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극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극상은 정경의 서자이자 정씨왕국의 고명대신 풍석범의 사위로, 영국 상인들의 기록을 통해 '타이완의 왕'으로 알려졌다. 1680년과 1681년 정경과 진영화가 사망하자 풍석범은 쿠데타를 일으켜 정극상을 연평군왕으로 옹립했다. 12세에 즉위한 정극상은 풍석범의 섭정 하에 통치했으나, 청나라의 침공으로 인해 결국 항복하고 베이징으로 이송되어 한군정황기에 봉해졌다. 정씨왕국은 멸망했고, 정극상은 1707년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평왕 - 정극장
정극상은 동녕국의 감국세손이자 태자, 정성공의 손자로, 1679년 감국세손에 책봉되어 정치적 역량을 발휘했으나 '동녕의 변'으로 삼촌에게 살해당하며 동녕국 멸망을 앞당겼다. - 연평왕 - 정성공
정성공은 일본 출생의 명나라 장군이자 정치가로서 반청복명 운동을 주도하고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몰아내 대만을 점령하여 정씨 왕국을 건설했으나 39세의 나이로 요절, 사후 정씨 왕국은 청나라에 의해 멸망했으며 대만에서는 추앙받고 중국 본토에서는 다른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 한군 기인 - 효의인황후
효의인황후는 청나라 강희제의 황후이자 옹정제의 양모로, 귀비에서 황귀비를 거쳐 황후가 되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옹정제 교육에 힘썼으며, 옹정제 즉위 후 시호를 받고 태묘에 배향되었다. - 한군 기인 - 돈숙황귀비
돈숙황귀비 연씨는 옹정제의 후궁으로, 옹친왕 시절부터 그의 측실이었으며 옹정제 즉위 후 귀비, 황귀비로 책봉되었으나 요절한 자녀가 많았고 사망 후 돈숙황귀비라는 시호를 받았다. - 일본계 대만인 - 오 사다하루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인 오 사다하루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868개의 통산 홈런을 기록하고 '플라밍고 타법'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은퇴 후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감독을 역임,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일본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우승을 이끌었고 현재는 소프트뱅크 호크스 프런트 오피스에서 활동하고 있다. - 일본계 대만인 - 다이안궈
다이지타오의 서자이자 장제스의 총애를 받은 다이안궈는 중화민국 공군 소장으로 교통부 민항국 국장을 지냈으며, 중화민국 공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독일 등에서 군사 및 경제학, 공학 분야의 학위를 취득했다.
정극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정극상 |
한자 표기 | 鄭克塽 |
로마자 표기 | Jeong Geuk-sang |
자 | 실홍 |
호 | 회당 |
출생 | 1670년 8월 13일 |
출생지 | 동녕국 승천부 |
사망 | 1707년 9월 22일 |
사망지 | 청나라 순천부 |
통치 정보 | |
칭호 | 해징공 |
작위 | 연평왕 |
재위 기간 | 1681년 3월 ~ 1683년 9월 5일 |
통치 시대 | 남명 영력: 1681년 3월 ~ 1683년 9월 5일 |
즉위 | 1681년 |
전임자 | 정경 (섭정: 정극장) |
후임자 | 없음 (동녕국 멸망) |
가문 정보 | |
가문 | 정성공가 |
아버지 | 정경 |
어머니 | 황여랑(黃和娘) |
배우자 | 풍부인 (馮氏, 풍석범의 딸) |
자녀 | 정안복 (鄭安福) 정안록 (鄭安祿) 정안강 (鄭安康) |
기타 정보 | |
신분 | 마지막 동녕국 국왕, 항복 후 청나라 해징공 |
초상화 | |
![]() |
2. 생애
정경의 서자이자 풍석범(馮錫範)의 사위였던 정극상은 영국 상인의 기록을 통해 '타이완의 왕(King of Tywan)'으로 유럽에 알려졌다. 일본 문헌 《나가사키야초 (長崎夜話草)》에는 그를 동해왕(東海王)이라 칭하는데, 이것이 그의 직책인지 즉위 전 봉해진 작위인지는 불분명하다.
1680년에 진영화, 1681년에 정경이 잇따라 사망하자, 풍석범은 정경의 사촌들과 손을 잡고 쿠데타를 일으켜 감국인 정극장을 살해하고 12살의 정극상을 연평군왕으로 옹립했다. 정극상은 즉위 후 쿠데타에 가담한 관료들에게 작위를 수여하고 조상들에게 추증 칭호를 부여했다.[1]
정극상은 통녕 왕국의 청톈부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생모는 정경의 첩인 황씨 부인이었다.[1] 정경은 1670년대 후반 청나라에 대항하는 작전을 펼치는 동안 장남 정극상을 후계자로 지명하고 통녕의 내정을 맡겼으며, 정극상은 풍석범의 딸과 결혼했다.[1]
연평문왕 정경의 서자(庶子)로 출생한 정극상은 정왕국의 고명대신 풍석범(馮錫範)의 딸과 결혼하였다.[1] 일본측 문헌 《나가사키야초 (長崎夜話草)》에는 그를 동해왕(東海王)이라 부른다. 동해왕이 그의 당시 직책을 말하는지, 혹은 즉위 전 선왕 정경 혹은 정극장으로부터 봉해진 작위인지 여부는 다소 불확실하다.
1680년에 진영화, 1681년에 정경이 잇따라 사망하자, 중신인 풍석범이 정경의 사촌들과 손을 잡고 쿠데타를 일으켰다.[3] 빙부 풍석범은 이복 형 정극장의 왕위 계승을 못마땅하게 생각하였는데, 풍석범 일당이 정변을 기도, 정극장을 음모로 살해한 후 그를 왕으로 옹립시켜 연평군왕(延平郡王)의 자리를 물려받아 정씨왕국의 3대 국왕이 되었다. 이복형인 감국 정극조를 살해하고, 겨우 열두 살이었던 정극상을 연평군왕으로 옹립한것이다.[3] 1681년부터 1683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장인 풍석범(馮錫範)이 섭정을 맡았다.
정극상은 즉위 당시 12살에 불과했으므로 나라의 실권은 풍석범이 쥐게 되었다. 그러나 정극상의 즉위는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정극장을 제거하고 이루어진 일이었기에 민심을 얻지 못했으며, 풍석범이 제멋대로 국사를 처리하고 청나라의 침공에 대비한다는 명목하에 세금을 올리고 과중한 부역을 부과하면서 백성들의 원성이 높아졌다.
청나라는 정씨왕국이 안으로부터 무너져 가고 있음을 간파하고 수사제독(水師提督) 시랑(施琅)으로 하여금 대만을 점령하도록 했다. 1683년, 강희제는 시랑에게 해군 함대를 이끌고 통녕을 공격하여 정복하도록 명령했다. 정씨왕국에서는 무평후(武平候) 유국헌(劉國軒)에게 막을 것을 명령했으나 시랑이 펑후(澎湖) 해전에서 크게 정군(鄭軍)의 함대를 격파하고, 펑후제도를 점령하였다.(1683년) 유국헌은 대패하여 간신히 타이완섬으로 도망쳐 왔다. 시랑은 정극상에게 항복을 권하는 글을 보내어 항복하면 목숨은 부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풍석범은 결국 정극상에게 청나라에 항복할 것을 권하였다. 7월 5일, 풍석범은 정득소(鄭得瀟)에게 명하여, 항복의 글을 쓰게 하였다.
정씨왕국에서는 정극상을 풍석범 등과 더불어 한때 필리핀으로 달아나게 하는 방안도 고려했으나, 결국 체념한 정극상은 시랑에게 사자를 보내어 항복의 뜻을 전하고 대만에서 살아가게 해달라고 간청했다. 그러나 시랑은 이를 거부하고 정씨왕국의 주요 인물들이 직접 나와서 항복하라고 했다. 결국 정극상은 청나라에 항복하여 북경(北京)으로 올라가 강희제를 알현하고 한군정황기(漢軍正黃旗)에 보내졌다가 다시 정홍기 한군공(正紅旗漢軍公)에 봉해졌으며, 이로써 정성공이 명나라의 부활을 꿈꾸며 세운 정씨왕국은 3대 22년 만에 멸망했다.
정경의 서자(庶子)로, 정왕국의 고명대신 풍석범(馮錫範)의 사위였다. 일본측 문헌 《나가사키야초 (長崎夜話草)》에는 동해왕(東海王)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것이 직책인지 봉해진 작위인지는 불확실하다.
1680년 진영화, 1681년 정경이 잇따라 사망하자, 풍석범은 정경의 사촌들과 손을 잡고 쿠데타를 일으켜 감국 정극臧을 살해하고 정극상을 연평군왕으로 옹립했다.[3] 정극상은 풍석범의 딸과 결혼하여 정안복을 낳았으며, 동생은 정극거이다.[3]
1683년 청나라의 수사제독시랑이 펑후 해전에서 유국헌이 이끄는 정군(鄭軍)의 함대를 격파하고 펑후 제도를 점령하자, 유국헌은 타이완섬으로 도망쳐 왔다. 시랑은 정극상에게 항복을 권하는 글을 보냈고, 풍석범은 정극상에게 청나라에 항복할 것을 권하였다. 7월 5일, 풍석범은 정덕소()에게 항복문을 작성하게 하였고,[1] 7월 15일, 정극상을 시랑에게 보냈다.[3] 8월 13일, 시랑은 타이완에 입성하여 항복을 받았다.[3]
정극상은 북경으로 이송되어 강희제를 알현하고 정홍기 한군공(正紅旗漢軍公)에 봉해졌다. 이로써 정성공이 세운 정씨왕국은 3대 22년 만에 멸망했다.
1707년 정극상은 37세의 나이로 베이징에서 병사했다.[2] 그의 동생 정극학은 청 정부의 명령에 따라 정성공과 정경의 유해를 푸젠성 취안저우로 이장했다.[2] 정극상의 어머니 황씨는 푸젠성에 있는 가족 재산을 현지 관료들이 합병한 것을 청 정부의 도움을 받아 돌려받으려 했으나 실패했다.[2]
2. 1. 초기 생애와 즉위 과정
정경의 서자이자 풍석범(馮錫範)의 사위였던 정극상은 영국 상인의 기록을 통해 '타이완의 왕(King of Tywan)'으로 유럽에 알려졌다. 일본 문헌 《나가사키야초 (長崎夜話草)》에는 그를 동해왕(東海王)이라 칭하는데, 이것이 그의 직책인지 즉위 전 봉해진 작위인지는 불분명하다.1680년에 진영화, 1681년에 정경이 잇따라 사망하자, 풍석범은 정경의 사촌들과 손을 잡고 쿠데타를 일으켜 감국인 정극장을 살해하고 12살의 정극상을 연평군왕으로 옹립했다. 정극상은 즉위 후 쿠데타에 가담한 관료들에게 작위를 수여하고 조상들에게 추증 칭호를 부여했다.[1]
정극상은 통녕 왕국의 청톈부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생모는 정경의 첩인 황씨 부인이었다.[1] 정경은 1670년대 후반 청나라에 대항하는 작전을 펼치는 동안 장남 정극상을 후계자로 지명하고 통녕의 내정을 맡겼으며, 정극상은 풍석범의 딸과 결혼했다.[1]
2. 2. 통치 기간과 청나라의 침공
연평문왕 정경의 서자(庶子)로 출생한 정극상은 정왕국의 고명대신 풍석범(馮錫範)의 딸과 결혼하였다.[1] 일본측 문헌 《나가사키야초 (長崎夜話草)》에는 그를 동해왕(東海王)이라 부른다. 동해왕이 그의 당시 직책을 말하는지, 혹은 즉위 전 선왕 정경 혹은 정극장으로부터 봉해진 작위인지 여부는 다소 불확실하다.1680년에 진영화, 1681년에 정경이 잇따라 사망하자, 중신인 풍석범이 정경의 사촌들과 손을 잡고 쿠데타를 일으켰다.[3] 빙부 풍석범은 이복 형 정극장의 왕위 계승을 못마땅하게 생각하였는데, 풍석범 일당이 정변을 기도, 정극장을 음모로 살해한 후 그를 왕으로 옹립시켜 연평군왕(延平郡王)의 자리를 물려받아 정씨왕국의 3대 국왕이 되었다. 이복형인 감국 정극조를 살해하고, 겨우 열두 살이었던 정극상을 연평군왕으로 옹립한것이다.[3] 1681년부터 1683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장인 풍석범(馮錫範)이 섭정을 맡았다.
정극상은 즉위 당시 12살에 불과했으므로 나라의 실권은 풍석범이 쥐게 되었다. 그러나 정극상의 즉위는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정극장을 제거하고 이루어진 일이었기에 민심을 얻지 못했으며, 풍석범이 제멋대로 국사를 처리하고 청나라의 침공에 대비한다는 명목하에 세금을 올리고 과중한 부역을 부과하면서 백성들의 원성이 높아졌다.
청나라는 정씨왕국이 안으로부터 무너져 가고 있음을 간파하고 수사제독(水師提督) 시랑(施琅)으로 하여금 대만을 점령하도록 했다. 1683년, 강희제는 시랑에게 해군 함대를 이끌고 통녕을 공격하여 정복하도록 명령했다. 정씨왕국에서는 무평후(武平候) 유국헌(劉國軒)에게 막을 것을 명령했으나 시랑이 펑후(澎湖) 해전에서 크게 정군(鄭軍)의 함대를 격파하고, 펑후제도를 점령하였다.(1683년) 유국헌은 대패하여 간신히 타이완섬으로 도망쳐 왔다. 시랑은 정극상에게 항복을 권하는 글을 보내어 항복하면 목숨은 부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풍석범은 결국 정극상에게 청나라에 항복할 것을 권하였다. 7월 5일, 풍석범은 정득소(鄭得瀟)에게 명하여, 항복의 글을 쓰게 하였다.
정씨왕국에서는 정극상을 풍석범 등과 더불어 한때 필리핀으로 달아나게 하는 방안도 고려했으나, 결국 체념한 정극상은 시랑에게 사자를 보내어 항복의 뜻을 전하고 대만에서 살아가게 해달라고 간청했다. 그러나 시랑은 이를 거부하고 정씨왕국의 주요 인물들이 직접 나와서 항복하라고 했다. 결국 정극상은 청나라에 항복하여 북경(北京)으로 올라가 강희제를 알현하고 한군정황기(漢軍正黃旗)에 보내졌다가 다시 정홍기 한군공(正紅旗漢軍公)에 봉해졌으며, 이로써 정성공이 명나라의 부활을 꿈꾸며 세운 정씨왕국은 3대 22년 만에 멸망했다.
2. 3. 청나라에 항복과 이후의 삶
정경의 서자(庶子)로, 정왕국의 고명대신 풍석범(馮錫範)의 사위였다. 일본측 문헌 《나가사키야초 (長崎夜話草)》에는 동해왕(東海王)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것이 직책인지 봉해진 작위인지는 불확실하다.1680년 진영화, 1681년 정경이 잇따라 사망하자, 풍석범은 정경의 사촌들과 손을 잡고 쿠데타를 일으켜 감국 정극臧을 살해하고 정극상을 연평군왕으로 옹립했다.[3] 정극상은 풍석범의 딸과 결혼하여 정안복을 낳았으며, 동생은 정극거이다.[3]
1683년 청나라의 수사제독시랑이 펑후 해전에서 유국헌이 이끄는 정군(鄭軍)의 함대를 격파하고 펑후 제도를 점령하자, 유국헌은 타이완섬으로 도망쳐 왔다. 시랑은 정극상에게 항복을 권하는 글을 보냈고, 풍석범은 정극상에게 청나라에 항복할 것을 권하였다. 7월 5일, 풍석범은 정덕소()에게 항복문을 작성하게 하였고,[1] 7월 15일, 정극상을 시랑에게 보냈다.[3] 8월 13일, 시랑은 타이완에 입성하여 항복을 받았다.[3]
정극상은 북경으로 이송되어 강희제를 알현하고 정홍기 한군공(正紅旗漢軍公)에 봉해졌다. 이로써 정성공이 세운 정씨왕국은 3대 22년 만에 멸망했다.
1707년 정극상은 37세의 나이로 베이징에서 병사했다.[2] 그의 동생 정극학은 청 정부의 명령에 따라 정성공과 정경의 유해를 푸젠성 취안저우로 이장했다.[2] 정극상의 어머니 황씨는 푸젠성에 있는 가족 재산을 현지 관료들이 합병한 것을 청 정부의 도움을 받아 돌려받으려 했으나 실패했다.[2]
3. 가족
4. 정씨 가문의 후손
정극상은 슬하에 정안복(鄭安福), 정안로(鄭安祿), 정안강(鄭安康) 세 아들을 두었으나 모두 후사 없이 사망하였다. 그래서 정극상의 막내 동생 정극교(鄭克塙)의 손자이자 정안덕(鄭安德)의 장남인 사촌 정현기(鄭咸吉)가 정안복의 후계자로 지명되었다.
정씨 가문의 후손들은 1911년 신해 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베이징에서 팔기군으로 복무하였고, 이후 푸젠성 남부의 안하이와 난안으로 이주하여 현재까지 그곳에 살고 있다.
정추위 (鄭愁予, 1933년 출생) 시인은 산둥성에서 태어난 정씨 가문의 후손 중 한 명이라고 주장한다. 정추위의 아버지 정효선(鄭曉嵐)은 제2차 중일 전쟁 당시 일본 침략군에 맞서 싸웠다. 정추위는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성에서 태어나 스스로를 "저항의 아이"라 칭하며, 전쟁 중 일본군을 피해 중국 전역을 떠돌아다니는 난민 생활을 했다. 1949년 타이완으로 이주한 그는 타이완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유대 관계 강화에 힘쓰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태어난 정추위는 자신을 중국인으로 인식했으며, 이전에 일본의 통치를 받았고 낯설고 이질감을 느꼈던 1949년 타이완으로의 강제 이주 이후 소외감을 느꼈다.
{| class="wikitable"
|-
! 정극상 가계도
|-
|
|}
5. 평가
6. 대중문화
정극상은 김용의 소설 ''녹정기''에서 악역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소설 속에서 정극상의 나이는 10세 더 많게 설정되어 있으며, 이자성과 진원원의 딸인 아가와 서로 사랑하는 사이로 묘사된다. 이후 아가는 위소보와 결혼하게 되어 정극상과는 헤어진다. 『녹정기』 속에서 그는 꽤 악역으로 그려진다.
참조
[1]
서적
Taiwan Under the Cheng Family, 1662 – 1683
[2]
간행물
Chêng Ching
[3]
문서
『清史稿』では「漢軍公」とあるが、「諸臣封爵世表」では「海澄公」としてありこれが正し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