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한 경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한 경제는 전한의 황제로서, 아버지 문제와 함께 '문경의 치'로 불리는 시대를 이끌었다. 그는 자비로운 면모를 보였으며, 도교를 숭상하고 세금을 감면하는 등 백성을 위한 정책을 펼쳤다. 또한, 제후왕의 권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이로 인해 오초칠국의 난이 발생하기도 했다. 그는 이 반란을 진압하고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는 데 성공했다. 경제는 아버지 문제의 정책을 계승하여 사회 안정을 이루었으며, 그의 치세는 중국 역사상 중요한 시기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41년 사망 -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코르쿨룸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코르쿨룸은 로마 공화정 시대의 귀족 출신으로 두 차례 집정관과 감찰관을 지낸 정치인이자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사위이며, 카르타고 멸망에 반대하고 헬레니즘 문화 억제에 기여한 원로원의 으뜸이었다.
  • 기원전 141년 사망 - 이팽조
    이팽조는 전한 경제 시대에 대후에 봉해지고 봉상과 태상을 지낸 관료로, 경제 중5년에 봉상에 임명된 후 이듬해 태상으로 명칭이 변경된 뒤에도 유임되었으며 경제 후3년에 사망했다.
  • 전한 문제의 황자 - 유참
    문제 초년에 태원왕에 봉해졌다가 대나라 왕으로 봉호가 변경된 유참은 효왕으로 추증되었고 그의 아들 유등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 전한 문제의 황자 - 유무 (양효왕)
    유무는 전한 문제의 아들이자 경제의 동생으로, 양나라 효왕에 봉해져 오초칠국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웠으나, 사치스러운 생활과 황태자 책봉 문제로 경제와 갈등을 겪었으며, 그의 묘는 현재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벽화가 있는 허난성 망탕산에 있다.
전한 경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류치 (劉啟)
출생기원전 188년
출생지진양
사망기원전 141년 3월 10일 (47세)
사망지장안
묘소한양릉
재위 기간기원전 157년 7월 14일 – 기원전 141년 3월 9일
왕조한 (전한)
류치 (劉啟)
시호효경황제 (孝景皇帝)
약칭: 경 (景)
가족 관계
아버지한문제
어머니효문두황후
배우자박황후
효경황후
자녀유영, 임강민왕
유승, 중산정왕
한무제
양신장공주
주요 사건
오초칠국의 난오초칠국의 난 진압
기타
연호없음

2. 생애

100px


전한 경제 유계는 기원전 188년 문제와 두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기원전 180년 아버지 문제가 황제가 된 후, 기원전 179년 태자가 되었다.[2] 그는 어머니 두황후의 영향으로 도교를 깊이 신봉했으며, 누나 유표 공주, 남동생 유무와 깊은 유대감을 가졌다.

태자 시절, 경제는 자신의 가문을 세웠고, 가문의 일원이었던 조조는 총명함과 효율성으로 태자의 신뢰받는 조언자가 되었다. 그러나 경제는 쾌락주의적인 삶을 살았고, 문제는 한때 그를 폐위하고 유무를 태자로 세우려 했으나, 관리들의 반대로 그만두었다.

기원전 157년 문제가 사망하고 경제가 황제가 되었다.[4] 그는 아버지의 정책을 이어받아 세금을 줄이고 형벌을 완화했으며, 흉노와의 화친 정책을 유지했다.[4] 그러나 황족 왕자들의 권력은 여전히 문제였고, 이는 오초칠국의 난으로 이어졌다.

사기』 「외척세가」에 따르면, 경제는 문제의 다섯째 아들이었으나 4명의 형이 일찍 죽고, 생모 두씨가 정실로 승격되면서 문제의 적자가 되었다. 황태자 시절, 사촌인 오나라 세자 유현과 육박을 두다가 다툼이 벌어져 유현을 죽게 만들었다. 이 사건으로 오나라와의 관계가 냉각되었지만, 문제의 정치적 배려로 수습되었으며, 훗날 오초칠국의 난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기원전 157년 황제에 즉위한 경제는 문제의 정책을 계승하여 소극적인 외교 정책과 검약에 힘썼고, 중농 정책을 펼쳐 감세에 힘썼으며, 사회 안정을 실현했다. 그의 치세는 문제의 시대와 함께 "문경지치"라고 칭송받았다.

2. 1. 치세 초기까지

기원전 188년 문제와 총애받던 후궁 두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버지의 장남이었다.[2] 아버지가 기원전 180년 11월에 황제가 된 후, 당시 태자였던 그는 기원전 179년 2월 또는 3월에 태자가 되었다.[2] 두 달 후,[3] 그의 어머니는 황후가 되었다.

태자 시절 경제는 자비로운 면모로 칭찬을 받았다. 그는 도교 신봉자였던 어머니 두황후의 영향을 깊이 받아 모든 자녀와 손주들에게 도교 교리를 배우도록 했다. 그는 또한 어머니 두황후의 소생인 누나 유표 공주와 남동생 유무와 깊은 유대감을 형성했다.

태자 기가 성장하면서 관례에 따라 자신의 가문을 세웠고, 그의 가문의 일원이었던 조조는 그의 총명함과 냉혹한 효율성, 그리고 수사학적 재능으로 명성이 높았으며, 태자 기의 신뢰받는 조언자가 되었다. 이와는 별개로 유기는 쾌락주의적인 삶을 살았는데, 문제는 한 번은 그를 태자 자리에서 폐위하고 유무를 태자로 세울 것을 고려했지만, 많은 관리들이 이 아이디어에 반대하여 그만두었다.

기원전 157년 7월, 문제가 사망하고 태자 기가 황제가 되었다. 문제의 유언에 따라, 상복 기간은 단축되었다. 경제의 할머니인 박태후는 태황태후가 되었고, 두 황후는 황태후가 되었다. 태자 기의 부인이자 그의 할머니 가문의 일원인 박 왕비는 황후가 되었다.

그가 황제가 되었을 때, 많은 관리들은 걸왕, 주왕 및 유왕과 같이 한나라가 붕괴될 위험에 처해 있는 좋지 않은 지도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관리들은 유기의 갑작스러운 성격 변화에 충격을 받았고 그는 유능한 통치자로 입증되었다. 경제는 어머니인 두태후의 깊고 강력한 영향을 받았는데, 그녀는 황제의 어머니로서의 지위와 황제에게 미치는 영향력 때문에 강력하고 위험한 인물로 여겨졌다. 그녀의 영향력 때문에 경제는 백성에게 간섭하지 않고 세금 및 기타 부담을 줄이는 아버지의 정책을 대부분 이어갔다. 경제 시대에 세금은 작물의 1/30로 절반으로 삭감되었다.[4] 그는 형벌을 줄이는 정책을 계속했고, 기원전 156년에는 아버지의 코와 발을 자르는 신체 형벌 폐지가 실제로 더 많은 사람들을 매질로 사망하게 한다는 현실에 반응하여 범죄자가 받는 채찍의 수를 줄였다. (그는 나중에 기원전 144년에 형벌을 다시 줄일 것이다.) 그는 또한 북쪽 이웃과의 대규모 분쟁을 대부분 피한 화친 (결혼 조약) 정책을 흉노와 함께 계속했다. 그러나 경제가 직면한 한 가지 즉각적인 문제는 황족의 방계 왕자들이 가진 권력이었다. 왕자들은 종종 자신의 군사력을 키우고 황제가 내린 칙령에 저항했다. 이것은 이미 문제였지만, 문제에 대해 어떠한 결정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경제는 박황후에게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재위 초 몇 년 동안 황태자를 지명하지 않았다. 그의 어머니인 두태후는 그의 남동생인 유무를 황태자로 삼기를 원했지만, 관리들의 반대로 인해 그렇게 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무는 다른 왕자들에게 주어지지 않은 많은 특권을 받았다.[5]

사기』 「외척세가」에 따르면, 문제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4명의 형이 일찍 죽고, 생모인 두씨가 정실로 승격되면서 문제의 적자가 되었다. 황태자 시절에, 사촌인 오나라 세자 유현과 사소한 일로 말다툼을 벌이다가, 육박을 던져 그 자리에서 죽여 버렸다. 이 일로 조정과 오왕의 관계는 냉각되었지만, 문제의 정치적 배려로 사태는 수습되었다. 이것이 훗날 오초칠국의 난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기원전 157년에 황제에 즉위했다. 경제의 정치는 기본적으로 문제의 정책을 계승하여, 소극적인 외교 정책과 검약에 힘쓰는 것이었다. 또한, 중농 정책을 펼쳐 감세에 힘썼으며, 사회의 안정을 실현했다. 인구의 9할이 농업에 종사했다. 후세에는 문제의 시대와 함께 "문경의 치"라고 칭송받았다.

2. 2. 오초칠국의 난

경제의 치세에, 한나라 황족으로서 봉해진 유씨 제후왕들은 영내의 징세와 관리 임명권 등을 장악하여 그들의 분국(分國)은 거의 반(半) 독립국과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조정은 단지 제후국의 승상(丞相)만을 임명할 뿐이었다. 문제 때부터 그들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기 시작했지만, 대응은 소극적이었고 근본적인 대책은 미루어지고 있었다.[6]

기본적으로 아버지 문제의 방침을 이어받으면서도, 경제는 어사대부 조착의 건의를 받아들여 제후왕의 권력을 줄이는 데 착수했다. 제후왕의 사소한 잘못을 이유로 그들의 영지를 몰수하는 등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해 나갔다. 이에 반발한 제후왕들이 몰래 연합하여, 기원전 154년 오왕 유비를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를 오초칠국의 난이라고 한다.[6]

경제는 이미 그의 사촌 재종형 (조부인 고조의 조카)인 부유한 오(吳)나라 (현대 남부 장쑤, 북부 저장, 남부 안후이, 북부 장시)의 제후 유비와 적대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는 다른 천연 자원과 함께 풍부한 구리와 소금 공급을 누렸다. 경제가 태자였을 때 유비의 후계자인 유현이 수도 장안을 공식 방문하여 육박 보드 게임 (점술 및 미래 예측과 밀접한 관련)을 함께 했다. 보드 게임을 하는 동안 유현은 당시 태자 啓를 모욕했고, 啓는 나무 보드를 유현에게 던져 그를 죽였다.[7] 따라서 유비는 새 황제에 대한 큰 증오심을 품었다.

조조는 경제에게 문황제가 일반적으로 무시했던 제후들이 저지른 범죄를 핑계로, 그들의 위협을 줄이기 위해 나라의 크기를 줄이라고 조언했다. 조조는 오(吳)나라와 다른 나라들이 반란을 일으킬 가능성을 명확히 고려했지만, 반란이 일어날 경우 더 준비가 되기 전에 빨리 일으키는 것이 더 낫다고 주장하며 그 행동을 정당화했다. 이 이론에 따라 경제는 기원전 154년에 군 하나를 초(楚)나라 (현대 북부 장쑤와 북부 안후이)와 조나라에서 각각 잘라냈고, 교서나라 (대략 현대 유방, 산둥)에서 6개의 현을 잘라낸 다음 오(吳)나라에서 두 개의 군을 잘라냈다.

오나라는 실제로 초나라, 교서나라, 조나라 및 세 개의 다른 작은 나라인 교동, 자천, 제남과 동맹을 맺고 반란을 일으켰다. 원래 참여하기로 합의했던 두 개의 다른 나라인 제나라 (현대 중부 산둥)와 제북 (현대 북서부 산둥)은 마지막 순간에 약속을 어겼다. 오나라는 또한 독립적인 동월 (현대 저장)과 민월 (현대 푸젠) 왕국으로부터 지원을 요청했다. 동월은 병력을 제공했지만 민월은 그렇지 않았다.[8] 조나라는 흉노에게 지원을 요청했지만, 흉노는 처음에는 돕기로 동의했지만 실제로는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다.[9]

문제의 지시에 따라 경제는 주아부를 그의 군대의 지휘관으로 임명하여 오나라와 초나라의 연합군인 주요 반란군에 맞서게 했다. 그러나 그는 곧 패배할 가능성에 당황했고, 조조의 적 원앙의 제안에 따라 일곱 명의 제후를 달래기 위해 조조를 처형했지만 소용이 없었다.[10]

오나라와 초나라군은 경제의 사랑하는 남동생인 양나라의 제후 유무를 맹렬히 공격하고 있었고, 경제는 주에게 즉시 양나라로 가서 구하라고 명령했다. 주는 오나라와 초나라의 보급선을 먼저 차단하여 굶어 죽게 하는 것이 적절한 전략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거부하고, 양나라의 북동쪽으로 향하여 오나라와 초나라 군대 주변을 돌아서 그들의 보급을 차단했다. 이 전략은 효과적이었다. 양나라를 신속하게 점령할 수 없고 보급이 줄어드는 것을 깨달은 오나라와 초나라 군대는 북동쪽으로 향하여 주를 공격했다. 주를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둘 수 없게 된 후, 오나라와 초나라 군대는 기아로 인해 붕괴되었다. 유비는 동해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그를 죽이고 한나라와 평화를 추구했다. 초나라의 제후 유무는 자살했다. 관련된 다른 나라들도 결국 모두 패배했다.[11]

오초칠국의 난을 진압한 뒤, 경제는 제후국의 승상을 폐지하는 대신 (相, 제후상)을 파견하여 통치하게 하고, 제후왕에게는 현지에서 징수되는 세금만 받았다. 이로써 당초 계획했던 제후왕의 권력 삭감에 성공하였다.[6]

2. 3. 중앙집권 강화

전한 경제는 기본적으로 아버지 문제의 정책을 계승했지만, 제후왕 문제에 관해서는 조조의 건의를 받아들여 제후왕의 권력 삭감에 착수했다. 제후왕의 사소한 과실을 이유로 봉토를 몰수하고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해 나갔다. 이에 반발한 제후왕들은 은밀히 연대하여, 기원전 154년에 오왕 유비를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오초칠국의 난). 초반에는 반란군이 우세했으나, 주아부의 활약으로 진압되었다.[14]

오초칠국의 난 진압 이후, 제후왕의 봉토는 중앙에서 파견한 관리가 통치하게 하고, 제후왕은 징세되는 세금을 받는 것에 그치게 하여, 당초 계획했던 제후왕의 권력 삭감에 성공했다.

오초칠국의 난 진압에 공을 세운 주아부는 황태자 책봉을 둘러싼 갈등으로 승상에서 해임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경제의 측근 위관이 승상으로 임명되었다.[4] 전한 최초로 황제의 측근이 승상으로 임명된 것은, 종래 황제의 정책에도 제약을 가할 권력이 주어졌던 원훈(元勳)들과 그 일족에게서만 임명되는 것이 불문율이었던 승상의 권력이 이때에 와서 크게 저하되고, 반대로 황제의 권력은 비약적으로 강화된 사실을 나타낸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한 문제 유항
어머니효문황후 두씨
배우자이름비고
황후폐후 박씨조모 효문태후 박씨의 친척으로 효문태후 사후에 폐출됨.
황후효경황후 왕씨
후궁율희
후궁정희(程姬)
후궁가부인(賈夫人)
후궁당희(唐姬)당아는 본디 정희의 시녀였다. 경제가 찾아온 날, 정희는 월경이 있어서 경제를 모실 수 없었고, 따라서 시녀인 당아를 들였는데, 그로 인해 유발을 낳았다.
후궁왕부인효경황후의 여동생
자녀이름비고
장녀양신장공주
차녀남궁공주(南宮公主)
3녀융려공주(隆慮公主)
장남임강민왕 유영
차남하간헌왕 유덕
3남임강애왕 유알우
4남노공왕 유여
5남강도역왕 유비
6남조경숙왕 유팽조
7남장사정왕 유발후한 광무제 유수의 5대조
8남교서우왕 유단
9남중산정왕 유승유비는 중산정왕의 방계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10남광천혜왕 유월
11남무제 유철
12남교동강왕 유기
13남청하애왕 유승
14남상산헌왕 유순[17]


4. 연호

전한 경제는 재위 기간 동안 연도를 세 번 재설정했는데, 이는 아들 무제가 시행한 연호 체제와는 다른 방식이었다. 경제는 이전 황제들의 역법 시스템에 따라 단순히 재위 기간의 연도를 언급했을 뿐이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연도를 두 번 재설정하여 역사가들이 이를 별도로 언급하게 되었다.

경제의 재위 기간과 연호는 다음과 같다.

연도간지기년(紀年)서력(西曆)
1년을유(乙酉)전원(前元) 원년기원전 157년 10월 ~ 기원전 156년 9월
2년병술(丙戌)전원(前元) 2년기원전 156년 10월 ~ 기원전 155년 9월
3년정해(丁亥)전원(前元) 3년기원전 155년 10월 ~ 기원전 154년 9월
4년무자(戊子)전원(前元) 4년기원전 154년 10월 ~ 기원전 153년 9월
5년기축(己丑)전원(前元) 5년기원전 153년 10월 ~ 기원전 152년 9월
6년경인(庚寅)전원(前元) 6년기원전 152년 10월 ~ 기원전 151년 9월
7년신묘(辛卯)전원(前元) 7년기원전 151년 10월 ~ 기원전 150년 9월
8년임진(壬辰)중원(中元) 원년기원전 150년 10월 ~ 기원전 149년 9월
9년계사(癸巳)중원(中元) 2년기원전 149년 10월 ~ 기원전 148년 9월
10년갑오(甲午)중원(中元) 3년기원전 148년 10월 ~ 기원전 147년 9월
11년을미(乙未)중원(中元) 4년기원전 147년 10월 ~ 기원전 146년 9월
12년병신(丙申)중원(中元) 5년기원전 146년 10월 ~ 기원전 145년 9월
13년정유(丁酉)중원(中元) 6년기원전 145년 10월 ~ 기원전 144년 9월
14년무술(戊戌)후원(後元) 원년기원전 144년 10월 ~ 기원전 143년 9월
15년기해(己亥)후원(後元) 2년기원전 143년 10월 ~ 기원전 142년 9월
16년경자(庚子)후원(後元) 3년기원전 142년 10월 ~ 기원전 141년 9월


  • 전원(前元, "전기"): 기원전 156년 ~ 기원전 150년
  • 중원(中元, "중기"): 기원전 149년 ~ 기원전 144년
  • 후원(後元, "후기"): 기원전 143년 ~ 기원전 141년


필라델피아 미술관에 소장된 《명인 초상》에 묘사된 경제

5. 평가 및 영향

文景之治중국어로 알려진 그의 치세는 아버지인 문제와 함께 중국 역사상 황금기 중 하나로 여겨졌다. 그러나 그의 행동에는 아버지의 따뜻함과 개방성이 부족했으며, 그의 치세는 정치적 음모와 반역으로 특징지어졌다. 궁궐 경호원 주문인과의 관계에 대해 '황제는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그를 더 사랑했지만, 다른 황제들이 남자 측근을 사랑하는 것만큼은 아니었다'라고 전해진다.[15]

경제는 재위 기간 동안 도덕경을 중국 고전으로 인정하여 도교 연구를 진전시킨 것으로 평가받는다.

2016년, 시안에 있는 경제의 능에서 발견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차의 흔적이 발표되었는데, 이는 한나라 황제들이 기원전 2세기 초부터 차를 마셨음을 나타낸다.[16]

경제의 정치는 기본적으로 문제의 정책을 계승하여 소극적인 외교 정책과 검약에 힘썼고, 중농 정책을 펼쳐 감세에 힘썼으며, 사회 안정을 실현했다. 당시 인구의 9할이 농업에 종사했다. 후세에는 문제의 시대와 함께 "문경의 치"라고 칭송받았다.

또한, 오초칠국의 난 진압의 공로자인 주아부를 황태자 책립을 둘러싼 대립으로 승상에서 해임하고, 자신의 측근을 승상에 임명했다. 이는 황제의 정책에도 제약을 가할 정도의 권력을 가졌던 원훈들과 그 일족에게서만 임명되던 승상의 권력이 경제 시대에 크게 저하되고, 반대로 황제 권력이 강화되었음을 보여준다.

6. 미디어


  • 漢武大帝|한무대제중국어 (2004년, 중국, 연: 자오황)
  • 大風歌|대풍가중국어 (2009년, 중국, 연: 판잉)
  • 美人心計|미인심계중국어 (2012년, 중국, 연: 가오하오)

참조

[1] 문서 Emperor Jing's reign
[2] 문서 Emperor Wen's reign
[3] 문서 Emperor Wen's reign
[4] 서적 China's Imperial Past: An Introduction to Chinese History and Culture Stanford University Press
[5] 문서 Han Shu, vol.47
[6] 서적 undefined
[7] 서적 Representations of Childhood and Youth in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0-08-31
[8] 문서 Han Shu, vol.95
[9] 문서 Shiji, vol.110
[10] 문서 Zizhi Tongjian, vol.16
[11] 문서 Zizhi Tongjian, vol.17
[12] 문서 Zizhi Tongjian, vol.16
[13] 문서 Zizhi Tongjian, vol.16 & Shiji, vol.59
[14] 문서 Zizhi Tongjian, vol.16
[15]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worldcat.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16] 학술지 Earliest tea as evidence for one branch of the Silk Road across the Tibetan Plateau 2016-01-07
[17] 문서 Han Shu, vol.53
[18] 문서 삼국지, 촉서, 선주전
[19] 문서 한서, 왕자후표, 후한서, 유표전, 사기, 오종세가
[20] 문서 삼국지, 촉서, 유언전
[21] 문서 후한서, 유표전
[22] 문서 삼국지, 촉서, 선주전, 전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