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인택 (소설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인택은 일제강점기 및 해방 이후 활동한 소설가이다. 친일 언론인 정운복의 아들로, 《매일신보》와 《문장》의 기자로 활동하며 사소설과 심리소설을 주로 발표했다. 1936년 〈촉루〉로 문단에 데뷔했으며, 〈촉루〉, 〈미로〉, 〈여수〉는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조선문인보국회에 참여하는 등 친일 행적을 보였으며, 친일 문학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한국 전쟁 중 월북했으며, 월북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번역가 - 최남선
    최남선은 1890년에 태어나 1957년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문인이자 독립운동가, 언론인, 역사학자이며, 《소년》을 창간하고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현대 한국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3·1 운동 독립선언서 기초, 친일 행적, 단군 연구, 《단군론》, 《불함문화론》 저술 등의 활동을 했다.
  • 일제강점기의 번역가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박헌영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박헌영 - 남조선로동당
    남조선로동당은 1946년 결성된 남한의 좌익 정당으로, 이승만 정부 수립에 반대하며 테러와 게릴라전을 전개하다가 대한민국에서 소멸했다.
  • 연일 정씨 - 정지용
    정지용은 충청북도 옥천 출생으로 모더니즘 문학을 선도했으며, 시문학 동인과 구인회 활동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행방불명되었다.
  • 연일 정씨 - 정희택
    정희택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으로 검사, 중앙수사국장 등 요직을 거쳐 제11대 국회의원, 감사원장, 방송위원회 위원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언론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권위주의 정권과의 협력에 대한 비판도 있다.
정인택 (소설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어 이름鄭人澤
출생일1909년 9월 12일
출생지대한제국 한성부
사망일1952년 8월 4일
직업소설가
국적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장르소설
번역
언어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학력경성제1고등보통학교 중퇴
활동 기간1930년 ~ 1952년
소속조선문인보국회 문예과 과장
부모정운복(부)
배우자권영희
자녀정태은(차녀)

2. 생애

의친왕 망명을 꾀한 대동단 사건에 연루되었던 언론인 정운복의 아들로, 한성부에서 태어났으며, 평안북도 의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다.[1] 일제강점기에 《매일신보》, 《문장》 기자를 지내면서 사소설, 심리소설 위주로 약 40여 편의 작품을 발표했으며, 1936년 발표한 〈촉루〉가 문단 데뷔작이다. 작가의 자의식이 반영된 지식인 청년이 주인공인 〈촉루〉는 〈미로〉(1939), 〈여수〉(1941)로 이어지는 연작으로 정인택의 대표작이 되었다.

태평양 전쟁 시기에 조선문인보국회에 참가하는 등 친일 행적이 있으며, 만주 이주를 배경으로 쓴 〈검은 흙과 흰 얼굴〉(1942)은 전형적인 친일 작품으로 꼽힌다.[2] 2002년 공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친일 작품은 소설 6편과 창작집 1권을 포함해 총 13편이 밝혀져 있다.[3]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절친한 친구였던 이상의 연인으로 알려진 권영희와 결혼했고, 한국 전쟁 중 가족과 함께 월북하였다.[4] 일제 강점기부터 이념성과는 거리가 먼 작품을 썼고 광복 후에는 보도연맹 가입[5] 기록이 있을 뿐 문단 활동도 거의 하지 않았기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가게 된 정확한 경위는 확인되지 않았다.

월북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정인택은 병사하였다. 권영희는 몇 년 후 정인택의 또다른 친구인 월북 작가 박태원과 재혼했으며, 박태원 슬하에서 자란 정인택의 차녀 정태은이 북조선의 유명 작가가 되었다.[6] 정인택의 월북 이후 행적 및 사망년도는 그동안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나, 2006년 이산가족 상봉으로 북조선에 거주하는 누나를 만난 박태원의 차남 박재영이 자신의 블로그[7]를 통해 전해 들은 소식을 밝히면서 공개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활동

의친왕 망명을 꾀한 대동단 사건에 연루되었던 언론인 정운복의 아들로, 한성부에서 태어났다.[1] 평안북도 의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다.

일제강점기에 《매일신보》, 《문장》 기자를 지내면서 사소설, 심리소설 위주로 약 40여 편의 작품을 발표했다. 1936년 발표한 〈촉루〉가 문단 데뷔작이다. 작가의 자의식이 반영된 지식인 청년이 주인공인 〈촉루〉는 〈미로〉(1939), 〈여수〉(1941)로 이어지는 연작으로 정인택의 대표작이 되었다.

2. 2. 친일 행적

일제강점기조선문인보국회에 참가하는 등 친일 행적이 있다. 이 무렵 만주 이주를 배경으로 쓴 〈검은 흙과 흰 얼굴〉(1942)은 전형적인 친일 작품으로 꼽힌다.[2] 2002년 공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친일 작품은 소설 6편과 창작집 1권을 포함해 총 13편이 밝혀져 있다.[3]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2. 3. 해방 이후 및 월북

정인택은 절친한 친구였던 이상의 연인으로 알려진 권영희와 결혼했고, 한국 전쟁 중 가족과 함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4] 일제 강점기부터 이념성과는 거리가 먼 작품을 썼고 광복 후에는 보도연맹 가입[5] 기록이 있을 뿐 문단 활동도 거의 하지 않았기 때문에, 월북 경위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다.

월북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정인택은 병사하였다. 권영희는 몇 년 후 정인택의 또 다른 친구인 월북 작가 박태원과 재혼했으며, 박태원 슬하에서 자란 정인택의 차녀 정태은이 북조선의 유명 작가가 되었다.[6] 정인택의 월북 이후 행적 및 사망년도는 그동안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나, 2006년 이산가족 상봉으로 북조선에 거주하는 누나를 만난 박태원의 차남 박재영이 자신의 블로그[7]를 통해 전해 들은 소식을 밝히면서 공개되었다.

2. 4. 월북 이후

이상의 연인으로 알려졌던 권영희와 결혼했고, 한국 전쟁 중 가족과 함께 월북하였다.[4] 정인택은 일제 강점기부터 이념성과는 거리가 먼 작품을 썼고 광복 후에는 보도연맹 가입[5] 기록이 있을 뿐 문단 활동도 거의 하지 않았기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가게 된 정확한 경위는 확인되지 않았다.

월북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정인택은 병사하였다. 권영희는 몇 년 후 정인택의 또 다른 친구인 월북 작가 박태원과 재혼했으며, 박태원 슬하에서 자란 정인택의 차녀 정태은이 북조선의 유명 작가가 되었다.[6] 정인택의 월북 이후 행적 및 사망년도는 그동안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나, 2006년 이산가족 상봉으로 북조선에 거주하는 누나를 만난 박태원의 차남 박재영이 자신의 블로그[7]를 통해 전해 들은 소식을 밝히면서 공개되었다.

3. 주요 경력

기간직책
1943년 3월 ~ 1943년 6월조선공산당 문화예술행정특임위원
1943년 6월 ~ 1945년 8월조선문인보국회 문예과 과장


참조

[1] 서적 제국의 후예들 황소자리 2006-05-25
[2] 뉴스 개척소설은 친일소설과 달라 제기 - 소설가 김동민씨 〈한국 문학사의 탐색〉에서 지적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3-08-03
[3] 저널 친일문학 작품목록 http://www.artnstudy[...] 2007-09-22
[4] 뉴스 월북작가 박태원 가족사랑 지극 - 북 행적 보여주는 가족사진·친필 편지 공개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6-01
[5] 서적 끝나지 않은 전쟁 국민보도연맹 역사비평사 2002-05-15
[6] 웹사이트 아버지의 흔적을 찾아 헤매는 반백(半白)의 아들 - 소설가 구보씨의 아들 박재영씨 인터뷰 http://www.personweb[...] 2007-09-28
[7] 블로그 행복한 꿈과 삶을 함께 나누고 싶은 마음 http://blog.daum.net[...] 2007-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