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승희 (192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승희는 1922년에 태어나 2009년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지방 관료이다. 경기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예천군청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경상북도청, 봉화군청 등에서 근무했다. 1960년 경산군수를 시작으로 영일군수, 경주군수, 월성군수, 안동군수, 포항시장을 역임했으며, 경상북도 보사국장, 내무국장, 대구직할시 부시장을 지냈다. 퇴임 후에는 대구시지방행정동우회 회장, 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시장 - 박승호 (1957년)
    박승호는 용인대학교에서 유도학을 전공하고 여러 대학원에서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서울 올림픽조직위원회 공채로 공직에 입문하여 대통령 비서실 행정관, 경상북도 봉화군수, 행정자치부 부이사관 등을 역임하고 경상북도 포항시장을 지냈으며, 바른정당, 자유한국당 등에서 활동하다 국민의힘에 복당하였다.
  • 안동시장 - 권영세 (1953년)
    권영세는 1976년 영남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에 합격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경상북도청 등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영양군수, 대구광역시 부시장, 안동시장을 3선 역임하였고 한나라당 소속으로 2010년, 2014년, 2018년 안동시장 선거에서 당선되었으며 현재는 한국국학진흥원 이사 등을 역임하고 있다.
  • 경주시장 - 백상승
    백상승은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지낸 공무원 출신 정치인으로, 경상북도 경주시장을 역임하며 보수 정치 경력을 쌓았고 퇴임 후 암 투병 중 사망했다.
이승희 (192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승희
이승희
이름이승희
국가대한민국
출생일1922년 3월 23일(음력 2월 18일)
출생지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주군 영주읍 상망동 (현 경상북도 영주시 상망동)
거주지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경북대학교 병원
본관우계 이씨
배우자이원진
자녀2남 2녀
학력경기고등보통학교 졸업
경력
직책경상북도 안동시장
직책경상북도 포항시장
직책경상북도 경주시장
직책경상북도 경산군수

2. 생애

이승희는 경상북도 영주 상망동 출신으로, 도촌 이수형의 16대손이다. 경기고를 졸업하고 예천군청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952년 경상북도청 사회지방과 주사를 시작으로 예천군청 주사, 예천군 내무과장, 경상북도청 서무과장을 거쳐 봉화군청 내무과장으로 부임하였다. 1957년 9월 1일에는 봉화군을 방문한 가짜 이강석을 영접하고 여비를 건네주기도 했다.[2][3]

이후 내무부 내무국 서무과를 거쳐 1960년 5월 13일 군수로 승진, 경북 경산군[4], 1961년 영일군수와 경주군수를 겸임하였다. 1963년 1월 1일 행정서기관으로 승진하여 월성군수[5], 1963년 2월 1일 경주시장을 역임하였다. 1965년 3월 27일 안동군수로 부임하였다가 1967년 11월 16일 안동시장이 되었다. 1970년 3월 경상북도 보사국장[6], 1970년 9월 5일 경상북도 내무국장[7]을 거쳐 1975년 부이사관으로 승진, 9월 3일 포항시장이 되었다.

포항시장 재직 중에는 일본 복산시 시장 일행을 초청하여 지방행정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기도 했다.[8] 1975년 8월 1일 3급 이상 공무원 인사이동 때 포항시장에 유임되었다.[9]

1980년 4월 4일 안동시장으로 다시 부임하였다.[1] 이후 경상북도 보건사회국장을 거쳐 대구직할시 부시장, 대구시정치자문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1] 퇴임 후에는 대구시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대구시지방행정동우회 회장을 역임하고, 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다.[1]

2002년 대구시지방행정동우회 명예회장에 추대되었으며,[1] 2009년 7월 23일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사망하였다.[1]

2. 1. 초기 활동

경상북도 영주 상망동 출신으로, 도촌 이수형의 16대손이다. 아버지는 이근춘(李根春)이고 어머니는 고령 박씨 박병남(朴柄南)으로 박승구(朴昇九)의 딸이다. 이근춘의 5남 3녀 중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도촌 이수형의 둘째 아들 전설서별좌 양근(養根)의 15대손이며, 12대조 이염(李廉)이 봉화 도촌에서 영주 망동으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조부 이윤수와 아버지 이근춘은 유학자였으며, 조부 이윤수는 소수서원 원장을 역임했다.

경기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공무원에 임용되었다. 판임관 시험에 합격하여 예천군청 지방공무원으로 공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2. 2. 관료 생활

1952년 경상북도청 사회지방과 주사를 역임하고, 예천군청 주사, 예천군 내무과장, 경상북도청 서무과장을 거쳐 봉화군청 내무과장으로 부임하였다. 1957년 9월 1일 봉화군 내무과장으로 재직 중 경상북도 봉화군을 방문한 가짜 이강석을 영접, 봉화경찰서이만석과 각각 1만의 여비를 건네주었다.[2][3]

이후 지방행정참사를 거쳐 내무부 내무국 서무과로 발령되었다. 1960년 5월 13일 군수로 승진하여[4] 경북 경산군수가 되고, 1961년 3월 14일 영일군수로 부임하였다. 1961년 7월 1일 경주군수로 부임하였으나 영일군수 후임자가 정해지지 않아 7월 14일 후임자가 정해질 때까지 경주군수와 영일군수를 겸임하였다. 7월 15일 영일군수 후임자가 부임하였다.

1963년 1월 1일 경주군수로 재직 중 행정사무관에서 행정서기관으로 승진하여 월성군수로 부임하였다.[5] 1963년 2월 1일 경주시장이 되었다가 1965년 3월 25일 이임하였다.

1965년 3월 27일 안동군수로 부임하였다가 1967년 11월 14일 대기발령으로 이임하였다. 1967년 11월 16일 안동시장이 되고, 1970년 3월 경상북도 보사국장[6], 1970년 9월 5일 경상북도 내무국장이 되었다.[7] 1975년 부이사관으로 승진, 9월 3일 포항시장이 되었다.

포항시장 재직 중 일본 광도현 복산시 다찌이시 사다오 시장 일행을 초청하여 시정현황을 설명하고 지방행정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8] 1975년 8월 1일 3급 이상 공무원 인사이동 때 포항시장에 유임되었다.[9]

2. 3. 생애 후반

1980년 4월 4일 안동시장으로 다시 부임하였다.[1] 이후 경상북도 보건사회국장을 거쳐 대구직할시 부시장, 대구시정치자문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1] 퇴임 후 대구시선거관리위원회 위원, 1984년 대구시지방행정동우회 회장을 역임하고, 1995년 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에 위촉되었다.[1]

2002년 대구시지방행정동우회 명예회장에 추대되었다.[1] 2009년 7월 23일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사망하였다.[1]

3. 약력

직책기간비고
대구사범학교 졸업[10]
1942년 경기고등보통학교 졸업
예천군청 주사
1952년 경상북도청 사회지방과 주사
예천군 내무과장
경상북도청 서무과장
1957년 봉화군청 내무과장봉화군 내무과장으로 재직 중 가짜 이강석을 영접, 봉화경찰서장 이만석과 각각 1만의 여비를 건네주었다.[2][3]
지방행정참사
내무부 내무국 서무과
경상북도 경산군수1960년 5월 13일 ~ 1961년 3월 14일[4]
영일군수1961년 3월 14일 ~ 1961년 7월 14일1961년 7월 1일 경주군수로 부임하였으나 영일군수 후임자가 정해지지 않아 7월 14일 후임자가 정해질 때까지 경주군수를 겸임.
월성군수1961년 7월 1일 ~ 1963년 2월 1일
경주시장1963년 2월 1일 ~ 1965년 3월 25일1963년 1월 1일 행정서기관으로 승진[5]
안동군수1965년 3월 27일 ~ 1967년 11월 14일
안동시장1967년 11월 16일 ~ 1970년 3월
경상북도 보사국장1970년 3월[6]
경상북도 내무국장1970년 9월 5일[7]
포항시장1975년 9월 3일 ~ 1980년 4월 3일1975년 부이사관으로 승진, 1978년 8월 1일 3급 이상 공무원 인사이동 때 포항시장에 유임.[9], 포항시장 재직 중 일본 광도현 복산시 다찌이시 사다오 시장 일행을 초청하여 시정현황을 설명하고 지방행정에 대한 의견을 교환.[8]
안동시장1980.04.04 ~ 1980.07.09
경상북도청 보건사회국장
대구직할시 부시장
대구시지방행정동우회 회장1984년
대구시 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1995년 ~
대구시지방행정동우회 명예회장2002년 ~ 2009년


4. 학력

5. 상훈 경력

6. 가계

경상북도 영주 상망동 출신으로, 도촌 이수형의 16대손이다. 아버지는 이근춘(李根春)이고 어머니는 고령 박씨 박병남(朴柄南)으로, 박승구(朴昇九)의 딸이다. 이근춘의 5남 3녀 중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도촌 이수형의 둘째 아들 전설서별좌 양근(養根)의 15대손이며, 12대조 이염(李廉)이 봉화 도촌에서 영주 망동으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조부 윤수와 아버지 근춘은 유학자였으며, 조부 윤수는 소수서원 원장을 역임했다.


  • 아버지 : 이근춘(李根春, 1883년 ~ 1954년)
  • 어머니 : 박병남(朴柄南, 1881년 ~ 1967년), 고령박씨 박승구(朴昇九)의 딸, 조부는 진사 우상(遇尚), 세마 박려 후(洗馬 朴欐后)
  • 부인 : 이원진(李源進, 1925년 ~ ?), 진성이씨 이율호(李律鎬)의 딸

참조

[1] 뉴스 '[부음] 이승희씨(전 대구시 부시장) 29일 별세…'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2] 뉴스 '『貴하신몸』에 手匣이 채이기까지 假짜 李康石行勢三日天下' 동아일보 1957-10-11
[3] 뉴스 가짜 李康石 慶北漫步記 조선일보 1957-09-20
[4] 뉴스 동아일보 1960-05-15
[5] 뉴스 정부인사 동아일보 1963-01-04
[6] 뉴스 동아일보 1970-03-03
[7] 뉴스 정부인사 매일경제 1970-09-04
[8] 뉴스 경향신문 1978-01-06
[9] 뉴스 동아일보 1978-08-01
[10] 뉴스 中等校合格者 조선일보 1936-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