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이산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이산호는 카자흐스탄과 러시아 국경 근처에 위치한 호수로, "고귀한 호수"라는 뜻의 몽골어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알타이산맥과 타르바가타이산맥 사이에 위치하며, 흑이르티쉬강과 켄디르릭 강이 유입되고 이르티쉬 강이 유출된다. 부흐타르마 수력 발전소 댐 건설로 호수 수위가 상승하고 면적이 확장되었다. 백악기 시대부터 존재했을 가능성이 제기될 정도로 오래된 호수로, 흉노, 당나라, 몽골 제국 등 다양한 역사를 거쳤다. 19세기 러시아와 청나라 간 국경 분쟁의 대상이 되었으며, 베이징 조약과 추구차크 의정서를 통해 국경이 확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자흐스탄의 호수 - 아랄해
    아랄해는 중앙아시아에 위치했던 세계 4위의 호수였으나, 관개 사업으로 인한 유입량 감소로 면적이 급격히 줄어 현재는 여러 호수로 분리되었고, 생태계 파괴와 환경 오염 등의 문제점을 겪고 있다.
  • 카자흐스탄의 호수 - 남아랄해
    남아랄해는 1960년대 소련의 관개 사업으로 수위가 감소한 아랄해의 남쪽에 생긴 호수이며, 아무다리야강과 시르다리야강 물줄기 변경으로 1987년 아랄해가 남북으로 분리되며 염도 변화와 면적 감소를 겪었다.
자이산호
지도
기본 정보
위치카자흐스탄
호수 유형고대 호수
유입카라 이르티시 강(Black Irtysh), Kendyrlyk
유출이르티시 강(White Irtysh)
면적1,810km2
길이105km
48km
최대 깊이15m
해발 고도420m
(정보 없음)
도시(정보 없음)
자이산호
자이산호

2. 명칭

카자흐어 이름은 '자이산 쾰리'(Зайсан көлі|자이산 쾰리kk)이다. 이는 "고귀한 호수"를 뜻하는 몽골어 '자이산 누르'(Зайсан нуур|자이산 누르mn)에서 유래되었다. 이 호수는 호르드와 칸국의 본부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준가르 칸국이 그 예이다. 지역 둥간족둥간어로는 '제손페' 또는 '자이사온페'(Җэсонпә|제손페dng)이다. 러시아어로는 '오제로 자이산'(Озеро Зайсан|오제로 자이산ru)이며, 중국어로는 '자이상 포'(t 齋桑泊|자이상 포중국어, s 斋桑泊|자이상 포중국어, x جَیْ‌سَانْ پُوَ|자이상 포ar)이다.

3. 지리

자이산호는 해발 420m 고도에 위치하며, 알타이산맥과 타르바가타이산맥 사이의 분지에 자리 잡고 있다. 길이는 105km이며, 폭은 약 22km에서 48km이다. 주요 유입 하천은 동쪽에서 흘러드는 카라 이르티쉬(흑 이르티쉬)와 켄디르릭 강이며, 유일한 배출구는 이르티쉬강이다.

3. 1. 부흐타르마 댐 건설의 영향

부흐타르마 수력 발전소 댐이 자이산호 하류에 건설된 이후 호수의 수위는 자연 수위보다 약 6m 상승했다.[1] 그 결과 호수 면적은 약 1800km2에서 3500km2로 (사실상) 두 배로 증가했으며[1] (심지어 5000km2까지)[2], 일부 자료에서는 이 호수를 인공 저수지의 일부로 표시하기도 한다.[3] 인공 저수지는 주변 지역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3. 2. 생성 시기

바이칼호는 2,500만~3,000만 년 되었다는 명확한 증거가 있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호수로 여겨지기도 한다.[4][5] 그러나 자이산호는 백악기 시대부터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어, 잠재적으로 6,600만 년 이상[6] (아마도 약 7,000만 년)[7] 되었을 수 있어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자이산호의 정확한 연대는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불확실성이 남아있다.[8] 자이산호의 연대를 명확하게 나타내는 증거를 찾기는 어려웠지만, 자이산 분지에 대한 몇몇 지질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9] 이 지역 전체에 대한 현대적인 지질학적 분석은 자이산호가 예외적으로 오래되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10][11]

4. 역사

자이산 호는 기원전 3세기경 흉노월지 부족의 경계 지역이었다. 이후 2세기 초 흉노가 이 지역을 점령했다. 한-흉노 전쟁 동안에는 한나라와 흉노 사이의 분쟁 지역이었으며, 곽거병 장군이 이 지역에서 활약했다. 4세기 초부터는 유연, 돌궐 제국, 돌궐 제2제국 등 튀르크계 유목 국가들의 지배를 받았다. 600년대에는 당나라에 정복되기도 했다.

당나라가 북부 영토를 상실한 후, 700년대에서 1000년대 중세 시대에는 칼루크족, 오이라트족 등 다양한 유목 부족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 1000년대에서 1215년까지는 카라한 왕조와 서요가 주요 세력이었으며, 1216년 몽골 제국제베에게 함락되었다. 몽골 제국 시기에는 칭기즈 칸(1224)과 훌라구 칸(1251) 등의 원정 경로로 이용되었다.

원나라의 통치를 거쳐 현지 유목 세력에 의해 분할되었던 자이산 호 지역은, 1391년 티무르의 군사 원정을 겪기도 했다. 1715년 러시아인 이반 부홀츠가 처음 이 지역에 도착했으나, 준가르 칸국을 세운 오이라트족에 의해 쫓겨났다. 1750년대 청나라가 준가르를 정복하면서 러시아와 청나라 간의 국경 분쟁이 시작되었다.

1756년 러시아는 자이산 호 지역 합병을 제안했지만 실패했고, 1764년에는 자이산 호 북쪽에 초소를 설치했다. 19세기 중반까지 자이산 호는 양국 모두 청나라의 영토로 인식했지만, 러시아의 시베리아 코사크 어업 원정대가 매년 사용했다. 1860년 베이징 조약과 1864년 추구차크 의정서를 통해 자이산 호는 러시아 영토로 확정되었다. 이후 둥간 반란(1862–77)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1881)에 의해 국경이 러시아에 유리하게 조정되었다.

4. 1. 고대

기원전 3세기에 이 호수는 흉노월지 부족의 대략적인 경계선이었다. 이후 2세기 초에 흉노는 월지로부터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을 점령했다.

한-흉노 전쟁 동안 자이산 호와 흑이르티시는 중국 한나라와 흉노 사이의 분쟁 지점이었으며, 곽거병 장군이 이 지역에서 주목할 만한 작전을 수행했다.

4세기 초부터 자이산 호와 그 양쪽의 이르티시는 유연 , 돌궐 제국, 돌궐 제2제국의 세 차례에 걸쳐 튀르크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500년대에 돌궐에 의해 유목 국가가 개혁된 후 동서로 분열되면서 자이산 호는 600년대에 이르티시 강 전투에서 중국 당나라에 정복되었다.

당나라가 북부 영토를 상실한 후, 이 호수는 700년대에서 1000년대 중세 시대에 걸쳐 칼루크족과 오이라트족의 다양한 유목 부족에 의해 통치되었다. 1000년대에서 1215년까지 이 지역을 통제한 두 주요 세력은 카라한 왕조와 서요였으며, 후자는 1216년 몽골 장군 제베에게 함락되었다. 그 이후 자이산 호는 몽골의 소유가 되었다. 제국이 아직 통일되었을 때, 이 호수는 칭기즈 칸(1224)과 훌라구 칸(1251)과 같은 몽골에서 중앙 및 서아시아로의 대규모 원정의 경유지 역할을 했다.

이 지역은 원나라의 통치를 받았으며, 이후 현지 유목 세력에 의해 분할되었다. 티무르는 1391년 몽골 칸 쿠마르 앗 딘 두글라트를 쫓아 호수와 흑이르티시에 군사 원정을 시작했다.

이 지역에 처음 도착한 러시아인은 요새를 건설하고 금을 찾기 위해 이르티시를 거슬러 올라간 이반 부홀츠였다. 1715년 그는 이 지역에 준가르 칸국을 세운 오이라트족에 의해 강을 따라 되돌아갔다.

중국의 청나라는 1750년대에 준가르 국가를 정복했다. 이것은 러시아 당국의 국경 지대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 1756년에 오렌부르크 총독 이반 네플류예프는 자이산 호 지역의 합병을 제안하기까지 했지만, 이 계획은 중국의 성공으로 무산되었다.[12] 러시아에서는 (이론적으로) 중국 함대가 자이산 호에서 이르티시 강을 따라 서시베리아로 항해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1759). 1764년 러시아 원정대가 자이산 호를 방문하여 그러한 강 공격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초소 체인이 자이산 호 북쪽의 부흐타르마 강에 설치되었다.[13] 따라서 이르티시 분지의 두 제국 간의 국경선은 대략적으로 묘사되었으며 양쪽에 (희소한) 경비 초소 체인이 있었다.

19세기 중반 자이산 호의 상황은 A. 아브라모프(1865)의 보고서에 기술되어 있다. 자이산 호 지역은 양측 모두 청나라의 일부로 인식되었지만, 시베리아 코사크가 파견한 어업 원정대가 매년 사용했다. 이러한 여름 원정은 1803년에 시작되었다. 그리고 1822–25년에 그 범위는 자이산 호 전체와 흑이르티시의 입구까지 확장되었다. 19세기 중반까지 이르티시 상류에 대한 청나라의 존재는 주로 추구차크에서 코사크의 어업 기지 중 하나 (''바타브스키 피케트'')에 대한 청나라 암반의 연례 방문에 국한되었다.[14]

이르티시 분지의 러시아와 청나라 제국 간의 국경은 1860년 베이징 조약에 의해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의 현대 국경과 상당히 유사한 선을 따라 설정되었다.[15] 조약에 따른 실제 국경선은 추구차크 의정서 (1864)에 의해 그려졌으며 자이산 호는 러시아 측에 남았다.[16][17] 청나라의 이르티시 분지에서의 군사적 존재는 둥간 반란(1862–77) 동안 붕괴되었다. 반란이 진압되고 좌종당에 의해 신장이 재정복된 후, 이르티시 분지의 러시아와 청나라 제국 간의 국경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1881)에 의해 러시아에 유리하도록 약간 조정되었다.

4. 2. 중세

기원전 3세기경, 자이산 호는 흉노월지 부족의 경계선 부근이었다. 기원후 2세기 초, 흉노는 월지를 몰아내고 이 지역 대부분을 차지했다.

한-흉노 전쟁 당시, 자이산 호와 흑이르티시는 한나라와 흉노 간의 주요 분쟁 지역이었다. 곽거병 장군은 이 지역에서 여러 차례 중요한 작전을 수행했다.

4세기 초부터 자이산 호와 이르티시 강 양쪽 지역은 유연 , 돌궐 제국, 돌궐 제2제국 등 튀르크계 유목 국가들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 500년대에 돌궐 제국이 동서로 분열된 후, 600년대에 자이산 호는 이르티시 강 전투에서 중국 당나라에 정복되었다.

이후 당나라가 북방 영토를 상실하면서, 700년대부터 1000년대 중세 시대에 걸쳐 자이산 호는 칼루크족, 오이라트족 등 다양한 유목 부족들의 지배를 받았다. 1000년대부터 1215년까지 이 지역을 통치한 주요 세력은 카라한 왕조와 서요였으며, 서요는 1216년 몽골 장군 제베에게 멸망했다. 그 후 자이산 호는 몽골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몽골 제국이 통일되어 있던 시기, 자이산 호는 칭기즈 칸(1224년)과 훌라구 칸(1251년) 등의 몽골군이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로 원정을 떠날 때 거쳐 가는 중요한 경로였다.

이 지역은 원나라의 지배를 받다가 이후 현지 유목 세력에 의해 분할되었다. 티무르는 1391년 몽골 칸 쿠마르 앗 딘 두글라트를 추격하며 자이산 호와 흑이르티시 강 유역으로 군사 원정을 감행했다.

4. 3. 몽골 제국 시기

자이산 호 해안 근처의 도로


자이산 호


1216년 몽골 장군 제베서요를 함락하면서 자이산 호는 몽골의 소유가 되었다. 몽골 제국 통일 시기, 이 호수는 칭기즈 칸(1224)과 훌라구 칸(1251) 등의 몽골에서 중앙 및 서아시아로의 대규모 원정의 경유지 역할을 했다.[12]

이후 이 지역은 원나라의 통치를 받았으나, 곧 현지 유목 세력에 의해 분할되었다. 1391년 티무르는 몽골 칸 쿠마르 앗 딘 두글라트를 쫓아 호수와 흑이르티시에 군사 원정을 시작했다.[12]

4. 4. 근대

기원전 3세기에 이 호수는 흉노월지 부족의 대략적인 경계선이었다. 이후 2세기 초에 흉노는 월지로부터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을 점령했다.[12]

한-흉노 전쟁 동안 자이산 호와 흑이르티시는 중국 한나라와 흉노 사이의 분쟁 지점이었으며, 곽거병 장군이 이 지역에서 주목할 만한 작전을 수행했다.[12]

4세기 초부터 자이산 호와 그 양쪽의 이르티시는 유연, 돌궐 제국, 돌궐 제2제국의 세 차례에 걸쳐 튀르크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500년대에 돌궐에 의해 유목 국가가 개혁된 후 동서로 분열되면서 자이산 호는 600년대에 이르티시 강 전투에서 중국 당나라에 정복되었다.[12]

당나라가 북부 영토를 상실한 후, 이 호수는 700년대에서 1000년대 중세 시대에 걸쳐 칼루크족과 오이라트족의 다양한 유목 부족에 의해 통치되었다. 1000년대에서 1215년까지 이 지역을 통제한 두 주요 세력은 카라한 왕조와 서요였으며, 후자는 1216년 몽골 장군 제베에게 함락되었다. 그 이후 자이산 호는 몽골의 소유가 되었다. 제국이 아직 통일되었을 때, 이 호수는 칭기즈 칸(1224)과 훌라구 칸(1251)과 같은 몽골에서 중앙아시아 및 서아시아로의 대규모 원정의 경유지 역할을 했다.[12]

이 지역은 원나라의 통치를 받았으며, 이후 현지 유목 세력에 의해 분할되었다. 티무르는 1391년 몽골 칸 쿠마르 앗 딘 두글라트를 쫓아 호수와 흑이르티시에 군사 원정을 시작했다.[12]

이 지역에 처음 도착한 러시아인은 요새를 건설하고 금을 찾기 위해 이르티시 강을 거슬러 올라간 이반 부홀츠였다. 1715년 그는 이 지역에 준가르 칸국을 세운 오이라트족에 의해 강을 따라 되돌아갔다.[12]

중국의 청나라는 1750년대에 준가르 국가를 정복했다. 이것은 러시아 당국의 국경 지대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 1756년에 오렌부르크 총독 이반 네플류예프는 자이산 호 지역의 합병을 제안하기까지 했지만, 이 계획은 중국의 성공으로 무산되었다.[12] 러시아에서는 (이론적으로) 중국 함대가 자이산 호에서 이르티시 강을 따라 서시베리아로 항해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1759).[12] 1764년 러시아 원정대가 자이산 호를 방문하여 그러한 강 공격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초소 체인이 자이산 호 북쪽의 부흐타르마 강에 설치되었다.[13] 따라서 이르티시 분지의 두 제국 간의 국경선은 대략적으로 묘사되었으며 양쪽에 (희소한) 경비 초소 체인이 있었다.[13]

19세기 중반 자이산 호의 상황은 A. 아브라모프(1865)의 보고서에 기술되어 있다. 자이산 호 지역은 양측 모두 청나라의 일부로 인식되었지만, 시베리아 코사크가 파견한 어업 원정대가 매년 사용했다. 이러한 여름 원정은 1803년에 시작되었다. 그리고 1822–25년에 그 범위는 자이산 호 전체와 흑이르티시의 입구까지 확장되었다. 19세기 중반까지 이르티시 상류에 대한 청나라의 존재는 주로 추구차크에서 코사크의 어업 기지 중 하나(''바타브스키 피케트'')에 대한 청나라 암반의 연례 방문에 국한되었다.[14]

이르티시 분지의 러시아와 청나라 제국 간의 국경은 1860년 베이징 조약에 의해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의 현대 국경과 상당히 유사한 선을 따라 설정되었다.[15] 조약에 따른 실제 국경선은 추구차크 의정서(1864)에 의해 그려졌으며 자이산 호는 러시아 측에 남았다.[16][17] 청나라의 이르티시 분지에서의 군사적 존재는 둥간 반란(1862–77) 동안 붕괴되었다. 반란이 진압되고 좌종당에 의해 신장이 재정복된 후, 이르티시 분지의 러시아와 청나라 제국 간의 국경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1881)에 의해 러시아에 유리하도록 약간 조정되었다.[17]

4. 5. 러시아 제국과 청나라의 국경 분쟁

1715년, 이반 부홀츠가 요새를 건설하고 금을 찾기 위해 이르티시 강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러시아인들이 이 지역에 처음 도착했다. 그러나 그는 이 지역에 준가르 칸국을 세운 오이라트족에 의해 강을 따라 되돌아갔다.[12]

1750년대에 중국의 청나라는 준가르를 정복했다.[12] 이로 인해 러시아는 국경 지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1756년 오렌부르크 총독 이반 네플류예프는 자이산 호 지역 합병을 제안했지만, 이 계획은 중국의 성공으로 좌절되었다.[12] 1759년에는 러시아에서 중국 함대가 자이산 호에서 이르티시 강을 따라 서시베리아로 항해할 가능성을 우려했지만, 1764년 러시아 원정대는 그러한 강 공격은 없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자이산 호 북쪽의 부흐타르마 강에 초소를 설치했다.[13] 이렇게 이르티시 분지에 두 제국 간의 국경선이 대략적으로 그려졌고, 양쪽에 경비 초소가 설치되었다.

19세기 중반, 자이산 호 지역은 양측 모두 청나라의 영토로 인식했지만, 시베리아 코사크의 어업 원정대가 매년 사용했다. 이 원정은 1803년에 시작되어 1822–25년에는 자이산 호 전체와 흑이르티시 입구까지 확장되었다. 당시 청나라의 존재는 주로 추구차크에서 코사크 어업 기지 중 하나(''바타브스키 피케트'')에 대한 청나라 암반의 연례 방문에 국한되었다.[14]

1860년 베이징 조약에 의해 이르티시 분지의 러시아와 청나라 제국 간의 국경은 현재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국경과 유사한 선을 따라 설정되었다.[15] 1864년 추구차크 의정서에 따라 실제 국경선이 그려졌고, 자이산 호는 러시아 측에 남게 되었다.[16][17] 이후 둥간 반란(1862–77)으로 청나라의 군사적 존재가 붕괴되었고, 반란 진압 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1881)에 의해 국경이 러시아에 유리하게 약간 조정되었다.

참조

[1] 서적 Soviet Encyclopedic Dictionary, Moscow 1980
[2] 웹사이트 Lake Zaysan | lake, Kazakhstan | Britannica http://www.britannic[...]
[3] 서적 Soviet Encyclopedic Dictionary, Moscow 1980
[4] 웹사이트 Lake Baikal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2018-03-08
[5] 웹사이트 Lake Baikal: Protection of a unique ecosystem https://www.scienced[...] 2017-07-26
[6] 논문 Dinosaur eggshell and Cretaceous-Paleogene Boundary in the Zaysan Basin, eastern Kazakstan
[7] 논문 Zaysan-the Only Surviving Cretaceous Lake-May be Lost
[8] 웹사이트 The Oldest Lakes in the World https://www.worldatl[...] World Atlas 2017-08-25
[9] 간행물 AAPG Studies in Geology #46 2000
[10] 문서 L. E. Popov et al 2009
[11] 문서 Kröner et al
[12] 문서 Abramof 1865
[13] 문서 Abramof 1865
[14] 문서 Abramof 1865
[15] 문서 Articles 2 and 3 in the Russian text of the treaty
[16] 파일 the map
[17] 웹사이트 The Lost Frontier: the treaty maps that changed Qing's northwestern boundaries http://www.npm.gov.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