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연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1231년 몽골과의 전쟁 중 송언상에게 발탁되어 그의 종이 되었다. 1258년 김준, 류경 등과 함께 최의를 제거하고 위사공신이 되었으며, 1268년에는 김준을 죽이고 원종을 폐위시킨 후 실권을 장악했다. 이후 원나라와의 갈등 속에서 항전을 준비하다가 1270년 등창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천 임씨 - 임호선
임호선은 경찰 출신으로 제21대와 제22대 국회의원을 지내고 있으며,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충북 증평군·진천군·음성군 지역구에서 재선에 성공하여 현재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진천 임씨 - 경화궁부인
고려 혜종과 의화왕후의 딸인 경화궁부인은 이복 숙부 광종과 혼인하여 경화궁부인의 호를 받았으나, 왕비가 아닌 부인의 위치에 머물렀으며, 소생 없이 생몰년과 능에 대한 기록이 없어 자세한 정보는 알 수 없다. - 고려의 교정별감 - 최충헌
최충헌은 1149년에 태어나 1219년에 사망한 고려 시대의 무신으로, 무신정변으로 권력을 장악하여 최씨 무신 정권을 수립하고 여러 왕을 옹립하며 도방을 통해 권력을 유지하다가 몽골의 침략 시기까지 최씨 정권을 이끌었다. - 고려의 교정별감 - 최의
최의는 최충헌의 증손자이자 최우의 손자로, 아버지 최항 사후 무신정권을 계승했지만, 김인준 등에 의해 살해당하며 최씨 무신 정권의 종말을 가져왔다. - 1270년 사망 - 루이 9세
루이 9세는 1214년에 태어나 1270년에 사망한 프랑스 왕으로, 십자군 원정을 이끌고 사법 제도 정비, 화폐 통일 등을 시행했으며, 1297년 시성되어 이상적인 기독교 군주로 평가받는다. - 1270년 사망 - 아시카가 야스우지
아시카가 야스우지는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으로, 호죠 야스토키의 딸을 어머니로 두고 1236년 탄코노카미에 임명되어 쇼군을 섬겼으며, 36세에 출가하여 아시카가씨 세력 확장에 기여했다.
임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임연 |
한글 표기 | 임연 |
한자 표기 | 林衍 |
로마자 표기 | Im Yeon |
일본어 (히라가나) | りん えん |
일본어 (가타카나) | イム・ヨン |
다른 사람 | 임연 (가수) |
공직자 정보 | |
이름 | 임연 |
현지어 표기 | 林衍 |
출생일 | 1215년 |
출생지 | 충청북도 진천군(忠淸北道 鎭川) |
사망일 | 1270년 |
사망지 | 강화도(江島) |
복무 기간 | 1234년~1270년 |
배우자 | 미상 |
국가 | 고려 |
대수 | 6 |
직책 | 교정별감 |
임기 | 1268년 ~ 1270년 |
자녀 | 임유간(林惟幹) 임유무(林惟茂) 임유인(林惟栶) 임유거(林惟柜) 임유제(林惟提) |
아버지 | 진천 임씨(鎭川 林氏) |
어머니 | 미상 |
전임 | 김준(金俊) |
후임 | 임유무(林惟茂) |
최종 계급 | 무신(武神) 권신(權臣) 정치인 교정도감(敎定都監) |
묘호 | 미상 |
시호 | 장열공(莊烈公) |
능묘 | 미상 |
국적 | 고려 |
가문 | 진천(鎭川) |
종교 | 불교(佛敎) |
복무 | 고려군 |
참전 | 고려-몽골 전쟁 |
2. 생애
1231년 제1차 고려-몽골 전쟁 때 임연은 아이들과 병정놀이를 하며, 대장군 송언상에게 발탁되어 개경으로 가 그의 종이 되었다. 학문과 무예를 배웠으나 송언상이 병사하자 고향으로 돌아와 홀로 학문과 무예를 익혔다. 1234년에는 몽골군을 격퇴한 공으로 대정(隊正)이 되었다. 이후 김준과 함께 최우, 최항을 섬겼으며 김준의 양자로 불리기도 하였다.
1258년(고종 45년) 류경, 김준 등과 함께 최의를 죽이고 왕권을 회복시킨 공으로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었다. 1268년에는 김준을 죽이고, 원종을 폐하여 영종을 옹립하였으며, 교정별감이 되어 모든 실권을 장악했다.
원종 폐립 사건으로 원나라 세조인 쿠빌라이 칸과 충돌하여 원종을 복위시켰으나, 원나라의 친조(親朝) 요구를 거부했다. 원종이 몽골에서 귀국하기 전에 출륙환도(出陸還都)와 권신 제거를 약속했고, 몽골병과 함께 귀국하려 하자, 임연은 야별초를 각 지방에 보내어 백성의 해도입거(海島入居)를 명하고, 몽골에 항전할 태세를 갖추었다.
고려 조정이 혼란한 틈을 타 최탄 등이 반란을 일으켜, 서경(동녕부)을 비롯한 서북 지방의 60여 성을 몽골에 바치고 항복했다. 임연은 끝까지 반몽골의 자세를 취하며, 격퇴할 준비를 갖추었지만 1270년 등창으로 죽었다.
2. 1. 초기 생애와 무신정권 가담
임연(林衍)은 진주(鎭州) 임씨(林氏)를 본관으로 하며, 이름은 임승주(林承柱)였다. 임연의 생부의 출신은 불분명하며 진주에 거주하며 주리(州吏)의 딸과 결혼하여 임연 역시 그곳에서 성장했다. 젊은 시절에는 고려를 침공한 몽골 군과 싸워 두각을 나타냈다.임연은 원래 대장군 송언상(宋彦祥)의 부하였다. 당시, 어떤 남자 임효후(林孝侯)와 임연의 아내가 불륜을 저질렀는데, 임연은 이를 알고 복수했다. 김준(金俊)은 임연의 장용(壯勇)을 칭찬하며 그를 구하고 부하로 삼았으며, 임연은 김준을 의부(義父)로 섬겼다.
고종 45년(1258년) 김준과 함께 최씨 정권을 타도하고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었다.
2. 2. 권력 장악과 원종 폐위
1258년(고종 45년) 류경, 김준 등과 함께 최의를 죽이고 왕권을 회복시킨 공으로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었다. 1268년에는 김준을 죽였으며, 원종을 폐하여 영종을 옹립하는 한편 교정별감이 되어 모든 실권을 장악했다.원종 폐립 사건으로 원나라 세조인 쿠빌라이 칸과 충돌하여 원종을 복위시켰으나, 원나라의 친조(親朝) 요구를 거부했다. 원종 9년(1268년), 몽골에 접근하려는 왕실과 대립한 김준을 살해하고 실권을 장악하지만, 국왕 원종에게 미움을 받고 있음을 알고 폐위를 꾀하여 해도로 유배를 보내려 한다. 시중 이장용의 중재로 유배는 중지되지만, 원종 대신 동생 안경공 왕창을 왕위에 앉힌다. 한편, 원종의 폐위를 알게 된 세자 왕심 (후의 충렬왕)은 쿠빌라이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몽골의 징벌을 두려워한 임연은 원종을 복위시킨다.
원종이 몽골에서 귀국하기 전에 출륙환도(出陸還都)와 권신의 제거를 약속했다. 원종이 몽골병과 함께 귀국하려 하자, 임연은 야별초를 각 지방에 보내어 백성의 해도입거(海島入居)를 명하고, 몽골에 항전할 태세를 갖추었으나 1270년 등창으로 죽었다. 차남 임유무가 뒤를 이었다.
2. 3. 몽골과의 갈등과 최후
1231년 제1차 고려-몽골 전쟁 때 임연은 아이들과 병정놀이를 하며, 대장군 송언상에게 발탁되어 개경으로 가 그의 종이 되었다. 학문과 무예를 배웠으나 송언상이 병사하자 고향으로 돌아와 홀로 학문과 무예를 익혔다. 1234년에는 몽골군을 격퇴한 공으로 대정(隊正)이 되었다. 이후 김준과 함께 최우, 최항을 섬겼으며 김준의 양자로 불리기도 하였다.1258년(고종 45년) 류경, 김준 등과 함께 최의를 죽이고 왕권을 회복시킨 공으로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었다. 1268년에는 김준을 죽이고, 원종을 폐하여 영종을 옹립하였으며, 교정별감이 되어 모든 실권을 장악했다.
원종 폐립 사건으로 원나라 세조인 쿠빌라이 칸과 충돌하여 원종을 복위시켰으나, 원나라의 친조(親朝) 요구를 거부했다. 원종이 몽골에서 귀국하기 전에 출륙환도(出陸還都)와 권신 제거를 약속했고, 몽골병과 함께 귀국하려 하자, 임연은 야별초를 각 지방에 보내어 백성의 해도입거(海島入居)를 명하고, 몽골에 항전할 태세를 갖추었다.
고려 조정이 혼란한 틈을 타 최탄 등이 반란을 일으켜, 서경(동녕부)을 비롯한 서북 지방의 60여 성을 몽골에 바치고 항복했다. 임연은 끝까지 반몽골의 자세를 취하며, 격퇴할 준비를 갖추었지만 1270년 등창으로 죽었다.
3. 가계
임연에게는 임유간(林惟幹), 임유무(林惟茂, 1248년 ~ 1270년), 임유인(林惟栶, 1252년 ~ 1270년), 임유거(林惟柜), 임유제(林惟提) 등 다섯 아들이 있었다. 부인은 누구인지 알려지지 않았다.
4. 평가
5.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