36]

셀주크 사원에 따라 단계별로 이완이 추가되면서 지금과 같은 4개의 이완을 갖춘 형태를 띤 모스크가 만들어졌으며, 이는 이란과 나머지 이슬람 세계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39]

3. 2. 두 개의 돔

셀주크 왕조 시대에 벽돌로 건설된 두 개의 돔은 이스파한 자메 모스크의 명성을 높여주었다.[39] 1086년부터 1087년 사이에 말리크샤 1세의 재상 니잠 알물크미흐라브를 수용하기 위해 지은 남쪽 돔은 당시 알려진 어떤 돔보다 컸다.[39] 정사각형 방에 원형 돔을 지지하는 구조로, 복잡한 디자인의 삼엽형 "트롱프"를 사용하여 정팔각형을 만들고, 그 위 16개의 아치형 작은 벽을 거쳐 원형 돔의 아랫부분으로 이어진다.[34]

북쪽 돔은 1년 후 니잠 알물크의 라이벌이었던 타즈 알물크에 의해 건설되었다.[39] 이러한 돔형 방의 기능은 불확실하며, 남북 축을 따라 위치했지만 사원의 경계 밖에 위치했다.[39] 이 돔은 초기의 남쪽 돔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으로 건설되었고, 구조적인 명확성과 기하학적 균형을 통해 페르시아 건축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39]

3. 3. 다주식(Hypostyle) 홀

이스파한 자메 모스크의 다주식 영역은 둥근 지붕과 교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정 시기가 없고 다양한 스타일을 띠고 있어 수리, 재건, 증축을 통해 끝없이 변형되었다.[40] 모스크의 기원은 8세기에 있지만 불타 없어졌고 셀주크 왕조 시대였던 11세기에 다시 재건되어 여러 차례에 걸친 개조를 거쳤다.[40] 그 결과 다양한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방을 갖게 되었고 현재의 모스크는 이란 건축의 다양한 역사를 상징한다.[40]

키블라 방향에서 약 30° 서쪽으로 축을 잡은 세로로 긴 중정(中庭)은 55m×68m, 건물 외곽은 85m×125m의 넓이를 가지며, 다주식(多柱式) 예배실은 남쪽 즉 키블라 벽 쪽에 18개×7열, 북쪽에 18개×5열, 그 사이 동서 벽 쪽에 3개×15열의 구운 벽돌로 된 기둥(피어)을 세운 아랍 고전 양식의 광대한 모스크이다.[31]

3. 4. 무카르나스(Muqarnas) 장식

이스파한 자메 모스크의 남쪽 키블라 이완은 13세기 사이에 무카르나스 양식을 띤 천장이 있다.[38] 무카르나스는 틈새와 같은 수도실을 가리킨다.[38] 남, 서, 동 이와안의 반원형 돔에는 작은 곡면을 복잡하게 조합하여 받침 구조를 가진 독특한 디자인의 무카르나스가 사용되었다.[35] 그러나 이 모스크의 무카르나스 장식은 시대가 오래되어 섬세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35] 사파비 왕조 시대에는 남쪽 이완을 중심으로 무카르나스 장식이 추가되었다.[40]

3. 5. 미흐랍(Mihrab)

이스파한 자메 모스크에는 여러 시대에 걸쳐 만들어진 다양한 양식의 미흐랍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20] 특히 1310년 몽골 제국의 통치자였던 울제이투가 서양식 아케이드 안에 건립한 측면 기도실에는 정교하게 조각한 치장 벽토 미흐라브가 있다.[40] 이는 정교한 조각과 서예로 유명하며, 일칸 왕조 시대의 대표적인 미흐랍으로 꼽힌다. 그 외에도 사파비 왕조 시대, 무자파르 왕조 시대의 미흐랍 등 총 13개의 미흐랍이 모스크 내에 존재한다.[20]

3. 6. 타일 장식

이스파한 자메 모스크는 사파비 왕조 시대에 주로 장식이 추가되었는데, 남쪽 이완을 중심으로 무카르나스, 유약을 바른 기와, 미나렛 등이 추가되었다.[40] 이완의 정면은 채색 타일로 아름답게 장식되었지만, 측면이나 뒤쪽은 장식적인 배려가 부족하다. 이러한 기법은 이란 문화권의 건축에 널리 유행했다.[35]

채색 타일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단색 타일 판을 문양 형태로 조각한 후 붙이는 모자이크 형태와 여러 색상을 사용하여 문양을 그린 채색 타일 형태가 있다.[35] 모자이크 타일은 아름답지만 손이 많이 들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더 눈에 잘 띄는 곳에 사용되었다.[35] 채색 타일에 쓰인 아랍 문자성전 코란을 문양화한 것이다.[36] 남, 서, 동 이와안의 반원형 돔에는 작은 곡면을 복잡하게 조합하여 받침 구조를 가진 독특한 디자인의 무카르나스가 사용되었다.[35]

4. 현대

오늘날 이 모스크는 서로 다른 양식과 시대의 요소들이 하나의 건물로 융합된 것으로, 세부 사항의 연대를 정확히 밝히기는 어렵다.[13] 현재 이 모스크는 바자르와 구시가지의 주변 건물들과 완전히 얽혀 있어 명확한 외관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11]

이스파한의 자메 모스크는 2012년 제36차 유네스코 세계유산 위원회에서 세계유산(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Properties inscrib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Iran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8-06-27
[2]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Islam: Art and Architecture h.f.ullmann
[4] 서적 The Great Mosque of Isfahan New York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Brill
[7] 서적 Islam: Art and Architecture h.f.ullmann
[8] 웹사이트 Domes http://www.iranicaon[...] 2010-11-28
[9] 웹사이트 Archnet Digital Library http://archnet.org/l[...]
[10]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Islam 1250-18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Masjid-i Jami' (Isfahan) https://archnet.org/[...] 2021-09-01
[12]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3] 서적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650–125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4] 문서 ジャーメとはグランド・モスク(grand、congregational Mosque)Jameh Mosqueの語源説明
[15] 문서 ジョムエ( جمعه Jom`eh/Jum`ah)の説明
[16] 문서 羽田1994, p.137
[17] 서적 イスラーム建築の様式と技法 ディティール誌
[18] 문서 The Formation of Islamic Art
[19] 문서 羽田1994, pp.137-138
[20] 문서 日本建築学会1995, p.522
[21] 웹사이트 Masjed-e Jāmé of Isfahan http://whc.unesco.or[...] 2012-07
[22] 문서 羽田1994, p.138
[23] 문서 羽田1994, p.139-140
[24] 문서 羽田1994, p.142
[25] 문서 羽田1994, p.143
[26] 문서 羽田1994, p.144
[27] 서적 トルコ・イスラム建築 冨士房インターナショナル
[28] 서적 トルコ・イスラム建築 冨士房インターナショナル
[29] 문서 羽田1994, p.146
[30] 문서 羽田2006, p.13
[31] 서적 トルコ・イスラム建築 冨士房インターナショナル
[32] 문서 Shabestānの説明
[33] 문서 日本建築学会1995, p.521
[34] 서적 トルコ・イスラム建築 冨士房インターナショナル
[35] 서적 トルコ・イスラム建築 冨士房インターナショナル
[36] 서적 建築入門シリーズ西洋建築史 森北出版株式会社
[37] 웹인용 Properties inscrib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Iran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8-06-27
[38] 서적 Art: a Brief History Pearson Education, Inc.
[39] 웹사이트 Domes http://www.iranicaon[...] 2010-11-28
[40] 웹인용 Archnet Digital Library http://archnet.org/l[...] 2007-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