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군훈련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훈련소는 대한민국 육군의 신병 양성 기관으로, 1951년 11월 1일 제2훈련소로 창설되어 199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충청남도 논산시에 위치하며, 현역은 5주, 보충역은 3주간의 기초 군사 훈련을 실시한다. 훈련소는 입영 심사, 신병 교육, 군사 특기 부여 등을 담당하며, 육군훈련소지구병원, 종교 시설, 그린캠프교육대 등 다양한 부대와 시설을 갖추고 있다. 육군훈련소장은 소장급 보직으로, 역대 소장들이 임명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의 훈련소 - 제1훈련소
    제1훈련소는 한국 전쟁 당시 징집 병력의 기초 군사 훈련을 담당한 대한민국 국군 훈련 기관으로, 제주도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며, 휴전 후 기능이 이관되어 폐쇄되었으나 일부 시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보존되고 있다.
  • 대한민국 육군교육사령부 -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KCTC)은 육군의 과학적인 전투 훈련을 위해 2002년 창설되어 다중 통합 레이저 교전 시스템(MILES)을 활용, 실전적인 훈련을 제공하며 전문대항군을 포함한 다양한 부대가 참여한다.
  • 1951년 설치 - 남포동 (부산)
    남포동은 부산광역시 중구의 남포동, 중앙동, 광복동 일대를 아우르는 지명으로, 일제강점기 매축을 통해 형성되어 해방 후 불리게 되었으며, 부산국제영화제 발상지이자 대규모 수산물 시장과 근대 건축물이 보존된 지역이다.
  • 1951년 설치 - 국회경비대
    국회경비대는 국회의 질서 유지와 국회의장의 안전을 책임지는 조직으로, 의장공관경비대와 국회기동대로 편성되어 국회 내 질서 유지, 긴급 상황 대처, 국회의원 경호, 출입 통제 및 보안 유지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육군훈련소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육군훈련소 휘장
육군훈련소 휘장
육군훈련소 정문
육군훈련소 정문
명칭육군훈련소
로마자 표기Yuggun Hullyeonseo
별칭논산 훈련소, 연무대
위치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소속대한민국 육군
종류훈련소
역할군사 교육, 신병 훈련
규모7개 신병교육연대, 10개 직할대, 1개 병원 (사단급)
설립1951년
사용 기간1951년–현재
통제대한민국 육군 교육사령부
현재 사령관소장 이 용환
웹사이트육군훈련소 공식 웹사이트
지휘관
훈련소장소장 류승민
조직
상급 부대대한민국 육군교육사령부

2. 역사

한국 전쟁 당시 제1훈련소부터 제7훈련소까지 존재하였다. 제1훈련소제주도 서귀포시 모슬포에 있었다.[30]

지금의 육군훈련소는 1951년 11월 1일 '''제2훈련소'''로 창설되었다.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제2훈련소 창설을 기념하여 '''연무대(鍊武臺)'''를 휘호로 부여하였다.

한국 전쟁 후에는 제1, 2훈련소를 제외한 모든 훈련소가 폐쇄되었다.

1953년 11월 18일, 제2훈련소에서 제28보병사단이 창설되었다.

1956년 1월 1일, 제1훈련소를 병합하였다.

1960년 1월 8일 제21신병교육연대가, 2월 1일 제22신병교육연대가 해체되었다.

1999년 2월 1일, '''육군훈련소'''로 개칭되었다.

2011년 1월 1일, 육군논산병원이 육군훈련소지구병원으로 재편성되었다.

2012년 3월 1일, 입소대대와 특기분류심사대가 입영심사대로 통합되었고, 군수지원대대가 해체되었다.

2013년 3월 1일, "그린캠프교육대"가 창설되었다.

2014년 4월 1일, 교육지원대대가 교육지원대로 개편되었다.

2016년 3월 1일, "병역심사관리대"가 창설되었다.

2017년 6월 1일, 통신근무대가 정보통신대로 개명되었다.

2023년 2월 8일, 군사경찰대가 창설되었다.

3. 지휘관

육군훈련소장은 소장급 보직으로서 전역을 앞두거나 중장 진급에 실패한 소장들이 거의 마지막으로 취임하게 되는 자리이기 때문에 통상 전역대기직으로 평가되고 있다. 주로 사단장에서 보직해임 당하거나 여군 소장이 보직된다.[33] 여군 장성의 경우 아직까지 소장급 사단장에 보직된 적이 없다.

역대 훈련소장은 다음과 같다.

성명재임 기간출신학교·기수전직후직비고
김종갑1951년 11월 1일육군사관학교 1기제5군단장제5사단장
대리유승렬1952년 8월 1일육군사관학교 특8기
2이성가1952년 9월 5일중앙군관학교
육군사관학교 1기
전방지휘소장제5관구사령관
대리오창근1953년 5월 6일
3심언봉1953년 6월 15일[5] - 1954년 6월[6]육군사관학교 1기
대리김도영1954년 6월 5일
4함병선1954년 7월육군사관학교 1기전방지휘소장제2군단장
5백인엽1955년 5월 25일육군사관학교 1기
6양국진1955년 9월 28일 - 1957년 7월[7]봉천 5기
육군사관학교 1기
행정참모부장제1군단장
7백남권1957년 7월[7] - 1959년 3월 13일[8]육군사관학교 1기육군사관학교장제6관구사령관
8박병권1959년 3월 13일[8] - 1960년 2월육군사관학교 1기제6관구사령관제3군단장
9한신1960년 2월경찰사관학교 2기감찰감내무부 장관
10임충식- 1960년 11월[9]경찰사관학교 2기
11최홍희1960년 11월[9] - 1961년육군사관학교 1기제3관구사령관제6군단장
12김동빈1961.5-1962.3경찰사관학교 1기제2군 부사령관전투병과교육기지사령관
14김상복1963.8 - 1964.8[10]육군사관학교 1기제1군단장
15김병휘1964.8 - 1965.2육군사관학교 1기제5관구사령관[11]예비역 편입
16김진위1965.2 - 1968.3경찰사관학교 3기수방사령관[12]예비역 편입
17전부일1967.9 - 1968.3경찰사관학교 2기제1군단장국방부 관리차관보
18박남표1968.3 - 1969.11경찰사관학교 2기국방대학교 부총장[13]예비역 편입
19김재명 (1925년)|김재명한국어1969.11 - 1970.7.3[14]경찰사관학교 2기합참의장
겸 방첩본부장
20정봉욱1970.7.3[14] - 1973.8평양학원육군3사관학교장원인민군 중좌
21한무협|한무협한국어1973.8 - 1975.1육군사관학교 6기합참 전략정보국장예비역 편입
22김영선1975.1 - 1977.11육군사관학교 7기방첩본부 차장육군3사관학교장
23곽응철1977.11 - 1979.1육군사관학교 9기제2군 부사령관
24이필조1979.1 - 1980.1종합 12기[15][16]수도사단장예비역 편입
25배정도1980.1 - 1981.5갑종 6기26사단장
26이광노|이광노한국어1981.5 - 1981.8육군사관학교 10기하나회
27김기석1981.8 - 1983.6.24사관후보생 2기육군교육사령부 부사령관[17]예비역 편입
28김원태1983.6.24 - 1985.1갑종 18기52사단장예비역 편입
29김을권1985.1 - 1986.9육군사관학교 13기1사단장예비역 편입
30임병화1986.9 - 1988.6육군사관학교 14기53사단장
31김충식1988.6 - 1990.1육군사관학교 16기31사단장예비역 편입하나회
32김광석1990.1 - 1991.1육군사관학교 17기교육사 교육훈련부장[18]국방부 정책기획관
33이기룡1991.1 - 1991.12육군사관학교 17기예비역 편입하나회
34오영우1991.12 - 1992.12육군사관학교 20기육군본부 교육훈련부장제5군단장
35이태우1992.12 - 1994.11[19]갑종 157기제11향토사단장예비역
36이종완1994.11 - 1996.11육군사관학교 23기제3군 부사령관
37정화언[20]1994.11 - 1996.11육군사관학교 23기합동참모본부 작전부 차장예비역 편입?
38정남기1998.11 - 1999.11갑종 182기제21사단장
39문판생1999[21]- 2001.11.27갑종 197기육군본부 인사운영실장예비역
40이광희2001.11.27 - 2003.5.1육군사관학교 27기[22]23사단장
41김문범2003.5.1 - 2004.10.283사관학교 1기3군사령부 참모장[23]
42허평환|허평환한국어2004.10.28 - 2005.11.11육군사관학교 30기제6사단장육군전투발전단장
43정두근2005.11.11 - 2006.11.293사관학교 7기제32사단장제6군단장
44장종대[24]2006.11.29 - 2008.11.14[25]육군사관학교 32기
45이태우2008.11.14 - 2009.11.19육군사관학교 34기50사단장[26]수방사 인사부장
46박성우2009.11.19[27] - 2011.5.3육군사관학교 36기종합행정학교장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
47김정호2011.5.3 - 2013.4.30육군사관학교 36기36사단장1군사령부 부사령관
48고성균2013.4.30 -육군사관학교 38기2작전사령부 참모장[28]


4. 사건 및 사고

2005년 육군훈련소에서 발생한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은 훈련병의 용변 뒤처리 미흡을 문제삼아 중대장 소속 192명의 훈련병 전원에게 대변을 손가락에 묻혀 입에 넣었다 빼도록 한 가혹행위 사건이다. 이 사건은 군의 폐쇄성과 자기 식구 감싸기 행태를 드러내며 큰 비판을 받았다.[34][35]

4. 1.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

2005년 1월 10일 육군훈련소 29신병교육연대 11중대장 이경진 대위(학사 35기)가 훈련병의 용변 뒤처리 미흡을 문제삼아 중대장 소속 192명의 훈련병 전원에게 대변을 손가락에 묻혀 2회에 걸쳐 5초간 입을 벌린 상태에서 입에 넣었다 빼도록 하였다. 이는 사건 발생 후 10일이 지나서야 피해 훈련병의 [https://web.archive.org/web/20140729033258/http://www.mediatoday.co.kr/news/photo/200602/34004-2-30943.jpg 편지 고발]로 외부에 알려졌다.[34][35]

군 소식지인 국방일보는 사건이 외부에 공개된 20일로부터 4일이 지난 24일에야 특별기고에서 언급했을 뿐이었다. 이는 군의 폐쇄성과 자기 식구 감싸기 행동이라는 비판을 받았다.[34][35] MBC 사회부 백승규 기자는 사건 취재 당시 훈련소에서 일부 사실을 확인해준 정훈참모의 말을 들은 뒤 얼마 안 돼 육군훈련소장이 '보도하지 않았으면 한다. 그게 애국이다. 군이 많이 힘들어질 수 있다'고 부탁했으나, "오히려 알리는 게 애국이라고 설득하고 보도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36]

2005년 2월 3일 대한민국 육군본부는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의 특감 결과를 발표하고, 이 사건의 책임을 물어 허평환 소장은 육군참모총장령으로 경고하고, 신병교육연대장(대령)과 교육대장(소령), 지원과장(대위), 교육과장(대위), 분대장(병장), 교관(중위) 등 14명을 각각 징계위에 회부했다. 또한 사고 발생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한 훈련소 헌병대 파견대장(중령)과 수사관(준위)은 모두 교체하기로 했다. 하지만 가혹행위 가해자인 중대장(대위)보다 하위 계급인 분대장(병장)을 징계한 것은, 하위 계급자의 반대가 항명으로 받아들여지는 군대 내부 사정을 고려할 경우, 가혹한 징계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37] 이 사건을 계기로, 화장실이 화변기에서 양변기로 바뀌고 비데가 설치되었다.

5. 부대

(보급 근무대, 정비 근무대, 수송 근무대, 급양 근무대)입영 심사대
(입소 대대)육군 현역병 입대자, 보충역 및 학군장교 학생의 입영 신체검사 및 교육 부대 편성영선대ICT|아이시티영어
(구 통신근무대)육군훈련소지구병원장병과 훈련병의 진료 담당

5. 1. 직할부대

(보급 근무대, 정비 근무대, 수송 근무대, 급양 근무대)입영 심사대
(입소 대대)육군 현역병 입대자, 보충역 및 학군장교 학생의 입소자에 대한 입영 신체검사 및 교육 부대 편성영선대ICT|아이시티영어
(구 통신근무대)육군훈련소지구병원장병과 훈련병의 진료 담당


5. 2. 신병교육연대

육군훈련소에는 다음 7개의 신병교육연대가 있다.

6. 교육 과정

육군훈련소는 현역에게 5주, 보충역 (사회복무요원, 산업기능요원, 전문연구요원)에게 3주간 기초군사훈련을 제공한다.[3][4] 이 외에도 공용화기병(박격포, 무반동포, K4 유탄기관총) 특기병에게는 1~2주, 신병교육 분대장에게는 2주간의 추가 교육을 실시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39조 제1항에 따라 모든 국민은 법률에 따른 국방의 의무를 진다. 병역법은 대한민국 남성이 헌법과 병역법 제3조 제1항에 의거, 병역 의무를 성실히 이행해야 함을 명시한다.

이에 따라 18세에서 35세 사이의 대한민국 남성은 병역 의무 제도에 따라 군 복무를 하고, 징집된 병사들은 단기 기본 군사 훈련을 받는다. 복무 기간 후에는 예비군으로 편성되어, 평시에는 생업에 종사하다가 비상시나 전시에 재소집된다. 신병은 이등병이 되기 전 현역 5주, 보충역 3주간 훈련을 받는다.

6. 1. 현역 (5주 훈련)

현역 입대 후 5주 훈련 과정은 육군훈련소에서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6. 1. 1. 동화교육 (3일)

3일간의 예비 교육 기간으로, 본격적인 훈련에 앞서 육군훈련소 생활에 적응하는 시간을 갖는다. 절차, 규정, 훈련소 생활 규칙 등에 대한 교육을 듣고 설문조사 등을 실시한다.

6. 1. 2. 1-2주차: 군인기본자세 확립

1-2주차에는 군인으로서 갖춰야 할 정신 자세와 태도를 확립하는 교육이 진행된다.

6. 1. 3. 3-5주차: 기본전투기술 구비

훈련병들은 총기 사용 및 취급 방법, 개인 화기 특성, 임무 수행 능력, 관리 기술 등을 익힌다. 현역 훈련병들은 주로 K2 소총을 사용하여 훈련받는다.[3]

사격술 훈련에서는 고장 발생 시 총기를 분해하는 방법과 사격, 조준, 사격 간 집중력 유지 방법을 배운다. 이 훈련 후에는 사격장 실사격 훈련이 이어진다. 영점 사격은 일정 거리에서 표적을 명중시키는 정확도와 명중점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이고, 기록 사격은 거리별 표적 명중 원리를 이해하고 숙달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습 사격이다.[3]

경계 훈련은 경계 초소에서 의심스러운 인물이 부대에 진입하려 하거나 수상한 행동을 하는지 판단하는 임무이다. 전형적인 훈련으로는 철조망을 따라 순찰하거나 높은 경계 초소에서 주변을 감시하는 것이 있다. 병사들은 누군가 접근할 때 주변을 살피고 행동하는 방법을 훈련받는다.[3]

구급법 훈련에서는 전쟁 중 부상당한 병사를 돕기 위한 기본적인 응급 처치 기술을 배운다. 부목이나 붕대를 감는 방법, 출혈을 멈추는 방법, 부상자를 옮기는 방법, 들것을 만들고 심폐소생술(CPR)을 실시하는 방법 등을 배운다.[3]

화생방 훈련에서는 적의 화학 무기 공격 발생 시 가스 흡입을 피하기 위해 방독면을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K1 또는 K5 방독면이 사용되며, 병사들은 방독면을 벗고 가스에 직접 노출되는 훈련을 받기도 한다.[3]

수류탄 훈련에서는 수류탄의 구성, 구조, 사양을 숙지하고 투척 요령을 익혀 전투에서 적을 효과적으로 제압하는 능력을 키운다.[3]

각개전투 훈련에서는 다양한 상황에 직면하여 지형 변화와 방향 정확도를 완벽하게 숙달한다. 초급 병사들은 다양한 상황에서 배운 것을 보여주고 야간 이동을 위한 다양한 전술로 장애물을 극복한다.[3]

완전군장행군은 20kg의 완전 군장 배낭을 메고 야간에 훈련소 주변 20km를 행군하는 훈련이다. 이는 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3]

6. 2. 보충역 (3주 훈련)

보충역 훈련 과정은 현역 훈련 과정에 비해 훈련 기간과 강도가 완화되어 있다. 이는 주로 훈련병들의 건강 및 의료 문제를 고려한 조치이다. 보충역은 전시에 현역 인력이 거의 소진되었을 때 징집 대상이 된다. 또한, 현역과 달리 3주 동안만 병으로 분류되므로, 수료식이 끝나는 날 민간인 신분으로 돌아간다.

6. 2. 1. 동화교육 (3일)

현역 및 보충역 훈련병은 3일간 예비 교육 기간을 갖는다. 이 기간 동안 본격적인 훈련에 앞서 육군훈련소 생활에 적응하는 시간을 갖는다. 절차, 규정, 훈련소 생활 규칙 등에 대한 교육을 듣고 설문조사 등을 실시한다.[3]

6. 2. 2. 1주차: 군인기본자세 확립

6. 2. 3. 2-3주차: 기본전투기술 구비

현역과 유사하게 훈련이 진행되지만, 훈련 강도 및 내용이 축소되거나 조정된다. 훈련 내용은 다음과 같다.[3][4]

7. 입영신체검사

병무청에서 병역판정검사를 받은 후 훈련소에 입소해도 다시 한번 신체검사를 받는다. 그러나 이때 불합격 판정을 받아도 역종이 변경되지는 않고, 단지 귀가 조치될 뿐이다.[1]

보충역의 경우, 본인이 아프다고 생각하면 희망자에 한해 3주간의 기초군사교육을 받을 수 있는지 검사한다.[1]

2009년부터 입영신체검사에서 신장 및 체중으로 인한 귀가 항목이 사라졌다. 이로 인해 1~3급 현역 판정을 받은 사람이 입영신체검사에서 4급 보충역에 해당하는 신장과 체중을 가지더라도 귀가 조치되지 않고, "건강소대"로 편성되어 집중 훈련을 받는다.[1]

8. 군사특기 부여

개인의 자력(연령, 학력 및 학과), 면허증, 자격증징병검사 등급을 고려하여 전산으로 특기를 분류한다. 군사특기는 전투병과(보병, 기갑 등), 전투지원병과(포병, 통신, 공병, 헌병, 화생방 등), 전투근무지원병과(인사행정(구 부관), 정훈, 군수(병참, 병기, 수송 통합), 군악, 재정(구 경리), 의무, 군종, 법무) 등 총 234개이다.[1]

9. 시설

(입소 대대)충청남도논산시 연무읍 황화정리 1025-1육군 현역병 입대자, 보충역 및 학군장교 학생의 입소자에 대한 입영 신체검사 및 교육 부대 편성영선대통신 근무대지역 병원충청남도논산시 연무읍 죽평리 357-6장병과 훈련병의 진료 담당교육 연대제23교육연대제25교육연대제26교육연대제27교육연대제28교육연대제29교육연대제30교육연대원광대학교 다목적 강당충청남도논산시 연무읍 마산리 353-4주말에 원불교의 종교 행사를 진행하는 곳호국연무사충청남도논산시 연무읍 죽평리 644주말에 불교(조계종)의 종교 행사를 진행하는 곳연무대 성당
(김대건 성당)충청남도논산시 연무읍 죽평리 362-1주말에 천주교(가톨릭교회)의 종교 행사를 진행하는 곳연무대 군인교회충청남도논산시 연무읍 죽평리 362-2주말에 개신교(프로테스탄트)의 종교 행사를 진행하는 곳


참조

[1] 웹사이트 60 Years of the Korean War https://news.joins.c[...] 2010-11-09
[2] 웹사이트 육군훈련소 https://encykorea.ak[...]
[3] 웹사이트 현역[5주과정] https://www.katc.mil[...]
[4] 웹사이트 보충역[3주과정] https://www.katc.mil[...]
[5] 웹사이트 沈彦俸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2016-01-02
[6] 웹사이트 沈언俸少將渡美 第二訓練所長更迭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2016-01-04
[7] 뉴스 政府人士發令 http://www.busan.com[...] 1957-07-15
[8] 뉴스 論山訓練所長에 朴炳權少將發令 http://www.busan.com[...] 1959-03-15
[9] 웹사이트 崔泓熙 少將을 任命 陸軍 二訓所長更迭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10] 서적 한국·북한 인명사전 세계정경조사회 1966-06-20
[11] 웹사이트 金炳徽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2016-05-09
[12] 웹사이트 金振暐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2016-01-02
[13] 뉴스 6カ国に5つの言語で辺方を彷徨う!(6개국에서 다섯 개 언어로 邊方을 떠돌다!) http://monthly.chosu[...] 2006-11-10
[14] 뉴스 군 수뇌 대폭 이동 http://news.joins.co[...] 1970-07-04
[15] 웹사이트 陸軍少将 李弼朝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2016-08-08
[16] 뉴스 初公開全斗煥新軍部「殺生簿」リスト(최초공개 전두환 신군부 '살생부' 리스트) http://ilyo.co.kr/?a[...] 2004-10-24
[17] 웹사이트 김기석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2016-01-02
[18] 뉴스 軍事教育に明るい学究派/金光石兵務庁長(顔)(군사교육에 밝은 학구파/김광석 병무청장(얼굴)) http://news.joins.co[...] 1993-05-22
[19] 웹사이트 陸軍少将 李泰雨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2016-08-17
[20] 뉴스 【兵務不正捜査結果発表】3軍 - 兵務司令官兵務請託([병무비리 수사결과 발표]3軍-기무사령관 兵務청탁) http://news.donga.co[...] 1998-06-22
[21] 웹사이트 文判生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2016-01-02
[22] 뉴스 第40代陸軍訓練所長就任 安康出身イ・グァンフイ少将 (제40대 육군훈련소장 취임식 안강출신 이광희 소장) http://www.gjnews.co[...] 2002-01-10
[23] 웹사이트 郷軍、本部部長と傘下企業の役員人事 http://www.korva.or.[...] 대한민국재향군인회 2016-08-26
[24] 뉴스 キム・スジ総長、陸軍訓練所と姉妹提携(김수지 총장, 육군훈련소와 자매결연) http://www.newsprime[...] 2007-11-25
[25] 뉴스 張鍾大陸軍少将、訓練所転役式(장종대 육군소장 훈련소서 전역식) http://www.gninews.c[...] 2009-11-25
[26] 뉴스 同定:イ・テウ少将(동정-이태우 소장) http://www.imaeil.co[...] 2006-11-23
[27] 뉴스 パク・ソンウ第46代陸軍訓練所長就任(박성우 제46대 육군훈련소장 취임) http://www.nmnews.co[...] 2009-11-20
[28] 뉴스 第48代陸軍訓練所長にコ・ソンギュン少将就任(제48대 육군훈련소장에 고성균 소장 취임) http://www.newsprime[...] 2013-04-30
[29] 웹인용 육군훈련소 규모 http://www.katc.mil.[...] 2021-01-20
[30] 일반
[31] 뉴스인용 [6·25 전쟁 60년] 대구에서 품은 강군의 꿈 (210) 제주도 신병 훈련소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0-11-09
[32] 뉴스인용 보충대 입영 역사속으로'..2014년 해체 검토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2-11-11
[33] 일반
[34] 뉴스인용 육군훈련소는 제2의 아부 그레이브인가 http://www.vop.co.kr[...] 민중의소리 2005-01-31
[35] 뉴스인용 육군훈련소 ‘인분사건’ 관련자 징계 http://www.hani.co.k[...] 2005-02-03
[36] 뉴스 육군 인분사건 브리핑 '허둥지둥'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0-01-08
[37] 뉴스 인분사건 훈련소장 솜방망이 처벌...네티즌 비난 http://www.ohmynews.[...] 2010-01-08
[38] 웹사이트 https://www.katc.m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