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코르쿨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코르쿨룸은 로마 공화정 시대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기원전 162년과 155년에 집정관을 역임했으며, 기원전 159년에는 감찰관, 기원전 150년에는 폰티펙스 막시무스, 기원전 147년에는 원로원의 으뜸 자리에 올랐다. 그는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에 참전했으며, 카르타고를 멸망시키려던 카토와 대립하여 로마의 부패를 경고하며 카르타고의 존속을 주장했다. 또한, 아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세라피오에게 폰티펙스 막시무스 직을 물려주고 사망했다. 그는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사촌이자 사위였으며, 로마의 시민 도덕을 중시하여 극장 파괴를 시도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41년 사망 - 전한 경제
    문제의 뒤를 이어 즉위한 전한의 제6대 황제는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제후왕들의 세력을 약화시키는 데 주력하여 오초칠국의 난을 겪었으며, 난을 진압한 후 황권 강화를 이루어 아버지 문제의 치세와 함께 '문경지치'로 칭송받으며 전한의 황금기를 이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기원전 141년 사망 - 이팽조
    이팽조는 전한 경제 시대에 대후에 봉해지고 봉상과 태상을 지낸 관료로, 경제 중5년에 봉상에 임명된 후 이듬해 태상으로 명칭이 변경된 뒤에도 유임되었으며 경제 후3년에 사망했다.
  • 스키피오 가 -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는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한니발을 격파하고 아프리카에서 로마의 세력을 확장한 고대 로마의 장군으로,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했으나 말년에는 정치적 탄압을 받았다.
  • 스키피오 가 - 코르넬리아 아프리카나
    코르넬리아 아프리카나는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딸이자 그라쿠스 형제의 어머니로, 자녀 교육과 학문 연구에 전념하며 로마 여성의 전형으로 칭송받았지만, 그녀에 대한 평가는 시대와 작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고대 로마의 법률가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고대 로마의 법률가 - 율리우스 파울루스
    율리우스 파울루스는 로마 제국의 법학자로, 방대한 법률 저술을 통해 로마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카라칼라, 알렉산더 세베루스 황제 시대에 활동하며 무죄추정의 원칙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지만, 일부 저술의 위작 논란과 초기 생애에 대한 정보 부족이 있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코르쿨룸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머리 조각상
엔니우스의 머리 조각상, 스키피오 가문의 무덤에서 발견, 현재 피오 클레멘티노 미술관, 바티칸에 소장 중.
이름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코르쿨룸
로마자 표기Publius Cornelius Scipio Nasica Corculum
출생기원전 206년경
사망기원전 141년경
국적로마 공화국
직업집정관
감찰관
폰티펙스 막시무스
원로원 수석
자녀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세라피오
공직
집정관기원전 162년, 기원전 155년
감찰관기원전 159년
폰티펙스 막시무스최고 신기관
프린켑스 세나투스원로원 수석
군사 경력
복무 기간알 수 없음
계급군사 트리뷴, 집정관
참전 전투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
피드나 전투
제1차 달마티아 전쟁
수상개선식

2. 생애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코르쿨룸은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의 아들이며,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큰 딸 코르넬리아 아프리카나와 결혼했다.

기원전 168년,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 휘하로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에 참전했다. 기원전 162년에 집정관에 취임했지만, 길흉을 점치는 징조가 좋지 않아 동료와 함께 그 자리에서 물러났다. 기원전 159년에는 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에나스와 함께 감찰관에 취임하여 원로원 또는 민회의 승인 없이 관직에 있는 인물의 동상 건립을 금지했다.

기원전 155년 다시 집정관에 당선되어 달마티아로 출정하여 승리를 거두고 개선식을 거행하였다. 기원전 150년에는 폰티펙스 막시무스(국가사제단 최고 사제)에 취임하였고, 기원전 147년에는 원로원의 일인자(프린켑스 세나투스)가 되었다.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패배한 카르타고를 멸망시키려고 선동하는 카토에 대해, 코르쿨룸은 잠재적인 경쟁자가 없는 로마는 부패하고 쇠망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반론했다. 카토가 “그렇기 때문이라도 카르타고를 멸망시켜야 한다”고 연설 내용에 관계없이 마치는 것에 대해, 코르쿨룸은 “그렇기 때문에 카르타고는 존속시켜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원로원의 일인자였음에도 코르쿨룸의 정치적 영향력은 카토에 비해 열세였다. 그의 주장은 카르타고의 부흥을 우려한 다수의 원로원 의원들로부터 찬성을 얻지 못했고, 마시니사가 이끄는 누미디아 왕국의 카르타고 간섭을 억제할 수 없었다. 결국 제2차 포에니 전쟁의 휴전 조약을 깨고 카르타고가 누미디아 왕국에 선전포고를 하면서 로마는 카르타고 원정을 결의한다.

제3차 포에니 전쟁 당시에도 코르쿨룸은 생존해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사령관은 스키피오 가문 사람인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가 임명되었다. 기원전 141년, 아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세라피오에게 폰티펙스 막시무스 직무를 물려주고 원로원에서 인정받았으며, 그 직후에 사망한 것으로 생각된다.

2. 1. 가문 배경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코르쿨룸은 귀족 가문인 코르넬리아 씨족 출신이다. 코르넬리우스 씨족은 공화정에서 가장 뛰어난 씨족으로, 이전까지 42번의 집정관직을 획득했다.[6] 스키피오 가문은 코르넬리우스 가문의 두 주요 갈래 중 하나였으며(다른 하나는 렌툴리우스 가문), 기원전 395년 집정관이자 가문의 시조인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말루기넨시스 스키피오 이후 14번의 집정관직을 배출했다.

코르쿨룸은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기원전 191년 집정관)의 아들이자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칼부스(기원전 222년 집정관)의 손자였다. 그의 할아버지는 제2차 포에니 전쟁 중에 사망했다. 또한 그는 한니발을 격파한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와 안티오코스 3세를 격파한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시아티쿠스의 사촌이었다.

코르쿨룸은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큰 딸 코르넬리아 아프리카나와 결혼했다. 둘은 아프리카누스가 생존했을 때 약혼했지만, 기원전 183년 아프리카누스가 사망한 후에 결혼했다.[10][11][12]

스키피오 가문은 다른 가문의 유력자들과 구별하기 위해 여러 개의 개인적인 별칭을 사용했다.[14] 코르쿨룸의 아버지 나시카("코가 큰")라는 ''아그노멘''을 사용했는데, 이는 코르쿨룸을 포함한 그의 후손들이 두 번째 ''코그노멘''으로 유지했다. 아그노멘 코르쿨룸은 로마 역사에서 유일하며, "지적으로 재능 있음" 또는 "영리함"을 의미하는 고대 라틴어 단어일 것이다.[15]

키케로는 코르쿨룸을 높이 평가하며 그를 "유능한 웅변가"라고 묘사했지만, 그의 연설은 키케로 시대에 이미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17][18][19] 그와 아우렐리우스 빅토르는 코르쿨룸이 시민법과 교황법을 전문으로 하는 존경받는 법학자였다고 덧붙였다.[20][21]


2. 2. 초기 경력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의 아들이자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큰 사위이다.

기원전 168년,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 휘하에서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에 참전했다. 퓌드나 전투에서 로마군 우익을 지휘했으며, 암피폴리스 지역을 황폐화시키는 임무를 맡았다. 사모트라케로 도주한 페르세우스를 추격하여 항복을 받아내는 데 기여했다.[68]

기원전 162년 집정관에 취임했지만, 불길한 징조 때문에 동료와 함께 사임했다. 기원전 159년 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에나스와 함께 감찰관이 되어, 원로원이나 민회의 승인 없이 관직에 있는 인물의 동상 건립을 금지했다.

2. 3. 집정관과 감찰관

기원전 168년,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 휘하로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에 참전했다.[77] 기원전 162년에 집정관에 취임했지만, 길흉에 좋지 않은 징후가 나왔기 때문에 동료와 함께 그 자리에서 물러났다.[78] 카시오도루스는 그를 "선임" 집정관이라고 묘사했는데, 이는 백인회가 그를 피굴루스보다 먼저 선출했음을 의미한다.[79][80] 코르쿨룸은 코르시카를 관할 구역으로 배정받았고, 피굴루스는 로 떠났다. 그러나 이들의 선거를 주재했던 전임 집정관인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는 이들이 떠난 후에 자신이 정당하게 조짐을 치르지 못했음을 깨달았다. 따라서 원로는 집정관들을 소환하여 새로운 집정관 선거를 조직하기로 결정했다.[81][82][83]

현대 학자들은 고대 자료에 나오는 코르쿨룸의 해임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을 믿지 않으며, 그에 대한 음모로 간주한다. 심지어 그라쿠스가 코르쿨룸의 매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또 다른 딸과 결혼했다). 하워드 헤이즈 스컬라드는 그라쿠스가 코르시카와 사르데냐에 어떤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코르쿨룸을 자신의 고객에서 제외시키려 했다고 추정한다.[85]

기원전 159년, 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에나스와 함께 ''선임'' 감찰관으로 선출되었는데, 이는 그의 불발된 집정관직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87] 감찰관들은 54번째 ''루스트룸''을 완료했고, 328,316명의 로마 시민을 등록했는데, 이는 164년의 이전 ''루스트룸''보다 거의 9,000명 적은 숫자였다.[88][89] 이들은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를 다섯 번째로 원로원 의장으로 재임명했다. 이때 원로원 또는 민회의 승인 없이 관직에 있는 인물의 동상 건립을 금지시켰다.[95]

기원전 155년에 다시 집정관에 당선되어[106] 달마티아로 출정하여 승리를 거두고 개선식을 거행했다.[109] 코르쿨룸은 카시오도루스에 의해 다시 한번 "선임" 집정관으로 묘사되었다.[79] 그의 선출은 10년 이내에 통치를 반복하는 것을 금지하는 ''빌리아 렉스''에 의해 정해진 10년 규칙을 깨는 것이었다.[107][108]

기원전 2세기 전반 달마타이 (노란색)가 통제한 영토.


원로원은 코르쿨룸을 일리리아의 달마타이에게 보냈다.[109] 제1차 달마티아 전쟁은 기원전 156년에 달마타이가 로마와 동맹 관계에 있던 일리리아인을 공격하고 가이우스 파니우스 스트라보(기원전 161년 집정관)의 사절단을 대우한 사건으로 발발했다.[110][111]

2. 4. 카르타고 문제와 대 카토와의 대립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패배한 카르타고를 멸망시키려 선동하는 카토에 대해 반론하면서, 잠재적인 경쟁자가 없는 로마는 부패하고 쇠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148][149] 카토는 “그렇기 때문이라도 카르타고를 멸망시켜야 한다” (카르타고 델렌다 에스트)고 연설 내용에 관계없이 마쳤지만,[146] 반면 코르쿨룸은 똑같은 연설의 마지막에 “그렇기 때문에 카르타고는 존속시켜야 한다”(''Carthago servanda est'')고 반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50][19][151][152] 카토는 로도스가 페르세우스를 지지한 후 로도스 파괴에 반대하면서 코르쿨룸과 동일한 주장을 펼쳤었다.[153][154]

그러나 원로원의 1인자(프린켑스 세나투스)의 지위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코르쿨룸의 정치적 영향력은 카토에 비해 열세였다. 그의 주장은 카르타고의 눈부신 부흥을 우려한 다수의 원로원 의원들로부터 찬성을 얻지 못했고, 마시니사가 이끄는 누미디아 왕국의 카르타고에 대한 간섭을 억제할 수 없었다. 제2차 포에니 전쟁의 휴전 조약을 깨고 카르타고는 누미디아 왕국에 선전포고를 하면서 로마는 카르타고 원정을 결의한다.

제3차 포에니 전쟁 당시에도 코르쿨룸은 생존해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사령관은 스키피오 가문의 사람인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가 임명되었다.

기원전 149년, 카르타고는 이전 제국의 일부인 현재 북동부 튀니지 (보라색)만을 통제했다.

2. 5. 말년과 죽음

기원전 141년, 아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세라피오에게 폰티펙스 막시무스(최고 신관) 직무를 양도하는 것이 원로원에서 인정되었고, 그 직후 사망한 것으로 여겨진다.[190][191][192] 로마 종교의 수장이 이런 식으로 계승된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193][194]

제3차 포에니 전쟁 당시에도 코르쿨룸은 생존해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카르타고를 완전히 멸망시킨 사령관은 스키피오 가문의 스키피오 아에밀리아누스였다.

코르쿨룸은 로마 남동쪽의 아피아 가도에 위치한 스키피오 가문의 무덤에 묻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 스키피오 가문의 무덤 입구.

3. 유산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코르쿨룸이 로마 시민들의 도덕적 타락과 싸우려고 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조아생 뒤 벨레는 그의 카르타고 전쟁 반대를 칭송했으며, 16세기 말과 17세기 초 영국 청교도들은 극장 반대 운동을 펼치면서 코르쿨룸을 자주 언급했다. 프랑스 아방가르드 극작가 앙토냉 아르토 또한 그의 저서에서 코르쿨룸을 언급했다.[207][208][209][210][211]

1983년에는 코르쿨룸에게서 영감을 받은 스키피온 나시카 시스터즈 극장이 류블랴나에 설립되어 4년간 운영되었다. 이 극장은 1980년대 유고슬라비아의 아방가르드 및 전복적인 장소로 평가받았다.[212]

3. 1. 평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코르쿨룸이 로마 시민들의 도덕적 타락과 싸우려고 했던 노력, 특히 카르타고 파괴에 대한 반대와 극장 파괴에 대한 그의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그의 행적을 ''신의 도시''에서 자세히 논의했다. 다만, 아우구스티누스는 코르쿨룸이 연극을 완전히 금지하지 않은 점은 비판했는데, 이는 계시가 아직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207][208]

조아생 뒤 벨레는 1558년 ''[https://fr.wikisource.org/wiki/Les_Antiquit%C3%A9s_de_Rome Les Antiquitez de Rome]'' (The Ruins of Rome영어, 에드먼드 스펜서 번역)라는 시집을 출판했는데, 이 시집의 23번째 소네트는 코르쿨룸에게 바쳐졌다. 뒤 벨레는 코르쿨룸이 카르타고와의 전쟁에 반대한 것을 칭찬했다.[209]

16세기 말과 17세기 초 영국에서 청교도들은 극장을 부도덕함의 근원으로 여겨 1642년 극장을 금지하기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극장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코르쿨룸은 존 노스브룩(1577), 스티븐 고슨(1582), 필립 스텁스(1583), 필립 시드니(1595), 토마스 비어드(1597), 존 레이놀즈(1599)가 쓴 팜플렛에 자주 등장한다.[210]

프랑스 아방가르드 극작가 앙토냉 아르토는 1938년에 출판된 그의 에세이 ''극과 이중성''에서 돌 극장의 파괴에 대해 코르쿨룸을 언급했다.[211]

1983년, 에다 추퍼, 드라간 지바디노프, 미란 모하르는 아르토가 언급한 코르쿨룸에게서 영감을 받아 류블랴나에 스키피온 나시카 시스터즈 극장을 설립했다. 이 극장은 4년 동안 운영될 예정이었으며, 창립자들은 1987년에 극장을 폐쇄했다. 이 극장은 1980년대 유고슬라비아의 선도적인 아방가르드 및 전복적인 장소였다.[212]

4. 가계도

'''범례'''
감찰관
집정관



스키피오 가문 가계도



코르쿨룸은 코르넬리아 가문의 귀족 출신으로,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의 아들이자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칼부스의 손자였다. 한니발을 격파한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사촌이었으며,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장녀 코르넬리아와 결혼하여 25talents의 지참금을 받았다.[10][11][12] 코르쿨룸은 '지적으로 재능 있음'을 의미하는 '코르쿨룸'이라는 아그노멘을 사용했다.[15]

참조

[1] 문서 Inventory number
[2] 서적 Revixit ars
[3] 서적 Roman Aristocratic Parties
[4] 논문 I ritratti di ‘Mario’ e ‘Silla’
[5] 서적 Les Scipions
[6] 간행물 Fasti Consulares
[7] 서적 De Oratore
[8] 서적 Attic Nights
[9] 서적 Les Scipions
[10] 서적 Polybius
[11] 서적 From the Founding of the City https://wikisource:F[...]
[12] 서적 Orators
[13] 서적 Les Scipions
[14] 서적 Roman Aristocratic Parties
[15] 서적 Pliny
[16] 논문 "'Sapiens' and Stratagems"
[17] 서적 Brutus
[18] 서적 Cambridge Ancient History
[19] 서적 Representations
[20] 서적 Aurelius Victor
[21] 서적 Lawyers
[22] 서적 Digest
[23] 논문 "'Sapiens' and Stratagems"
[24] 서적 Republican Aventine
[25] 서적 From the Founding of the City https://wikisource:F[...]
[26] 서적 Les Scipions
[27] 서적 Periochae
[28] 논문 "Diodore de Sicile, 34-35"
[29] 서적 Les Scipions
[30] 서적 Broughton
[31] 서적 From the Founding of the City https://wikisource:F[...]
[32] 서적 Blood in the Arena
[33] 서적 Commentary
[34] 서적 Pliny
[35] 서적 Broughton
[36] 서적 Fighting Hydra-like Luxury
[37] 서적 Roman Politics
[38] 서적 Blood in the Arena
[39] 서적 Handbook of Coins of Macedon
[40] 서적 History of Macedonia, Vol. III
[41] 서적 Third Macedonian War
[42] 서적 Cambridge Ancient History
[43] 서적 Third Macedonian War
[44] 서적 Third Macedonian War
[45] 서적
[46] 논문 Roman Papers
[47] 논문 Roman Officers
[48] 서적 Les Scipions
[49] 서적 Fragments of the Roman Historians
[50] 서적 Les Scipions
[51] 논문 Republican Rome
[52] 서적 Commentary on Polybius
[53] 서적 History of Macedonia, Vol. III
[54] 서적 Third Macedonian War
[55] 간행물 From the Founding of the City/Book 44#35
[56] 서적 Aemilius
[57] 서적 Third Macedonian War
[58] 서적 Third Macedonian War
[59] 서적 Commentary on Polybius
[60] 간행물 From the Founding of the City/Book 44#36
[61] 서적 Third Macedonian War
[62] 서적 Aemilius
[63] 서적 Third Macedonian War
[64] 서적 Third Macedonian War
[65] 간행물 From the Founding of the City/Book 44#46
[66] 간행물 From the Founding of the City/Book 45#6
[67] 논문 Honorific Inscriptions
[68] 서적 Aemilius
[69] 서적 Les Scipions
[70] 서적 Statues and Cities
[71] 간행물 Honorific Inscriptions
[72] 서적 Aemilius
[73] 간행물 The Plundering of Epirus
[74] 서적 Les Scipions
[75] 서적 From the Founding of the City/Book 44 wikisource:From the [...]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Chronica
[80] 간행물 The Order of the Two Consuls' Names
[81] 서적
[82] 서적 Marcellus
[83] 서적 Priests of the Roman Republic
[84] 서적
[85] 서적 Roman Politics
[86] 간행물 Eastern Policy
[87] 서적
[88] 서적 Periochae
[89] 서적 Rank and Participation
[90] 서적 Attic Nights
[91] 서적 Cicero and the Jurists
[92] 서적 Latin Language
[93] 서적
[94] 간행물 Introduction of the Aqua Marcia
[95] 서적 Fragments of the Roman Historians
[96] 서적
[97] 서적 Cultural Politics
[98] 서적 Fragments
[99] 간행물 Roman arches
[100] 간행물 Lex Fannia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Roman Capitol
[104] 간행물 Public Building
[105] 서적 Architecture
[106] 서적 Broughton, vol. I
[107] 서적 Scipio Aemilianus
[108] 논문 The rise of the consular as a social type
[109] 서적 Periochae
[110] 서적 Polybius
[111] 서적 Illyricum
[112] 서적 Epitome
[113] 서적 Illyrian Wars
[114] 서적 Appian
[115] 서적 Stratagems
[116] 서적 Strabo
[117] 서적 Illyrians
[118] 서적 Zonaras
[119] 서적 Fasti Triumphales
[120] 서적 Appian
[121] 서적 Liber Memorialis https://wikisource.o[...]
[122] 서적 Periochae
[123] 서적 Velleius Paterculus
[124] 서적 Orosius
[125] 서적 Fragments of the Roman Historians
[126] 서적 Valerius Maximus
[127] 서적 Bellum Civile
[128] 서적 Peace of the Gods
[129] 서적 Cambridge Ancient History
[130] 서적 Nature of Roman Comedy
[131] 서적 Culture and National Identity
[132] 서적 Commentary on Livy, books 38–40
[133] 서적 Manuscrits à peinture
[134] 서적 Republican Theatre
[135] 서적 Cultural Politics
[136] 논문 Römische Politik
[137] 서적 Il pensiero storico classico
[138] 서적 Les Scipions
[139] 서적 Culture and National Identity
[140] 논문 Ambitions of Scipio Nasica
[141] 서적 Broughton, vol. I, p. 453
[142] 서적 Astin, Scipio Aemilianus, p. 50
[143] 서적 Livy, Periochae, 47
[144] 서적 Plutarch, Cato the Elder, 26
[145] 서적 Badian, Foreign Clientelae, pp. 130–132
[146] 서적 Astin, Cato, pp. 267–288
[147] 서적 Laborde, Manuscrits à peinture, vol. II, p. 431
[148] 웹사이트 Diodorus, 34.32.3 http://attalus.org/t[...]
[149] 논문 Lintott, "Expansion and Moral Decline", pp. 632, 633
[150] 서적 Plutarch, Cato the Elder, 27
[151] 논문 O'Gorman, "Cato the Elder", p. 111
[152] 논문 John Jacobs, From Sallust to Silius Italicus, Metvs Hostilis and the Fall of Rome in the Punica, in Miller & Woodman (eds.), Latin Historiography, p. 123
[153] 서적 Appian, Punica, 65
[154] 논문 Fragments 163 and 164 of Polybius, cited by Lintott, "Expansion and Moral Decline", p. 633
[155] 서적 Astin, Cato the Censor, p. 283
[156] 서적 Walbank, Commentary on Polybius, vol. I, p. 697
[157] 서적 Sallust, Catiline, x; Jugurtha, xli wikisource:The_Jugur[...]
[158] 논문 Lintott, "Expansion and Moral Decline", p. 638
[159] 논문 Hoffmann, "Römische Politik", pp. 340–344
[160] 논문 Morgan, "Perils of Schematism", p. 42
[161] 서적 Etcheto, Les Scipions, pp. 130, 334
[162] 논문 Adcock, "Delenda Est Carthago", pp. 126–128
[163] 논문 Vogel-Weidemann, "Carthago Delenda Est", p. 88
[164] 논문 Morgan, "Perils of Schematism", p. 42
[165] 서적 Broughton, vol. I, p. 454
[166] 서적 Livy, Periochae, 48 § 5, 6
[167] 서적 Zonaras, ix. 26
[168] 논문 Walsh, "Massinissa", p. 159
[169] 논문 Adcock, "Delenda Est Carthago", pp. 125, 126
[170] 논문 Vogel-Weidemann, "Carthago Delenda Est", p. 87
[171] 논문 Adcock, "Delenda Est Carthago", p. 127
[172] 서적 Zonaras, ix. 28
[173] 서적 Walbank, Commentary on Polybius, vol. III, p. 670
[174] 서적 Brennan, Praetorship, p. 223
[175] 논문 John Vanderspoel, Rome's Apparent Disinterest in Macedonia, in Greece, Macedonia, and Persia, pp. 200, 203, 204
[176] 서적 PW, vol. 7
[177] 논문 Aemilianus and Cato
[178] 서적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 VIII
[179] 논문 Polybius on the Causes
[180] 논문 Aemilianus and Cato
[181] 서적 Scipio Aemilianus
[182] 서적 Zonaras, ix
[183] 서적 Broughton, vol. I
[184] 서적 Tusculanae Disputationes
[185] 논문 L'agronome Magon
[186] 서적 Rank and Participation
[187] 논문 L'agronome Magon
[188] 서적 Broughton, vol. I
[189] 서적 Roman Aristocratic Parties
[190] 서적 Obsequens
[191] 서적 Roman Aristocratic Parties
[192] 서적 Broughton, vol. I
[193] 서적 Roman Aristocratic Parties
[194] 논문 Family Strategy
[195] 서적 Diodorus, xxxiv–xxxv
[196] 서적 Valerius Maximus, vii
[197] 서적 Rank and Participation
[198] 서적 Les Scipions
[199] 서적 Les Scipions
[200] 서적 Les Scipions
[201] 서적 Scipio Aemilianus
[202] 서적 Livy, xxxviii
[203] 서적 Les Scipions
[204] 서적 Les Scipions
[205] 서적 PW, vol. 7
[206] 서적 Omnium Annalium Monumenta
[207] 서적 City of God
[208] 서적 Christ and the Just Society
[209] 논문 Stoicism and History
[210] 서적 Shakespeare's Theatre
[211] 서적 Theatre
[212] 논문 "Ideological Subversion vs. Cultural Policy of Late Socialism: The Case of the Scipion Nasice Sisters Theatre (SNST)" https://www.academ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