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재(Omnipresence)는 "모든 곳에 현존하는"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종교적 맥락에서 신의 속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여러 고대 문화에서 유사한 개념을 공유했으며, 종교에 따라 신의 존재 방식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한다. 기독교에서는 신이 초월적이면서도 내재적이며, 모든 상황에 임재한다고 본다. 현대에는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보편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며, 유비쿼터스 컴퓨팅, 네트워크, 사회 등의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전재(Omnipresence)"라는 단어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는데, "모든"을 뜻하는 접두사 "omni-"와 "현존하는"을 뜻하는 "praesens"가 합쳐진 것이다. 따라서 이 단어는 "모든 곳에 현존하는"을 의미한다.[1]
힌두교와 힌두교에서 파생된 다른 종교들은 '초월적이고 내재적인 전재' 이론을 포함하는데, 이는 브라만이라는 단어의 전통적인 의미이다. 이 이론은 모든 물리적 존재의 근원인 보편적이고 근본적인 실체를 정의한다.
팰러앨토 연구소의 마크 와이저가 1991년 논문 [http://www.ubiq.com/hypertext/weiser/SciAmDraft3.html The Computer for the 21st Century]|더 컴퓨터 포 더 트웬티퍼스트 센추리영어에서 컴퓨터나 네트워크 등의 보편성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했다. 이후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개념으로 응용되었다.
2. 어원
일본어 "유비키터스"는 영어 "ubiquitous"에서 왔고, "ubiquitous"는 라틴어의 일반적인 단어 "ubique"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어디에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라틴어에서 이 단어는 종교적으로 신이 어디에나 존재함을 나타낼 때 사용되었다. 원래는 의문사 ubī ("어디?")에 접미사 -que (~도)가 붙어 ubīque ("어디든지")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의문사 quis ("무엇?", "누구?")와 quisque ("무엇이든", "누구든", "각각", "각자")도 마찬가지이다.)
3. 종교에서의 전재
서방 기독교에서 전재는 "동시에 모든 곳에 존재할 수 있는 능력"으로 설명되며, 이는 무한하거나 보편적인 존재를 의미한다. 전재는 최소한 신의 지식과 힘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2] 이는 동시에 모든 곳 또는 여러 곳에 존재할 수 있는 능력인 편재와 관련이 있다.[3] 여기에는 무제한의 시간적 존재가 포함된다.[4]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는 신을 공간 전체에 보이지 않는 에테르처럼 퍼져 있는 방식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그는 공간에 어디에나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가스와 같지 않으며, 우주가 유한하다면 신 역시 유한하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신은 무한하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고 싶지 않다고 한다. 신이 보이지 않는 에테르처럼 공간 전체에 퍼져 있다면, 그는 모든 곳에 완전히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크레이그는 전재가 전지하고 전능한 신은 모든 것을 알고 모든 곳에서 동시에 존재하고 행동할 수 있다는 파생된 특징이라고 주장한다.
고대 베다 및 아메리카 원주민 문명과 같은 여러 고대 문화는 전재성에 대한 유사한 견해를 공유한다. 고대 이집트인, 그리스인, 로마인은 전재하는 존재를 숭배하지 않았다. 일부 전재 종교는 존재 전체를 신의 현현으로 본다. 여기에는 신은 존재의 총합이라는 범신론, 신은 존재의 새로운 속성이라는 범재신론 두 가지 주요 관점이 있다. 전자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세계관과 가장 가깝고, 후자는 베다 시대의 관점과 유사하다. 베다 경전에는 전재성과 내재적 초월성을 보여주는 충분한 증거가 있다. 슛클라 야주르 베다 삼히타의 이사바샤 우파니샤드[6]와 같은 베다 경전에서는 구절 40:1, 5[7]가 내재성과 전재성을 분명히 보여주는 반면, 구절 40:4, 8은 물질, 시간, 어떤 종류의 제한도 없는 초월성을 명확하게 확립한다.
기독교, 카발라 철학, 하시디즘 철학에서는 신은 편재한다. 구약성서나 지혜 문학에 따르면, 신은 현존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시편, 이사야서), 언제라도 피조물 전체의 모든 상황 속에 존재할 수도 있다(시편, 예레미야서, 잠언, 열왕기).
토마스 오덴은 성경이 신이 인간 생활의 모든 측면에 임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한다.[14] 그는 신은 자연 질서의 모든 측면, 인과관계의 모든 단계, 자연사의 모든 순간에 존재하며,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에 육체적으로 임재한다고 설명한다.(요한복음, 골로새서)
도미니크 말바니안은 편재(Omnipresence)란, 신이 모든 공간을 점유하는 것도, 모든 공간에 신이 분포하는 것도, 모든 존재에 내재하는 것도, 신이 공간에서 움직일 수 없는 것도, 우주가 신격화되는 것도 아니고, 신이 어디에나 완전히 존재하며, 신이 다른 장소에서 다른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한다.[15]
3. 1. 유대교
주류 유대교의 일신교적 세계관은 범재신론과 편재하는 신에 대한 믿음을 거부한다.[8] 하레디의 가르침은 특정 카발라 시스템과 함께 범재신론에 대한 믿음을 가정하며 갈라졌지만, "신이 물리적 공간을 차지하거나 공간적 개념이 적용된다는 모든 개념은 순수한 유대교 일신론에 의해 완전히 거부되었다."[9]
3. 2. 이슬람교
수니파 이슬람교에서 신은 몸이나 방향성을 가지지 않으며, 공간과 시간에 얽매이지 않는다.[10]
시아파 전통에서 모르테자 모타하리가 해설한 알리의 가르침과 편지를 모아놓은 나흐 알-발라가에 따르면, 신은 모든 것과 함께하지만, 어떤 것 안에 있지는 않으며, 어떤 것도 그와 함께하지 않는다. 신은 사물 안에 있지 않지만, 사물 밖에 있는 것도 아니다. 신은 모든 종류의 상태, 조건, 유사성, 그리고 모습 위에 존재한다. 알리는 신의 전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3. 3. 기독교
서방 기독교에서 전재(全在)는 신의 속성 중 하나이지만, 전능, 전지와 같은 다른 속성에 비해 철학적 관심은 덜하다. 전재는 "동시에 모든 곳에 존재할 수 있는 능력"으로 설명되며, 이는 무한하거나 보편적인 존재를 의미한다. 전재는 최소한 신의 지식과 힘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2] 이는 동시에 모든 곳 또는 여러 곳에 존재할 수 있는 능력인 편재와 관련이 있다.[3] 여기에는 무제한의 시간적 존재가 포함된다.[4]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는 신을 공간 전체에 보이지 않는 에테르처럼 퍼져 있는 방식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그는 공간에 어디에나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가스와 같지 않다고 설명한다. 우주가 유한하다면 신 역시 유한하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신은 무한하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고 싶지 않다고 한다. 신이 보이지 않는 에테르처럼 공간 전체에 퍼져 있다면, 그는 모든 곳에 완전히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크레이그는 전재가 전지하고 전능한 신은 모든 것을 알고 모든 곳에서 동시에 존재하고 행동할 수 있다는 파생된 특징이라고 주장한다. 대부분의 기독교 종파는 니케아 신조에 의해 표준화된 신학을 따라 삼위일체 형태로 전재의 개념을 설명하며, 아버지, 아들, 성령, 세 명의 전재하는 위격으로 구성된 단일 신(하나님)을 가진다.[5]
기독교, 카발라와 하시디즘 철학에서, 신은 편재한다. 그러나, 이들과 다른 종교 체계의 중요한 차이점은 신이 자신의 초월에 여전히 창조에 초월적이고, 창조와 관련된 면에서는 내재적이라는 것이다. 신은 창조의 본질에 몰입하지 않지만, 그가 원하는 대로 창조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그는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인간-신성한 육체를 보이게 할 수 있으며, 그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 그는 창조의 어떤 위치나 대상에서도 배제될 수 없다. 신의 임재는 창조 전체에 걸쳐 지속되지만, 모든 사람에게 항상 같은 방식으로 드러나지는 않을 수 있다. 어떤 때는 특정 상황에 적극적으로 임재할 수 있지만, 다른 상황이나 다른 지역에서는 자신이 임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신은 그가 원하는 방식으로 그의 창조와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며, 그의 창조의 본질 그 자체라는 점에서 편재한다. 성경은 신이 사람에게 나타나는 방식으로 임재할 수 있으며(시편 46:1, 이사야 57:15), 동시에 창조의 모든 상황에 임재할 수 있다고 말한다(시편 33:13-14).
오덴은 성경이 신이 인간 삶의 모든 측면에 임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한다:
마르바니앙은 편재성이 모든 공간의 신성한 점유, 모든 공간의 신성한 분배, 모든 개체의 내재, 신이 공간에서 움직일 수 없다는 것, 또는 우주의 다양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신이 모든 곳에 완전히 임재하고 동시에 다른 장소에서 다른 일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한다.[13]
3. 4. 기타 종교
고대 베다 및 아메리카 원주민 문명과 같은 여러 고대 문화는 전재성에 대한 유사한 견해를 공유한다. 고대 이집트인, 그리스인, 로마인은 전재하는 존재를 숭배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구석기 시대 문화는 다신교 관습을 따랐지만, 전재하는 신의 한 형태는 단일 지역 신 문화와 아이디어를 공유하지 않는 세계관에서 비롯된다. 일부 전재 종교는 존재 전체를 신의 현현으로 본다. 여기에는 신은 존재의 총합이라는 범신론, 신은 존재의 새로운 속성이라는 범재신론 두 가지 주요 관점이 있다. 전자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세계관과 가장 가깝고, 후자는 베다 시대의 관점과 유사하다. 그러나 베다 경전에는 전재성과 내재적 초월성을 보여주는 충분한 증거가 있다. 슛클라 야주르 베다 삼히타의 이사바샤 우파니샤드[6]와 같은 베다 경전에서는 구절 40:1, 5[7]가 내재성과 전재성을 분명히 보여주는 반면, 구절 40:4, 8은 물질, 시간, 어떤 종류의 제한도 없는 초월성을 명확하게 확립한다.
기독교, 카발라 철학, 하시디즘 철학에서는 신은 편재한다. 구약성서나 지혜 문학에 따르면, 신은 현존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시편, 이사야서), 언제라도 피조물 전체의 모든 상황 속에 존재할 수도 있다(시편, 예레미야서, 잠언, 열왕기).
토마스 오덴은 인간 생활의 모든 측면에 신이 존재할 수 있음을 성경이 보여준다고 말한다[14]。
도미니크 말바니안은 편재(Omnipresence)란, 신이 모든 공간을 점유하는 것도, 모든 공간에 신이 분포하는 것도, 모든 존재에 내재하는 것도, 신이 공간에서 움직일 수 없는 것도, 우주가 신격화되는 것도 아니고, 신이 어디에나 완전히 존재하며, 신이 다른 장소에서 다른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한다[15]。
4. 전재 개념의 현대적 응용
4. 1. 유비쿼터스 사회
팰러앨토 연구소의 마크 와이저가 1991년 논문 The Computer for the 21st Century|더 컴퓨터 포 더 트웬티퍼스트 센추리영어에서 컴퓨터나 네트워크 등의 보편성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했다. 이후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더 나아가 그것들이 당연하게 된 사회를 가리키는 "'''유비쿼터스 사회'''" 등의 의미로 사용되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Omnipresence
https://www.oed.com/[...]
[2]
웹사이트
Doctrine of God (part 9)
http://www.reasonabl[...]
2014-05-20
[3]
웹사이트
ubiquity
http://www.merriam-w[...]
2013-01-18
[4]
간행물
Nature and Attributes of God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1909-09-01
[5]
웹사이트
Doctrine of God (part 8)
http://www.reasonabl[...]
2014-05-20
[6]
서적
The Upanishads - with the commentary of Madhvacharya
https://archive.org/[...]
[7]
웹사이트
The Upanisads Part I
https://archive.org/[...]
1909-09-14
[8]
웹사이트
HaNivchar BaEmunot U'va-Deot
https://forthodoxy.o[...]
[9]
웹사이트
Parashat Vayetze: HaMakom – God’s Place or the Place of God?
https://forthodoxy.o[...]
2016-02-16
[10]
웹사이트
Where Is Allah
https://seekersguida[...]
2009-05-28
[11]
웹사이트
Nahjul-Balagha.pdf
http://www.duas.org/[...]
[12]
서적
The Living God
[13]
간행물
Omnipresence
Mumbai
2018-02
[14]
서적
The Living God
[15]
간행물
Omnipresence
Mumbai
201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